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Effects of Tacrolimus versus Cyclosporine on Acute Graft Rejection Episode and Acute Renal Dysfunction Following Pancreas Transplantation

        오정미,Oh, Jung Mi,Klassen, David Korean College Of Clinical Pharmacy 1999 한국임상약학회지 Vol.9 No.2

        췌장이식의 성공률은 지난 10년 동안 상당히 상승되었다. International Pancreas Transplant Registry에 따르면 1995년 이래 미국에서만 매년 1,000건 이상의 췌장이식이 실시되고 있다. 장기이식후 나타나는 급성 거부반응은 이식 후 6개월 이내에 가장 높은 빈도수로 나타난다. 췌장이식환자에서는 신장을 이식한 것보다 두배나 높은 거부반응을 나타나며 이로 인한 입원율의 증가 항림프제(antilyinphocyte) 사용과 감염의 증가로 이환율이 높다. 더구나 Cyclosporine (CsA)을 기초로 한 면역억제제요법의 사용은 높은 급성 거부반응률(acute graft rejection)을 초래하여 이식한 장기의 조직손실이 문제가 되고 있다. 새로운 면역억제제인 Tacrolimus (FK506)의 사용은 이식환자에서의 거부반응을 감소시켜 생존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acrolimus는 neutral macrolide로 cyclic peptide인 CsA과는 화학 구조는 매우 다르나 비슷한 면역억제 효과를 보인다. 하지만 Tacrolimus의 사용시 신경독성, 신독성, 특히 고혈당증의 발생률이 높아 일부 이식센터에서는 장기 이식 후에 사용하기를 꺼리기도 한다. 하지만 여러 연구논문에서 간과 신장 이식 후 급성 거부반응 예방에 Tacrolimus는 CsA에 비해 이점이 있는 결과를 발표하였다. 결과적으로, 현재 췌장이식 후 Tacrolimus를 기초로 한 면역억제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94-1996년 사이에 Tacrolimus 또는 CsA를 기초로 한 면역억제요법을 투여 받은 췌장이식환자 101명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Tacrolimus (n=54)와 CsA(n=57)의 급성 거부반응 예방 효과와 신부전 발생률을 비교하였다. 모든 환자는 항림프구 약물, Azathioprine, Prednisone을 이식 후 면역억제제로 투여 받았다 기준선으로부터 $20\%$ 이상의 혈청 creatinine의 상승이 있는 환자에서는 급성 신부전으로 정의하였고 신장생검법으로 거부반응을 진단하였다 Matched-pair analysis에 따르면 췌장이식환자의 6개월 생존율은 CsA군에서 $97\%$, Tacrolimus군에서 $96\%$로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며 (p=0.57), 6개월간의 이식한 췌장의 보존율은 CsA군에서는 $88\%, Tacrolimus에서 $91\%$.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9). 췌장이식 후 6개월 동안 Tacrolimus의 사용은 생검으로 증명되는(biopsy-proven) 급성 거부반응의 발생빈도는 CsA보다 유의하게 낮았을 뿐만 아니라 (p<0.05) 거부반응 증상의 심각도 또한 감소시켰다 (p=0.03). 급성거부반응 발생빈도의 감소로 Tacrolimus군에서 antilymphocyte 치료가 유의하게 줄어들었다(p=0.01). CsA군에서 Tacrolimus보다 신부전의 발생률이 높았으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췌장이식후의 최적의 면역억제요법의 결정하기 위해서는 향후 Tacrolimus와 CsA을 비교하는 전향적 무작위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 KCI등재

