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척수 경막하 출혈로 인한 하지마비 환자의 한방치료를 통한 근력 및 감각 호전 1례

        오세정,임성철,이윤규,김재수,이현종,Oh, Se Jung,Lim, Seong Chul,Lee, Yun Kyu,Kim, Jae Soo,Lee, Hyun Jong 대한침구의학회 2014 대한침구의학회지 Vol.31 No.3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clinical effects of Korean medical treatment for spinal subdural hematoma associated with anticoagulant drug. Methods : The patients were treated using acupuncture, electroacupuncture, herbal medication, moxibustion and physical treatment. And we checked American Spinal Injury Association scale, Spinal Cord Independence Measure Version III. Results : Motor score on the American Spinal Injury Association scale is increased 50 to 72. Sensory score on the American Spinal Injury Association scale is increased 124 to 170. Spinal Cord Independence Measure Version III is increased 18 to 26.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 that Korean medical treatments are effective to spinal subdural hematoma patient.

      • KCI등재후보

        신화의 의미작용과 제의화의 원리

        오세정(Oh Se-Jeong) 실천민속학회 2007 실천민속학연구 Vol.10 No.-

        신화는 다른 문학 텍스트와 달리 비교적 단일한 의미로 해석되는 경향이 강하다. 이는 신화가 일반 문학 텍스트의 해석과는 달리 특정한 의미작용의 규칙에 지배받는다는 점을 나타낸다. 신화 텍스트는 현실의 세계를 기준으로 볼 때 가장 비합리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재현된 세계의 규칙도 비논리적인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화는 오랜 기간 동안 특정한 의미체계를 형성하고 정전적인 내용을 유지할 수 있었다. 그 원인은 신화가 제의라는 의사소통의 틀 속에서 메시지로 존재하며, 제의화의 원리 속에서 의미작용하기 때문이다. 의사소통, 의미작용을 강제하는 인식틀로서 제의를 바라보는 시각은 제의와 신화를 언어와 행위라는 단순화의 논리를 넘어서게 하고, 세계를 창조하고 의미를 생성하는 틀로서 제의를 새롭게 자리매김 한다. 일상적 언어 규칙과 달리 제의 속에서는 표현된 것과 지시하는 것 사이에 강력한 관계를 형성시키는 의미작용이 일어난다. 일반적 언어기호가 자의성에 따른 선택의 사회적 약속이라면, 제의화에 따른 의미작용은 전형화된 제시와 반응 패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공동체 내부의 정서적 결속과 인식의 합의가 도출될 수 있다. 인간의 다양한 의사소통의 양식 중에서 제의는 인간의 존재론적 한계와 그에 따른 욕망이 만들어낸 소통 양식이다. 여기서 소통되는 메시지는 인간의 근원적 몸부림과 사고방식이 녹아 있다. 제의화의 의미작용은 상징과 유사하게 언어 외적 세계와 밀착된 관련을 맺는다. 상징과 마찬가지로, 비록 언어화된 신화라도 외부 세계, 즉 초월적 존재와의 소통, 근원적 세계의 힘과 결합됨으로써 신화를 수용하는 인간들의 삶 속에서 재생된다. 요컨대, 제의는 사람들이 자신의 세계를 창조하고 수용하며, 소통하게끔 강제하는 틀이다. 이 제의 연행 속의 의미작용, 즉 제의화는 힘과 형식의 결합에 관한 전형화된 유형을 제공하며 인간의 일상적 기호작용이 포섭하지 못하는 무언가 근원적 영역을 감당하는 것이다. 상징적 영역으로 명명할 수 있는 이 영역에 대한 언어적 구성물이 바로 신화이다. 제의와 신화의 관계를 이 같이 설정함에 따라, 기호화되어 생성되는 신화 메시지의 해석방식을 도출하기가 용이하며, 의사소통 체계 속에서의 효과, 나아가 신화 전승집단의 사유방식의 내적 원리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is a research into the signification of the myth in relation to the ritual and ritual communication. Compared with other narrative genres, the myth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s contents are the stories about the marvelous achievements of a divine existence and that it is accepted as a true and real story through the process of its transmission.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myth can be understood in the relation with the ritual which is frame of formation and communication of a myth. The ritual, one of the communicative actions to bring forth and communicate the meaning, has the strong formal rules. The ritual not only does form a specific message, but also forces the its participants into the specific communication. In the ritual, a myth becomes the message of this ritual communication field, a myth is communicated and transmitted as a divine story or a true story. The signification of myth, that is to say ritualization combines referents which are beyond human's ordinary limitation and experience with the sign. The effect of ritualization is very much alike symbolism. Symbol is combination of power and form to represent something transcendental and natural, and that feature of symbol have application to myth. The ritual as a communication type is result of human being's overcoming own ontological limitation. Men always have desire to communicate the supernatural and combine himself with power of the original world. And then men make desire an actuality through the myth. Through the researching the signification of myth, we can extend our knowledge and deepen understanding of myth, ritual and fundamental way of thinking.

