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부모와 어린이급식소 교직원의 전통간식에 대한 인식연구 -대전·충남·세종지역을 중심으로-

        유주희,윤혜려,Yu, Ju-Hee,Yoon, Hei-Ryeo 대한영양사협회 2020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raditional snacks in the Daejeon, Chungnam and Sejong regions by investigating the awareness of traditional snacks by parents and teachers of Children's foodservice facilities. The survey method was a self-monitored survey, and 576 people (298 parents, 278 teacher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66.4% of parents believed that the snacks provided at facilities are nutritious, and that traditional snacks are rich in nutrition but difficult to cook (66.1%). Further, 77% of parents preferred traditional snacks, and 92% thought that traditional snacks should be passed on to future generations and continuously developed. Increasing the number of stores selling traditional snacks (41%) and a generalized awareness of traditional snacks (34%) are needed to expand the use consumption of traditional snacks. For teachers of Children's foodservice facilities, 92.8% said that the number of snacks provided per day was twice, and snacks were made and served more than twice a week (77.7%). The reasons for not making these traditional snacksit more often were the long cooking time (47.1%) and lack of labor (20.5%).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traditional snacks among the types of children's foodservice facilities, but the private and public facilities showed a higher usage demand than the family type foodservice facilities for of traditional snack-focused food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raditional snacks, it is necessary to create programs according to the facility types and to develop traditional snacks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s and programs for increasing the consumption of traditional snacks at children's foodservice facilities.

      • KCI등재

        『源氏物語』에 있어서 繼子譚

        柳周希 한국일본학회 2000 日本學報 Vol.44 No.-

        일본의 物語(모노가타리)문학 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源氏物語(겐지이야기)』에는 先行의 詩歌, 故事說話, 歷史的事實등 다양한 이야기 형태가 혼재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繼子譚(계모학대이야기)의 형태는 이전의 先行이야기로부터 전승되는 부분이 많다. 그러나,「源氏物語」의 繼子譚은 단순히 先行이야기의 전승뿐만 아니라, 나름대로 창작성을 가지고, 새로운 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중, 繼子(의붓자식)의 流離의 話型은 일반적인 형태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전형적인 繼子譚에 있어서, 이러한 繼子流離 後에는 안정된 繁榮의 결말로 이야기가 종결되는 것이 기본적 형태이다. 그러나,『源氏物語』의 繼女(의붓딸)의 경우에 이러한 기본형과 일치하지 않음을 지적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그 예로 紫上의 流離를 통해 살펴보았다. 紫上는 源氏와의 만남 이후, 表面的으로는 안정된 생활과 번영에 이르지만, 그 裏面에는 심리적인 불안감이 解消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해 간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內面化로 流離로 규정하였다. 그러고, 이러한 내면화된 流離의 深層要因으로써 구제자의 문제와 繼子關係의 설정을 들 수 있다. 紫上의 경우, 現實的 流離의 상태 때 보다 오히려 구제자에 의해 번영에 이르고 나서, 繼子關係의 대립이 현저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이야기 구도는 繼子의 流離를 二分化하는 要因을 제공하며 繼子에 의한 구제자의 不信 또한 流離의 중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지적할 수 있다. 이는 결론적으로 繼子 스스로 극복하지 못하고 오히려 자신을 부정적 시각으로 의식해 감으로써 流離가 변형된 상태로 物語 終結까지 지속되고 있다고 여겨진다.

      • KCI등재
      • KCI우수등재

        공공기관 지방이전의 지역경제발전 효과에 관한 연구

        유주희,박정수 한국정책학회 2023 韓國政策學會報 Vol.32 No.2

        In this paper, we examine how the local relocation policies contribute to the balance of nationwide development based on empirical data. This paper focus on the 4th local relocation policy of pubic institutions. The statistical modeling frameworks are difference-in-differences and fixed effect analysis using long term panel data with the 153 cities of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2007 to 2020. DID analysis should be conducted assuming implementation point of policy. But the relocation of pubic institutions policy moved for several years. It makes hard deciding policy enforcement point. So, this paper set policy enforcement point to be every year from 2012 to 2019, then whole country was grouped into two ; control or treated group.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howing that the treated group’s GRDP growth rate is much larg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However the effect is decreased when the policy was completed. It means that policy effect could be temporary. The GRDP in the non-metropolitan area was higher than that of whole country, showing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narrowing the regional gap among the regions. 본 연구는 국가균형발전의 일환으로 2000년대부터 추진된 제4차 공공기관 지방이전 정책이 국가균형발전에 미친 효과를 경제적 측면을 중심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2007년부터 2020년까지 14년간 161개의 광역시・시・군의 장기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정책효과를 분석하는 준 실험방법인 이중차분법(Difference-in-Differences)과 고정효과 (fixed effect)분석을 활용하였다. 공공기관의 지방이전이 여러 해에 걸쳐 나뉘어 이전함에 따라 2012년부터 2019년까지 매해를 정책실행 시점으로 설정하여 전국을 공공기관 이전 지역과 미이전 지역의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분석결과 공공기관이 이전한 지역의 지역내총생산 성장률이 미이전 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그 효과는 대다수의 공공기관의 이전이 완료된 이후부터는 감소 추세로 전환되어 정책의 효과가 일시적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였다. 또한 비수도권의 지역내총생산 성장률이 전국을 분석대상으로 했을 경우보다 높게 나타나 지역경제성장과 수도권과의 격차가 완화되었다. 본 연구는 연구의 공간적 범위를 전국으로, 시간적 범위를 정책시행 전과 후를 포괄하여 실증분석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공공기관의 지방이전만으로는 정책 효과가 일시적이고 지역균형발전을 이루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추가적인 정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강원도 일부지역의 계절별 실내라돈 농도 비교 연구

        유주희,서수연,정준식,이규선,이재원,권명희 한국냄새환경학회 2016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15 No.3

        Radon (222Rn) gas is a main source of ionizing radiation of natural origin. It typically moves up through the ground to the air above and into building or home through cracks and other holes in the foundation. Significantly, the Surgeon General has warned that radon is the second leading cause of lung cancer in the United States today. This survey covers the determination of indoor radon concentrations at home from 2013 to 2014 in some areas of Gangwondo, every three months (seasonal) during one year using an alpha-track detecto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nnual average concentration of indoor radon was 84.5 Bq/m3 (GM: 64.5 Bq/m3) at homes. Indoor radon level was the highest in winter and the lowest in summer. Geometric mean radon concentration in winter was 1.03~2.58 times higher than other seasons. The data obtained from this study provide a basis for the preparation of legal regulation and public health protection manuals in this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