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 가족의 돌봄 스트레스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양희택(Hee-taek Yang)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24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10 No.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 가족을 대상으로 전체 장애 유형을 포괄한 장애인 가족의 돌봄 스트레스와 주관적 삶의 질 정도를 알아보고, 주관적 삶의 질에 돌봄 스트레스의 영향력을 검토하여 장애인 가족의 주관적 삶의 질을 높이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방법: 장애인가족지원센터의 지원을 받아 설문지를 배포하고 수거한 설문 중 최종 356개를 중다 선형 회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분석 결과로는 첫째, 장애인 가족이 인지하는 돌봄 스트레스는 보통을 넘어 심각 단계로 접어들고 있으나 주관적 삶의 질은 비교적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돌봄 스트레스는 주관적 삶의 질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가족 특히 주돌봄자의 돌봄 스트레스를 줄이는 심리정서적 지원과 장애인 당사자를 위한 제도적 지원뿐 아니라 장애인 가족 구성원 전체를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강구 하여야 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the effects of care stress on subjective quality of life among family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y and finding out the care stress level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level. Also this study suggested method enhanced on subjective quality of life among family of the person with disability Total 356 samples were used for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ho family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y. SPSS 26.0 was used for statistics. The analysis methods were descriptive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rst, the family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y recognized a serious level of care stress and satisfaction level of subjective quality of life. The Second, the care stress was negative related to subjective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a number of practical suggestion were made in order to improve family function and reduce care stress of family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y.

      • KCI등재

        화상장애인이 인식하는 차별정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양희택(Yang Hee-taek)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社會科學硏究 Vol.27 No.1

        본 연구는 화상장애인들이 인식하는 차별인식 정도에 장애, 심리적, 사회복지서비스 이용 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조사는 연쇄의뢰 표집(snowball sampling)과 의도적 표집(purposive sampling)방법을 이용하여 선정된 화상장애인 250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상장애인의 20-50대 비율이 높았다. 둘째, 화상장애인들의 화상 후장애등급과 장애유형을 살펴보면 화상 후 장애등급은 “없다”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3도 이상의 중증도도 매우 높아 화상정도가 깊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심리적인 대부분의 항목에서 문제를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사회복지서비스 영역별 이용이 매우 낮았으며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 영역 욕구로 경제지원서비스, 의료재활서비스, 직업재활서비스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응답자의 차별 경험에서는 차별을 받은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경우가 더 많은 수를 차지했다. 차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성별과 연령, 안면장애를 기준으로 한 장애유형, 지속기간, 중증도, 심리적 문제 인식정도 요인(변수)이 차별인식 정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였다. 첫째, 화상장애인들의 장애등급 판정이 현실화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화상장애의 후유증으로 인한 심리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화상치료 초기단계에서부터 실천적 접근이 반드시 필요하다. 셋째, 화상 장애의 특성을 고려한 사회복지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 화상 발생 후 후유증으로 인한 우울, 불안, 두려움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용하는 사회복지서비스는 매우 낮았다. 따라서 화상 장애 특성을 적용한 사회복지서비스의 개발과 이에 대한 홍보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This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among disabled people with severe burns on the basis of personal experience with discrimination, and then to suggest effective political approaches for them. 250 disabled people with severe burn are investigated using snowball sampling and purposive sampling.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most subjects are comprised 20-50 aged. Secondly most subjects had no registered disabled people after burning. Thirdly, they perceive the severity of problem psychologically. In addition, few use social welfare service but desire to use economic support service, medical rehabilitation and job rehabilitation service in sequence. The influencing factors relation to discrimination are analyzed as the type of disability, the duration of disability, severity, and the perception of psychological problem significantl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andards of registration for disabled people with burns need to change in reality. Secondly, social work practice for disabled people with severe burns should be provided at the beginning of medical treatment inclusively. Third, social services should be developed considering the features of severe burns. Furthermore, specific and realistic approach to support the disabled people with severe burns needs to be established and need to be promoted in advocacy of minor disabled people with severe burns.