      • KCI등재

        한국 설화에 나타난폭력의 형상화와 의미화에 관한 연구

        오세정 ( Se Jeong Oh ) 한국기호학회 2014 기호학연구 Vol.38 No.-

        본 논의의 목적은 설화를 대상으로 폭력의 뮈토스에 접근하는 것이다. 폭력은 인간의 사회·문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키워드이며, 설화는 전승집단의 사유와 문화를 잘 응축하고 있다. 이야기는 최초의 안정된 상태에서 변형되며 이 상태에서 다시 이상적 상태로 복원 내지 재변형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이 변화의 과정에 작용하는 힘들을 중심으로 폭력의 설화들을 설정할 수 있고, 이를 다시 드러난 폭력과 드러나지 않은 폭력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최초의 상태에서 가해지는 폭력이 악행으로 인지되는 경우를 드러난 폭력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폭력은 집단 내 전형적인 악행이며 따라서 폭력을 행사한 사람들은 그것을 은폐하려 하며 희생자나 그와 관련된 인물들은 악행을 드러내고 징치하려 한다. 이 이야기는 욕망과 악의 문제, 악에 대한 처벌의 문제에 초점이 맞추어 진다. 여기에는 선과 악, 강자와 약자의 대립적 의미체계가 형상화되며, 징악(懲惡)의 주제가 부각된다. 최초의 상태에 가해진 힘에 대한 반응으로서 행해지는 힘이 폭력인 경우가 있다. 이러한 폭력은 드러난 성격과 상관없이 정당화되고 합리화되기 쉽다. 서사 전개는 대응 행위로서 폭력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논리를 세우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폭력에 관한 이 이야기들은 체제 순응의 이데올로기를 강화하거나 집단의 중심 가치관을 내면화시킨다. 이러한 의미를 생성하고 유포하는 과정에서 폭력의 희생자는 몰개성화되고 폭력은 정당화된다. 또한 공동체의 주요 이념을 실현한 희생자에 대한 보상을 통해 권선(勸善)의 의미가 강조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violence mythos in Korean folktales which is condensed thinking method and cultural memory of transmission groups. Violence in Korean Folktales can be typified in the following two. One is exposed violence which is the core action of the beginning the narrative and determine the future course of the entire narrative and the other is hidden violence which is the act of as a reaction or counteraction to a force that changes the first state in the narrative. The exposed violence in tales is undisputed evil act therefore the perpetrators try to conceal their own violence and the victims or persons who are related the victims try to reveal the evil act and punish the perpetrators. These tales reveal the ethical system of good and evil and lay great emphasis on the significance of punishing evil.The hidden violence in tales is considered as counteraction to first act of violence and that is easily justified. These tales are building a inevitable logic of the counteraction. They strengthen the ideology to support the existing system dealing with political issues and make people to internalize the main value of the group encouraging good through the victims` sacrifice. In this process, the victims of violence are depersonalized and perpetrators` acts of violence are justified.

