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사료 내 규산염 광물질$(Vita2000^{(R)})$ 첨가 급여가 육계 생산성과 장내 균총에 미치는 영향

        안승민,신승철,박상설,유선종,김용란,김은집,안병기,강창원,Ahn S.M.,Shin S.C.,Park S.S.,You S.J.,Kim Y.R.,Kim E.J.,Ahn B.K.,Kang C.W. 한국가금학회 2006 韓國家禽學會誌 Vol.33 No.1

        본 연구는 육계사료 내 Vita2000의 첨가 급여가 육계리 생산성 및 면역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1일령의 Ross 육용종 수평아리 216수를 공시하여 Vita 2000을 첨가하지 않은 항생제 무첨가 대조구(NC)와 항생제 첨가 대조구(PC), Vita2000을 사료 내 0.5% 및 1% 수준으로 첨가한 사료에 항생제를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은 실험사료를 각각 5주간 급여하였다. 사료 섭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1% Vita2000-항생제 무첨가구(T3)와 1% Vita2000-항생제 첨가구(T4)에서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으나(P<0.05), 증체량과 사료 요구율은 처리간 큰 차이가 없었다. Vita2000 1% 첨가구(T3 및 T4)에서 복강지방의 상대적 중량과 다리근육 내 조지방 함량이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는 결과가 관찰되었다(P<0.05). 근육 내 콜레스테롤 농도에서는 처리구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조구에 비해 1% Vita2000 첨가구에서 총 균, Coli form, Lactic acid bacteria 및 Salmonella spp.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IB 항체 생산량은 대조구에 비해 Vita2000 0.5% 첨가구(T1 및 T2)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본 실험의 결과로부터 사료 내 Vita2000의 첨가 급여가 항생제 처리구와 유사한 성장 개선 효과를 나타냄으로서 항생제를 대체할 첨가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제시하였고, 특히 복강 지방 감소와 같은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Vita2000 on growth performances and immune response in broiler chickens. One-day-old male chicks were fed diets containing 0, 0.5 and 1% Vita2000 (with or without antibiotics) for 5 wk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aily weight gain among the treatments, but feed intake in 1% Vita2000 groups (T3 and T4)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P<0.05). The relative abdominal fat weight and the level of crude fat in leg meat on groups fed diets containing 1% Vita2000 (T3 and T4)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s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P<0.05). The content of cholesterol in leg meat was not affect by dietary treatment. The intestinal total microbes, Coli form, Lactic acid bacteria and Salmonella spp. from bird fed 1% Vita2000 diets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The production of IB antibody in chicks fed diet containing 0.5% Vita200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s. The overall results indicate that dietary Vita2000 may be a valuable alternative to antibiotics for optimizing growth performances, particularly for reducing the abdominal fat of broiler chicks.