      • KCI등재후보

        신체장애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요보호 2세대 가족 지원을 위한 탐색적 연구

        양희택(Yang, Hee-Taek)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21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장애인이 2인 이상 있는 가정 즉, 요보호 2세대(특히 자녀와 부모가 함께 장애를 가지고 있는 가정) 장애인가족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나 욕구 등 실태를 파악하고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적으로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른 제언으로 첫째, 요보호 2세대 신체장애인 가족을 대상으로 가구중심의 지원체계 구축 및 운영, 둘째, 현실을 감안한 포괄적인 적용, 셋째, 치료기관의 확충과 치료비용의 현실화 및 지원내용과 규정의 상향조정, 넷째, 의료비용에 있어 특례적 지원, 다섯째, 지역사회 활동과 참여 지원을 통한 일상생활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 여섯째, 임대아파트(지원주택 등)의 갱신규정과 갱신내용의 합리적 개선방안 마련, 일곱째, 주거환경이 이동편의성을 확보하도록 개선, 여덟째, 활동지원 제도의 특례적 적용, 아홉째, 휴식과 문화여가생활 참여와 활동을 위한 전문적인(또는 전담적인) 인력배치, 열째, 지원체계(주간보호, 낮활동 지원 등) 구축과 지속적이며 통합적인 정보제공 체계 구축 등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exploratory study is to collect basic information two-generation geriatric families by person with physically disability and to establish support system for them. For this end, conducted interviews with 2 families two-generation geriatric families by person with physically disability and their traits analyzed by hermeneutics method. Regarding on the result, suggested First, to establish support system on a family, Second, application of comprehensive regarding on reality, Third, expands on treatment agency and to reduced the cost of treatment, Fourth, supported of the cost of treatment, Fifth, supported of everyday life to participated community, Sixth, changed to the regulations in force of a rental apartment, Seven, ensured on right to access in/out environment of residential, Eight, expands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Nine, put the right man in the right place to leisure, rest etc, Ten, provides of comprehensive information

      • KCI등재

        비글견에서 캡슐 내시경의 위장관 이동분석 평가

        장화석,양희택,김상영,우동철,박우대,용준환,최보영,김휘율,최치봉,Chang, Hwa-Seok,Yang, Hee-Taek,Kim, Sang-Youn,Woo, Dong-Cheol,Park, Woo-Dae,Yong, Joon-Hwan,Choe, Bo-Young,Kim, Hwi-Yool,Choi, Chi-Bong 한국의학물리학회 2008 의학물리 Vol.19 No.2

        수의 임상에서 캡슐 내시경(capsule endoscopy, CE)의 사용에 기본적인 기준과 유용성을 정립하기 위하여 정상 중형견($7{\sim}13\;kg$)에서 캡슐의 위 통과시간(gastric transit time, GTT), 작은창자 통과시간(small intestinal transit time, SITT), 완전통과율(complete transit time, CTT)을 측정하고 통과율을 분석하였다. 1군(capsule 투여), 2군(capsule+water 투여), 3군(metoclopramide+capsule 투여) 그리고 (metoclopramide+capsule+water 투여)의 총 4군으로 나누어 방사선 촬영을 통하여 평가를 실시했다. GTT는 평균 $45{\sim}20\;min$ (group 1), $117{\pm}35\;min$ (group 2), $150{\pm}40\;min$ (group 3), $154{\pm}65\;min$ (group 4)였으며 SITT는 평균 $75{\pm}20\;min$ (group 1), $195{\pm}55\;min$ (group 2), $75{\pm}15\;min$(group 3), $76{\pm}15\;min$ (group 4)로 나타났다. 완전통과율(complete passage rate)은 각각 20% (group 1), 40%, (group 2), 20% (group 3), 50% (group 4)로 나타났다. 실험결과 캡슐이 유문부를 통과하기만 하면 내시경 캡슐 배터리 수명인 8시간 이내로 위장관을 모두 통과하였으며 물을 위내로 투여한 후 volume의 증가에 의한 위 운동성의 증가는 캡슐의 유문부 통과에 도움이 되었다. 그러나 metoclopramide의 투여는 유문부의 통과와 SITT의 시간에 대한 유의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transit time and passage rate of capsule endoscopy (CE)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in medium sized beagle dogs ($7{\sim}13\;kg$). Animal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only capsule (group 1, n=10), capsule+water (group 2, n=10), mettoclopramide+capsule (group 3, n=10), metoclopramide +capsule+water (group 4, n=10). The capsule transit times through the stomach and small bowel were evaluated by radiography findings. Gastric transit time (GTT), small intestinal transit time (SITT) and complete passage rate were measured in four groups. GTT's for each group were as follows; $45{\pm}20\;min$ (group 1), $117{\pm}35\;min$ (group 2), $150{\pm}40\;min$ (group 3), and $154{\pm}65\;min$ (group 4), while SITT's were $75{\pm}20\;min$ (group 1), $195{\pm}55\;min$ (group 2), $70{\pm}15\;min$ (group 3), and $76{\pm}15\;min$ (group 4). The complete passage rates were 20% (group 1), 40% (group 2), 20% (group 3), 50% (group 4). In all groups, if CE could pass through the pylorus, it passed all small intestinal tracts within 8 hours (battery life). Administration of water helped CE to pass pylori, except in case of metoclopramide administr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E could be an useful tool for examining gastrointestinal diseases in the veterinary medicine.