        탄소세 도입에 따른 환경세제 조세지출의 분석 및 정책 방향 연구

        오정미 ( Jung Mi Oh ),김영순 ( Young Soon Kim ) 한국환경법학회 2013 環境法 硏究 Vol.35 No.1

        탄소세의 도입은 세수 증가라는 긍정적 효과도 있지만 국민의 부담을 가중시켜 조세저항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특정 목표를 위해 시행되는 환경세는 조세지출이라는 경제적 유인수단들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예를들어 친환경세제 강화를 기본으로 하되, 녹색기술ㆍ산업의 육성을 촉진하고 기업의 산업경쟁력 강화와 저소득층의 세부담 감소 등을 위해 조세지출 지원을 확장하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환경분야 조세지출 규모는 약 2%대로 다른 선진국들과 비교했을 때 매우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앞으로 환경이 갖는 중요성에 대비하여 조세지출 규모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조세지원대상은 기본적으로 R&D, 환경, 에너지 분야처럼 긍정적인 외부효과가 있어 조세지원을 통해 경제적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분야를 중심으로 운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탄소세로 늘어난 세수를 활용하여 환경분야 조세지출 항목을 새롭게 신설하여 투자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변화하는 시대 상황에 따라 부당한 세액공제 대상은 제외하고, 새롭게 계발되고 있는 항목들은 포함하는 내실 있는 제도정비가 병행되어야 한다. 탄소세 도입에 따른 추가적 세수는 녹색성장재원으로 재투자하고, 법인세, 소득세 등 기존 세제개편, 사회적 취약계층 지원 등의 분야에 대한 재원으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탄소세 도입으로 늘어난 세수를 환경분야 조세지출에 다시 투자한다면 세수중립원칙에 따라 세수를 운용할 수 있게 되고, 재정지출을 통해 저소득층에 대한 소득분배 개선 효과까지 가져옴으로써 ‘효율성’과 ‘공평성’ 모두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introduction of carbon tax will bring positive effects such as increasing tax revenue, but ]the policy might cause tax resistance as it incurs the burden laid on people. Therefore, the environmental tax that is performed for a specific goal can be solved by means of economic incentives such as the tax expenditure. For example, the government can foster green technology industry as well as encourage the use of eco-friendly detergents. The government can also augment the support for tax expenditure in order to strengthen competitive edges of companies in business and reduce the burden of tax expenditure of low-income class. Tax expenditure of environmental issues in Korea accounts for approximately 2%. It is far less than in other developed countries. Taking into account that the environmental issues will become more important in the near future than now,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an expenditure in this area. Tax support should focus on such fields as R&D, environment, energy, which would bring out economic efficiency through the positive external effects that they have. Thus,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enact the clause of tax expenditure for environmental issues by utilizing the increased tax revenues from a carbon tax. Furthermore, the government should examine tax deduction and exemption, since there have been a lot of unfair practices that do not fit in the current society. The government should consider including the new clauses that have been developed recently. The government should reinvest the increased tax revenue from a carbon tax in green industry and technology as well as reforming the current taxation including corporate tax and income tax. The revenue also should be spent subsidizing the underprivileged in society. Should the increased revenue be spent on tax expenditure in environment, taxation would run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revenue-neutral tax revenue, and it would play a great role distributing incomes to low-income class, which would bring about efficiency and fairness in society.

