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인 정서에 맞는 냄새 표현 어구 분류

        김현욱,최홍림,이기형,김재혁,권우택,김기범 한국냄새환경학회 2004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3 No.3

        Environmental odors are generally described with four sensory parameters, i.e., threshold concentration(the lowest concentration at which an odor can be detected or recognised), odor intensity, hedonic tone(degree of pleasantness or unpleasantness associated with odor), and odor characters(words describing perceived odor). Recently, due to increased number of complaints related with odors from sewage treatment plants, industrial area, landfill sites, livestock husbandry farms and so on, a number of researches on odor are being studied. However, unlike western european countries, Japan, and northern america, research on odor in Korea does not long history. Moreover, We Koreans do not have systematic standard expression words characterizing odor. For better understanding of odor generation and mitigation, words and phrases to well characterize a korean's sense on odor need to be organized. In this study, an in-depth investigation on korean phrases describing odor characters has been performed. Both foreign and korean literatures were searched and survey was performed to collect phrases describing odors. The collected data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similarity in meaning to develop a wheel type table of odor descriptors classified into 10 main odor subjects. Then, each main odor subject is divided into descriptors(total 142 sub odor descriptors). Then, a way of graphically presenting frequency of odor descriptors chosen by odor panels is proposed to easily compare the results of the odor panel character. 관능법을 이용하여으로 냄새를 평가할 때에, 일반적으로 냄새 한계농도(odor threshold:사람이 냄새를 감지할 수 있는 한계 농도), 냄새 강도(odor intensity:감지되어지는 냄새의 세기), 냄새 심미도(hedonic tone:냄새의 불쾌한 정도), 그리고 냄새 성격(odor character:다른 냄새와 구별되는 냄새의 특성)등을 이용한다. 최근, 하수처리장, 공단, 매립지, 가축 사육단지 등에서 발생하는 냄새로 인한 민원의 증가로 냄새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그에 따른 많은 연구들도 진행 중에 있다. 하지만 냄새연구가 오래전부터 진행되어 온 서구나 일본등과는 달리,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냄새에 대한 연구는 초보단계에 있으며, 표준화된 냄새 표현 단어들조차도 체계화되어 있지 않다. 악취발생 혹은 저감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서는 먼저 한국인들의 정서에 맞는 냄새 표현어구들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유사 표현어구들의 미묘한 차이를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 및 국내 문헌 조사 그리고 설문을 통하여, 표현 가능한 냄새 특성을 조사하고, 조사된 자료를 유사한 특성에 따라 분류하여, 한국인들의 정서에 맞는 냄새 표현 어구 및 단어들을 정리하고, 유사 냄새와 비교하여 차이를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보여주는 “표준 냄새 표현 어구 분류표(standard odor descriptors)”를 제안하였다. 표준 냄새 표현 어구 분류표(standard odor descriptors)는 냄새 특성을 먼저 10개의 주요 냄새 표현 단어들로 분류하고, 각각의 표현에 대해서 3~20 개의 상세 표현단어들로 세분화하여 총 142개의 냄새표현 어구들을 분류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제안된 표현들을 직접 관능법에 의한 냄새 평가에서 얻은 결과에 적용하여 시각적으로 냄새 특성을 평가하여 보았다. 특히 가축시료(계(鷄)분뇨, 돈(豚)분뇨 그리고 젖소 분뇨)와 같은 비슷한 성격을 갖는 시료의 냄새 특성을 자세히 시각적으로 비교하기 위해서, “2차 냄새 표현 어구 그래프”를 도입하여 유사 냄새 특성을 갖는 시료들의 차를 구분하여 시도하였다.

