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서적 단절을 경험하는 중년기 부부에 대한 정서중심부부상담 성과연구

        유숙인,서미아 숭실대학교 부부가족상담연구소 2015 가족과 상담 Vol.5 No.1

        본 연구는 정서적 단절을 경험하는 중년기 부부에게 정서중심부부상담(Emotion Focused Couple Therapy)을 실시한 후 상담의 성과로서 부부애착,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결혼만족도의 변화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담은 총 10회기에서 14회기까지 약 90분 동안 진행되 었으며 상담전후의 성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부부애착,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결혼만족도의 사전-사후 측정을 시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버전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변인 들의 사전-사후 비교를 위하여 Wilcoxon Signed Ranks Test를 활용하였고 p-value .05를 유의 수준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부부애착(Z=-2.380, p=.017)과 그 하위 요인인 회피애착 (Z=-2.524, p=.012), 불안애착(Z=-2.100, p=.036)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긍정 정서(Z=-2.533, p=.011) 및 부정정서(Z=-2.521, p=.012)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변화하였고, 결혼만족도(Z=-2.549, p=.011)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정서중심부부상담이 정서적 단절을 경험하고 있는 중년기 부부를 대상으로 효율적으 로 사용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여 부부상담의 지평을 확장하였으며, 상담에서 정서에 초점 을 두고 내담자에게 경험되어지는 정서를 연구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Air Pollutants Tracing Model using Perceptron Neural Network and Non-negative Least Square

        유숙,권희용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3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Vol.16 No.12

        In this paper, air pollutant tracing models using perceptron neural network(PNN) and non-negative least square(NNLS) are proposed. When the measured values of the air pollution and the contribution concentration of each source by chemical transport modeling are given, they estimate and trace the amount of the air pollutants emission from each source. Two kinds of emissions data are used in the experiments : CH4 and N2O of Geumgo-dong landfill greenhouse gas, and PM10 of 17 areas in Northeast Asia and eight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Emission values were calculated using pseudo inverse method, PNN and NNLS. Pseudo inverse method could be used for the model, but it may have negative emission values. In order to deal with the problem, we used the PNN and NNLS methods. As a result, the estimation using the NNLS is closer to the measured values than that using PNN. The proposed tracing models have better utilization and generalization than those of conventional pseudo inverse model. It could be used more efficiently for air quality management and air pollution reduction.

      • KCI등재후보

        K-mean 군집화 알고리즘과 Non-negative Least Square를 이용한 악취분류와 악취원분석

        유숙 한국냄새환경학회 2013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12 No.4

        효율적인 악취관리를 위해서는 민원지역에서 발생한 악취를 분류하고, 그 악취원을 분 석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민원지역에서 발생한 악취를 나타낼 수 있는 악취대표패턴과 악취원의 냄새가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민원지역의 악취분류를 위해 k-mea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악취데이 터에 대한 군집화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생성된 악취대표패턴과 미리 측정된 악취원별 냄새와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악취에 대한 분류를 수행하였다. 또한, 대기 중에서 여러 악 취가 섞였을 경우를 고려하여 non-negative least square를 이용하여 해당 악취에 대해 책임 이 있는 하나 이상의 악취원과 기여도를 추적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성과는 악취 관련 민원해결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For effective odor management, the odor in complaint area should be classifi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source. It is thus necessary to generate representative patterns for the odors and to identify odor sources. K-mean clustering algorithm in this study was applied to the odor data in order that classify characteristic of odor. Classification has been performed with similarities which have relationship between odor representative patterns as a result of k-mean and odor sources that are measured previously. By, considering the mixed atmospheric various odors, more than one odor sources causing the complaints and their contribution were also, traced using non-negative least square. The results will be useful for settling the civil complaint related with an odor.

      • KCI등재후보

        자기결정 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전이기 경도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유숙 한국특수교육학회 2003 특수교육학연구 Vol.38 No.1

        . 본 연구는 특수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전이기 장애학생들의 자기결정력 향상을 위한 학생중심의 자기결정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ㆍ실행하여 그 적용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특수학교에 재학중인 경도장애학생 30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5명씩 배치하였다. 본 연구의 중재프로그램인 자기결정 활동 프로그램은 자기결정의 구성요소와 자기 조정의 문제해결과정 및 학생 중심 학습활동을 기초하는 자기결정 학습 모델에 근거하여 자기탐색, 목표설정하기, 계획하기, 실행 및 조정하기의 4 단계로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자기-기록하기, 선택하기, 문제해결하기, 자기-시간 계획하기와 같은 다양한 자기 결정 활동을 편성하고 3개월간 총 30회기에 걸쳐 시행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자기결정 활동 프로그램 중재를 통하여 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이 향상되었음이 검증되었다. 앞으로 이러한 자기결정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시도가 전이기 전이 교육 및 서비스의 계획과 실행의 일환으로서 장애학생의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성인생활의 적응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적 접근으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고 본다