      • KCI등재후보

        발달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대처양태 변화의 재구성

        박종엽(Park, Jong-Yeap),양희택(Yang, Hee-Taek)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3 비판사회정책 Vol.- No.41

        본 연구는 발달장애자녀의 생애주기에 따라 양육을 책임지고 있는 어머니의 대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자녀와 어머니의 상호작용행태와 그와 관련된 다양한 욕구와 문제들을 파악하여 서비스 개입의 방향성과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가지고 연구참여자들의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발달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생애대처 변화는 자녀의 생애주기의 변화에 따라 잠재기, 갈등기, 휴식기, 제2의 갈등기의 과정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기에는 자녀의 발달장애인식과 진단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어려움이 내재되어 있는 특성을 보였고 갈등기에는 자녀가 사회체계에 진입하면서 가족체계를 포함한 사회체계와의 갈등이 표출되었다. 이후 비공식적, 공식적 체계의 지지를 통해 안정적 상태를 유지하는 휴식기의 특성을 보였으며, 마지막으로 발달장애 자녀의 어머니가 노년기에 접어들고 발달장애 자녀가 성인이 되면서 학령전기보다 더욱 취약한 상태에서 신체, 정서, 사회, 경제적 어려움이 나타나는 제2의 갈등기의 특성을 보였다. This research was aimed at providing directions of social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these purposes, we interviewed 16 main care givers who are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changed their coping systems into four stages. First was latency period which mothers faced several difficulties, but they were not yet exploded. The following stage was explosion period. Most mothers had troubles interacting with their family members and social systems in this time. The third was rest period. After explosion period, mothers took a rest while depending on social system and services. Lastly, mothers were having the second explosion period of difficulties again more hardly than before. With these results, we would like to suggest several issues. First, there need a information center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Nextly, educational program and service system for parents should be established. Lastly, we propose that social policy and services should be prepared in shortly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장애인 평생교육 정책수립을 위한 발달장애인 욕구분석 연구 - 시흥시 거주 발달장애인의 욕구를 중심으로 -

        김현숙(Kim Hyun-sook),양희택(Yang Hee-taek)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19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5 No.2

        발달장애인은 지속적으로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늘어나는 발달장애인을 위한 정부의 복지정책 또한 지속적으로 확대 수립되고 있지만 실질적인 정책의 효율성은 담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발달장애인을 위한 평생교육 정책수립은 발달장애인에게 필요한 기본적인 욕구파악조차 되어 있지 않은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흥시에 거주하는 발달장애인의 복지 욕구를 조사하여 이들을 위한 시흥시의 실효성 있는 정책 개발 및 추진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발달장애인에게 적합한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현하고, 필요한 실행방안을 모색하여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제시한 제언은 첫째, 발달장애인들의 소득보장을 위한 정책적이고 제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담당공무원을 포함하여 시민들 전체가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발달장애인을 위한 서비스 제공기관의 확대와 치료 및 재활서비스의 관리와 지원이 확대되어야 한다. 넷째, 발달장애인 전용 평생교육센터를 설립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The number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s increasing steadily.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many policies for the disabled, but the effectiveness of practical policies is difficult to guarantee, and policies for the disabled in particular do not even have basic data on the needs of the disabled. Based on the survey of the welfare needs of the disabled and their families living in Siheung, this study aims to implement a systematic system to ensure adequate support for the disabled, and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policies by exploring necessary action plans. The government should first establish a policy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the welfare of the disabled and their families by reviewing prior research and examining policy and practical measures to efficiently support the disabled and their families, the need to increase awareness of the disabled, expand the number of c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expand the management of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services for the disabled, and establish a dedicated development education center.

