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레닌기치』를 통해 본 1980년대 후반 고려인사회의 한국인식 변화

        오세호(Oh, Se-ho) 북악사학회 2020 북악사론 Vol.11 No.-

        본 논문은 고려인사회의 한국인식 변화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980년대까지 고려인사회의 한국인식은 부정적인 것이었다. 고려인사회를 대표하는 『레닌기치』는 1980년대 이전까지 한국을 경제적 후진국이자 ‘반인민적독재정체’가 자행하는 ‘독재의 폭압’에 고통 받는 인민들이 사는 곳으로 인식했다. 그러나 1970~1980년대 장기간의 경제침체 이후 변화를 추구했던 고르바초프 정권 시기 고려인사회도 변화와 개방 흐름 속에서 한국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기 시작했다. 소련이 참가했던 1988년 서울올림픽은 고려인들에게 한국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킨 계기가 되었다. 올림픽이 열리던 한국은 고려인사회가 지금까지 경제·정치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의 대상으로 인식하던 곳이 아니었고, 이는 인식변화의 계기와 함께 한국 사회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고려인사회의 한국인식 변화는 1989년 세계한민족체육대회에 참가를 통해 심화되었다. 세계한민족체육대회에 참가했던 고려인들은 신문에 변화된 한국의 경제·사회상을 소개했다. 이러한 소개를 통해 한국에 대한 고려인사회의 관심도 더욱 커졌다. 이후 한국과 소련과의 외교·경제 교류가 확대되는 과정 속에서 고려인사회의 한국인식과 관심도 꾸준히 증가해 나갔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Korean recognition change process of the Soviet Korean society. Until the 1980s, the recognition of Korea was negaive to the Soviet Korean societ y. U nt il t he 1 980s, “Lenin G ichi”, w hich r epresent t he S oviet Korean societ y, regarded the Korea as an economically less developed and autocrat ic state. However, the Soviet Korean societ’s recognition of Korea started to change in the period of the Gorbachev regime, which sought to change after the prolonged economic downturn in the 1970s and 1980s. The 1988 Seoul Olympics, which the Soviet Union participated, was an opportunity to change recognition of Korea. The Soivet Korean society started to get an intrests to the Korea society through the 1988 Seoul Olympics. The Change of the Soviet Korean societie’s recognition of the Korea deepened thorugh the participation to the World Korean Athletic Meeting. The Soviety Koreans, who participated the World Korean Athletic Meeting, wrote articles, which introduced Korean economical and social change. Through these introductions, the Soviet Koran societie’s interest of the Korean society has also increased. Since then, the Korean consciousness and interest of the Soviet Korean people were steadily increased in the process of expanding exchanges between Korea and the Soviet Union.

      • KCI등재SCOPUS
      • KCI등재

        김규면의 만주·연해주 한인부대 통합 노력과 대한의용군사의회(1921~1922)

        오세호(Oh, Se-ho)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2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78

