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법파일을 통한 영화관람이 플랫폼별 유료영화 소비에 미치는 영향

        오현석다라 ( Oh Hyunseokdara ),진현정 ( Jin Hyun Joung ) 한국소비자학회 2018 소비자학연구 Vol.29 No.5

        불법파일을 통한 영화관람이 유료영화 소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해서 기존연구들에서 부정적이라는 결과와 그렇지 않다는 결과가 혼재되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터넷 강국인 한국의 온라인 유저를 대상으로 하여 다시 한 번 이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다양한 영화 관람 방식 간 연관성을 고려하고, 불법영화 관람과 유료영화 소비 간 역인과관계와 관찰되지 못한 변수와 오차항간의 내생성 문제를 고려하여 도구변수를 이용한 다변량토빗모형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불법영화 관람은 영화관에서의 관람뿐만 아니라 홈비디오, TV VOD, 인터넷 VOD를 이용한 영화관람에 모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불법영화관람이 유료영화 관람에 있어서 샘플링효과를 야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소비자가 불법영화 파일을 샘플로 받아들여 불법파일을 통한 영화관람이 유료영화 관람을 자극할 수 있다고 이론적으로 제시한 Shapiro & Varian(1999)와 Pietz & Waelbroeck(2004)의 주장을 실증적으로 뒷받침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실무자들은 소비자들이 영화관뿐만 아니라 다른 영화관람 방법을 이용하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합법적인 플랫폼에서의 영화 선택의 폭을 다양하게 만들고 합리적인 가격을 제시함으로써 소비자들을 합법적인 시장으로 끌어들인다면 넓은 범위의 영화시장이 커질 수 있다고 판단된다.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movie piracy in internet on paid-movie consumption, using the ‘2016 Online Movie Consumer Survey’ data in South Korea. Empirical results from previous studies for the issue show ambiguous results. Some found detrimental effect of movie piracy on paid-movie market, while others did not. Therefore, we revisit the issue using survey data toward online users of South Korea where the diffusion and speed of internet is the highest in the world. We expand the scope of paid-movie consumption by including TV VOD and Internet VOD in addition to the movie theater and home video. Our estimation model considers the potential correlation between the error terms and the dependent variables and the reverse causality between movie piracy and paid-movie consumption. Accordingly, we estimate the multi-variate Tobit model using an instrumental variable. Results show that the movie piracy behaviour has positive effect on the consumption of movie in theater as well as movie in home video, TV VOD, and internet VOD. This suggests that movie piracy causes the sampling effect on paid-movie consumption among young Korean internet users. This result empirically supports the argument by Shapiro & Varian (1999) and Pietz & Waelbroeck (2004) in their theoretical studies that consumers accept illegal movie files as samples, so that the movie viewing through illegal files can stimulate paid-movie consumption. Results imply that the whole movie market can be expanded if consumers are brought into a legitimate market through variety of movie choices and reasonable prices on legitimate platforms.

      • KCI등재

        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한 문화콘텐츠산업의 생산 및 부가가치파급효과 분석

        오현석다라(Hyunseok Dara Oh),진현정(Hyun Joung Jin),권혁인(HyeogIn Kwon) 한국산업경제학회 2015 산업경제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다양한 기술의 활용과 미디어의 발전으로 외연이 확장되고, 미래성장동력으로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문화콘텐츠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추정하였다. 가장 최근인 2014년에 발표된 산업연관표의 통합대분류를 기준으로 하여 문화콘텐츠산업의 특성에 맞게 출판, 방송, 광고, 문화서비스, 영화, 스포츠 및 오락서비스산업 6부문으로 재분류하였다. 생산 및 부가가치유발효과와 전·후방연쇄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파급효과가 어떻게 변해왔는가를 지난 기간의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분석을 하였으며, 더 나아가 타산업의 효과를 분석한 기존연구들의 결과와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문화콘텐츠산업부문은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체로 문화콘텐츠산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 비교적 생산유발효과는 크지 않으나, 부가가치유발효과는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감응도계수와 영향력계수 분석결과, 모든 문화콘텐츠산업 부문의 영향력계수가 감응도계수에 비해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문화콘텐츠산업이 타산업의 생산을 견인하는 영향력이 있음을 제시한다. 특히, 출판, 방송, 광고, 영화산업의 영향력계수가 크게 나타난 것은 이 산업들의 투자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importance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in Korean economy has increased. Considering this fact, this study tries to estimate the economic ripple effect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By using input-output table of year 2014, this study categorizes cultural contents industry into six different industries: publishing, broadcasting, advertising, film, cultural service, sports and entertainment industry. We analyzed the production-inducing effects, the value-added-inducing effects and the backward-forward linkage effects. In addition, the analysis for the dynamic features of the ripple effect and the comparison with results from other studies were completed. Results show that, although the proportion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in Korea economy is not large, the proportion has consistently increased as time passed. The production-inducing effect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was found to be relatively lower, while the value-added-inducing effect was relatively higher. In all parts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the index of the power of dispersion is larger than the index of the sensitivity of dispersion. The results imply that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pull the supply of other industries. Especially, the index of the power of dispersion of the publishing, broadcasting, advertising and film industry are relatively high, meaning that the economic ripple effect is relatively large.