      • KCI등재

        마취된 개의 자발호흡상태에서 일측폐환기 및 양측폐환기가 심순환기 및 호흡기계에 미치는 영향

        송영성,장화석,김혜진,김순신,최준철,양희택,정다정,김휘율,Song, Young-sung,Chang, Hwa-seok,Kim, Hye-jin,Kim, Soon-shin,Choi, Joon-chul,Yang, Hee-taek,Chung, Dai-jung,Kim, Hwi-yool 대한수의학회 2005 大韓獸醫學會誌 Vol.45 No.2

        One-lung ventilation (OLV) is the isolation and selective ventilation of one lung field. OLV allows the collapse of lung lobes on the side of the thoracic surgical approach to facilitate observation of intrathoracic structures and to achieve lung immobility. OLV be achieved by endotracheal intubation with double lumen tubes or bronchial blockers. In this study, cardiopulmonary consequences of two-lung ventilation (TLV), OLV and Re-TLV (TLV after OLV) were evaluated in 5 dogs. The dogs were anesthetized with mask induction and maintained with isoflurane in oxygen. Tidal volume and respiratory rates were set to maintain end-tidal $CO_2$ at $40{\pm}2mmHg$ during instrumentation. Following instrumentation, the dogs were placed in right lateral recumbency and induced spontaneously respiration state. Effect of TLV on hemodynamic and pulmonary variables were recorded. Then, the left bronchus was obstructed by endotracheal intubation with double lumen endotracheal tube to achieve OLV state and recording was continued. After OLV, double lumen endotracheal tube was extubated, and standard endotracheal tubes was intubated again. In this study, spontaneous OLV caused significant decrease in $PaO_2$, arterial oxygen saturation, mixed-venous oxygen saturation, and increase in $PaCO_2$. Especially, a significant elevation in $PaCO_2$ and respiratory acidosis were remarkable findings. So spontaneous ventilation in OLV affected gas exchange and hemodynamic function.

      • KCI등재

        사회복지분야의 협동조합에 관한 인식과 함의

        이상무 ( Sang Moo Lee ),장종익 ( Jong Ick Jang ),정관영 ( Gwan Young Chung ),양희택 ( Hee Taek Yang ) 한국협동조합학회 2013 韓國協同組合硏究 Vol.31 No.1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attitude of social welfare service providers to cooperatives and to evaluate the potential impacts of introduction of cooperatives on the social welfare service sector. To better understand issues, we surveyed social welfare and social service institutions which provide social welfare services in Gyeonggi province.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the CEO of the institutions and, as a result, the total number of 384 CEO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main finding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among the institutions of social welfare service,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Framework Act on Cooperatives reached 40-46%. However, 14-18% of social welfare service institutions have intention to organize cooperatives. Social welfare institutions prefer a social cooperative to a general cooperative if have any chance to organize a cooperative. The results of survey imply that the short term impacts of the Framework Act on Cooperatives on the social welfare service sector would be marginal although the impacts would be positive.

      • KCI등재

        장애인복지의 새로운 패러다임(Paradigm) : 장애인 자립생활 개념정의를 위한 시론(始論)적 연구:Investigation Study for the Definition of Independent Living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양희택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5 재활복지 Vol.9 No.2

