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 전문 학술지에 의한 위암 외과의 연구 경향에 대한 분석

        오정아,김대훈,오승종,조현진,최민규,노재형,손태성,배재문,김성,Oh, Cheong-Ah,Kim, Dae-Hoon,Oh, Seung-Jong,Cho, Hyun-Jin,Choi, Min-Gew,Noh, Jae-Hyung,Sohn, Tae-Sung,Bae, Jae-Moon,Kim, Sung 대한위암학회 2009 대한위암학회지 Vol.9 No.4

        목적: 위암 분야 전문 학술지인 대한위암학회지와 외과 대표 학술지인 대한외과학회지에 게재된 위암 외과 관련 논문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연구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그간의 국내 외과 영역에서의 위암 연구들의 흐름을 살펴보고, 향후 방향점을 논의하고 미흡한 연구 부분에 대한 연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와 창간 이후 대한위암학회지의 질적 양적인 향상이 있었는지에 대하여 간접적으로 평가해 보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분석 대상은 2001년도부터 2008년도까지 8년간 위암 분야 전문 학술지인 대한위암학회지와 외과 대표 학술지인 대한외과학회지에 투고된 위암 연구에 관한 논문들로 하였다. 결과: 대한위암학회지와 대한외과학회지의 투고 논문의 경향을 보면, 전자의 경우에는 종설은 많았다가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최근에 증가하였다. 후자는 8년간 총 6편만 발표되었고 전반적으로 종설에 대한 발표 편수가 적었다. 증례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는 점차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대한외과학회지에서는 매년 1~3편 전후로 전반적으로 낮은 추세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독특하게도 보고서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만 2004~2005년도에 활발하였다. 후향적 연구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 초기에 많았다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U자 형태를 보였고, 대한외과학회지에서는 초기에 잠시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전향적 연구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 점차 증가하다가 최근에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대한외과학회지에서는 계속 감소 추세를 보였다. 위암의 생물학적 연구, 암표지자 연구, 유전자 연구는 두 학회지 모두 게재 비율이 낮았다. 결론: 앞으로의 연구의 방향은 후향적 연구에서 전향적 연구로 이행되어 가고, 임상적 연구보다는 기초에서 임상으로 이어지는 이행성 연구가 중시될 것이며, 단일 기관 또는 연구자 단독 연구보다는 다기관 또는 다학제간의 협력 연구가 더 높이 평가되고 지원되고 장려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 of the literature reported in the Journal of Korean Gastric Cancer Association (JKGCA) and the Journal of Korean Surgical Society (JKSS) in order to suggest new directions for the future studies on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Gastric Cancer Association (JKGCA) and the Journal of Korean Surgical Society (JKSS) between 2001 and 2008 were compared and summarized in terms of the following categories, retrospective study, prospective study, case report, biomolecular study, genetic study, tumor marker study, review article, and report. Results: For recent 8 years, while the number of review articles in JKSS had initially increased, gradually fallen down and recently increased again, only a few (only 6 publications) in JKGCA have been published. The number of case reports in JKSS has gradually increased and fallen down. On the other hand, a few of case reports (1~3 publications) has been annually published in JKSS. Uniquely, reports were published only in JKGCA with the noticeable increase during the period from 2004 to 2005. For retrospective studies, in JKGCA the number started off very high and decreased, and finally increased again (U-shaped), whereas it had a bell-shaped trend in JKSS. The number of prospective studies in JKGCA had a bell-shaped trend, but the one in JKSS continued to decrease. Few papers of molecular biologic study, tumor marker study and genetic study had been published in both journals.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the transition from retrospective studies to prospective studies as well as a comprehensive multi-disciplinary team management of a clinical research would represent a desirable strategy in gastric cancer research.

