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공계와 인문사회계 연구자의 연구활동 및 환경인식 차이 분석 : WCU, SSK, HK 사업 참여 연구자를 중심으로

        오헌석,김정인 한국교육개발원 2012 한국교육 Vol.39 No.1

        This study conducts comparative analysis of research activities and the perceptions of research environments among national core researcher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WCU, SSK, HK projects, based on their specialties. The researcher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ts, composed of university professors, and semi-experts, composed of graduate students. Research findings show that the amounts of time spent on research activiti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specialties of the researchers. Researchers who specialize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re found to spend more time reading articles or books as well as writing papers than researchers who specialize in the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And researchers who specialize in the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are likely to spend more time advising students and participating in research conferences or experiments than those who specialize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hese results show critical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ties or research fields. Regarding the perception of the research environments, it is found that most resear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WCU, SSK, and HK projects may hav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administrative work and lack of support for creative research. When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ies are improved or systemically develop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erformance of Korean research workforce will be improved. 본 연구에서는 WCU, SSK, HK 사업에 참여하는 국가 핵심 연구인력들의 연구활동 및 연구환경에 대한 인식차이를 전공계열별로 비교 · 분석 하였다. 또한, 연구인력을 전문가 집단인 교수집단과 준전문가집단인 대학원학생집단으로 구분하여, 이들의 연구활동 차이를 검토하였다. 연구의 결과, 전공계열에 따라 연구활동과 관련된 시간 사용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인문 · 사회과학 계열의 연구자들인 경우에는 논문 · 책 읽기 및 논문쓰기에 이공계열 연구자들보다 많은 시간을 사용하였다. 또한, 이공계열 연구자들의 경우에는 학생 지도, 연구회의참석이나 실험에 인문 · 사회과학 계열 연구자들보다 많은 시간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전공계열별 특성을 드러내 주는 시간 사용결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연구자들의 연구환경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본 연구의 결과는 각 사업에 참여 하는 대부분의 연구인력들이 행정부담 및 창조적 연구지원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WCU, SSK, HK사업에 참여하는 연구자들 사이에도 연구활동 및 연구환경인식 차이가 나타났는데, 본 연구의 결과들을 고려하여 인재 육성 · 지원정책을 체계적으로 개선할 때 우리나라 연구인력의 연구성과는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자동차 영업사원의 핵심역량에 관한 연구

        오헌석,배진현,윤정이 한국기업교육학회 2010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2 No.1

        Sales representatives to contact customers on the edge of creating customer value are important human resources that influence on the success or failure of a number of marketing strategies. And the market competitiveness of the company is determined by their competenc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re competencies of car salespeople using competency modeling technique and suggest the educational order of priority on the corporate education by the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IPA).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ree competency clusters that contain twelve core competencies and suggested credibility and achievement orientation skills as a priority developing competenc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petencies related personnel values and attitude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than customer-focused ones to meet the needs of customers. Second, it is important that the ability to impart a good impression at the first meeting with customers as well as controling their own emotions.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emotional competence to activate informal networks within an organization and appealing sensitivity of customers. 고객가치를 창출하는 바로 그 첨단에서 고객과 접촉하는 영업사원은 수많은 마케팅 전략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인적자원이며, 그들의 역량에 따라 기업의 시장 경쟁력이 결정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역량 모델링 기법을 사용하여 자동차 영업사원의 핵심역량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각 역량에 대해 자동차 영업사원들이 인식하는 역량의 중요성 정도와 실제 수행 간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자동차 영업사원에 대한 교육훈련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자동차 영업사원의 3대 역량군, 12개 핵심역량을 도출하였으며, 우선 개발 역량으로 진실성과 성취지향성 역량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첫째,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데 필요한 고객중심의 역량보다 자신의 가치관이나 태도와 관련된 역량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자신의 감정을 다스릴 수 있을 뿐 아니라, 고객과의 첫 만남에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다. 셋째, 고객의 감성을 파고들어 조직 내 비공식 네트워크를 활성화하는 감성적인 역량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