      • KCI등재

        아시아 트릭스터담을 활용한 상호문화교육에서의 공감교육 - ‘다름’이 아닌 ‘같음’을 바탕으로 -

        오정미(Oh, Jung-Mi)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69

        이 연구는 다름을 바탕으로 한 기존의 상호문화교육의 방향과 달리 문화 간의 ‘같음’을 바탕으로 한 상호문화교육을 모색하고자 ‘공감교육’을 제안하고 있다. 공감교육이란 다르다고 생각한 타문화 혹은 이문화 속에서 같음을 발견하고, 같음을 통해서 나와 너가 수평적으로 같다는 의미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공감교육을 실현하고자 한국, 중국, 베트남, 카자흐스탄에서 전승되고 있는 ‘트릭스터담’을 소개한 후 트릭스터담을 통해 실현할 공감교육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설화 속 트릭스터는 자기중심적 삶의 욕망을 실현하는 인물이면서 동시에 정주민과 이주민이 함께 똑같은 인간으로서 공감대를 형성케 하는 인물이다. 이러한 트릭스터가 주인공인 트릭스터담은 마치 벌거벗은 임금처럼 사람들이 서로의 민낯을 공유하며 그 속에서 서로의 욕망, 상처, 치유 등의 복합적인 감정을 함께 교감하게 한다. 트릭스터담을 통해 경험하는 인간의 상처와 욕망 그리고 치유라는 다층적인 감정은 공시 및 통시적으로 모두가 공통의 삶을 살아가는 똑같은 인간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할 것이다. 즉 설화를 통해 사람들은 문화 간의 차이보다 삶의 같음을 발견하고 이 속에서 공감을 경험하는 것인데, 이것이 같음을 바탕으로 한 상호문화교육에서의 공감교육인 것이다. 트릭스터담을 통해 공감교육의 의미와 방향을 모색한 것은 최종적으로 같음을 바탕으로 한 상호문화교육의 단초를 열기 위함이었다. 문화 간의 다름뿐 아니라 같음에 주목한 상호문화교육은 결혼이주여성이 중심인 한국의 다문화사회에 반드시 필요한 교육 방향으로, 긍정적인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s intercultural education, with a focusing on ‘sameness,’ unlike conventional ‘difference-based’ intercultural education, suggesting ‘empathy education.’ ‘Empathy education’ refers to the formation of empathy in which all people are equal under the concept of ‘sameness’ by discovering sameness among different cultures. To realize this such empathy education, this study covered trickster tales that arehave been told in the Republic of Korea, China, Vietnam, and Kazakhstan and proposed contents of empathy education to be implemented through such tales. In these tales, a trickster is a character that realizes his egocentric life desire, and at the same time, isforms empatheticy, by treating both immigrants and natives equally. In trickster tales, people share everything. Specifically, they share emotions, such as desire and pain. Such multilayered emotions are experienced through trickster tales, ultimately making people realize that they are all the same with common life goals. In other words, they discover ‘sameness,’ not intercultural differences, through such tales and experience sameness-based empathy. TheA search for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empathy education through trickster tales was to introduce intercultural education based on ‘sameness.’ It is anticipated that such intercultural education focusing on ‘sameness’, not ‘difference’, would positively impact an immigrant women-led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

        현대 한국화에서 화훼의 전치효과와 알레고리

        오정미(Oh, Jung-Mi) 동서미술문화학회 2012 미술문화연구 Vol.1 No.1

        한국화가 현대회화에 포함되면서 새로운 면모를 드러내기에 이른 데는 서구의 현대적 기법의 세례를 받은 바 크다. 그 가운데서도 소재나 주제를 다루는 방식에서 혁신을 가져온 바, 보이는 형상을 묘사하고 서술하는 대신, 이를 빌려 작가의 의도나 컨셉을 이와 비교될 수 있는 사물을 빌려 전치하여 표현하는 데서 찾아볼 수 있다. 이 방식은 수묵화 계열, 특히 실경산수를 제외한 한국화의 여러 장르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났다. 원로세대로는 천경자를 시발점으로 하는 신 한국화 세대가 이 추세를 이어 받았다. 그러나 아직 이 경향은 그 이념과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는 바로 이 점에 주목한다. 이 방향에서 연구자는 전치의 방법을 사용하는 회화의 논리와 방법을 고찰한다. 광범위하게 등장하는 전치의 방법이 우리의 한국화에서 어떻게 전개될 수 있었는지를 천경자의 작품을 통하여 그 가능성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Western modern techniques have been of great influence in the process that Korean paintings became part of modern paintings and came to reveal its new aspects. Among others, one sees the influence in the renovation of the way that deals with subjects and themes, in which the artist expresses her or his own intention or concepts not just by depicting or describing things as one sees them but displacing them with the comparable things. In Korean paintings, the methods of displacing the objects to express ?isang had appeared widely in many genres but in the ink-and-wash painting, especially the realistic landscape. The young generation of the 1960s and the 1970s had represented the trend by their Korean painting movement that focused on coloring. Among the older generation, the Korean painters led by Chun Kyungja had taken up this trend. Yet, this trend does not have a proper ideology or a method established. This study addresses the paucity. A method or style may have an apparent frame but one seeks to establish its horizon more securely in line with the effort to study one`s art works.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delves into the rationale and methods of paintings that utilize displacement. It contemplates how the displacement that appears widely both in Eastern paintings came to develop in Korean paintings and what its possibilities are.