      • KCI등재후보

        냄새변화를 이용한 저장창고 내 사과부패 확인 방법

        이효정,김만구 한국냄새환경학회 2011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10 No.2

        In this study, A method for confirming the putrefaction point of apples by using odor variation as applied in apple storage. The samples were obtained from apple storage at Chuncheon shi Dongnae-myeon using by lung sampler. The complex odor was separated by GC/O and individual odors were then analyzed. In the apple storage, the varieties and number of apples vary based on cultivarsand sales volume of apples. Thus, using an emission chamber in the apple storage is difficult. The odor value of the emission chamber and apple storage is denoted by standardizing the sizes and number of apples. The variations in the ratios of aroma value and off-odor value were investigated. The ratio of the aroma value and off-odor value in the emission chamber increased. However, the apple storage values were applied on the number of apples, thus the values alternately increased and decreased in most cases. If the internal change of apple started, it is ratio of aroma value and off-odor value is cloese to zero. and If the External putrefaction on the apple surface is confirmed, the log value becomes larger than 0.5. Complete putrefaction in the stored apples, the log value close to 1.5. We therefore confirmed that this noninvasive method using odor variation can apply to monitoring the quality of apples in storage. 이 연구에서는 사과의 방치기간에 따른 냄새변화를 이용한 부패시점 확인 방법을 실제 저장창고에 적용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시료는 춘천시 동내면의 사과저장창고에서 순간채취장치를 이용하여 복합냄새를 채취한 뒤 GC/FID/Olfactomety로 개별냄새 분석을 실시하였다. 저장창고는 사과의 재배품종과 수확시기, 판매량에 따라서 저장되는 사과의 품종과 개수의 변화가 나타나므로 기존 방출챔버 실험결과를 적용하기 어렵기에 방출챔버와 저장창고의 저장기간별 냄새 값을 저장창고의 부피와 보관된 사과의 수량에 대해 표준화하여 보정한 뒤 좋은 냄새 값에 대한 나쁜 냄새 값의 비율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방출챔버를 이용한 실험에서는 이 비율이 저장기간에 따라 뚜렷이 증가하였으나, 실제 사과저장창고에서는 창고 내 사과의 저장 개수에 영향을 받아 소폭증가와 감소가 반복되었다. 하지만 전체적인 경향을 방출챔버에서와 같이 좋은 냄새 값에 대한 나쁜 냄새 값의 비율이 사과의 부패가 시작되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저장창고에 저장된 사과의 내부적인 변화가 시작되면 좋은 냄새 값에 대한 나쁜 냄새 값 비율의 로그값이 0에 가깝게 나타나고, 사과의 부패를 외관상으로 파악할 수 있을 정도로 부패가 진행되면 0.5이상의 값을 나타냈다. 완전히 사과의 부패가 일어난 경우에는 1.5이상의 값을 나타냈다. 따라서 실제 저장창고에서도 저장창고의 냄새를 이용한 비파괴적인 방법으로 사과품질 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

      • 벽지에서 방출되는 TVOCs와 냄새원인물질 분석

        정영림,정탁교,장미옥,김선화,김만구 한국냄새환경학회 2006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5 No.3

