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전정보 차별금지의 법적문제 - 외국의 규율 동향과 그 시사점을 중심으로 -

        양지현,김소윤,Yang, Ji Hyun,Kim, So Yoon 대한의료법학회 2017 의료법학 Vol.18 No.1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시작과 함께 그 사회적 부작용의 하나로 거론되었던 '유전정보 차별'의 문제가 아직 우리나라에서 크게 부각된 적은 없다. 그러나 2016년 6월 30일부터 시행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이 의료기관이 아닌 유전자검사기관의 유전자검사를 예외적으로 허용하자, 국내의 한 보험회사가 신규 암보험 가입자를 대상으로 DTC 유전자 검사를 별도의 무료 서비스로 제공하겠다고 하여 유전자 검사와 관련된 사회적 변화를 실감케 한 바 있다. 정밀의료가 의료의 새로운 표준으로 성큼 다가온 현 시점에서 유전정보 차별에 관한 규율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문제가 되었다. 우리나라는 생명윤리법 제46조, 제67조에서 유전정보를 이유로 한 차별의 금지와 그 위반행위에 대한 벌칙을 규정하고 있지만, 이러한 광범위한 원칙 규정만으로는 보험, 고용 등 구체적인 유전정보 활용 영역에서의 문제점들을 충분히 해결할 수 없다. 미국, 캐나다, 영국, 독일은 상이한 방식으로 유전정보 차별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미국의 "Genetic Information Non-Discrimination Act"의 경우, 건강보험과 관련된 부분은 기존의 법에 유전정보 차별금지에 관한 내용을 추가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또 개인과 그 가족의 유전자 검사 결과 외에 '가족력'까지 포함하여 유전정보의 범위를 매우 넓게 규정하고 있다. 캐나다는 2017년 비교적 최근에 법을 제정하였는데, 보험과 고용 외에 '상품이나 서비스의 거래'에까지 적용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영국은 유전자 검사 중 '개인의 예측적 유전자 검사'에 대해서만 다루고 있는데, 보험의 경우 영국정부와 보험협회의 '협약'을 통해 유전정보의 활용을 2019년까지 유예하는 방식으로 규율하고 있고, 고용의 영역은 ICO가 만든 'Employment Practices Code(2011)'가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다. 독일은 유전자 검사에 관한 법 "Gesetz ${\ddot{u}}ber$ genetische Untersuchungen bei Menschen"에서 고용과 보험에서의 유전자 검사 및 그 결과 제출 요구의 원칙적 금지를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각 나라마다 규율형식, 적용범위 뿐만 아니라 규율의 실효성에 대한 평가도 매우 상이하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보았을 때 우리나라의 유전정보 차별에 관한 규제 역시 관련 규정의 검토, 전문가 집단의 참여 및 이해관계자의 협력을 통해 여러 규제안의 장 단점을 충분히 검증한 후 입법의 단계로 나아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With the onset of the Human Genome Project, social concerns about 'genetic information discrimination' have been raised, but the problem has not yet been highlighted in Korea. However, non-medical institutions' genetic testing which is related to disease prevention could be partially allowed under the revised "Bioethics and Safety Act" from June 30, 2016. In the case of one domestic insurance company, DTC genetic testing was provided for the new customer of cancer insurance as a complimentary service, which made the social changes related to the recognition of the genetic testing. At a time when precision medicine is becoming a new standard for medical care, discipline on genetic information discrimination has become a problem that can not be delayed anymore. Article 46 and 67 of the Bioethics Act stipulate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on grounds of genetic information and penalties for its violation. However, these broad principles alone can not solve the problems in specific genetic information utilization areas such as insurance and employment. The United States, Canada, the United Kingdom, and Germany have different regulations that prohibit genetic information based discrimination. In the United States, Genetic Information Non-Discrimination Act takes a form that adds to the existing law about the prohibition of genetic information discrimination. In addition, the range of genetic information includes the results of genetic tests of individuals and their families, including "family history". Canada has recently enacted legislation in 2017, expanding coverage to general transactions of goods or services in addition to insurance and employment. The United Kingdom deals only with 'predictive genetic testing results of individuals'. In the case of insurance, the UK government and Association of British Insurers (ABI) agree to abide by a policy framework ('Concordat') for cooperation that provides that insurers' use of genetic information is transparent, fair and subject to regular reviews; and remain committed to the voluntary Moratorium on insurers' use of predictive genetic test results until 1 November 2019, and a review of the Concordat in 2016. In the case of employment, The ICO's 'Employment Practices Code (2011)' is used as a guideline. In Germany, Human Genetic Examination Act(Gesetz ${\ddot{u}}ber$ genetische Untersuchungen bei Menschen) stipulates a principle ban on the demand for genetic testing and the submission of results in employment and insurance. The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regulatory framework, as well as the form and scope of the discipline is different from country to country. In light of this, it would be desirable for the issue of genetic information discrimination in Korea to be addressed based on the review of related regulations, the participation of experts, and the cooperation of stakeholders.