      • KCI등재후보

        목초액 함유 활성탄의 첨가가 육계 생산성 및 계란 내 항생제 잔류에 미치는 영향

        성은일,유선종,안병기,조태수,안병준,최돈하,강창원,Sung, E.I.,You, S.J.,Ahn, B.K.,Jo, T.S.,Ahn, B.J.,Choi, D.H.,Kang, C.W. 한국가금학회 2006 韓國家禽學會誌 Vol.3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목초액 함유 활성탄(activated charcoal mixed with wood vinegar, AC)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산란계에서 혈중 및 계란내 항생제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 1은 450수의 1일령 육용종 Ross 수평아리를 공시하여 처리당 3반복 반복당 25수씩 완전임의 배치하고, 항생제 0%(T1), 항생제 0.1%(T2), AC 1%(T3), AC 1% + 항생제 0.1%(T4), AC 2% (T5), AC 2% + 항생제 0.1%(T6)를 함유하는 실험 사료를 각각 5주간 급여하였다. 사료 섭취량과 증체량은 주 단위로 조사하여 성장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험 5주차 종료시에 각 처리구별로 10수씩 선발하여 도살하였고, 간, 복강지방, 가슴육, 기타 기관의 상대적 중량을 측정함으로서 도체 특성을 조사하였다. 가식성 근육의 물리적 특성은 가열 감량, 전단력가, 보수력, 육색을 측정하였고, 육질의 관능적 특성은 연도, 맛, 풍미, 다즙성 등을 측정하였다. 장 내 균 총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총 균수, 대장균 및 유산균수를 조사하였다. 실험 2는 40주령의 Hy-Line Brown 산란계 90수를 공시하여 항생제 0.5%에 AC 0%(C), AC 1.0%(T1), AC 2.0%(T2)를 함유하는 실험 사료를 각각 2주간 급여하였다. 종료 후 혈액 채취 및 계란을 수거하여 혈액 및 계란 내 항생제 잔류 수준을 측정하였다. 실험 1에서 사료 섭취량, 증체량 및 사료 요구율은 처리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대사 에너지, 조 단백질 및 기타 필수 영양소 수준을 고려하면 AC의 급여가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간, 복강 지방, 가슴육, 기타 기관의 상대적 중량에서는 처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보수력과 가열감량 항목에서는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전단력가는 대조구에 비해 AC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높아지는(P<0.05)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조구에 비해 실험구에서 적색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황색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풍미, 연도, 다즙성 및 총체적 선호도 항목 모두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장 내 총균수, coli form 및 lactic acid bacteria 수는 항생제를 첨가한 (+) 대조구와 AC를 첨가한 처리구가 항생제를 첨가하지 않은 (-)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준이거나(P<0.05), 낮은 경향을 보였다. 실험 2에서는 AC 급여에 의해 혈청 및 계란 내 항생제 잔류량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결과가 관찰되었다(P<0.05). 특히 AC급여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계란 내 항생제 잔류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육계 사료 내 AC의 첨가 급여가 생산된 계육의 외관적 특성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시사되었고, 장내 총균수, 대장균 및 유산균수를 감소시키는 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산란계 사료 내 AC의 첨가 급여가 혈청 및 계란 내 항생제 잔류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activated charcoal mixed with wood vinegar (AC) on broiler performance and antibiotics residue in eggs. In experiment 1, a total of low hundred fifty, 1-day-old male broile. chicks (Ross) were divided into 6 groups, consisting 3 replicates of 25 birds each, and 134 one of the six experimental diets: devoid of AC and antibiotics (negative control), devoid of AC with 0.1% antibiotics (positive control), devoid of antibiotics with 1% AC, with 0.1% antibiotics and 1% AC, devoid of antibiotics with 2% AC, with 0.1% antibiotics and 2% AC, for 5 wks. Feed consumption and body weights were measured weekly.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eight birds from each group were selected and sacrificed. The relative weight of organs and characteristics of breast muscle were investigat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eed intake, body weight gain and feed conversion rate among the treatments. There were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ve weight of breast meat, leg and liver. The abdominal fat tended to be decreased by the dietary AC.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P<0.05) in meat redness (a) and yellowness (b) among the treatments. However, the sensual characteristics of breast muscle was not affected by the dietary treatm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microbes, Coli forms and lactic acid bacteria (P<0.05) among the treatments. In experiment 2, a total of ninety, 40-wk-old Hy-line Brown laying hens were divided into 3 groups, consisting 3 replicates of 10 birds each and fed medicated control diet devoid of AC or diets containing 1% AC and 2% AC for 2 wks. The residue of antibiotics in Plasma and egg Yolk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in 2% AC group compared to that of control. This study suggest that dietary AC may improve the external quality of edible meat and reduced antibiotics residue in chicken eggs without affecting laying performance.

      • KCI등재후보

        홍화씨 분말 및 키토산의 사료 내 첨가가 종란 생산성 및 후기 난각질에 미치는 영향

        김은집,신승철,유선종,안병기,강창원,Kim E.J.,Shin S.C.,You S.J.,Ahn B.K.,Kang C.W. 한국가금학회 2006 韓國家禽學會誌 Vol.33 No.1