        In this study, the TVOCs and odor active compounds emitted from 3 PVC and 5 natural wallpapers were analyzed. The emitted odor intensiti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wallpapers were estimated using air dilution sensory and direct olfactory methods. The emissions of TVOCs were measured using the SPME-cryogenic emission test method, which was modified from the RAL-GZ 479 method, which is used in Germany to evaluate the quality of wallpaper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emissions of TVOCs and the odor concentration. However, a correlation (0.57) was found between the emitted VOCs and the odor concentration of the low molecular weight compounds, which have strong volatilities, ranging from n-C6 to n-C10. For all 8 wallpapers, vinegar like odor was commonly perceived, with acetic acid identified as the main odor active compound withinthe odor. Benzaldehyde and esters, such as ethyl acrylate and n-butyl acrylate, were identified as odor active compounds, which were expressed as having rubber like smells by the panelis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dor should be included as a domestic regulation for the pollutants emitted from building materials. The identification of odor active compounds emitted from building materials could be useful in the production of eco-environment products. 이 연구에서는 3종의 PVC벽지와 5종의 천연벽지에서 방출되는 TVOCs와 냄새원인물질을 분석해 보았다. 벽지에서 방출되는 냄새강도와 냄새질은 공기희석관능법과 직접관능법으로 측정하였다. TVOCs 방출량은 독일에서 벽지의 품질분석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는 RAL-GZ 479방법을 변형한 SPME-저온방출시험방법으로 측정하였다. TVOCs와 냄새농도와의 상관성은 거의 없었으나, n-C6~n-C10의 휘발성이 강한 저분자 화합물의 VOCs 방출량과 냄새농도와는 상관성이 0.57로 나타났다. 8종의 벽지에서는 공통적으로 시큼한 냄새가 나타났는데 acetic acid가 주된 냄새원인물질로 확인되었다. 그 외에 고무냄새를 나타낸 화합물로 ethyl acrylate, n-butyl acrylate 등의 에스테르류와 benzaldehyde가 벽지에서 방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건축자재 오염물질 방출량 기준에 냄새항목을 추가시켜 규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건축자재에서 방출되는 냄새의 원인물질의 규명은 친환경제품을 제조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곰팡이 Geotrichum sp. 유래 실내 냄새원인물질 분석

        김만구,김경환,정영림,김선화 한국냄새환경학회 2006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5 No.1

        이 연구에서는 제1보의 실내냄새유발곰팡이의 원인 종 규명에 이어 확인된 Geotrichum sp.에서 방출되는 MVOCs (Microbial Volitile Organic Compounds) 중 주요냄새원인물질을 확인하였다. Geotrichum sp.의 냄새물질을 채취하는 방법으로는 head space-solid phase microextraction (HS-SPME)방법을 사용하였다. 냄새물질의 확인은 GC/FID/Olfactometry방법으로 확인하였고, GC/AED방법으로 확인된 냄새물질 중 냄새물질들이 주로 포함하고 있는 산소, 질소, 황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GC/MS를 이용하여 냄새물질을 정성하고 각각의 냄새물질 RI (Retention Index)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Geotrichum sp.의 MVOCs로는 hydrogen sulfide, methanthiol, 1-butanol, carbon disulfide, dimethyl sulfide, dimethyl disulfide, S-methyl thiobutyrate, dimethyl trisulfide, geosmin이었으며, 확인된 주요냄새물질은 변 냄새를 유발하는 물질은 dimethyl disulfide와 dimethyl trisulfide였으며, 곰팡이 냄새를 유발하는 물질은 geosmin으로 확인되었다.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odor active compounds among MVOCs (Microbial Volitile Organic Compounds) emitted from Geotrichum sp. which was previously identified as the main kinds of mold in indoor air. To sample the odor active compounds emitted from Geotrichum sp. while metabolizing, head space-solid phase microextraction (HS-SPME) method, which is well known for sampling odorants, was used. GC/Flame Ionization Detector/Olfactometry was used to identify main odor active compounds. GC/Atomic Emission Detector was used to identify if some compounds had atoms like oxygen, nitrogen, sulfur which are typically found from odorants. GC/Mass Spectrometry was used to identify the odorants. Finally, Retention Index (RI) of each system was verified. In this study, hydrogen sulfide, methanthiol, 1-butanol, carbon disulfide, dimethyl sulfide, dimethyl disulfide, S-methyl thiobutyrate, dimethyl trisulfide, geosmin were identified as MVOCs. Among them, identified main odor active compounds were dimethyl disulfie and dimethyl trisulfide which induce ordure smell and geosmin which induce moldy, earthy smell.

