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바리스타 직업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경기도 공공기관 소재 커피전문점을 중심으로 -

        양희택,박종엽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7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35

        This study is aimed to show that what we have to consider and how practical programs for the youth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job field should be implementing. For this, 12 you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who participate in Barista job program were interviewed and their job participation experience, difficulties of their job implementation, and their traits analyzed by objective hermeneutics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you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re likely to learn by observation model. Second, they experience some difficulties with others and lack of coping mechanisms. Third, recognition and reward are the factors of their job maintenance. Fourth, they are facing uncertainty because of their unplanned future. Last, they have future capacity in accordance with parents social, economical condi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would like to suggest following ideas. They need to have on the job training after job placement for job maintenance. Next, they should be supported with practical job skills in the job field. Third, we have to support for you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o improve their disability awareness. Fourth, they need social system approach to have their life planing for their job maintenance and employment.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공공기관 내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는 커피전문점에서 근무하고 있는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이들이 직업을 갖고 직무를 수행하면서 경험하는 어려움의 내용이나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파악함으로써 당사자 중심의 실천적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청년 12명을 심층인터뷰하고 그들의 직업참여경험과 직무수행과정에서 어떤 특성이 반영되는지를 객관적 해석학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모델을 통한 관찰학습’,‘타자와의 상호작용과 대처기제의 어려움’,‘인정과 보람으로 직무유지’,‘계획되지 않아서 불안한 미래’,‘부모의 사회경제적 역량에 비례한 미래계획’등과 같은 구조적 특성이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첫째, 발달장애인의 취업과 직무유지에 있어서는 훈련 후 배치보다는 배치이후 훈련(on the Job training)의 필요성, 둘째, 고용현장에서 실제적 직무기술에 대한 지원, 셋째, 발달장애인 주체의 인식개선 지원, 넷째, 발달장애인의 취업과 직무유지 및 향후 인생계획에 있어서 사회적인 측면에서의 접근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코로나19 발생 이후 장애인가족 삶의 변화 연구

        양희택,박종엽 한국비즈니스학회 2022 비즈니스융복합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장애인 가족의 삶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장애인 당사자 및 주양육자 10명의 경험을 심층인터뷰(in-depth interview)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분석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코로나19로 인한 심리적 부담으로 인해 장애 자녀‘죽음’에 대한 인식이 과거 머나먼 죽음에서 눈앞의 죽음으로의 전환을 가져왔다. 둘째, 주양육자인 연구 참여자들은 지금까지 와는 차원이 다른 힘든 상황, 즉 가족구성원의 모든 어려움을 오롯이 감당해야만 했다. 셋째, 코로나19 이후로 참여자들은 가족의 특성상 돌고 도는 힘듦이 있지만 ‘가족’의 힘으로 극복할 통로를 찾고 있었다. 넷째, 코로나19로 인해 기존의 거의 모든 프로그램과 서비스가 중단되었지만 이제는 탈출구가 필요한 시점으로 여기고 있었다. 즉, 이제는 더 이상 버티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었다. 마지막으로 참여자들은 사회적 관계의 단절을 경험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비대면 의사소통을 하지만 여전히 채워지지 않는 공허함을 안고 있었다. 이와 같이 코로나19 이후로 장애인 당사자와 그 가족들은 개인과 가족 그리고 사회적 관계에서 기존과는 차원이 다른 어려움에 직면해 있지만 그 자리에 머물지 않고 새로운 극복과 해결의 통로를 찾고 있었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사회서비스 지원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화상장애인의 화상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양희택,박종엽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1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15