        한인사회당 군사부위원들과 김규면은 청산리전투 이후 독립군들을 러시아 지역으로 이동시켜 한인부대를 통합하고자 노력했다. 이는 소비에트 러시아의 군수 물자 지원과 통일된 지휘체계를 기반으로 한인통합부대를 조성해 ‘독립전쟁’을 이어나가기 위함이었다. 그 결과 북간도와 러시아 원동 지역의 독립군들은 1921년 3월에 개최된 전한의병대회를 통해 ‘사할린특립의용대’로 통합되었다. 그러나 상해파와 이르쿠츠크파로 대표되는 한인 사회주의 세력과 1920년부터 동아시아 혁명사업의 주도권을 두고 갈등해 온 소비에트 러시아 정치세력들 간의 갈등은 통합한인부대의 주도권을 둘러싸고 더욱 깊어졌다. 결국 사할린특립의용대로 통합된 한인 독립군들은 독립운동 역사상 가장 비극적인 사건인 자유시참변을 겪게 되었다. 자유시참변으로 인해 김규면과 한인사회당 군사부은 한인통합부대에 대한 전략을 수정해야만 했다. 김규면과 한인사회당 군사부는 ‘의용군’들이 활동할 수 있는 지역에서 다시 한번 한인통합부대를 재건하고자 했다. 그 결과 한인사회당 군사부 위원들은 이만에 주둔하고 있던 군비단과의 협력을 통해 군비단을 대한의용군으로 재편하고, 그 상위기관으로 대한의용군사의회를 조직했다. 한인사회당은 대한의용군사의회를 중심으로 한인통합부대를 재건하고자 하였다. 김규면과 대한의용군사의회의 노력으로 우수문 노동대가 석방되어 1922년 1월 대한의용군을 중심으로 한 통합한인부대로 재편되었다. 이동휘는 채영과 이다물, 황하일 등과 함께 이만 지역으로 고려혁명군을 이동시켜 대한의용군사의회를 중심으로 다시 한번 한인통합부대를 조직하고자 노력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1922년 3월 고려혁명군 간부진이 채영과 이다물, 황하일 등 주요 인사들을 체포함에 따라 실패하고 말았다. 대한의용군 내부에서는 1922년 특립보병중대로 재편되어 군정위원으로 임명된 한족공산당 고려부 계열과 전 사할린특립의용대원들 간의 갈등이 깊어졌다. 이들의 갈등은 고려혁명군의 편입 문제를 두고 폭발했다. 한족공산당 고려부 계열은 대한의용군 사령부가 고려혁명군을 원동지역으로 ‘불법적’으로 이동시켜 대한의용군사의회에 편입시키려 한다며 반발했다. 결국 이용은 사령관직에서 물러났고, 대한의용군 제2, 3중대원들은 원동공화국에 의해 무장해제를 당하며 대한의용군은 사실상 해체되는 운명을 맞이했다. 이어 1922년 5월 일본군이 원동지역에서의 철수를 결정하자 대한의용군사의회는 그 해 7월 정식으로 해체를 결정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대한의용군의 해산 문제는 베르흐네우딘스크 고려공산당연합대회에서 자유시참변과 함께 첨예한 논란의 중심으로 떠올랐다. After the Battle of Cheongsan-ri, the deputy military commissioner of the Korean Socialist Party and Kim Gyu-myun moved their Independence Army to Russia to unite the Korean troops. The move was aimed at continuing the ‘War of Independence’ by establishing an integrated Korean unit based on Soviet Russia’s military supplies and a unified command system. As a result, the Independence Army of the North Gan-do and the Russian Far East were integrated into the ‘Sakhalin Special Volunteer Corps’ through in March 1921. However, the conflict between the Korean socialist groups represented by the Shanghai and Irkutsk and the Soviet-Russian political forces, which have been at odds over the leadership of the East Asian Revolution since 1920, has deepened. In the end,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which was integrated into the ‘Sakhalin Special Volunteer Corps’, was hit by the Tragic Incident of Rusian Freedom City, the most tragic event in the hist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Due to the Tragic Incident of Rusian Freedom City, Kim Gyu-myun and the deputy military commissioner of the Korean Socialist Party had to revise their strategy for the united Korean Independence Army. Kim Gyu-myun and the deputy military commissioner of the Korean Socialist Party tried to rebuild the united Korean Independence Army in an area where ‘volunteer forces’ could operate. As a result, the deputy military commissioner of the Korean Socialist Party reorganized Kunbidan through the Taehanuiyonggun (Korean Voluntary Army) by cooperating with Kunbidan in the Iman city. However, such efforts failed in March 1922, when senior officials of the Koryo Revolutionary Army arrested key figures such as Chaeyoung, Lee Dam-ul, and Hwang Ha-il. Also, Conflicts deepened within the the Taehanuiyonggun, which was reorganized into a ‘special infantry company’ in early 1922. In the end, the Taehanuiyonggun was virtually disbanded. The Japanese military decided to withdraw from the Far East in May 1922, and the Taehanuiyonggun officially decided to dismantle it in July of the same year.