      • 위암 환자에서 수술 전후의 영양지표의 변화와 수술 후 단기간 합병증과의 연관성

        오정아,김대훈,오승종,최민규,노재형,손태성,김성,배재문,Oh, Cheong-Ah,Kim, Dae-Hoon,Oh, Seung-Jong,Choi, Min-Gew,Noh, Jae-Hyung,Sohn, Tae-Sung,Kim, Sung,Bae, Jae-Moon 대한위암학회 2010 대한위암학회지 Vol.10 No.1

        목적: 위 절제술을 받은 위암 환자에서 수술 전후의 영양상태를 손쉽게 시행할 수 있는 간단한 임상적 자료로 변화를 살펴 보고 이들과 수술 후 단기간의 합병증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위암으로 위 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669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고찰하였다. 환자의 영양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수술 전과 수술 5일 후, 수술 6개월 후의 총 림프구수(TLC, cells/$mm^3$), 혈중 알부민(g/dl), 체중(kg), 체질량 지수(BMI, kg/$m^2$)를 측정하였다. 또한 이들 인자들과 단기간 합병증 발생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TLC와 혈중 알부민은 수술 전에 비해, 수술 5일 후에는 전반적으로 감소되었다가 수술 6개월 후에는 다시 회복하는 추세를 보였다. 6개월 후 환자의 영향 상태에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진행성 위암에서 수술 6개월 후 TLC, 혈중 알부민이 더 낮은 경향을 보였다. 위전절제술 후에 6개월 후의 혈중 알부민과 BMI가 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보조적 치료를 한 군의 6개월 뒤의 TLC가 더 낮은 경향을 보였고, 체중 감소 비율도 더 컸다. 단기간 합병증 발생과의 상관관계를 갖는 영양 인자는 수술 후 5일째 혈중 알부민과 수술 전과 수술 후 5일째의 혈중 알부민 변화량이었다. 결론: TLC와 혈중 알부민은 수술 5후에는 유의하게 감소 되었다가 수술 6개월 후에는 회복 추세를 보였다. 수술 후 5일째의 혈중 알부민 저하가 합병증과 관련 있는 요소로서, 이환율에 대한 좋은 예측도를 나타내는 지표였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nutritional statuses of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and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factors that are correlated with perioperative complication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8 to Jun 2008, 669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gastrectomy were enrolled in a retrospective study. To evaluate the changes of their nutritional status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we measured the total lymphocyte count, the serum albumin, the body weight change and the BMI. The nutritional factors correlated with short-term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analyzed. Results: The total lymphocyte count and serum albumin decreased from the first preoperative day to the $5^{th}$ day after operation, but they tended to increase and approach the normal range 6 months after operation. The only factor correlated with the short-term postoperative complications (defined as the ones that occurred for 30 days) was the serum albumin checked on the $5^{th}$ day after operation. Conclusion: Low serum albumin on the $5^{th}$ day after operation was correlated with postoperative short-term complications. Serum albumin can be the preoperative statistical parameter that can predict the occurrence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 성당연계 가정간호사의 가정간호 서비스 필요도와 유헬스케어 인식정도

        오정아,김희승,윤건호,송민선,박민정,정현숙,Oh, Jeong-Ah,Kim, Hee-Seung,Yoon, Kun-Ho,Song, Min-Sun,Park, Min-Jeong,Jung, Hyun-Sook 한국가정간호학회 2008 가정간호학회지 Vol.15 No.2

        Purpose: We analyzed the need for home care services and awareness of U-healthcare in nurses of the Catholic Parish Home Care Center to link the ubiquitous health care system and the home care. Methods: We recruited 46 nurses from a home care center in the catholic parish of the C medical center from April 4th to June 8th, 2007. Results: The highest needs were 'assessment and diagnosis of the problem', 'management of hypertension & diabetes patients', 'counseling of the patient', and 'counseling of major caregiver and family problems'. Therapeutic nursing showed the highest needs in bedsore care. Nurses want hospital medical records available through the ubiquitous health care system. Conclusion: Home care services are supported from the agency, with high needs in assessing and diagnosing the problem, counseling, and managing of hypertension & diabetes patients.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efforts on the U-healthcare system should improve system awareness.