      • KCI등재

        MICE 목적지 방문 지각위험에 따른 방문 전환행동 및 충성도 연구

        오정미(Oh, Jung Mi),윤영혜(Yoon, Yoo Shik),윤유식(Yoon, Yeong Hye),이혜련(Lee, Hey Ryo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8 No.-

        본 연구는 관광 분야에서만 한정적으로 연구되던 방문 지각위험요인에 대한 연구를 컨벤션 및 전시회 등을 포함한 좀 더 확장적 의미인 MICE 분야에서 연구하여 MICE 산업의 질적 성장 배경 및 향후 MICE 목적지 위험관리 (Risk Management) 연구의 이론적 바탕으로 활용하고, 국내·외국인들의 한국 MICE 목적지 인식 제고를 통한 효율적인 마케팅 강화책으로 활용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MICE 목적지에 대한 방문 지각위험이 방문 전환행동 및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론적 접근과 실증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MICE 목적지 방문 지각위험인 기능적 위험, 시간손실 위험, 물리적·환경적 위험, 경제적 위험, 사회적·심리적 위험은 모두 참가자의 방문 전환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이중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위험은 시간손실 위험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간손실 위험 및 사회적·심리적 위험이 방문 만족도와 방문 충성도에 가장 크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방문 지각위험을 인지하여 방문 전환행동을 하더라도 MICE 목적지에 대한 충성도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동안 관광 및 소비자행동 분야에서 지각위험에 대한 연구를 MICE 분야에 적용하고 연구하여 방문 전환행동과 만족도 및 충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지각위험 요인을 도출해 내었으며, 이를 통해 향후 MICE 목적지 개발을 위한 우선순위 측정하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research on the perceived risk factor only in the field of travel, into in the field of MICE including convention or exhibition, etc.; and use it as theoretic background of risk management research, quantitative growth background of MICE industry, or theoretical background of risk management study of MICE destination in the future; and use it as effective marketing enforcement policy for reconsideration of native and foreign on Korean MICE destination. For the object of this study, the theoretical access and actual investigation were performed on the influence of visiting perceived risk about MICE destination on visiting switching behavior, level of satisfaction, and loyalty; and the result of it is as follows; First, as the destination visiting perceived risk, the functional risk, risk of time loss, physical, environmental, economical, social, psychological risk are all influential on visiting switching behavior of participants, and the most influential risk of them is the risk of time loss. Second, risk of time loss or social, psychological risk appears most negative influence on level of visiting satisfaction and visiting loyalty. Third, even though the visiting switching behavior as visiting perceived risk occurred, it appeared not influential on loyalty on MICE destina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t meaning for researching and adopting the study on perceived risk in the filed of travel or customer behavior into field of MICE, and suggesting the perceived risk factor being influential on the level of visiting change behavior and satisfaction or loyalty; and through it, it could be helpful for measuring priority for development of MICE destination.