      • KCI등재

        냄새변화를 이용한 저장창고 내 사과부패 확인 방법

        이효정,김만구 한국냄새환경학회 2011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10 No.2

        In this study, A method for confirming the putrefaction point of apples by using odor variation as applied in apple storage. The samples were obtained from apple storage at Chuncheon shi Dongnae-myeon using by lung sampler. The complex odor was separated by GC/O and individual odors were then analyzed. In the apple storage, the varieties and number of apples vary based on cultivarsand sales volume of apples. Thus, using an emission chamber in the apple storage is difficult. The odor value of the emission chamber and apple storage is denoted by standardizing the sizes and number of apples. The variations in the ratios of aroma value and off-odor value were investigated. The ratio of the aroma value and off-odor value in the emission chamber increased. However, the apple storage values were applied on the number of apples, thus the values alternately increased and decreased in most cases. If the internal change of apple started, it is ratio of aroma value and off-odor value is cloese to zero. and If the External putrefaction on the apple surface is confirmed, the log value becomes larger than 0.5. Complete putrefaction in the stored apples, the log value close to 1.5. We therefore confirmed that this noninvasive method using odor variation can apply to monitoring the quality of apples in storage.

      • KCI등재

        도시환경 개선을 위한 민원유형별 악취관리 방안 연구

        박찬진,유지예 한국냄새환경학회 2020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19 No.2

        The number of complaints of odor in urban area has been increased due to mixed industrial areas of odor-related factories and municipal waste treatment odor-producing facilities located in adjacent residential region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odor were reviewed according to two types of complaint from regions in Incheon area.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odor were reviewed in two patterns of odor complaints in Incheon area such as the complaints are maintained high continuously and are increased in recent period. International city with largescale residential areas with the environmental facilities and redevelopment of residential regions with the adjacent industrial complexes and other odor emission sources were analyzed.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e odor management measures of major odor generating sources in order to improve urban environment were discussed with reducing odor complaints effectively.

      • KCI등재후보

        음식물의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황화합물의 배출특성연구

        조상희,김기현 한국냄새환경학회 2011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10 No.2

        In this study,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reduced sulfur compounds (RSC) including H2S, CH3SH, DMS and DMDS released via cooking were investigated. Cooking smoke samples were produced by two different cooking methods (fry and steam) and analyzed for direct comparison between three types of food (cabbage, clam and coffee bean). In general, a large quantity of RSC came out from fried foods relative to steamed foods. The conversion of RSC concentration to odor intensity (OI) showed OI values in the range of 2.54∼6.41 for fried foods and 1.23∼3.68 for steamed fo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we need to develop and establish environmentally friendly cooking methods.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원황화합물(Reduced Sulfur Compounds; RSC) 중 지정악취물질에 해당하는 H2S, CH3SH, DMS, DMDS의 배출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3가지 식재료(양배추, 조개, 커피)를 분석대상 음식물로 선정하고, 두 가지 방식(구이 및 찜방식)으로 조리하여 조리과정의 매연시료를 채취하였다. 채취한 시료는 TD를 연계한 GC-PFPD로 분석하였다. 검출한계 이하를 보인 성분들을 제외하면, 구이방식으로 조리할 때 찜방식보다 더 많은 황화합물을 배출했다. 이들 농도자료를 악취강도로 환산하면, 구이방식은 2.54∼6.41도, 찜방식은 1.23∼3.68도의 분포를 나타냈다. 이처럼 같은 음식물이라 하더라도 조리방법을 다르게 할 경우, 황화합물의 배출량에 큰 차이를 보였다. 선행연구에서 환원황화합물은 농도대에 따라 독성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음식물의 조리와 같은 활동은 생활환경에서 광범위하게 이들 물질에 노출되는 위험이 따르므로, 친환경적인 조리방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돈사(豚舍) 유형에 따른 악취 물질의 농도 분포 특성

        김기연,최정학 한국냄새환경학회 2013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12 No.1