      • KCI등재

        ‘1920년 독립전쟁’ 시기 독립군들의 동향 재검토

        오세호(OH Se-ho) 한국근현대사학회 2021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96 No.-

        In the 1910s, Korean communities abroad, including Manchuria and Primorsky, prepared for a war of independence in order to regain national rights in their homeland. When the March First Movement broke out in 1919, the Korean community in Manchuria and Primorsky organized an independent army and embarked on a war of independence. Koreans from many backgrounds and ideas who lived in Manchuria and Primorsky continued their war of independence in order to restore their country’s sovereignty. The Battles of Bongodong and Cheongsanni were also part of the ‘Independence War in 1920’. After the Battle of Bongodong, the independent armies in North Kando held a joint meeting of independent army organizations led by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s a result, independent armies in North Kando were organized into three military organizations under the plan of integration into Mindan(民團) and Corps(軍團). However, this is only a temporary integration. As a result, ‘alliance of three organizations’, which led to victory in the Battle of Bongodong, was dissolved. When conflicts arose between the Gunmudodokbu(軍務都督部) and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大韓國民會), Hong bumdo led his forces to move to Helong, while Choi Jin-dong led the military governorate to Wangqing. Ahn-mu and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established their own military organization, the Korean National Military Command, and moved to Helong. Choi Jin-dong returned to Wangqing to rebuild his military strength and continued the War of Independence. Ahn-mu continued the Independence war to conduct an advance operation to Korea, while rebuilding its military strength. The Daehan Sinmindan had close relations with Lee Dong-hwee and fought the War of Independence. After the merger with the Korean Socialist Party, the headquarters and Hunchun branch took part in the Russian Civil War in Primorsky and took a strategy to fight the War of Independence. On the other hand, Wangqing branch supported the movement for the unification of the independent army centered on Hong Beomdo in North Kando. 1910년대 만주와 연해주 등 해외 한인사회는 조국의 국권을 회복하기 위해 독립전쟁을 준비해 나갔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만주와 연해주 한인사회는 독립군을 조직하고 독립전쟁에 나섰다. 만주와 연해주에 거주하던 수많은 배경과 사상을가진 한인들은 각자의 방법으로 조국의 국권회복을 위해 독립전쟁을 이어나갔다. 봉오동전투와 청산리전투도 이러한 ‘1920년 독립전쟁’ 중 한 부분이었다. 봉오동전투 이후 북간도 지역 독립군들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파견원들을 중심으로 독립군단체 연합회의를 개최하여 통합을 위해 노력했다. 그 결과 민단과 군단으로 이원화된 통합 방안에 따라 북간도 독립군은 3개의 군무기관으로 편성되며 통합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는 일시적인 통합에 그치고 말았다. 그 결과 봉오동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던 ‘3단 연합’이었던 대한북로독군부는 해체되었다. 군무도독부와 국민회 간 갈등이 발생하자 홍범도는 부대를 이끌고 화룡현으로 이동했고, 최진동은 군무도독부 세력을 이끌고 왕청현으로 이동했다. 안무와 대한국민회는 자체 군사기구인 대한국민군 사령부를 창설해 화룡현으로 이동했다. 최진동은 왕청현으로 돌아와 전력을 재정비하고 독립전쟁을 이어나갔다. 안무는 청산리전투를 앞두고 전력을 재정비하는 한편, 국내진공작전을 시도하며 독립전쟁을 이어나갔다. 대한신민단은 이동휘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독립전쟁을 수행해 나갔다. 대한신민단은 한인사회당과의 합당 이후 본부와 훈춘지단은 연해주에서 러시아 내전에 참전하며 독립전쟁을 수행하는 전략을 취하는 한편, 왕청지단은 북간도에서 홍범도를 중심으로 한 독립군 통합운동을 지원해 나갔다. 청산리전투 이후 이동휘와 김규면 등은 독립군들의 전력을 재정비하기 위해 중로연합선전부를 중심으로 독립군을 러시아 지역으로 이동시켜 재정비하기 위해 노력했다.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