        전문성 개발과정 및 핵심요인에 관한 연구

        오헌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직업능력개발연구 Vol.9 No.2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plore what factors play key role in developing expertise and how individuals develop their own expertise through work experience. 18 life insurance sales experts are interviewed and themes on the process of expertise development and key factors are analyzed.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xpertise is developed through three different interactive phases between the self value and the occupation value. When individuals were first introduced to the job, their self and the job interact through which the insurance sales experts went through unification phase as they performed their tasks. Second, insurance sales experts showed extremely strong goal-pursuing behavior, acting as a driving force behind development of expert through goal setting and goal accomplishment. Third, the continuous formation of positive attitudes and desirable habits is critical in maintaining and improving the level of expertise. 본 연구는 보험 영업 분야 전문가의 전문성이 어떤 과정과 요인에 의해 개발되는 지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회사 내 실적이 상위 3% 이내에 드는 18명의 생명보험 영업인을 심충면담하고 테마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보험 영업 분야의 전문성은 첫째, 자아와 직종가치가 통합화되는 과정을 통해 개발된다. 직종전환 결정계기를 경험하면서 영역과 자아의 만남이 일어나고 영역과 자아의 일체화가 확장되며 궁극적으로 영역과 자아의 통합이 일어나 일이 곧 삶이요 학습이요 나 자신인 일체화 과정이 일어난다. 둘째, 강렬한 목표추구행위가 전문성 개발의 원동력으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목표, 조직 내에서 인정하는 목표, 장기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진정 의미있는 것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통해 일의 우선순위를 확고히 세우고 혼신의 힘을 다해 목표 달성에 매진한다. 셋째, 바람직한 태도와 습관의 지속적인 형성이다. 긍정적인 마음가짐을 통해 슬럼프와 시련을 극복하고 정서조절, 그리고 철저한 자기관리를 통해 이들은 전문성의 수준을 유지하고 더욱 발전시켜 나간다.

      • KCI등재

        사회적기업가정신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오헌석,이상훈,류정현,박한림,최윤미 한국직업교육학회 2015 職業 敎育 硏究 Vol.34 No.2

        이 연구는 사회적기업가정신을 개념화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사회적기업가정신의 구성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공감, 혁신, 실용의 세 가지 상위요인이 사회적기업가정신을 구성하는 요인인 것으로 정의하였다. 공감요인은 인지공감, 정서공감, 사회문제인식, 혁신 요인은 아이디어 창출, 혁신실행, 의미창조, 실용 요인은 유용성, 유연성, 지속성 등으로 설정하였다. 이 아홉 가지 영역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여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 등록되어 있는 사회적기업가 및 예비사회적기업가 856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합된 응답 결과 중 369개의 활용 가능한 자료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이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의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사회적기업가정신의 구인타당도 검증 결과, 이 연구에서 설정한 위계적 3차 요인 모형이 사회적기업가정신의 내적구조를 잘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 연구에서 제안한 아홉 개의 하위요인이 사회적기업가정신이라는 개념을 제대로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검사의 신뢰도 역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Cronbach’s α = .939).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밝혀진 사회적기업가정신의 수준은 사회적기업가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전략 수립 및 지원방안 마련, 사회적기업가 육성 모델 개발 등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미래에 사회적기업가가 되기를 희망하는 이들에게 사회적기업가가 되기 위해 필요한 자질, 태도 및 역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key factors of social entrepreneurship, and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measuring social entrepreneurship. Extensive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sub-domains of social entrepreneurship. The three main factors of social entrepreneurship was compassion, innovation, and practicality. The expert group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social enterprise approv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test items. Item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examined through the preliminary test, and the final version of the test with 27 items was built. 369 social entrepreneu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validity of social entrepreneurship scale was examin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 reliability was tested through Cronbach's coefficient alph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suggested that some of the fit indices(CFI=.876, TLI=.850, RMSEA=.071) supported that empirical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showed very good fit to the model of social entrepreneurship. The reliability using Cronbach's coefficient alpha was also found to be acceptable(α=.939).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implications on selecting and developing social entrepreneurs.

      • KCI등재

        ASTD를 통해 본 인적자원개발의 최근 동향

        오헌석,최윤미,배진현,위현진,배형준,권귀헌,선우형,성문주,이도엽,이상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9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2 No.1