        A visible disfigurement can have a profound psychological and social impact upon the individual concerned. Difficulties include adverse effects on body image, quality of life, self-esteem and so on. In this article, we aimed to find out what the disabled people with burn injury experience in their lives. This study analysed the interviews elicited from participants and ended up with several results. First, the disabled people with burn injury are worrying about moving from where they lived in similar situations as patients to where they have to live with people having prejudices and exclusions. Because where they have to go is not what they want. Secondly, they experience double discriminations. Burn injured people are excluded not only from ordinary people, but also disabled people with no burns in their community. Thirdly, those who are disabled with burn injury try to escape from social death(beyond exclusion and marginalization) and likely to choose instrumental decision making. They can easily abandon their intentions and rights and conform to others and social norms. Fourth, we reach the conclusion that they are apt to identify their former self-image before burns and have difficulties in adjusting to their new image which is hard to accept. So, they try to find a way out of this difficulty. According to the conclusions above, we suggest some ideas as follows : disabled people with burn injury need ongoing psychological and social systems to support their adjustment, because burns have an effect on them for entire life, not just temporarily. Next is there need a change of social perception to disabled with burn injury. Finally, we have to make a room and pathway for burn injured people to get out of their isolated place and it is necessary to make some programs, such as self-assertive program and self-expression program. 본 연구는 화상장애인들이 “화상 장애 이후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는가?”를 연구 질문으로 화상장애인 6명을 선정하여 2회에 걸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실재 경험을 이야기하게 하였으며, 이러한 경험들에 대해 상호작용 맥락에서 구조가설을 도출하였고, 도출된 구조가설의 의미를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질적 공간에서 이질적 공간으로의 과정에서 갈등을 겪고 있었다. 둘째, 화상장애인으로써 비장애인에 의한 차별뿐만 아니라 같은 장애인들로부터의 차별 또한 매우 심각해 이중차별을 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죽음(소외나 배제의 단계를 넘어선)을 피하기 위하여 도구적 의사결정(의사소통과 행동에 있어서)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신에 대한 현실인식을 회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토대로첫째, 화상발생 이후 화상치료 초기에서부터 심리적, 사회복지적 접근을 할 수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 둘째, 인식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시급한 시행이 필요하다. 인식개선 대상자로 비장애인뿐만 아니라 일반 주류장애인과 더불어 화상장애인 본인과 화상장애인의 가족구성원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셋째, 효과적인 자기주장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즉, 화상장애인은 사회적 편견과 차별을 두려워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 고립을 선택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에 대한 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 근로지원인 서비스 욕구와 이용경험에 관한 연구

        양희택,황수정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09 임상사회사업연구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증장애 근로자의 근로지원인 서비스 욕구를 파악하고, 서비스 종류와 유형이 비슷한 활동보조서비스 이용 장애인들의 이용경험을 조사하여 향후 근로지원인 제도 도입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과 함께 제도 도입을 위해 검토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이를 위하여 조사는 2단계(첫째, 장애인 근로자 552명을 대상으로 한 욕구조사, 둘째, 자립생활센터 근로 장애인 92명을 대상으로 한 이용경험 조사)로 이루어졌다. 조사기간은 2007년 7월 18일부터 8월 15일까지 실시하였다.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증 장애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한 근로지원인 욕구파악을 위한 분석결과 중증장애 근로자들은 근로지원인 서비스에 대하여 필요하다는 것과 이 서비스가 제공될 때 이용하겠다는 것, 그리고 이용할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보조 영역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다.둘째, 서비스 이용 장애인의 이용경험 분석결과 자립생활센터 근로 장애인들은 사무보조 서비스를 이용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주로, 일상생활과 도구적 일상생활, 문서작성과 정리, 교통과 이동 보조서비스 영역을 이용한다는 것과 서비스 이용 시 도움정도와 만족정도가 높았다.셋째, 중증장애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한 욕구조사와 서비스 이용 장애인의 이용경험을 비교해본 결과 서비스 이용영역과 이용시간, 도움정도와 만족정도 등이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서비스에 대한 필요정도와 만족정도는 장애인 근로자에게 매우 높기에 활동보조서비스의 한 영역이든, 근로지원인 서비스든 서비스는 반드시 제공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needs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for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analyze utilization experience. Hence this study suggested basic data and several orientation in conducting PAS system afterwards. In order to attain purpose of study the research was executed in 2-times, 1) needs survey for subject of the 552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workplace, 2) utilization ex-perience survey for subject of the 92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workplace who registered to Independent Living Centers. The findings is as follows:First, the needs of PAS, the utilization will and mobile assistance service in the provided services were discriminated. Second,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workplace who registered to Independent Living Centers utilized more office work personal assistance service than any other services.Third, compared the needs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for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to uti-lization experience, service and useful time that they demand, what to be supported and what to be satisfied is consisted. Hereupon the standard of demand and satisfaction are so high, assistance service for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is provided in such and such PAS and PAS in workplace.

      • 장애인 활동보조서비스(PAS) 유형에 따른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비교

        양희택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07 임상사회사업연구 Vol.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활동보조서비스가 시범사업으로 수행되고 있는 서울,인천, 대구의 서비스 이용 장애인의 만족도를 알아보고, 이러한 활동보조서비스 만족에 차이를 발생시키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번 시범사업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졌는데, 어떠한 세부 제도적 조합이 이용 장애인 측면에서 효과적인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활동보조서비스 형태 중에 전달기관 유형, 자부담 설정 여부, 판정결과 통보방법, 서비스 판정처에 따른 만족도를 비교하기 위해 일반선형모형 주에서 요인분산분석을 활용하였다.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생애주기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연구