        본 연구는 종계사료 내 홍화씨 및 키토산의 첨가 급여가 산란종계에서 종란 생산성 및 후기 난각질 강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54주령 Hy-Line Brown 산란종계 암탉 400수와 수탉 40수를 공시하여 Ca을 3.5%로 수준으로 함유한 실험사료(대조구)에 홍화씨 분말을 0.25% 및 0.50% 수준으로 첨가하거나 키토산을 0.10% 및 0.20% 수준으로 첨가한 총 5개의 실험사료(4반복)를 6주간 급여하였다. 사료섭취량 및 난생산성에서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종란율은 대조구에 비해 홍화씨 분말 및 키토산을 첨가한 모든 실험구에서 첨가 수준과 관계없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평균 난각 강도는 홍화씨 분말 및 키토산 첨가에 의해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며(P<0.01), 난각 두께는 키토산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수정율 및 입란대 부화율은 대조구에 비해 키토산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개선되는 결과가 관찰되었다. (P<0.01). 경골 파쇄강도는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경골 내 Ca 및 P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홍화씨 분말 0.5% 첨가구와 키토산 첨가구(T3 및 T4)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1). 혈중 estrogen, calcitonin 및 PTH 등 호르몬 농도에서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산란종계의 후기 난각질 및 생산성의 개선을 위해서는 사료 내 홍화씨 및 키토산과 같은 Ca의 이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을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후기 난각질과 부화율의 개선을 통해 종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safflower seed (SFS) powder and chitosan on hatching egg production and eggshell qualify in aged egg-type breeder hens. A total of four hundred 54-week-old Hy-Line Brown breeder hens were divided into five the groups and fed experimental diets either with addition of 0.25 and 0.50% SFS powder or 0.10 and 0.20% chitosan or devoid of all for 6 week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eed intake and laying performances among the groups. The rate of sellable egg in the groups fed diets containing SFS powder or chitosa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control (P<0.05), irrespective of dose-dependent manner. The addition of SFS powder or chitosan significantly improved the eggshell strength (P<0.01). Eggshell thickness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roups 134 diets containing chitosan a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P<0.01). Fertility and hatchability of egg set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y dietary chitosan that those of control (P<0.05). ike contents of tibial Ca and 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roups fed diets containing 0.5% SFS powder, 0.1 and 0.2% chitosan as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The levels of blood estrogen, calcitonin and parathyroid hormone were not affected by the dietary treatments. The overall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per use of some feed additives such as safflower seed powder and chitosan might provide means of improving eggshell quality and reproductive performances in aged egg-type breeder hens.

      • KCI등재

        호마박의 영양적 가치 평가 및 산란계 사료 내 첨가각 사양 성적에 미치는 영향

        임호중,안승민,유선종,김용란,안병기,강창원,Im H. J.,Ahn S. M.,You S. J.,Kim Y. R.,Ahn B. K.,Kang C. W. 한국가금학회 2004 韓國家禽學會誌 Vol.31 No.4

        본 연구는 호마박의 사료적 가치를 평가하고 산란계의 성적에 미치는 호마박의 첨가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16수의 ISA-Brown 종계 수탉을 공시하여 강제 급여 방법에 의해 호마박의 진정 대사에너지(TME),질소 보정 진정 대사 에너지 (TMEn)및 진정 아미노산 이용률(TAAA)을 조사하였다. 호마박의 TME 및 TMEn은 각각 2.30 kca1/g및 1.99 kcal/g이었고, 15개 아미노산의 평균 이용률은 $76.93\%$로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48주령의 ISA-Brown산란계 90수를 3개 처리(대조구, 호마박 $5\%$, 호마박 $10\%$)로 나누어 4주간의 사양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사료 내 호마박 첨가가 난 생산성 및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산란계 사료 내에 호마박을 $5\%$및 $10\%$첨가했을 때 난 생산성 및 생산된 계란의 품질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호마박 $10\%$ 첨가구에서 난황 내 Cl8:3 $\omega$3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혈청 내GOT, G-GT, BUN및 cholesterol 조성에 있어서도 처리간에 큰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호마박을 정확한 원료 평가를 거쳐 사용한다면 산란계 사료에 있어서 $10\%$까지 사용하여도 난 생산성 및 계란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았으며, 공시계에게 어떠한 부정적인 영향도 미치는 않았다는 결과가 시사되었다.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feeding values of sesame oil meal (SOM)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ts dietary supplementation on egg production in laying hens. In experiment I, the values of true metabolizable energy (TME), nitrogen corrected true metabolizable energy (TMEn) and true amino acid availability (TAAA) were determined by force-feeding 16 ISA-Brown roosters and collecting the total excreta from the birds, The TME and TMEn of SOM were 2.30 and 1.99 kcal/g,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TAAA of 15 amino acids was $76.93\%$. In experiment 2, a total of ninety, 48 weeks old ISA-Brown layer were randomly divided into 9 groups of 10 birds each and assigned to three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0, 5 and $10\%$ SOM for 4 weeks (30 birds per treatment). The inclusion of SOM into laying hen diets at the 5 and $10\%$ level did not affect production and quality of egg. The C18:3 $\omega$3 content of egg yolks in the $10\%$ SOM group was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but not significantly. There were no adverse effects on blood parameters in layers fed treated diets containing $5\%$ or $10\%$ SOM, The results indicate that SOM can be used for layers diet up to $10\%$ without any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egg production and quality.