        이 연구는 지난 5년간 ASTD 국제학술대회에서 발표된 내용을 중심으로 HRD의 최근 동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주제분석 방법을 응용하여 2004년부터 2008년까지 ASTD 대회에서 발표된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① 훈련에서 학습, 학습에서 성과로의 HRD 패러다임의 변화, ② 인재에 대한 새로운 관점의 등장, ③ 개인코칭에서 팀코칭으로 코칭의 대상 확대, ④ 조직변화관리에서 조직문화에 대한 관심 증가, ⑤ 인재경영의 부상과 인재보유의 강조, ⑥ 경험과 실제 과제 수행을 중심으로 한 학습 무대의 이동, ⑦ 세대별 특성을 반영한 HRD 전략 수립, ⑧ 일과 삶의 관계의 변화, ⑨ HRD시스템 구축 기준으로서 WLP 성과표의 부각, ⑩ Kirkpatrick의 1, 2 수준 평가에서 ROI 및 성공사례분석으로의 변화 등 10가지 핵심 동향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HRD실무자와 연구자들에게 이 분야의 최신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major trends and issu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m the light of the presentation contents of ASTD(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and Development) International Conference and Exposition held during the past five years(2004~2008). Major outstanding issues in presentation sessions, keynote speeches, and legend series delivered at the conference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themes and major issues. Theme analysis which is one of the types of document analysis was used in order to identify frequently cited themes and issues. Through the analysis, 10 major issues of HRD were drawn. Based on these analyses,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HRD professionals and researchers were suggested.

      • KCI등재

        HR부서와 기업경쟁력의 관계에서 HR부서의 전략적 역할과 교육훈련의 매개효과 분석

        오헌석,이현응,배진현 한국기업교육학회 2011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 of strategic roles of the HR department and transfer of train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tise of the HR department and organizational culture and competitiveness. It was found that strategic roles of the HR department and transfer of training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tise of the HR department and competitiveness. Also, transfer of training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competitive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s that expertise of the HR staff should be developed at the maximum level to ensure that the HR function improves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Additional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serves as the foundation for transfer of training which leads to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본 연구는 HR부서의 역할 중 최근 대두되고 있는 전략적 역할과 전통적 역할이라 할 수 있는 교육훈련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HR부서의 전문성과 기업문화가 기업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HR부서의 전략적 역할과 교육훈련의 전이 가능성은 HR부서의 전문성과 기업경쟁력 간의 관계에 대하여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훈련의 전이 가능성은 기업문화와 기업경쟁력 사이의 관계에 있어서도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가 인적자원개발 분야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HR부서는 명확한 역할 부여와 고유한 역할에 부합되는 행동을 요구받을 때 기대되는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둘째, HR부서 및 담당자의 지속적인 전문성 향상과 HR부서의 역할과 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기업문화 구축이 중요하다.

      • KCI등재

        과학자의 전문성과 연구성과의 관계 분석 -교수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오헌석,배진현,성은모,배형준 한국직업교육학회 2012 職業 敎育 硏究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tise and research performance of scientists towards faculties and graduate students of universities. The primary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SCI papers and patents of the faculty group with high expertise was higher than the group with low expertise. Second, the expertise of the faculty group with many own SCI papers was higher than the group with small number of SCI papers. Especially, the learning factor among sub-factors of experti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Third, the expertise of the faculty group was higher than the group of graduate students in the 12 of 13 sub-factors of expertise. In particular, the value and creation factor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본 연구는 과학자의 연구활동을 전문성이라는 개념틀을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전문성이 연구성과와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공계 교수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성이 높은 교수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SCI 논문발표수와 특허출원수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SCI 논문수를 기준으로 전문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SCI 논문수가 많은 교수집단의 전문성이 논문수가 적은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전문성 하위요인 중 학습요인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셋째, 교수집단과 대학원생집단의 전문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수집단이 13개 전문성 하위요인 중 12개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가치요인과 창조요인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첫째, 대학의 우수연구인력 양성을 위해 전문성 개발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대학원생의 진로와 경력에 대한 관심과 지도가 필요하다. 셋째, 이공계 대학원생에게 다양한 경험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전문성 연구의 주요 쟁점과 전망

        오헌석,김정아 한국기업교육학회 2007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approaches and critical issues in expertise research, explore new approach, and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agenda. Expertise research was classified into traditional approach and expert performance approach. Critical research issues in expertise are identified as definition of expertise, componential elements of expertise, measurement of expertise, transferability of expertise, and time length to develop expertise. New approach to expertise research was suggested as expertise development approach. New research agenda in expertise development research include integrative framework to analysis expertise, life-long perspetive to expertise development, learning mechanism of expertise development, developmental strategies to accelerate expertise development. 본 논문은 지금까지의 전문성 연구의 동향과 주요 쟁점을 살펴봄으로써, 전문성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전문성 연구를 크게 전통적 접근법과 전문가 수행 접근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전문성 연구의 주요 쟁점으로는 전문성의 정의(definition), 전문성의 구성요소(Component), 전문성의 측정(measurement), 전문성의 전이가능성(transferability), 전문성 획득에 소요되는 시간(time) 등 5가지 주요 이슈로 분류하여 각각 어떠한 쟁점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지금까지의 전문성 연구의 과제를 도출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전문성 연구의 방향으로 전문성 개발 접근(Expertise Developmental Approach)을 제시하였다. 전문성 개발 접근의 연구과제로서 전문성을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통합적 연구방법의 도입, 전 생애적 관점의 전문성 연구, 전문성 발달 과정의 학 습 메커니즘 분석 연구, 전문성 습득을 가속화 할 수 있는 발달 전략 연구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전문직종의 변화에 따른 전문가 사회의 특성 및 동향 분석

