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메타가소성 개념

        유우경 대한뇌신경재활학회 2014 뇌신경재활 Vol.7 No.1

        The concept of metaplasticity entails a change in the physiological or biochemical state of synapsesthat alters their ability to generate synaptic plasticity by integrating individual synaptic events. Thecharacteristics of metaplasticity would be the fact that those synaptic changes last in certain periodtime with association of activity in time, homosynaptically or heterosynaptically. Recently introducednon-invasive brain stimulation enables us to observe the metaplastic changes in vivo, which would giveus a insight in developing new effective therapeutic approach based on synaptic plasticity andmetaplasticity.

      • KCI등재후보

        온라인게임 몰입과 중독이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

        유우경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7 미래청소년학회지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 of online game flow and addiction on impulsiveness with adolescent.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subjects were 152 adolescents of online gamer in Seoul.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online game flow and addiction on impulsiveness was that online game addiction influence to impulsiveness. But online game flow didn't influence to impulsiveness. on the other hand, online game flow influenced to impulsiveness indirectly in path analysis.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게임 몰입과 중독이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의 중ㆍ고등학생 중 온라인게임을 이용하는 15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게임 몰입과 중독이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게임 몰입 및 중독과 충동성간의 경로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논의 및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온라인게임 몰입과 중독이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중독은 충동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몰입은 충동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온라인게임 몰입 및 중독과 충동성간의 경로를 통해 몰입이 중독을 통해 충동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몰입 정도가 지나쳤을 경우에는 충동적인 행동을 유발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아미노산 - 아미노산 상호작용 네트워크 분석에 의한 단백질의 안정성에 중요하게 영향을 끼치는 아미노산의 파악

        유우경,장익수 한국물리학회 2011 새물리 Vol.61 No.9

        단백질의 열역학적 및 동역학적 안정성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아미노산을 규명하고예측하는 것은 단백질체학에서 중요하다. 단백질의 자유에너지에 근거하여 단백질의 안정성을 연구하는 종래의 방법이여러 가지가 존재하지만,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들 사이의상호작용 네트워크를 조명하여 단백질의 안정성의 원천을 규명하는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단백질의 구조적 및 에너지적 안정성을 아미노산-아미노산 상호작용의네트워크의 차원에서 규명하기 위한 라플라스 행렬 방법을 제안하였다. CI2 단백질에 대하여분자동역학 시물레이션과 AMBER에너지 함수를 이용하여모든 아미노산-아미노산 짝에 대하여상호작용 에너지를 구한다음 라플라스 행렬 방법을 사용하여CI2 단백질의 열역학적 안정성을 제공하는 아미노산의 세 가지 네트워크 및허브 아미노산들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적인 연구의 결과들과 함께 비교‧분석이 될 경우단백질 돌연변이체의 디자인 및 열역학적 안정성의 분석 등에 기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In proteomics, identifying and predicting amino acids that affect the thermodynamic and kinetic stability of a protein are important. Although several methods are used to investigate protein stability based on the free energy function of a protein, the same object based on interaction networks of amino acids in a protein structure is limited. Here, we propose a Laplacian matrix method that can be used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the structural and energetic stability of a protein from the aspect of interaction networks of amino acids. For a practical application, we apply this method to the CI2 protein. Then, we clarify that there are three kinds of interaction networks of amino acids, and from each network, we identify a hub amino acid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thermodynamic and kinetic stability of the CI2 protein. This work,when combined with experimental work, will facilitate the design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thermodynamic stability of a given protein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rotein mutagenesi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진로 구성 상담에 참여한 성인 내담자의 변화 과정