      • KCI등재

        논문 : 유통환경별 글로벌 SPA 브랜드 매장의 VMD 특성에 관한 연구 -단독매장과 쇼핑센터 내 임대매장을 중심으로-

        오정아(주저자) ( Jung Ah Oh ),오정아(교신저자) ( Jung Ah Oh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2

        SPA(Speciality store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 brand) 브랜드의 매장은 고객과의 접점장소이자 소비자의 구매의사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마케팅 도구이다. 특히 매장의 개발 단계에서부터 콘셉트나 외관 및 인테리어 디자인,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하는 비주얼 머천다이징 전략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SPA 브랜드 매장의 VMD(VisualMerchandising Design) 요소들이 유통환경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해 분석하고, 이에 대한 기초 자료를 구축하는 것이다. 유니클로, 자라, 에이치앤엠 매장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국내·외 SPA 브랜드의 단독매장 비율은 백화점 내 매장과 비교할 때 매우 낮았다. 다음으로 브랜드별 매장의 유통환경에 따라 디자인적 차이를 보이는 VMD 요소는 외관과 쇼윈도였다. 반면 마네킹은 브랜드별 매장에서 유사한 방식으로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닥, 벽/기둥, 천장, 카운터, 사인/로고, 디스플레이 테이블, 집기 등의 나머지 요소들은 디자인에 있어 부분적 차이가 있었다. SPA(Speciality store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 brand) brand store is an essential marketing tool in both being the initial meeting place between the brand and the customer, and in influencing on customer’s decision making process. Especially VMD(Visual Merchandising Design) strategy that includes whole design process from the concept development to facade, exterior, interior design, and display should be thoroughly considered in store planning of SPA brand store. The main objectivity of this research is to build up the fundamental data of the characteristics of VMD elements applied in SPA brand stores of Uniqlo, Zara, and H&M.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ratio of independent store of both global and domestic SPA brands is relatively low when compared to it of stores within mixed-use shopping center. Second, the VMD elements that showed definite differences between each store are facade and show window. Mannequin is used in the same way in the both store of each brand. The rest such as floor, wall/column, ceiling, counter, brand sign/logo, display table, and furniture are partially differed in design.

      • KCI등재

        복합 쇼핑센터의 테넌트 믹스 전략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오정아 ( Jung Ah Oh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4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복합 쇼핑센터에 대한 국내?외의 다양한 선행연구들을 대상으로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종합하여 활용 가능한 테넌트 믹스 전략을 구체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주제 및 범위를 살펴보면, 국내 문헌은 테넌트의 배치관계 요소 중 특히 앵커와 소비양식, 그 중에서도 엔터테인먼트형 앵커 테넌트를 중심으로 한 연구가 많은 반면, 국외 문헌은 주로 상품종류에 따른 테넌트의 배치관계에 대해 심도 깊은 연구를 다루고 있다. 둘째, ‘타깃’별 테넌트의 배치관계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연구가 미흡하므로, 이에 대한 향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국내와 국외 쇼핑센터 내 입점 테넌트의 중요도 및 활용도가 상이한 만큼, 향후 연구에서는 국내와 국외 복합 쇼핑센터의 차이점을 정확하게 인식하여 차별성 있는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특히 국내 연구의 경우 소비양식별 인접배치 전략 분석에서 벗어나 보다 세부적인 상점의 유형 및 업태 구성 및 배치 전략안을 함께 제시하면 보다 효율적일 것이다. The objectivity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tenant mix, and to establish any suggested strategy of tenant mix byanalyzing preceding researches, so to finally suggest the optimal and holistic tenant mix strateg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subject and scope of research, while domestic reference is focused mostly on the tenant placement by anchor and consumption mode,especially entertainment anchor tenant, while foreign thesis mostly deals with the tenant placement by product type. Second, research on the tenant placement by target which is insufficient in despite of its importance should be continued. Third, understanding the fact that the importance and usage of tenant in domestic shopping center is different from international should be preceded before further research is executed. For research in domestic, it would be efficient if suggesting the tenant mix by specific store type.

      • KCI등재

        논문 : 복합 쇼핑센터 내 SPA 브랜드 스토어의 테넌트 믹스 특성에 관한 연구

        오정아 ( Jung Ah Oh ),정현원 ( Hyun Won Jung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3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2 No.6