      • KCI등재
      • KCI등재

        Dihydropteridine Reductase 결핍증 1례

        오세정(Se Jung Oh),홍용희(Yong Hee Hong),이용화(Yong Wha Lee),이승태(Seung Tae Lee),기창석(Chang Seok Ki),이동환(Dong Hwan Lee) 대한의학유전학회 2009 대한의학유전학회지 Vol.6 No.2

        저자들은 생후 3개월에 전형적인 페닐케톤뇨증으로 진단받고 식사요법을 유지하였으나 지연된 발달 소견 및 지능 저하를 보이고 경련 증상이 있었던 9세 남자 환아에서 효소 검사와 유전자 분석으로 dihydropterine reductase (DHPR) 결핍증을 진단하였다. 그리고 BH₄, 신경전달물질 전구체 투여 및 엽산보충으로 DHPR 결핍증을 치료한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Tetrahydrobiopterin (BH₄) deficiency is caused by mutations in genes encoding enzymes involved in the synthesis and regeneration of BH₄. The condition is usually accompanied by hyperphenylalaninemia (HPA) and deficiency of neurotransmitter precursors L-dopa and 5-hydroxytryptophan. BH₄ deficiency is much rarer than classical phenylketonuria. Dihydropteridine reductase (DHPR) deficiency, an autosomal recessive genetic disorder, is a cause of malignant hyperphenylalaninemia due to BH₄ deficiency. When left untreated, DHPR deficiency leads to neurologic deterioration at the age of 4 or 5 months, including psychomotor retardation, tonicity disorders, drowsiness, irritability, abnormal movements, hyperthermia, hypersalivation, and difficulty swallowing. Treatment of DHPR deficiency should be initiated as early as possible with BH₄ supplementation and replacement of the neurotransmitter precursors L-dopa and 5-hydroxytryptophan. We report the first case of DHPR deficiency in Korea, a child diagnosed at 9 years of age by genetic testing.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창세신화 <창세가>에 나타난 신, 자연, 인간의 관계

        오세정(Oh, Sejeong)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7 인간연구 Vol.0 No.33

        일반적으로 신화론에서는 신과 지상의 존재들의 관계는 일원론적·유기체적 세계관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세상이 처음 만들어질 때의 이야기인 창세신화에서는 더욱 이 세계관이 강하게 드러난다. 히브리의 <창세기>에서는 절대적 창조신이 세계와 존재들을 직접 창조하며, 중국의 창세신화에서는 신이 생겨나고 그 신을 모태로 삼아 나머지 존재들이 탄생한다. 그런데 한국의 <창세가>에서는 인간은 창조신인 미륵이나 석가가 직접 창조하지만 다른 자연물들은 그렇지 않다. 자연물들의 출처를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미륵에 의해서 천지가 분리되고 세상이 만들어지자 그때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신과 인간은 창조자와 피조물, 지배자와 통치자의 관계를 형성하는 반면, 신과 자연, 인간과 자연은 그만큼 밀착된 관계를 형성하고 있지 않다. <창세가>에 따르면 태초의 창조 이후 세계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한다. 신은 인간을 창조하였지만, 인간이 피조물로서의 부채의식 가져야할 대상 신은 사라지고 악신이 등장하여 인간세계를 타락시킨다. 인간의 타락과 말세의 도래에 대한 책임은 인간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신들에게 있다. 태초의 인간의 탄생이 천상에 기반을 두었다면, 이후 타락한 세계의 인간은 지상의 자연물들처럼 탄생한다. 동시에 이들은 속임수와 화식과 같은 반자연적 속성과 행태를 보인다. 결국 인간의 타락은 태초의 신과 자연과 이중 분리를 의미하며, 신, 자연, 인간이라는 세존재의 관계 체계에서 이탈과 고립을 의미한다. 미륵의 도래는 인간의 힘으로 어쩔 수 없는 영역의 일이지만, 최소한 남은 인간은 자연과의 소통, 관계맺음이 필요한 것이다. This paper studies the relationships among God, nature, and humans in Changsega, the Korean myth of creation. In general, the relationship of all beings in myths, particularly those related to creation, are characterized by a monistic and organic worldview. However, their relationships in Korea’s creation myth is quite heterogeneous with the Hebrew’s Genesis and the Chinese creation myths. In many myths, including those of the Hebrews and Chinese, God creates beings or they are born from the corpse of the God who created the world. Only human beings are created by God; other beings seem to be borne separately after the world has been opened. Thus, God and man form close relationships representing “creator-creature” or “ruler-subject”; other relationships do not seem to represent such connections. Changsega describes the beginning of the world well. The first God, who created the world and humans, disappeared and a second God appeared and corrupted the human world. According to this myth, the cause of the corruption and the end of the human world is not man but God. The next human beings born on the earth are close to nature, but they have a culture that seems contrary to it, such as cheating and eating cooked food. At this point, human beings are separated from God and nature. Human beings cannot recall the first God, Maitreya by their own power, but at the very least, they need to communicate and make connections with nature.