      • KCI등재

        계산화학적 방법을 통한 β-D-glucopyranose 구조 연구

        양지현,김진아,이상민,안익성,민병진,Yang, Ji-Hyun,Kim, Jinah,Lee, Sangmin,Ahn, Ik-Sung,Mhin, ByungJin 대한화학회 2013 대한화학회지 Vol.57 No.5

        본 연구에서는 ${\beta}$-D-glucopyranose 분자의 hydroxymethyl group의 두 torsion angle의 변화에 따른 포텐셜 에너지의 변화를 진공 상태와 implicit water 상태에서 연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Solvation Energy가 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계산에 사용한 프로그램은 AMBER package였으며, force field는 GLYCAM_06을 사용하였다. Solvation model은 Hawkins, Cramer, Truhlar 등이 제안한 generalized Born model을 사용하였다. 계산 결과, methyl hydroxyl group 내의 hydroxyl group이 고리구조의 hydroxyl group과 강한 수소결합이 가능한 영역에서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이를 통해 solvation effect로 인해서 수소 결합의 중요성이 감소했다는 결론을 내렸다.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potential energy of ${\beta}$-D-glucopyranose in vacuum and implicit water condition. By Comparing two conditions we find that how solvation energy influence ${\beta}$-D-glucopyranose structure. We use AMBER package program and GLYCAM_06 force field. Solvation model was used for the generalized Born model with Hawkins, Cramer, Truhlar has been proposed. We conclude that difference of contour map of two conditions is caused by solvation effect by reducing hydrogen bonding interaction.

      • KCI등재후보

        혈액투석 혈관통로 소독에 있어 클로르헥시딘의 효과

        양지현,유영미,유민경,문성미,박수진,Yang, Ji-Hyun,Yu, Young-Mi,Yu, Min-Gyeong,Moon, Sung-Mi,Park, Sue-Jean 한국의료질향상학회 2017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ol.23 No.1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the disinfection method using chlorhexidine in practice on disinfection of vascular access for hemodialysis. Methods: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for examining effectiveness on infection of the vascular access device for hemodialysis when using chlorhexidine and betadine/alcohol. One-hundred-thirty study participants were separated into two groups randomly. Infection signs of the vascular access device for hemodialysis were observed and recorded before disinfection on vascular access device. Result: Before the study,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chlorhexidin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etadine/alcohol group) i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matological index. Incidence of infection rate of chlorhexidine group was 0 percent and the betadine/alcohol group was 1.5 perc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prevention of infection with the disinfection method using chlorhexidine and betadine/alcohol. The disinfection method using chlorhexidine is considered an effective and alternative method of betadine/alcohol.