      • KCI등재

        ‘문화가 있는 날’ 영화 할인 혜택 효과 및 이용자시장세분화 분석

        진현정,오현석다라,김예솔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0 문화정책논총 Vol.34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Culture Day” discounts on citizens’ visits to the movie theater and their expenditure and classifies consumers utilizing the discounts. Survey results show that the respondents visited movie theaters on “Culture Day” about 0.2138 times on average over 10 months; therefore, we detect an increased social expenditure of 4,893 Korean won for one visit per person. We classified the respondents using the decision tree model. The group of workers in low- and middle-income brackets and with experience of adult art education utilized the discount most frequently. Occupation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consumer classification; consumers who benefited the most from the “Culture Day” movie discounts were those with a relatively low opportunity of watching movies on a regular day due to time constraints. This result is in line with the purpose of “Culture Day.” We also found that “abolition of the discounts’ time limit” and “benefits on weekends” were the most popular requests for improving the polic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s the economic effects of implementing the “Culture Day” policy and identifies consumer groups based on the degree of policy utilization. Results from the analyses of consumer classification and policy improvement requests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to policymakers and stockholders. 본 연구에서는 ‘문화가 있는 날’ 영화 할인 혜택으로 인해 늘어난 관람횟수 및 지출증가를 도출하고, 이용자 시장세분화를 실시하였다. ‘문화가 있는 날’에 영화를 관람한 소비자들은 이로 인해 10개월간 평균 0.2138회 더 영화관을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고, 1인 1회 방문 별 4,893원만큼 사회적 지출이 증가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의사결정나무모형을 이용하여 ‘문화가 있는 날’ 영화 관람객을 분류한 결과, 직장을 다니며 중소득층이고 성인 예술교육 경험이 있는 그룹이 할인 혜택을 가장 많이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분류에 있어서 직업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며, 평상시 시간 제약으로 인해 관람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그룹의 기회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화가 있는 날’의 본래 취지에 맞는 결과임을 알 수 있다. 정책 개선을 위한 주요 건의사항으로는 ‘이용 시간대 제한 폐지’와 ‘주말 시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문화가 있는 날’ 정책 실행으로 인한 관람횟수 및 지출 증가를 도출하고, 이용자 그룹 분석을 통해 정책의 효과를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할인 혜택 이용과 개선사항에 의한 소비자 분류 결과는 본 정책의 홍보 및 참여 촉진을 위한 전략 마련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다변량토빗모형을 이용한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문화예술 소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진현정,오현석다라 한국경영교육학회 2016 경영교육연구 Vol.31 No.6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유․아동기와 청소년기의 문화예술교육이 문화예술 장르별 소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2014 문화향수실태조사’이며, 한 명의 소비자가 하나의 문화예술장르에 국한되어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장르의 문화예술부문을 소비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다변량토빗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추정 결과에 따르면,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없는 경우보다 청소년기에 교육 경험이 있는 사람들의 관람횟수가 모든 장르에 걸쳐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술전시회, 서양음악, 연극/뮤지컬의 경우에는 유․아동기 또는 청소년기에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있거나 두 시기 모두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 관람횟수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난 1년 간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 영화를 제외한 모든 장르의 관람횟수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문화예술 소비에 있어서 중요한 문화자본임을 간접적으로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연구의 시사점]장기적인 측면에서 문화예술 수요를 늘리기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경험의 기회를 다양하게 제공하여 어린 시절에 문화자본을 형성토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Purpose]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at childhood(3-12) and youth(13-18) on the consumption of cultural arts products. [Methodology]Consider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sumption of various cultural arts products, a multivariate tobit model was incorporated to the data of ‘2014 National Investigation on Realities of Cultural Enjoyment’. [Findings]According to empirical results, the number of viewing of those who have education experience in adolescence is higher than that of the non-experience for all genres of cultural art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rt exhibitions, classical music, and theater/musicals, those who have experience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at childhood and/or youth enjoy relatively more of the cultural arts products. In addition, the experience of cultural education in the last year is proven to be a factor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viewing all genres of cultural arts products, except for cinema. This suggests that experience in arts and culture education is an important cultural capital. [Implications]Our results indicate that formation of cultural capital at childhood through experience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s important in order to increase the demand for arts and cultural products.