        본 연구는 2011년 7월부터 2012년 6월까지 총 1년 기간 동안 매월 현장 방문 조사를 통해 돈사 유형에 따른 현행 국내 악취 규제 대상 22가지 물질들의 월별 및 계절별 실내 농도 분포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대상 돈사 유형 및 측정 시점에 상관없이 악취 물질별 실내 농도 수치는 ammonia가 ppm 수준으로 측정되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황계열 물질 중 hydrogen sulfide, 휘발성 유기화합물 중 methyl ethyl ketone, 지방산류 중 propionic acid와 butylic acid가 백단위 수준의 ppb로 측정되었으며, 나머지 물질들은 십단위 수준의 ppb로 측정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22가 악취 물질 중 알데히드류 5가지 물질들(acetaldehyde, propionaldehyde, butyraldehyde, n-valeraldehyde, i-valeraldehyde)은 어떠한 측정 시점에서도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반적인 악취 물질들의 돈사 유형별 분포 현황은 분뇨 처리 형태 측면에서는 스크레퍼>슬러리>컨베이어, 환기 방식 측면에서는 무창>윈치의 농도 분포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월별 및 계절별 농도 추이 측면에서는 돈사 환기율이 감소하는 겨울철(12~1월)이 돈사 환기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여름철(6~8월)보다 돈사 내부의 악취 물질 농도가 높게 형성됨을 알 수 있었고, 봄철(3~5월)과 가을철(9~11월)은 유사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측정 결과에 근거를 두면 22가지 악취 물질들 모두 돈사 유형, 월별, 계절별 간 농도 수치의 편차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현장 조사 특성상 측정 당일의 다양한 주변 환경 요인들의 변화에 의한 결과로 추정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돈사 악취 발생 강도를 결정하는 주요 인자인 온도와 상대습도를 동시에 모니터링하지 못한 점이고, 이로 인해 돈사 실내의 온/습도와 악취 물질 농도간의 통계적 상관관계를 본 연구에서는 규명할 수 없었다. 따라서 향후에는 돈사 악취 원인 물질들의 발생 농도와 돈사 내부의 온도 및 상대습도 간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요구되는 바이다. An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door concentrations of 22 odorous compounds, which are regulated by the domestic act, emitted from pig buildings through on-site visit per month from July, 2011 to June, 2012. Of 22 odorous compounds, the highest concentration was found in ammonia with ppm unit, followed by hydrogen sulfide, methyl ethyl ketone, propionic acid and butylic acid with ppb unit of approximate hundred level. The other odorous compounds were detected below ppb unit of approximate ten level. A remarkable finding is that there is no pig building which showed the airborne levels of five aldehyde-based odorous compounds (acetaldehyde, propionaldehyde, butyraldehyde, n-valeraldehyde and i-valeraldehyde). In general, indoor concentrations of odorous compounds in pig buildings were higher in scraper type than slurry type based on pig manure collection system and higher in enclosed type than winch-curtain type based on ventilation mode, respectively. In temporal distribution of odorous compounds, their concentrations in summer season (June to August) when ventilation rate in pig building decreased relatively were generally higher than those in winter season (December to February) when ventilation rate in pig building is relatively high. The seasons of spring (March to May) and autumn (September to November) showed middle levels of odorous compounds between summer and winter.

      • KCI등재

        국내 일부 산단 지역 거주 주민의 중금속 농도 및 건강 영향에 관한 연구

        정성현,한윤덕,이민혁,이대인,이철우,권승미,김은숙,조석주,신진호,신용승,손부순 한국냄새환경학회 2020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19 No.4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environmental awareness and analyzed outdoor PM10 and heavy metals (cadmium, lead) for 60 local residents living in the Gwangyang national industrial complex from July 2019. 40.0% of subjects responded that local environmental pollution was serious. Especially, there was a high proportion of residents living near the industrial complex or roads where it was perceived that local environmental pollution was serious.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PM10 in the outdoors of the houses was 10.95 μg/m3 and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PM10 was 1.90 ng/m3 for Cd and 24.92 ng/m3 for Pb. Overall,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PM10 and heavy metals revealed a tendency to be high in the houses located near the industrial complex or the roads. As a result of a risk assessment carried out, the cancer risk of Cd was estimated to exceed 106 in the CTE, RME and Monte Carlo analy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urgent implementation of specific environmental health education for local residents is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