      • KCI등재

        뇌신경 데이터의 법적 규율과 뇌신경권에 관한 소고

        양지현,Yang, Ji Hyun 대한의료법학회 2020 의료법학 Vol.21 No.3

        뇌신경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자신의 뇌신경적 상태와 데이터에 관한 자율적 선택과 개입의 가능성이 늘어남에 따라, 본인의 의사에 반하여 혹은 본인에게 불리하게 이용될 위험성도 커지게 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부당한 간섭이나 방해로부터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보호해야 한다는 주장들이 계속해서 제기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2020년 10월 칠레 의회에 제출된 '뇌신경권 및 정신적 완전성의 보호 등에 관한 법안'은 뇌신경 데이터를 뇌로부터 직·간접적으로 수집된 모든 데이터로 정의하고, 정신적 프라이버시와 완전성을 개인의 뇌신경권(Neuroderechos)으로 보호할 것을 명시하였다. 뇌신경과학은 점점 개인의 신체와 일상에 가까이 스며드는 기술로 진화하여 더욱 일상화, 개인화되는 동시에 모듈의 형태로도 변모할 잠재력을 충분히 지니고 있고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이러한 변화를 더욱 가속화·고도화하는 요인이 된다. 이는 곧 다양한 종류의 기기로 뇌신경적 상태를 디지털 데이터화하고 분석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로 인해 개인의 의도, 선호, 성격, 기억, 감정 상태 등을 확인하고 추론해낼 수 있는 데이터를 더 많이 생성할 수 있는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은 개인의 자유와 권리에 관한 논의의 필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그런데 뇌신경 데이터는 개인정보 보호 법제하에서 민감정보로 볼 것인지 여부가 불분명한 영역이 있다. 또 구체적인 활용 영역 예컨대, 법정, 교육, 고용 등에서 어떻게 뇌신경 데이터 주체를 보호할 것인지에 대한 법적 고찰이 요청된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의 인지적 자유, 정신적 프라이버시, 뇌신경 프라이버시, 정신적 완전성 등 다양한 개념으로 제시되고 있는 논의를 포괄적인 인격권의 성격을 갖는 '뇌신경권'이라는 개념으로 포섭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discussions surrounding cognitive liberty, neuro-privacy, and mental integrity from the perspective of Neuro-rights. The right to control one's neurological data entails self-determination of collection and usage of one's data, and the right to object to any way such data may be employed to negatively impact oneself. As innovations in neurotechnologies bear benefits and downsides, a novel concept of the neuro-rights has been suggested to protect individual liberty and rights. In Oct. 2020, the Chilean Senate presented the 'Proyecto de ley sobre neuroderechos' to promote the recognition and protection of neuro-rights. This new bill defines all data obtained from the brain as neuronal data and outlaws the commerce of this data. Neurotechnology, especially when paired with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has the potential to turn one's neurological state into data. The possibility of inferring one's intent, preferences, personality, memory, emotions, and so on, poses harm to individual liberty and rights. However, the collection and use of neural data may outpace legislative innovation in the near future. Legal protection of neural data and the rights of its subject must be established in a comprehensive way, to adapt to the evolving data economy and technical environment.

      • KCI등재

        경남방언 어말어미 ‘-거로’에 대해서

        양지현(Yang, Jihyeon) 국어문학회 2021 국어문학 Vol.78 No.-

        이 글은 어말어미 ‘-게’의 경남방언형인 ‘-거로’에 대한 것이다. 경남방언에 나타나는 ‘-거로’는 공용어인 ‘-게’와 의미기능에서 차이를 보이기도 하고, 특정 언어환경에서 제약을 받기도 하면서 다소 다른 행보를 보인다. 이러한 행보는 ‘-거로’가 접속어미로 쓰일 때는 물론이고 종결어미로 쓰일 때도 보이는데, ‘-거로’가 ‘-게’와 단순히 형태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넘어 쓰임에도 차이가 난다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이에 이 글에서는 먼저, 어말어미 ‘-거로’의 형태적 특성을 ‘-거로’의 형성과 관련지어 살펴보고, 공용어의 ‘-게’와 경남방언의 ‘-거로’를 비교하여 ‘-거로’를 중심으로 그 특성을 면밀하게 살피고자 하였다. 어말어미 ‘-거로’의 특성은 접속어미 ‘-거로’와 종결어미 ‘-거로’를 나누어 살폈다. This article is about ‘-georo’, which is the word-final ending of Gyeongnam dialect ‘-ge’. ‘-Georo’, which appears in the Gyeongnam dialect, differs from the official language ‘-geo’ in its semantic function, and takes a somewhat different course while being constrained by a specific language environment. This move can be seen when ‘-georo’ is used as a conjunctive ending as well as a sentence-final endings, and it is noteworthy that "-georo" is used beyond the fact that "-georo" and "-ge" are different in form from each other. Therefore, in this article, first,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word-final ending "-georo" are examined in relation to the formation of "-georo", and by comparing the official language "-ge" with "-georo" of the Gyeongnam dialect, we tri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georo" in detail.