        최근 국내 패션업계에서는 SPA 브랜드가 큰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SPA 브랜드는 직영점 형태로 운영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지만, 국내에서는 복합 쇼핑센터에의 입점 경향이 두드러진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복합 쇼핑센터 내에 입점한 국내·외 SPA 브랜드들의 테넌트 믹스 특징을 분석하여, 향후 복합 쇼핑센터의 SPA 브랜드 매장 계획 시 활용 가능한 테넌트 믹스의 전반적인 전략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테넌트 구성적 측면에 있어서는 복합 쇼핑센터에 입점한 SPA 브랜드 중 대부분은 국외 브랜드로, 그 중에서도 유니클로나 자라와 같이 국내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은 브랜드의 도입 빈도가 잦다. 특히 국내 SPA 브랜드는 국외 브랜드에 비해 도입 빈도가 매우 적은데, 플래그쉽 스토어를 운영해 브랜드를 보다 폭넓은 소비자에게 각인시키고 온·오프라인의 다양한 경로를 통해 브랜드를 홍보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여 향후 복합 쇼핑센터의 SPA 브랜드를 더욱 다양화시켜야 한다. 둘째, 테넌트 배치적 측면을 살펴보면, 앵커 테넌트가 출입구와 인접한 경우 이용자의 체류성이 약해질 수 있기 때문에 앵커 테넌트 배치는 동선상의 말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SPA 매장은 오히려 주 출입구와 인접한 지상 1층, 또는 지하철이나 연결된 지하상가와의 동선 이동이 쉬운 지하층에 배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의 보완을 위해서는 SPA 매장을 다층으로 구성하여 방문객들의 층간 이동을 적극적으로 유도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 of tenant mix for SPA brand stores in a mixed-use shopping center, so to suggest synthetic strategy that can be used for the shopping center development in the future.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whe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enant variety, adaptation of global SPA brand store, especially UNIQLO or Zara that is highly preferred in Korea, is more frequent than any other brands. But to contrary, domestic SPA brand are not widely welcomed in shopping center environment like global SPA brand. Second, according to the general tenant placement strategy, avoiding placing the anchor tenants near the main entrance is natural. However, the result shows that most of the SPA brand stores are located on the first floor that`s near the entrance, or basement that`s near the alley leading to the subway station. In order to supplement the problem, we need to compose SPA brand store as a multi-story in mixed-use shopping center environment, so to stimulate the shopper`s movement between floors.

      • KCI등재

        복합쇼핑몰 내 어린이 공간 도입현황과 체험적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오정아 ( Jungah Oh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6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사례조사를 통해 복합쇼핑몰 내 어린이 공간 도입현황을 살펴보고, 해당 공간의 체험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현재 복합쇼핑몰 내 어린이 공간의 유·무형적 트렌드를 도출함으로써 향후 복합쇼핑몰 내 어린이를 위한 공간 계획 시 참고 가능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문헌연구를 통해 상업시설 내 어린이 공간의 개념과 도입에 대해 정리한다. 또한 파인(Pine)&길모어(Gilmore)와 슈미트(Schmitt)의 체험요소 분석을 통해 어린이의 체험적 행동을 분석할 수 있는 공통된 키워드를 도출한다. 둘째, 사례 분석대상을 통해 어린이 공간 도입현황(개수, 용도, 위치, 인접 테넌트 특성 등)과 어린이 놀이공간의 물리적 환경이나 콘텐츠의 체험적 특성을 분석한다. (결과) 사례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대상지의 어린이 공간은 A 쇼핑몰의 실내·외 소규모 놀이터를 제외하고는 모든 공간이 유료시설로 운영되었다. 해당 공간은 대부분 미술, 체육, 블록과 같이 유사한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지만 매우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편의시설은 수유실(유아휴게실)과 유모차대여소에 제한되어 있었다. 둘째, 어린이 놀이체험공간의 경우 대부분 특정 층에 집적배치되어 있다. 인접한 매장은 아이나 부모의 패션, 잡화 등의 판매 공간 또는 아이가 체험공간을 이용 시 부모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식음료 공간이 배치되어 있었다. 다음으로 놀이공간의 체험 특성을 살펴보면 체험요소의 수준 정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하지만 A 쇼핑몰이 B 쇼핑몰에 비해 인지성과 충동성 체험요소 수준이 다소 낮게 나타났고, 반대로 심미성 체험요소 수준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결론) 앞으로 복합쇼핑몰의 어린이 놀이공간은 전체 쇼핑몰의 1차적인 집객을 유발하는 목적성 매장으로의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어린이 공간 인접 매장은 타깃을 공유하거나 연계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 매장을 인접배치한다. 무료 놀이체험 공간에 대한 확충 및 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편의시설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또한 공유공간에도 타 쇼핑몰과 차별화를 강조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색감과 조형적 요소를 도입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판매 매장의 경우 제품의 직접적 경험을 통한 긍정적 인식 형성은 지속적인 제품 판매 및 소비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가능하면 매장은 제품을 경험하는 체험마케팅을 실현할 수 있는 장소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present condition of children’s space in mixed-use shopping malls, and seeks to analyze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through case studies. Ultimately, we intend to construct a basic database by deriving the tangible and intangible current trends in the compound. (Method) The research method encompasses the following: first, we analyze the concept and introduction of children’s space within a commercial one through review of the literature. Second, we extract the common keyword for analyzing children’s experiences through their behavior that is based on reviewing experience factors of Pine & Gilmore and Schmitt. Finally, the case study is executed by analyzing the status of children’s spatial spa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experiential contents of play space. (Results) The result of the case study is as follows: first, except for indoor and outdoor free playgrounds in case A, all of the space zone of case A and B are operated as paid facilities. Much of the space was based on the similar content, such as art, physical education, and blocks, but consisted of very diverse programs. However, amenities are limited to the infant lactation room (infant resting room) and the stroller rental desk. Second, the children’s play rooms are concentrated in the particular floor of shopping mall. Most of the stores adjacent to children’s play space are utilized for either sales, fashion goods targeting the kids and parents, or for food and beverage areas where parents can rest while their child is playing. Next, the degree of experience in the play space reflects how the level of the experimental element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when compared to case A to B, the level of cognition and impulsiveness experience factors of case A is slightly lower, but level of aesthetic experience factor is relatively high. (Conclusions) Children’s play spaces should play a tactical role as a key tenant that attracts shoppers in the first place. Moreover, the stores that can share the target or cause links should be located near the children’s space. Also, the need for expansion of physical space and program for the free play space, and diversification of convenience facilities are needed. In addition, it should emphasize differentiation by introducing various color and artistic elements in shared spaces that can stimulate children’s creativity. Finally, for the sale of the product, as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product through direct experience can lead to continuous product sales and consumption, the store should be configured to fulfill the role of the place where experience marketing is realized as experience the products.