      • KCI등재

        지표성으로 본 한국 전설의 유형론

        오세정(Oh Se Jeong) 한국구비문학회 2019 口碑文學硏究 Vol.0 No.54

        전설은 증거물에 대한 이야기이거나, 어떤 사건을 증거물에 담아 전하는 이야기라 할 수 있다. 전설 텍스트를 증거물, 즉 지시대상에 대한 지표로 볼 때, 지표성을 중심으로 지시대상에 작동하는 전설 기호의 성격을 도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설에 대한 새로운 유형화가 가능하며, 이 유형화를 토대로 전설에 대한 논의를 다양화ㆍ다각화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전설에서 확인할 수 있는 지표성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증거물의 존재와 관련된 전설에서 이전에 존재하지 않던 대상이 생겨난 이유가 드러나는 경우는 이 전설이 증거물의 존재를 증명하는 것으로 ‘증명성’이라 칭할 수 있다. 그렇다면 논리적인 관계항으로 이전에 존재했던 대상이 사라지게 된 원인을 밝히고 있는 전설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주로 대상이 사라지게 된 원인을 중심으로 이야기되며, 그 결과로서 증거물이 소멸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전설의 경우 그 지표성을 ‘인과성’으로 칭하기로 한다. 증거물의 존재가 새롭게 생겨나거나 소멸하는 것과 달리 재탄생 내지 재의미화되는 경우가 있다. 이미 존재하던 대상에 이름을 붙이거나 어떤 특성이 부각되고 각인되어 다른 대상과 구별되는 특성을 갖게 되는 경우이다. 이때 전설의 지표성은 ‘유일성’이라 칭할 수 있다. 증거물의 존재에 관련된 이야기가 아닌 증거물 자체 혹은 그 증거물의 특정한 성격을 주요 내용으로 삼는 전설이 있다. 이때 전설은 증거물을 가리켜 그 대상의 존재나 대상의 주요 속성 중 특정한 가치관을 떠올리게 한다. 이때 전설의 지표성은 ‘환기성’이라 칭할 수 있다. 전설이 증거물이 지니는 특이한 속성, 예컨대 신이함이나 영험함, 비극성이나 희극성 등에 초점을 맞춘 경우가 있다. 이는 전형화되거나 널리 알려진 성격을 환기시키는 차원이 아니라 대상의 특이한 자질을 부각시키는 것으로, 이 지표성은 ‘강조성’이라 칭할 수 있다. 이밖에 전설이 증거물과 관련된 행위나 인식 등이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음을 중요하게 이야기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전설의 지표성은 ‘지속성’이라 칭할 수 있다. A legend can be a story about evidence, or which conveys an event through evidence. Considering a legend as an index objects(evidence), legends can be understood as signs that work on objec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ex.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new typology of Korean legends. Accordingly this typology will diversify the study of these legends. The idex characteristics of Korean legends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six categories. ▸Attestation: A legend that reveals why an object was born that did not exist previously. This legend type attests to the very existence of the object. ▸Causality: A legend that reveals why a previously existing object disappeared. This legend type focuses on the cause of the object’s disappearance. ▸Singularity: A legend that reveals how an existing object receives a new name or meaning. This legend type illustrates the singularity of the object. ▸Reminiscence: A legend that reminds us of an obect’s presence or an object’s widely known value. This legend type has the function of evoking the object. ▸Emphasis: A legend that highlights an object’s mysterious or unusual character. This legend type mainly deals with special cases. ▸Continuity: A legend that reveals how actions or perceptions related to an object continue to this day. This legend type focuses on the present rather than the past.