        양희택,박종엽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3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21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생애주기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경험을 심층적으로 파악하여 이에 근거한 지원체계를 마련하고자 발달장애인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학령전기에는 진단의 어려움, 제공자 중심의 서비스체계, 치료에 대한 기대, 교육환경 미흡 등이, 학령기의 경우 통합반과 특수학교사이에서 갈등, 낙인감 발생 등이 청소년기의 경우 스스로 서기 위한 연습과 갈등, 미래에 대한 불안, 프로그램 부재 등이, 성인기의 경우 갈 데가 없음과 부모의 노화로 보호부담의 극대화되는 것으로가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따른 제언으로 발달장애에 관한 정보제공 기관이 필요함과, 공적지원체계(교육‧치료‧서비스 기관 등)의 확충, 청년기 이후의 주간보호 서비스와 발달장애아동의 어머니들의 사회적 대처방안을 지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was based on the interviews of children's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 interviewed in-depth 16 main care givers to make welfare policies and provide services according to their life course.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oddlers time, they had hard times with diagnosis of developmental disability, misty anticipation of therapy, lack of educational environment. After toddlers period, they faced several problems, such as a conflicts between regular school and school for handicapped children, social stigma etc. In teen-ages, they were forced to stand their own feet, anxious about their future, and experienced with poor programs. In adult period, they had no places to go and their parents felt burdensome physically and financially because of family responsibilities and child-care pressures. With these results, we would like to suggest several issues. First, there need a information center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Nextly, education, therapy, and service center should be expanded. Thirdly, extended service time and improved educational environment are needed. Lastly, we propose that day care center should be prepared in shortly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장애인복지의 새로운 패러다임(Paradigm) : 장애인 자립생활 개념정의를 위한 시론(始論)적 연구:Investigation Study for the Definition of Independent Living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양희택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5 재활복지 Vol.9 No.2

        장애인의 자립생활에 대한 여러 가지 논의는 있었으나, 논의하는 기관이나 사람에 따라 매우 한정적이고 논의에 대한 결론이 각각이어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개념이 없다. 이는 장애인 자립생활에 대한 관점이 다르거나 자립생활이라는 용어를 다르게 받아들이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선행연구 결과 장애인 자립생활에 대한 용어이해와 관점들로는 비(非)장애 성인의 경우 경제적(소득)인 자립여부로 장애인 자립생활 여부를 판단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장애인 자립생활은 소득을 어느정도 창출하느냐에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다고 보는 것이다.또한, 장애인복지 전문가들은 장애인 재활이나 복지와 관련되어진 서비스나 접근에 대해 해당 장애인의 수용과 적응 여부로 장애인의 자립생활 가능성을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자립생활에 관심을 갖고 이에 참여하는 장애인들은 자립생활을 생존을 위한 소득보장을 기본으로 설정하고, 자립생활기술의 교육과 훈련, 여러 가지 자립생활에 필요한 제도나 서비스(주택 개조, 이동보조기기 등)의 제공이라고 보는 시각과 제공되어진 서비스에 대한 선택권과 자기 결정권, 그리고 자신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생애사건(life event)들에 참여,운영하는 것이라고 보는 시각 등으로 나누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 자립생활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 자립생활 개념을 세분하여 비장애인 성인 집단, 장애인복지 관련 전문가 집단, 자립생활에 참여하고 있는 장애인 집단을 대상으로 각각의 집단에서 장애인 자립 생활이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와 이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를 탐색적으로 조사하고 이들 간에 나타난 차이점을 비교하여 알아보았다. 조사결과 선행연구에서 제시하였던 것과 같이 비 (非)장애인 성인집단이 인식하고 있는 개념과 장애인복지 관련 전문가 집단, 자립생활에 참여하고 있는 장애인 집단이 인식하고 있는 개념과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선행연구의 결과와는 반대로 장애인복지 관련 전문가 집단이 자립생활에 참여하고 있는 장애인 집단보다는 자립생활 지향적인 관점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장애인복지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장애인자립생활 접근을 이론적 개념 정리와 인식의 과정을 거치고 난 후 장애인당사자들이 이를 활용하였다기보다는 가치 전제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여 곧바로 구체적인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센터 포함)들을 도입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장애인 당사자들에게 자립생활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교육, 훈련, 홍보가 필요함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finition of independent living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o make comparative study with the non-disabled adult person group and the employee working group at the rehabilitation center for the disabled and the participat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group in independent living activities. The methods of this study are a reference research and an actual proof research. Data for actual proof research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50 the non-disabled adult persons were snowball sampling and 50 the employee working at the rehabilitation center for the disabled were purposive sampling, and 55 the participat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independent living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dependent living definition is integrated concept with independent living movement aspect(including disabled pension, self-determination, and choice etc.) and independent living programs(services) aspect(including ADL, IADL, independent living skill training, and personal assistance service skin training etc.). Second, defining independent living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prerequisite of a employment and ability of ADL among three groups. In conclusion, to effective define a independent living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requires a precondition comprehensive concept of the macro aspect approach(including the right to equal access to employment, transportation. benefit rights. etc.), and the micro aspect approach(a medical care, ADL, IADL, personal assistance service training, independent living skill training, etc.).