      • KCI등재

        접속어미 ‘-다고’에 대하여

        양지현(Yang Ji-Hyeon) 우리말학회 2021 우리말연구 Vol.67 No.-

        이 글은 간접인용구문을 이끌었으나 현재 문법화를 거쳐 접속어미가 된 ‘-다고’에 대한 것이다. 간접인용구문이 아닌 문장에서 ‘-다고’는 두 문장을 접속하는 쓰임을 보인다. 그런데 ‘-다고’가 쓰인 문장 중에는 후행절을 접속하기는 하나 접속어미라고 하기에 무리가 있는 ‘-다고’도 있다. 이에 접속어미 ‘-다고’를 변별해 보고, 접속어미로서 ‘-다고’의 의미적, 통사적 특성을 중점적으로 살피고자 한다. 더불어 ‘-다고’와 유사한 의미를 지닌 접속어미와 비교해 봄으로써 서로 간 쓰임의 유사점과 차이점도 알아보고자 한다. This article is about -dago which led the indirect quotation sentence but became the conjuctive ending through grammaticalization. However, among the sentences with -dago , there is -dago , which is difficult to say it is conjunctive ending, although it connects the following claus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riminate the conjunctive ending ‘-dago’, and to focus on the semantic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dago’ as the conjuctive ending. In addition, by comparing “-dago” with the conjunctive endings that have a similar meaning, the similarity and differentiation of their usage will be investigated.

      • KCI등재후보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를 통한 장애인의 문화접근권 확대가능성에 대한 연구 -점자의 형상화 작품 <trace of time>을 중심으로-

        양지현 ( Jee Hyun Yang ),정재식 ( Jae Sik Jeong ),김규정 ( Kyu Jung Kim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3 예술과 미디어 Vol.12 No.3

        접근권은 삶에 대한 모든 범위를 아우르며 광범위한 인간의 권리를 설명하는 용어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접근권에 대한 인식이 매우 미비하며, 법률상 세 가지(이동권, 시설이용권, 정보접근권)로 정의되고 있는 장애인의 접근권에 관한 연구와 문헌의 대부분은 세 가지 접근권에 치우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장애인의 문화접근권의 확장으로 정보접근권, 시설이용권, 이동권의 보장이 비장애인과 장애인의 삶 속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자는 비장애인과 장애인이 자연스럽게 교류할 수 있는 문화의 장의 마련에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가 효과적인 매개체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장애인의 문화접근권의 보장으로 비장애인에게 역차별적인 요소를 제공하지 않으며, 비장애인의 인식개선에 이바지할 수있는 공감각적인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작품의 제작과 공유는 일반적인 예술에 비해 열려있는 장르이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매체가 될 수 있다. 기획 단계에서 시간의 흐름과 흔적을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고, 인터넷 기사에서 수화를 사용하는 청각장애인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숫자표기방식의 시계를 읽을수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연구자는 청각장애인들 역시 숫자로 표기된 시간을 당연히인지할 수 있으리라 생각했는데, 수화로 소통하는 청각장애인들에게 숫자는 단순한 이미지에 불과했던 것이다. 현재까지 진행해 왔던 연구가 시각장애, 청각장애, 비장애인의 소통가능성이 주를 이루었기에 숫자를 나타내는 수화가 시계에 표기되어있으며, 직접적인 터치를 통해 점자 숫자를 완성하여 VFD LCD에 숫자를 시간의 형태로 표현한다. 점자나 수화의 학습적인 측면에 치우쳐 제작되지 않았으며, 관객의 참여와 흔적이 고스란히 남겨질 수 있게 하였다.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에서 장애를 주제로 제작되고 논의되는 작품들의 수가 많아지고 비장애인들의 참여가 많아질수록 장애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장애인들의 접근권에 대한 인식 또한 높아질 수 있으리라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the expanded possibilities of the impaired person`s voluntary participation within cultural milieu. Owing to the interactive technologies, there are various ways of communication using various senses of human. The implication of interactive technology to art allows the impaired to be able to enjoy and participate the art work easier than before. In this regard, interactive media arts can become an effective mediator for the communication between impaired people and non-impaired people. Because this interactive media art is an open art genre, which provides synesthetic experiences beyond a traditional art method to both the impaired and non-impaired viewer with audiovisual and tactile senses, it creates a new way of communication pattern in which the impaired and the non-impaired viewer have a cultural taste equally. Also this experimental work proposes the potential usage of integrated sense elements for the disabled people as well as general viewers in media art in order to resolve the limitation of interaction with the viewer. In the level of planning, the researcher designed a clock in terms of the co-existence of time flow and trace chaser. The clock has finger language images instead of 12 time numbers on its circle plate and a VFD LCD on its center. Time flashing on the VFD LCD is controlled by 6 touch buttons consisting of 6 LEDs and sensors and chang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ouching buttons in Braille method. This synesthetic media art, entitled <Trace of Time>, is an ongoing research project. This research aimed to develop a communication method by the means of finger language and tactile sense using a Braille board metaphor. We could transfer this tactile information into several types of visual information, which convey various synesthetic experiences to both the impaired and non-impaired viewer. They could share in the creation of a visual and tactile experience altogether in this project. As a result, the meaning of our research leads towards a new way of digital communications. We believe that tactile signal is being suggested for a great instrument in the future of our communication. Perhaps, there is a tactile-visual ‘vocabulary’ which might be developed from the infinite possibilities that will offer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cultural share into the impaired as well as the non-impaired peopl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미디어아트에서 모방론에 관한 연구