        장애인의 자립생활에 대한 여러 가지 논의는 있었으나, 논의하는 기관이나 사람에 따라 매우 한정적이고 논의에 대한 결론이 각각이어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개념이 없다. 이는 장애인 자립생활에 대한 관점이 다르거나 자립생활이라는 용어를 다르게 받아들이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선행연구 결과 장애인 자립생활에 대한 용어이해와 관점들로는 비(非)장애 성인의 경우 경제적(소득)인 자립여부로 장애인 자립생활 여부를 판단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장애인 자립생활은 소득을 어느정도 창출하느냐에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다고 보는 것이다.또한, 장애인복지 전문가들은 장애인 재활이나 복지와 관련되어진 서비스나 접근에 대해 해당 장애인의 수용과 적응 여부로 장애인의 자립생활 가능성을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자립생활에 관심을 갖고 이에 참여하는 장애인들은 자립생활을 생존을 위한 소득보장을 기본으로 설정하고, 자립생활기술의 교육과 훈련, 여러 가지 자립생활에 필요한 제도나 서비스(주택 개조, 이동보조기기 등)의 제공이라고 보는 시각과 제공되어진 서비스에 대한 선택권과 자기 결정권, 그리고 자신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생애사건(life event)들에 참여,운영하는 것이라고 보는 시각 등으로 나누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 자립생활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 자립생활 개념을 세분하여 비장애인 성인 집단, 장애인복지 관련 전문가 집단, 자립생활에 참여하고 있는 장애인 집단을 대상으로 각각의 집단에서 장애인 자립 생활이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와 이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를 탐색적으로 조사하고 이들 간에 나타난 차이점을 비교하여 알아보았다. 조사결과 선행연구에서 제시하였던 것과 같이 비 (非)장애인 성인집단이 인식하고 있는 개념과 장애인복지 관련 전문가 집단, 자립생활에 참여하고 있는 장애인 집단이 인식하고 있는 개념과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선행연구의 결과와는 반대로 장애인복지 관련 전문가 집단이 자립생활에 참여하고 있는 장애인 집단보다는 자립생활 지향적인 관점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장애인복지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장애인자립생활 접근을 이론적 개념 정리와 인식의 과정을 거치고 난 후 장애인당사자들이 이를 활용하였다기보다는 가치 전제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여 곧바로 구체적인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센터 포함)들을 도입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장애인 당사자들에게 자립생활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교육, 훈련, 홍보가 필요함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finition of independent living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o make comparative study with the non-disabled adult person group and the employee working group at the rehabilitation center for the disabled and the participat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group in independent living activities. The methods of this study are a reference research and an actual proof research. Data for actual proof research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50 the non-disabled adult persons were snowball sampling and 50 the employee working at the rehabilitation center for the disabled were purposive sampling, and 55 the participat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independent living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dependent living definition is integrated concept with independent living movement aspect(including disabled pension, self-determination, and choice etc.) and independent living programs(services) aspect(including ADL, IADL, independent living skill training, and personal assistance service skin training etc.). Second, defining independent living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prerequisite of a employment and ability of ADL among three groups. In conclusion, to effective define a independent living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requires a precondition comprehensive concept of the macro aspect approach(including the right to equal access to employment, transportation. benefit rights. etc.), and the micro aspect approach(a medical care, ADL, IADL, personal assistance service training, independent living skill training, etc.).

      • KCI등재

        자립생활센터 근무 장애인의 직무환경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 연구

        이경준,양희택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9 재활복지 Vol.13 No.3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장애인(특히, 중증장애인을 중심으로)의 고용현황과 내용 등을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통하여 살펴보고, 이들에게 최적의 고용현장으로 떠오르고 있는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내 직무환경과 직무관련 만족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인지역소재 40여개 장애인 자립생활센터에서 현재 6개월 이상 근무하는 장애인근로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중증장애인들에 있어 자립생활센터에서의 직무환경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비교적 높은 상호연관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무시간이 40시간 이하와 60시간 이상에서 직무만족도는 높게 나타났고, 급여수준이 60만원 이하에서 직무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중증장애인의 자립생활센터 내 직무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단순한 근로시간의 연장이나 직무환경 개선보다는 장애인지적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최소한의 생활안정을 위한 기본 급여 수준에 대한 고려와 근무 기회의 확대, 장애유형에 따른 연령별 가족구성을 고려한 개인별 능력을 직무환경에 반영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이 요구됨을 시사해 주었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장애인자립생활센터가 중증장애인들을 고용하거나 그들이 직업생활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개선방향으로 첫째, 장애인 고용과 관련된 장애인지적인 제도 적용, 둘째, 사회서비스의 확대, 셋째, 장애인의 노동권을 인정하는 것 등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has investigated the present employment status and content of the disabled in Korea (in particular, the severely disabled) by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ceding studies in order to identify job environment and job-related satisfaction level within the Center for Independent-Living(CIL) for the disabled, which emerges as the best workplace. To this end, the disabled workers who had worked for the CIL for the disabled for more than 6 months thus far were survey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the job satisfaction level of the severely disabled by job environment at the CIL of the disabled had a relatively high co-relevance. Particularly, job satisfaction depended on job hour and salary level. Accordingly, in order to enhance job satisfaction within the CIL of the severely disabled, it is required not only to extend working opportunities by improving basic salary level to stabilize the minimum living expense rather than to extend working hours or to improve job environment but also to forge the conditions able to reflect individual ability to job environment in consideration of family members by age by the types of the disabl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there needs to be improved for the CIL of the disabled to hire the severely disabled or to help the disabled to well maintain their job lives as follows; firstly,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self life center of the disabled and secondly, extension of social service and thirdly, application of handicap recognition system in relation to employment of the disabled and fourthly, acknowledgement of the labor right of the disabl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