      • KCI등재

        장애를 가진 노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 고령화된 장애와 노화에 따른 장애의 비교를 중심으로

        양희택,신원우 한국노인복지학회 2011 노인복지연구 Vol.0 No.5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y focused on comparison between aging with disability and disability with aging in Korea.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earches, people with early-onset disabilities are said to “aging with disability” while those with late-life onsets are said to have “disability with aging.” Generally, both groups have similarity in terms with common physical, psychosocial, vocational difficulties from aging and disability. But there is much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in concept, present condition, and needed services. However, there have been few researches focused on this difference to date. This study analyzed the 3rd KReIS(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panel data(2009) which included 677 community dwelling aged individuals who had a disability or disabilities. After dividing the group into two subgroups(the aged individuals with disability and the disabled individuals with aging), this study analysed the group difference using descriptive analysis and t-test.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276 persons(40.8%) inaging with disability group and 401 persons(59.2%) in disability with aging group.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age and household income. Second, the mean scores of ADL and IADL in aging with disability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in disability with aging group. Third, the persons in aging with disability group were more depressed than those in the disability with aging. Finally, the persons in disability with aging group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life than those in the aging with disability group. In conclusion, people in aging with disability were likely to have more difficulties in their general life than those in disability with aging. These findings can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for policy and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aging and disability in Korea. 본 연구는 “장애를 가진 노인”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고령화된 장애(aging with disability)와 노화에 따른 장애(disability with aging)의 특성이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고령화된 장애인과 노화에 따른 장애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각각의 개념과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토대로 2009년도 ‘제3차 국민노후보장 패널(고령화 패널)’의 자료를 활용하여 “장애를 가진 노인” 응답자 677명의 응답 자료를 고령화된 장애인 집단과 노화에 따른 장애인 집단으로 분류하여인구사회학적 특성, 신체 및 기능적 특성, 심리적 특성, 삶의 만족도 특성에서 집단 차이를 보이는지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 중 고령화된 장애인 276명(40.8%), 노화에 따른 장애인 401명(59.2%)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 집단에서 평균 연령과 가구(가계) 총소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할 수준의 차이가 있었다. 둘째, 신체 및 기능적 특성에서 고령화된 장애인 집단의 ADL과 IADL의 평균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할 수준에서 노화에 따른 장애인 집단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상태가 더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특성에서 고령화된 장애인 집단이 노화에 따른 장애인 집단에 비해 우울 정도가 더 높았다. 넷째, 삶의 만족도와 관련하여, 노화에 따른 장애인 집단이 고령화된 장애인 집단에 비해 삶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령화된 장애인과 노화에 따른 장애인에 대한 개념정의와 생애주기에 따른 복지서비스와 정책, 제도의 구축에 대한 논의, 고령화된 장애인에 대한 실태조사 및 노인과 장애의 양 영역을 연결하기 위한 다학제적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복지일자리 참여 발달장애인 직무적응 및 유지를 위한 직무지도원 배치 사례 연구

        양희택 ( Yang Heetaek ) 한국장애인개발원 2013 장애인복지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복지일자리 참여 발달장애인의 직무적응 및 유지를 위한 적합한 방안을 검토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시사점을 얻었고, 직무지도원 배치 선행사례 검토 및 분석하여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복지일자리에 배치된 발달장애인의 직무능력 향상, 직무유지, 현장 적응을 돕는 직무지도원(job coach)의 배치가 요구되며, 직무지도원에게 전문가에 의한 사례관리 등과 같은 지속적인 교육과 관리가 이루어져야 함과 당면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 학문적 접근이 필요하고, 발달장애인 일자리 창출과 이를 돕기 위하여 파견된 직무지도원을 관리할 수 있는 조직(기관, 전담부서)이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olution to raise job adaptation and maintenanc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participating welfare job. To accomplish these aims, this study implemented literature investigation on the theory related and analyzed cases. It is certain that job guidance displacement is the useful support to raise job ability, adaption and improvement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in working plac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management of professionals, education through case studies, multi culture to solve problems.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organizations to manage outreaching job displacement, to help people with developmentally disabled participating welfare job and to produce more jobs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