      • KCI등재

        관계적 및 학교적응 요인이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오정아 ( Jung A Oh ),남부현 ( Bu Hyun Nam ) 한국농촌지도학회 2014 농촌지도와 개발 Vol.21 No.2

        본 연구는 충청지역의 광역시와 군소도시에 거주하는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진로태도성숙의 하위요인(결정성, 목적성, 확신성, 준비성, 독립성)들이 관계적요인(부모, 교사, 친구)과 학교적응 요인(학교생활, 수업, 환경)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550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520부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 중 467부를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이들의 진로태도성숙과 관계적·학교적응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와 단순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진로태도성숙과 관계적 및 학교적응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친구관계가 진로준비성과 독립성에 그리고 학교생활과 수업이 진로준비성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관계적 요인이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살펴본 결과,친구관계가 진로준비성과 독립성에서는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이 밝혀졌고 부모와 교사관계는 진로결정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학생들에게 친구요인이 중요함을 다시 한 번 확인한 결과이다. 셋째, 학교적응 요인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학교생활이 중학생의 진로결정성과 준비성 그리고 독립성에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주변인은 친구이며 학교생활이 이들의 진로준비성과 독립성 성숙에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이 결과들을 토대로 학교 내 진로교육 강화, 동아리 활동, 그리고 진로교육연수를 통한 교사의 적극적인 지도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attitude maturity with five career elements(career decisiveness, goal orientation,confidence, preparation, and independence) related to relational(parent, teacher,friend) and school adjustment (school life, instruction, environment) variables. To accomplish this, 467 collected data was passed through correlation, and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12. The main finding was that friend``s support was highly correlated to andsignificantly affected career preparation and independence of the students. Schoollife and instruction were also highly correlated to their career preparation. Parents`` and teachers`` support affected their career decisiveness. Their schoollife was an important factor to influence career decisiveness, preparation, andindependence of the students. Generally, friends`` support and school life of thestudent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ed the students`` careerpreparation and independence. From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middle schools need to provide more vocational education, diverse afterschoolactivities, and teacher training to support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 KCI등재