      • KCI등재

        캐릭터 브랜드 이미지와 테마파크 구성요소가 캐릭터 테마파크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카카오프렌즈를 중심으로-

        박주형,오현석다라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11

        Theme parks are a key business in the IP business, but there have been no successful cases of domestic character IP as a theme park business yet.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Kakao Friends as an example to present useful basic data and marketing directions for future theme park businesses based on domestic character IP. We aim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intention to purchase character produ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 brand image and intention to visit character theme parks among those who are aware of Kakao Friends and have experience visiting theme parks, and further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number of visi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intention to purchase the product serves as a partial parameter between the brand image and the intention to visit the theme park. Second, the theme park components affect the intention to visit Kakao Friends theme parks, but there is no effect of controlling the number of visits to the theme park. This suggests that it is effective for character product sales to be preceded in order to do the theme park business, and that it is important to focus on various marketing regardless of the number of visits by visitors.

      • KCI등재

        네이밍라이츠 스폰서쉽과 소비자의 공연장 서비스품질 기대

        진현정(Jin Hyun Joung),오현석다라(Oh Hyunseokdara) 한국소비문화학회 2014 소비문화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공연장 네이밍라이츠 스폰서쉽의 효과를 공연장에 대한 소비자들의 서비스품질 기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대학원생에게 네이밍라이츠 스폰서쉽이 드러나는 가상의 공연장과 그렇지 않은 가상의 일반 공연장을 별도로 제시하여 공연장 서비스품질 기대에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또한, 공연장 서비스품질 기대에 있어서 소비자의 공연관람빈도가 네이밍라이츠 유무와 상호작용하는가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공연장 명칭에 네이밍라이츠 스폰서쉽을 나타내는 문구를 넣는 경우 응답자의 공연장 서비스품질 기대치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연관람빈도에 따라 공연장 서비스품질 기대치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관람빈도별 차이는 전체 서비스품질, 공연시설 우수성, 부대시설 편의성, 공연장 매력성 항목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네이밍스폰서쉽이 드러난 공연장과 일반 공연장으로 구분하여 관람빈도별로 서비스품질 기대를 분석한 결과, 네이밍라이츠가 드러난 경우 공연장의 공연시설 우수성, 부대시설 편의성, 공연장 편리성, 전체 서비스품질 항목에서 기대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에, 네이밍라이츠가 드러나지 않은 공연장에서는 모든 항목에 걸쳐 기대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naming-rights sponsorship on consumer expectation on service quality in performing arts theaters. To see the difference in the expectation on service quality, collage/graduat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were given different questionnaires regarding hypothetical performing arts theater. Here, a type of questionnaires shows name of a firm in the title of the imaginary theater so one can easily notice that it has a naming-rights sponsorship and the other type does not. In addition, we analyze the interaction toward the expectation between naming-rights sponsorship and frequency of respondents' visit to watch perform arts products such as musicals, music concerts, theater performances, and etc. The results show that respondents' expectation on service quality in the imaginary performing arts theater becomes higher when we show them the name of the sponsor company in the title of the theater. Moreover, we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ctation on the service quality according to the level of frequency of visit. The difference was found in the sum of all terms measuring service quality, performance facilities, subsidiary facilities, and attractiveness of performing arts theater. Lastly, when we measure the expectation on service quality with distinct two samples that were differentiated depending upon the level of frequency of visi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pectation in terms of performance facilities, subsidiary facilities, convenience of the theater, and the sum of all terms for service quality factors in the case that exposes the name of sponsor company.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y term in the case that does not show the name of sponsor compan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