      • SSCISCIESCOPUSKCI등재

        입원 환자에 대한 심리 간호 연구

        유숙,양수 대한간호학회 1983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find out the perceived importance of psychological care, to investigate the nurses perception on the quantity of psychological care activitie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ructual variables. 206 registered nurses from general wards of 3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were randommly sampled. Data were gathered by check-list on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perceived quantity and were analysed by the frequency, percentile scores, ANOVA and Correlation-coefficient. Results are as follows 1. Majority of subjects(96.6%) responded to the psychological care for hospitalized patients, being very, and most important nursing care activity. Two-third(66%) revealed to be give more or less satisfactory amount of psychological care to the hospitalized patients. 2. Heavy work-load(79%), personal factors of(33.0%) nurses and the health team and factors of nurse-patient relationship(20.9%) revealed to be the major causes hindering psychological care. 3. To improve quality and the quantity of psychological care,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nurses and the health team(56.8%), improvement of nurse-patient relationships(49.03) and improvement of nurse patient ratio(45%) were suggested. 4. The perceived quantity of psychological care and the educational status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p<.005). The perceived quantity and position in nursing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p<.01). 5.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revealed between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the perceived quantity of the psychological care.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Thinking Science 활동에서 과제의 개방도와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

        유숙정 ( Sook Jung Yu ),최병순 ( Byung Soon Choi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2 科學敎育硏究誌 Vol.36 No.2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 영재학급 학생14명을 대상으로, 과제의 개방도와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라 TS 활동에서 나타나는 언어적 상호작용이 어떤 특징을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과제의 개방도가 낮은 안내형 TS 활동보다는 개방도가 높은 개방형 TS 활동에서 훨씬많은 언어적 상호작용을 보였고, 상위 수준의 상호작용도 안내형 활동보다는 개방형 활동에서 많았는데, 이런 결과는 언어적 상호작용의 거의 모든 하위 범주에서 나타났다. 또한, 안내형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행동참여를 지시하거나 자기만족을 나타내는 언어사용 빈도가 높은 반면에, 개방형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행동참여를 권유하거나 불만을 나타내는 빈도가 높았다. 학생들의 인지 수준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을 보면, 인지수준이 높을수록 상호작용의 빈도가 높고, 다양한 유형의 언어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며, 상위수준의 상호작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생들의 인지 수준과 과제의 개방도는 학생들의 언어적상호작용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지 수준이 높은 학생일지라도 안내형 활동에서는 상호작용의 수준이 높지 않았으며, 개방도가 높은 활동이라도 인지 수준이 낮은 학생들은 참여도가 낮고 상호작용의 수준도 높지 않았다. 이는 개방가 높은 과제가 학생들의 사고를 자극하여 상위 수준의 상호작용을 이끌어낼 수 있지만, 그 효과는 학생들의 인지 수준에 따른 한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과제 활동에서 인지 수준이 낮은 학생들의 사고를 자극하고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과제 개방도의 조절과 교수 전략의 개발이 중요한 추후 과제라 생각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verbal interactions presented in TS activities with different tasks` openness levels by the cognitive levels of student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S program to 14 fifth graders in gifted class.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open-type TS activities showed higher percentages of verbal interactions than the guiding-type TS activities showed and that the higher the open level of tasks was, the more high-level verbal interactions occurred. These results were showed in almost all subcomponents of verbal interactions.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students` cognitive levels showed that the higher the cognitive level of students was, higher frequency of interactions, high-level verbal interactions and a variety of verbal interactions occurred. The influence of both cognitive level of students and the task`s openness on verbal interactions among students seemed to be interactive, however. In guiding-type activities, the percentage of high-level verbal interactions was not high although the cognitive level of students was high. And students in low level of cognition showed far lower frequency of interactions and their percentage of high-level verbal interactions was low even though the openness of the tasks was high. The results of this study meant that although open-type activities drew higher level verbal interactions by stimulating students` thought, the effects would be limited owing to their low cognitive level. Based on these findings, an implication was suggested that it is important to design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djust openness level of TS activities to students` cognitive level so as to stimulate the thinking of students in lower cognitive level and to highten their engagement in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