      • KCI등재
      • KCI등재

        Recombinant Porcine Somatotropin 함유 Yeast Culture의 사료 내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고영민,김동욱,김관응,신승철,유선종,안병기,강창원,Ko Y. M.,Kim D. W.,Kim K. E.,Shin S. C.,You S. J.,Ahn B. K.,Kang C. W. 한국가금학회 2004 韓國家禽學會誌 Vol.31 No.4

        본 연구는 육계사료 내 rPST-yeast culture의 첨가 급여가 육계의 성장성적, 도체 특성 및 골격발달 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2일령의 Ross 육용종 수평아리 460수를 공시하여 항생제, rPST-yeast culture 및 yeast culture가 첨가되지 않은 대조구 사료와 대조구 사료에 항생제(chlorotetracycline)만을 $0.1\%$ 수준으로 첨가한 실험사료(T1), rPST-yeast culture를 각각 $0.1\%$ 및 $0.2\%$ 수준으로 첨가한 실험사료(T2 및 T3) 및 yeast culture만을 $0.2\%$수준으로 첨가한 실험사료(T4)를 각각 6주간 급여하였다. 사료섭취량과 증체량은 주 단위로 조사하였다. 실험 5주차 종료 시에 각 처리구별로 10수씩 선발하여 도살하였고, 간, 비장, 복강지방 및 가슴근육의 상대적 중량과 가슴근육의 화학적 조성을 측정하였다. 혈액 내 GOT와 GPT 수치, 총 콜레스테롤, Ca 및 P을 측정하였으며, 경골의 중량, 파쇄 강도, 회분 함량, Ca및 P 함량을 측정하였다. 증체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rPST-yeast culture를 $0.1\%$ 첨가한 실험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사료섭취 량 및 사료요구율은 처리구간 큰 차이가 없었다. 비장 및 복강 지방의 상대적 중량은 실험구간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간과 가슴근육의 상대적 중량은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는데,특히 T2처리구에서 가슴근육의 상대적 중량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가 관찰되었다(p<0.05). 가슴 근육 내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에 처리구간에 큰 차이는 없었으나, 수분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rPST-yeast culture와 SC yeast culture 첨가 급여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혈청 내 GOT 수치는 변화가 없었으나, GPT수치는 rPST-yeast culture 첨가 급여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는 결과가 얻어졌다(P<0.05). 혈중 총 콜레스테롤, Ca 및 P 농도는 처리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경골중량, 파쇄강도 및 화학적 성분 조성에서도 처리간에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사료 내 rPST-yeast culture의 첨가급여에 의해 육계에서 성장성적이 향상될 가능성이 제시되었고, 특히 가슴근육이 증가와 같은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yeast culture containing rPST on growth performanc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body compositions in broiler chickens. A total of 460 Ross male broiler chicks aged 2-day-old were fed one of five experimental diets; Control(devoid of all), TI (with $0.1\%$ antibiotics; chlorotetracycline), T2 (with $0.1\%$ rPST-yeast culture), T3 (with $0.2\%$ rPST-yeast culture) or T4 (with $0.2\%$ SC yeast culture) for 6 weeks. Feed consumption and body weights were measured weekly. At week 5 of the experiment, 10 chicks were randomly selected and sacrificed. The relative weights of each organ an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dible meat were measured. The enzyme activity, total cholesterol, Ca and P were also determined. Tibial weight, bone strength and chemical composition were investigat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eed intake and feed conversion ratios among the treatments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Body weight gains tended to be increased by feeding of diets containing rPST-yeast culture. The relative weight of breast muscle in T3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P<0.05). The moisture contents of breast meat in groups fed diets containing rPST-yeast culture or SC yeast cultur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and n. However,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and ether extract were not affected by feeding of rPST-yeast cultur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OT, total cholesterol, Ca and P. The relative weight and strength and proximal composition of the tibia were also not affected by dietary treatment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dietary rPST-yeast culture may be a valuable alternative for optimizing growth performances, particularly for improving the yield of breast muscle.

      • KCI등재

        Effect of Granite Porphyry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Sensory Quality in Broiler Chickens

        최태흥,김동욱,안승민,유선종,김성권,안병기,강창원,Choi T. H.,Kim D. W.,Ahn S. M.,You S. J.,Kim S. K.,An B. K.,Kang C. W. The Korean Society of Poultry Science 2004 韓國家禽學會誌 Vol.31 No.3