        의사결정나무 분석에 기반을 둔 노인 삶의 만족 예측

        오정아(Junga Oh),유재언(Jaeeon Yoo),김상연(Sang-Youn Kim),신정민(Jungmin Shin),김시경(Siekyeong Kim)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4 사회과학연구 Vol.3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after COVID-19 in order to improve academic understanding of the elderlys satisfaction with life and to provide practical alternatives.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Chungcheongnam-do Social Survey were used, and data mining decision tree analysis was utili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nxiety was the highest predictor for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followed by consumption, depression, and family relationships. Second, when the predictors of an elderly persons satisfaction with life were analyzed by gender,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Men with low levels of anxiety, high satisfaction with their consumption, and who did not suffer from depression were more likely to be satisfied with life, while women with low anxiety, high satisfaction with their consumption, and lower age were more likely to be satisfied with life. Third, we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based on factors derived from the decision tre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anxiety and depression, as well as family relationship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and practical suggestions are mad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 KCI등재

        소비자 구매행태 분석을 통한 쇼루밍적 소비행위 연구

        오정아 ( Oh Jung Ah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5 No.-

        소비채널의 다양화는 소비자의 소비행태에 있어 큰 변화를 야기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쇼루밍적 소비행태가 확산되고 있으며, 국내도 예외는 아니다. 본 연구는 설문을 통해 국내 소비자의 소비행위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궁극적으로는 변화한 소비행태를 반영한 개략적인 채널 활용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20~50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품 구매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는 ‘품질’이었으나, 제품 선택이 종료된 후 해당 상품을 구매하는 시점에서는 같은 제품을 보다 ‘저렴한 가격(55.7%)’으로 구매할 수 있는지가 중요했다. 또한 주구매 채널로 ‘온라인+오프라인(73.8%)’을 복합적으로 활용하며, 매장에서 모바일로 제품 검색 여부’에 대해 약 79.5%의 응답자가 ‘예’라고 답했다. 둘째, 매장 내 모바일 검색 후 최종 구매 채널을 묻는 질문에는 ‘매장(34.7%)’을 이용한다는 응답자가 ‘차후 모바일 구매(34.1%)’라고 응답한 쇼루밍적 소비 비율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특히 매장 구매의 경우 매장 내모바일 검색 이유에 ‘상품평 참고’가 가장 높았는데, 이는 온라인(모바일)은 가격비교만큼이나 상품평 등 타 소비자와 공유하는 소통의 장으로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의미로 해석 가능하다. 따라서 소비자간, 기업-소비자간 소통이 가능한유연한 매장 환경을 구축하여야 한다. 셋째, 품목에 따라서는 의류, 생활용품, 화장품 등이 매장 구매 선호 품목으로, 서적,의류, 가전제품이 온라인(모바일) 구매 선호 품목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서는 ‘순수 오프라인족’이 20대가 가장 많았고,이들은 생활용품과 의류를 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향후 온오프라인 구매 채널 구축 및 확장 시 연령대별 소비행위, 구매 프로세스, 활용 선호 구매채널, 품목별 선호 구매 채널 등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전략 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 The diversification of consumer channels has caused a major change in consumer behavior. Currently, there is a growing number of Showrooming shopping behavior around the world, and Korea is no exception.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consumer behavior in Korea and propose a rough channel utilization strategy that reflects ultimately changing consumer behavior. As a research method, the survey was conducted in 20s and 50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consider when purchasing a product was quality. However, it was important that the same product could be purchased at a lower price(55.7%) after the product selection is complete. In addition, 'Online+Offline' (73.8%) was utilized as the primary purchase channel, and about 79.5% of the respondents said yes to whether they searched the product on mobile at the store. Secondly, when asked about the final purchase channel after a mobile search in the store,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answered that they would use 'store(34.7%)' was similar to that of 'mobile purchase(34.1%). In particular, 'see product reviews'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store purchases. This can be interpreted as saying that online(mobile)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mmunicating with other consumers such as product reviews as compared to price comparisons. Therefore, a flexible store environment that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consumers and between businesses and consumers should be established. Third, according to the items, clothes, household items, and cosmetics are preferred items for shopping in stores and books, clothing, and electronics are preferred items for online purch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