        유우경,유현실 한국상담학회 2018 상담학연구 Vol.1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nging process of adult cli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of Savickas(2011) and to present a substantive theory.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seven participants in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and analyzed using the ground theory method. As a result, 169 concepts, 56 subcategories, and 22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e open coding process. As a result of the axis coding, the central phenomenon experienced by adult clients participating in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was ‘desperation for solving career problems’. The causal conditions that affected the phenomenon were ‘confusion of one's career’, ‘ambivalent feeling about career counseling’, and ‘awareness of importance of career design’.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interest in self-growth’ and ‘attitude of acquaintances’. The intervening conditions were ‘facilitation and assistance for story construction’, ‘dynamics in storytelling’, and ‘support of counselors’.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that adult clients use to solve the ‘desperation for career problem solving’ in the course of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were ‘dubiousness’, ‘being at a loss’, ‘novelty’, ‘proudness’, ‘struggling to write’, ‘breaking through difficulties’, ‘establishing a new career execution plan’, ‘activating senses-making’, ‘increasing of reflection and reflexivity’. Also, as a result of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being expanded of self-understanding ’, ‘increased of self–esteem’, ‘clarity of career goal’ and ‘inclining to live life based on life portraits’ were derived. This process can be summarized in five stages: ‘ignition phase’, ‘shaping phase’, ‘specification phase’, ‘behavioralization phase’, and ‘expansion phase’. The core category of how adult clients who participated in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were going through was ‘regeneration as the protagonist of life through story construc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process of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was discussed and follow-up study was suggested. Through this study, the changing process experienced by adult clients in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was concretely identifie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d concrete information for more effective interventions and prescriptions in the field of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본 연구의 목적은 Savickas(2011)의 진로 구성 상담에 참여한 성인 내담자들의 변화 과정을 파악하여 실체 이론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진로 구성 상담 참여자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근거이론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방코딩 과정에서 169개 개념, 56개 하위범주, 2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 결과 진로구성 상담에 참여한 성인 내담자들이 경험하는 중심현상은 ‘진로 문제 해결에 대한 절실함’으로 나타났다.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적 조건은 ‘진로 혼란에 빠짐’, ‘진로 상담에 대한 양가감정’, ‘진로 설계의 중요성 인식’이었으며, 맥락적 조건은 ‘자기 성장에 대한 관심’, ‘지인들의 태도’이었다. 중재적 조건은 ‘스토리 구성을 위한 촉진과 조력’, ‘스토리텔링의 역동성’, ‘상담자의 지지’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의아함’, ‘난감함’, ‘신기함’, ‘뿌듯함’, ‘글쓰기에 힘을 쏟음’, ‘어려움을 타개해 나감’, ‘새로운 진로 실행 계획을 수립함’, ‘감각 만들기가 활발해 짐’, ‘반성과 성찰이 늘어남’ 으로 나타났다. 또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의 결과로는 ‘자기 이해가 확장되어 감’, ‘자긍심이 높아짐’, ‘진로 목표가 명료해 짐’, ‘생애초상화에 따른 삶을 지향해 나감’이 도출되었다. 본 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리하여 보면 ‘점화 단계’, ‘형상화 단계’, ‘구체화 단계’, ‘행동화 단계’, ‘확장 단계’의 5단계로 설명할 수 있다. 진로 구성 상담에 참여한 성인 내담자들이 어떤 과정을 거치는가에 대한 핵심범주는 ‘스토리를 구성하며 삶의 주인공으로 거듭나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진로 구성 상담 과정에 대한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성인 내담자들이 진로 구성 상담에서 경험하는 변화 과정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연구의 결과는 진로 구성 상담을 실행하는 현장에서 보다 실효성 있는 개입과 처방을 위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대학 신입생의 음주행위에 관한 연구

        유우경 明知大學校 學生生活硏究所 2006 學生指導 Vol.18 No.-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신입생의 음주행위에 대해 조사하는 데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입생들의 음주경험 여부, 음주경험 시기, 음주경험 동행대상, 음주 동료, 최근 음주, 음주 빈도, 음주 종류, 음주량에 대해 알아보고 성별에 따라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고자 한다. 조사대상을 서울 소재 대학교에 재학중인 283명의 대학 신입생이었다. 283명의 조사대상 중에서 남학생이 129명(45.6%)이었고, 여학생이 154명(54.4%)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음주행위에 있어 음주경험이 있는 대학신입생이 93.5%로 매우 많았으며, 음주경험 시기로는 고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졸업 이후의 순으로 나타났다. 음주 경험 당시 동행 대상으로는 친구가 62.4%로 다른 대상들보다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음주를 할 경우 음주 동료는 동성 친구가 70.7%로 다른 대상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최근 음주에 있어서 1주일 이내가 69.7%로 가장 많았으며, 음주 빈도는 1주일에 한번인 경우가 36.2%로 가장 많은 응답을 보였다. 음주 종류로는 소주를 마시는 비율이 69.8%로 나타나 다른 음주 종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의존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음주량에 대해 조사한 결과 남학생은 평균 9.23잔, 여학생은 평균 5.79잔을 마시는 것으로 나타나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평균 음주량이 높음을 알 수 있다.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research about university freshman's drinking behavior. More concretely freshman's drinking experience availability, drinking experience time, drinking colleague in drinking experience, drinking colleague, recent drinking, drinking frequency, drinking kind, the drinking amount and wish to investigate whether it is some difference according to distinction of sex. The investigation object was an university freshman of 283 who is the in university at Seoul. Among them, there were 129 male(45.6%) students and 154 female(54.4%)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University freshman with drinking experience in drinking behavior was very many by 93.5% and drinking experience appears sequentially by high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graduation. Drinking colleague in drinking experience is more relatively many in friend than subjects by 62.4% and In case drink, drinking colleague appeared as a same sex friend is more than other subjects by 70.7%. Recently the drinking was most by 69.7% within 1 week and drinking frequency is most by case 36.2% that is one times in 1 week. Drinking kind could know that soju was most by 69.8% and this is high dependence relatively than other drinking kind. Finally, result that study about the drinking amount is that man university freshman average is 9.23 cups, woman university freshman average is 5.79 cups. and boy student is high the average drinking amount than girl student. This result appears that man university freshman is high than woman university freshman in average drinking amount. This result was difference in statistical.

      • KCI등재후보

        반복 경두개자기자극을 통한 신경망 조절

        유우경 대한뇌신경재활학회 2015 뇌신경재활 Vol.8 No.2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rTMS) is a non-invasive method to produce potent changes in cortical excitability.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rTMS was recently proposed to promote functional recovery in stroke patients, owing to the induced neuroplasticity.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stimulating the brain at a specific site does not only affect the neuronal activity at that site, but the activity throughout the entire neural network. In this review, both local and distant effect of rTMS through related network will be discussed based on previous neuroimaging evidences showing network plasticity. We’d like to extend the discussion to stroke patients, which would be useful for application of rTMS in the clinical rehabilitation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