      • KCI등재
      • KCI등재

        사례연구 : 조세환급금청구의 소송형태에 따른 문제점 고찰 -대법원 2013. 3. 21. 선고, 2011다95564 전원합의체 판결 평석-

        오정미 ( Jung Mi Oh ),김영순 ( Young Soon Kim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一鑑法學 Vol.0 No.27

        Recently, in a case for return tax request of value added taxes, the Supreme Court has rendered a judgment to recognize that the case is for a party sit as an administrative suit, changing the preexisting position of recognizing the legal relations for private laws and handling the case as a civil suit (Rendered on March 21, 2013, 2011Da95564, the supreme court decision). The supreme court made a decision in the particular case that litigation on refunded tax amounted should be dealt with ‘party proceeding’ while the litigation for refund of taxes overpaid or erroneous paid should be dealt with ‘civil action.’ This article deals with the meaning of the changing position of Supreme Court in the above case, as well as the issues on violation of jurisdiction, calculation of interest and transferring return tax of value added taxes.

      • KCI등재후보

        건강한 다문화 사회를 위한 동화 「인어공주」의 스토리텔링의 방향

        오정미(Oh, Jung-mi)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5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0 No.-

        동화는 흥미와 교훈을 주는 문학으로서뿐 아니라 인간의 무의식 나아가 인류의 문화를 이해하는 도구로써 활용되어 왔다. 흥미와 교훈 이상의 의미를 이끌어내는 이러한 다양한 해석은 현대사회에서 주목하는 스토리텔링의 과정과 다를 바 없다. 이야기를 통해 평범한 것을 특별한 것으로 만들어주는 것이 스토리텔링이라는 관점 아래서 보면, 스토리텔링은 오래전부터 진행되고 있었던 것이다. 스토리텔링의 이와 같은 정의아래, 슬픈 사랑의 이야기인 「인어공주」를 다문화교육을 위한 특별한 이야기로 재해석하여 스토리텔링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결혼 이주’라는 특수한 이주에 대하여 비판적 성찰을 하고자 「인어공주」를 스토리텔링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주인공 ‘인어공주’를 왕자가 사는 육지로 편입한 이주자로 상정하였다. 더 이상 ‘인어공주’는 바닷속에 사는 환상 속의 여인이거나 물거품이 된 비련의 여주인공이 아닌 것이다. 그래서 ‘인어공주’가 물거품이 되기까지를, 이주자 문화적응의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어공주는 스스로 인어의 지느러미를 포기하며 주체성을 포기하는 이주자로, 또한 목소리를 잃으며 소통의 능력까지 상실하는 이주자로, 결국 주체성과 소통의 능력이 결여된 종속의 문화적응을 하는 이주자로 분석하였다. 주체성과 소통의 중요성은 다시 「인어공주」의 패러디 동화인 「상어를 사랑한 인어공주」를 통해 확인하였다. 즉 원작 「인어공주」가 결혼을 통한 이주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데 활용되었다면, 패러디 동화인 「상어를 사랑한 인어공주」는 통합의 문화적응에서 가장 중요한 상호주체성에 대하여 서사를 통해 확인시켜 준다. 이처럼 「인어공주」는 현대의 다문화사회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게 하며, 건강한 다문화사회를 모색하기 위한 스토리텔링의 제재로서 가치를 가진다. Fairy tales have provided funny and lesson as literature and have been used as a method for understanding of cultural anthropology. The imparting process with meaning beyond funny and lesson can be told as storytelling in contemporary society. Ordinary story can be reinterpreted by storytelling to be particular meaning. Under defined storytelling process, this study would like to reinterpret The Little Mermaid to give the direction of storytelling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fairy tales. In this study, The Little Mermaid known as tragic love story is reinterpreted as a story which is talking a critical view on the risk of immigration through marriage. For the storytelling, the mermaid was represented as a migrated female who dreams to move to lands where the prince lives. Under storytelling, the mermaid is not any longer female in illusion fantasy and a heroine in a tragic story. Hence The Little Mermaid is newly described and analyzed under acculturation of immigrants. As a result of storytelling, the little mermaid is reinterpreted as immigrant who gave up independency by losing her fin and who is lacking of communication by losing her voice. Consequently the little mermaid is representative showing subordination type in acculturation. Presenting the problem of subordination types in The Little Mermaid and then suggesting new model of acculturation, integration type, with The Mermaid who Loves Shark which is parody of The Little Mermai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