      • KCI등재

        현대 문화콘텐츠의 서사 세계 연구 - 가능 세계 분석을 통한 세계관 규명과 설화의 세계관 이해

        오세정 ( Oh Se-jeong ) 한국기호학회 2021 기호학연구 Vol.67 No.-

        현대의 많은 문화콘텐츠는 구술 매체에 의해 생성·소통되었던 설화, 즉 신화·전설·민담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또한 문화콘텐츠가 추구하는 상호작용성의 성격이 구술 문학인 설화의 연행 맥락과도 유사한 점이 많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현대 문화콘텐츠의 다양한 서사를 연구하는 새로운 방법론이 기획되어야 한다. 프레임은 놀이나 의례의 상황에서 현실 세계와 분리되는 새로운 세계와 그 질서가 어떻게 구축되는지를 잘 설명한다. 현대의 문화콘텐츠가 추구하는 상호작용성과 다양한 세계 구성을 이해하는 데에도 프레임의 관점이 잘 맞아떨어진다. 이러한 프레임의 개념을 서사 분석에 도입하면, 현실 세계와의 단순한 모방 관계가 아닌 다양한 세계들과 그 관계들로 허구 텍스트를 이해하는 가능 세계 이론과 접목할 수 있다. 본 논의에서는 문화콘텐츠의 다양한 서사를 일관된 관점에서 논의하기 위해 콘텐츠의 세계관을 중심으로 가능 세계 이론을 적용하였다. 텍스트와 관련된 가능 세계는 텍스트의 실제 세계, 그것이 참조한 텍스트의 지시 세계, 현실의 실제 세계가 있다. 이들 세계의 특성과 세계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면 세계관은 텍스트의 지시 세계임을 알 수 있다. 이 세계들의 관계 양상을 신화·전설·민담에 적용하면 각 갈래별 세계관을 도출하고 유형화할 수 있다. 논의의 결과는 문화콘텐츠의 세계관 설정이나 분석에 있어서 참조 사항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 lot of contemporary cultural contents are common in that they actively utilize the oral narratives; myths, legends, and folktales that have been created and communicated by oral media. In addition, the interactivity pursued by cultural contents has many similarities with the performance context of oral narratives. Therefore, based on these points, a new methodology to study various narratives of contemporary cultural contents should be planned. Frame well explains the construction of new worlds and orders that are separated from the real world in the context of a play or rite. The perspective of the frame fits well in understanding the interactivity and diverse world composition pursued by contemporary cultural contents.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frame into narrative analysis, it can be combined with the theory of the possible world to understand the worlds of text distinct from the real world. In order to discuss various narratives of cultural contents from a consistent point of view, the possible world theory was applied centered on the world view of contents. The possible worlds related to the text are the textual actual world(TAW), the textual referential world(TRW) and the actual world(AW). If we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world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we can see that the world view is the textual reference world. By applying the relational aspects of these worlds to myths, legends, and folktales, a world view for each genre can be derived. The result of this discussion can be a reference for setting or analyzing the world view of cultural cont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