        오헌석,성은모 한국직업교육학회 2010 職業 敎育 硏究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ing trends of expert society through transforming profession. To achieve the purpose, changing profession structure and quantity by International Standards Classification of Occupation was compared with USA, Japan, and Korea from 1958 to 2007. Also, it was driven mega trends of expert society based on the result of changing profession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profession of Korea improved 3.4 times before 1960, Total increasing rate was 2 times rather USA, and Japan. Quantity of profession was 1/7 of USA, 1/2 of Japan. And 4 major trends in expert society were drawn,① Accelerating increase and fractionation of profession's quantity,② Convergence of profession field,③ Next generation growth engine is a women,④ Brain gain and maintain. Four specific recommendations for HRD policy in South Korea were suggested. 전문가 집단은 조직 및 사회의 성장과 발전의 원동력이다. 개인 차원에서 전문성은 평생고용가능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고, 기업과 같은 조직 수준에서 전문성은 차별화된 상품과 지식 및 서비스의 지속적인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조직의 핵심역량이며, 국가나 사회 차원에서 전문 직종에 종사하는 전문가의 양적 규모와 질적 수준은 국가경쟁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사회의 전문직업 집단의 특성과 실태 및 역사적 변화를 선진국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추적하였다. 이를 위해 국제표준직업분류 체계에 따른 우리나라 전문직업의 분류의 변화, 선진국(미국, 일본)과 우리나라에서의 전문직업의 분류에 따른 전문인력 규모의 시대적 변화, 그리고, 선진국과의 전문 인력 규모 변화의 차이에 따른 미래 전문가 사회의 주요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전문 직업은 1960년대에 비해 3.4배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증가율이 미국과 일본에 비해 약 2배정도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전문인력의 전체 수는 미국의 1/7, 일본의 1/2 수준이지만, 전문직업 종사자의 비율을 비교해보면 미국 21.1%, 일본 15%, 우리나라 19.8%로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전문가 사회의 주요 특성으로는 전문직종 증가 및 세분화의 가속화, 전문직업 영역간 융합, 여성 고급 전문인력의 잠재 성장 동력화, 그리고 고급 전문인력의 획득 및 유지 등이 분석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전문인적자원 육성 정책에 대한 방향과 시사점이 논의 되었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수준 비교 연구

        오헌석,배진현,이상은,장현진 한국직업교육학회 2010 職業 敎育 硏究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career decision making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and differences between vocational and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we used a sample from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KEEP) and analyzed this by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areer decision making level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 was a little more higher than general school students but the differences were a matter of small importance. In addition, students achievement and recognition of aptitude out of the individual variables, activities with family out of the family variables, and instruction of career subject and job-related career experiences out of the school variabl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on students' career decision. To conclude, it is anticipated that differences of career decision making level between vocational and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would gradually decrease because of overeducation problem. Therefore, we suggested that it sh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 social climate for respecting the skills and competencies rather than school career.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직업에 대한 진로결정 수준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학교계열, 즉 일반계 고등학교와 전문계 고등학교 간 차이를 밝히고, 학교계열에 따라 변인들의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하는 데 있다. 또한 일반계와 전문계 진학을 결정하는 주요 변인인 학업성취도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이 학교계열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의 1차년도 고3 코호트 자료(2004)를 활용하였으며, 개인수준과 학교수준의 영향력을 독립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다층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학교 간 진로결정 수준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9개 변인 중 학업성취, 적성인지, 가족활동, 진로교과, 진로체험 변인이 개인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확인되었으며, 학교수준에서는 학교계열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학업성취가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학교계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에서 변인의 설명력은 개인, 학교, 가정 변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전문계 고등학교가 일반계 고등학교에 비해 학생들의 진로결정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회귀계수는 0.137 정도로 작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첫째, 진로교육은 개인의 적성을 인지할 수 있는 학습과 체험의 기회가 되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의 진로교육과 관련하여 학교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으며, 셋째,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고학력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