        본 실험은 육계사료 내에 맥반석 분말을 첨가 급여했을 때 육계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와 생산된 계육의 관능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5일령 Avian 육계 수평아리를 반복별로 체중이 동일하도록 임의 배치하였다. 맥반석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 맥반석 분말을 1% 및 2% 수준으로 첨가한 처리구를 두었으며, 각각의 처리구 내에는 항생제 음수 투여구와 무투여구를 두어 5처리에 3반복, 반복당 30수씩 총450수를 공시하여 30일간 실험사료를 급여하였다. 실험기간 중의 사료섭취 량 및 증체량을 조사하여 사료요구율을 구하였고, 5주령에 각 반복구 내에서 체중의 평균치에 해당하는 개체를 2수씩 선발하여 희생시킨 후 필요 조직을 채취하였고, 근육 내의 화학적 조성과 육질 평가를 실시하였다. 종료 시 체중 및 증체량은 대조구에 비해 맥반석 분말을 첨가 급여한 처리구에서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맥반석 분말 1% 첨가구에서 사료 요구율이 개선되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단위 체중당 간 중량 및 복강지방 중량은 맥반석 분말의 첨가 급여에 의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맥반석 분말 2% 첨가구에서 가슴근육의 중량이 가장 높았으며, 다리근육중량은 반대로 낮아지는 경향이 관찰되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맥반석 분말 1% 첨가구에서는 첨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맥반석 분말 2% 첨가구에서는 맛, 연도 및 다즙성의 전 항목에 걸쳐 유의하게 높아지거나 높아지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granite porphyry (GP) on growth performances and meat sensory quality in commercial broiler chicks. A total of four hundred-fifty 5-day-old male broiler chicks were divided into 15 pens and fed one of five experimental diets for 5 weeks; 0% GP with antibiotics (Control), 1% GP with or without antibiotics, and 2% GP with or without antibiotics. Final body weight and daily weight gain of all GP supplemented groups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Feed conversion rate was improved in GP 1 % supplemented groups,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eeding antibiotics in addition to GP did not influence the growth parameters. Relative weights of liver and abdominal fat tended to be reduced in broiler chickens fed GP supplemented diets. Feeding of 2% GP diet resulted in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meat sensory quality in terms of taste and tenderness(P < 0.05), but the effect of the 1% GP on meat sensory quality was not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GP could be used as a favorable feed additive for production of sensory-enhanced broiler meats.

      • KCI등재후보

        Nutritional Values of Rice Bran and Effects of Its Dietary Supplementations on the Performances of Broiler Chickens

        신영근,김관응,신승철,유선종,김성권,안병기,강창원,Shin Y. K.,Kim K. E.,Shin S. C.,You S. J.,Kim S. K.,An B. K.,Kang C. W. The Korean Society of Poultry Science 2004 韓國家禽學會誌 Vol.31 No.3

        본 실험은 생미강을 부존 사료 자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사료적 가치 평가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과 동시에 TAAA와 TMEn을 이용한 사료배합의 필요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종계 수탉을 공시하여 생미강을 강제 급여함으로서 TME, TMEn 그리고 TAAA를 측정하였고, 실험 2에서는 대조구, 생미강(5, 10, 15%) 첨가구의 4개 처리구에 처리당 3반복 반복당 6수로 완전 임의 배치하여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생미강의 TME와 TMEn은 건물기준으로 각각 3.25 kcal/g와 3.12 kcal/g이었고, 16개 아미노산의 평균 생체 이용율(TAAA)은 76.21% 이었다. 3주령부터 6주령까지 실시한 사양실험에서 생미강 첨가구에서 사료섭취량이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유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증체량과 사료요구율에 있어서도 생미강 첨가구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본 실험 결과 TMEn과 TAAA를 기초로 사료를 배합할 경우 부존원료의 이용에 의한 성장성적의 저하를 막을 수 있었고, 생미강을 15%까지 첨가하여도 아무런 부정적인 영향 없이 사료를 배합할 수 있어 부존 사료 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nutritional values of rice bran and to examine effects of its dietary supplementation on broiler performances. In the first experiment, true metabolizable energy(TME), nitrogen corrected true metabolizable energy(TMEn), and true amino acid availability(TAAA) values of the rice bran were determined by force-feeding sixteen roosters(ISA-Brown). In the second experiment, 3-week-old male broiler chickens(Avian)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fed each one of four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0, 5, 10 or 15% rice bran for 21 days. TME and TMEn values of the rice bran(dry matter basis) were 3.25 kcal/g and 3.12 kcal/g,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TAAA value of the 16 amino acids was 76.21%. The average feed intake and body weight gain of the birds fed diets containing rice bran were apparently great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lthough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From th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feed formulation using bioavailability values, such as TMEn and TAAA, is an effective method for protecting the high variation in growth performances and that rice bran can be used for broiler feeds to 15% without any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