        양지현 ( Jee Hyun Yang ),정재식 ( Jae Sik Jeong ),김규정(교신저자) ( Kyu Jung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4

        이르스토텔레스는 시확에서 예술은 자연의 모방을 통해 형상화된다고 하였으며, 예술 행위의 본질에 대하여 의미를 두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예술가들은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소재로 하여 작품 안에 통합함으로써, 관객들의 작품 감상 경험을 강화시키는 노력을 계속해 왔다. 예술작품은 사람의 경험을 통해서만 미적 상태(aesthetic standing)를 가질 수 있다고 주장한 존 듀이에 따라 관객의 자발적 참여와 통감각적인 경험을 유발시키는 최근의 미디어아트는 가장 적극적인 경험을 추구하는 예술이라고 볼 수 있다. 미디어 아트는 디지털매체를 이용한 작품으로 이전의 예술형식을 모방하거나 많은 부분 결합하는 형태로 발전하여 왔다. 디지털 매체르 이용한 작업의 과정은 자연과 인간에 대한 본질을 다루어 왔던 전통 예술의 주제를 답습하거나 더 적극적으로 작품과 관객과의 상호작용적 관계를 활용하여 관객의 경험을 수동적인 상태에서 능동적인 경험의 장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미디어아트는 가장 적극적인 경험을 추구하는 예술이라고 볼 수 있다. 미디어 아트는 디지털매체를 이용한 작품으로 이전의 예술형식을 모방하거나 많은 부분 결합하는 형태로 발전하여 왔다. 디지털 매체를 이용한 작업의 과정은 자연과 인간에 대한 본질을 다루어 왔던 전통 예술의 주제를 답습하거나 더 적극적으로 작품과 관객과의 상호작용적 관계를 활용하여 관객의 경험을 수종적인 상태에서 능동적인 경험의 장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 이와 같이 미디어아트는 기존의 예술이 가졌던 미적 형식과 주제의 범주를 모방하는 동시에 매체와 도구에 따라 형태를 달리하며 새로운 개념을 확장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자연과 인간, 자연과 예술, 인관과 예술의 관계에서 시작된 예술의 형상화 작업이 최근의 미디어아트에서 어떻게 구현이 되는지를 사례작품들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자연을 소재로 하여 인간의 경험을 능동적으로 발생 시키는 미디어아트 작품화인(化人)을 제작하고, 작품 안에서 형성되는 대체 자연과 관객의 상호작용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Aristoteles, in Poetics, said that the art is embodied through an imitation if nature and placed a meaning on the essence of art form. In this respect, artists have been trying to enhance the experience of viewers on art works by integr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into the work. According to John Dewey, who emphasized that art work can maintain the aesthetic standing only through the human experiences, today`s media art which induces viewer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tactile experience, can be referred as the art pursuing the most active experience. Media art has been developed by imitating or combining the previous art forms using digital media. The course of art work using digital media follows the theme of traditional art that dealt with the essence of human and nature, or changes the viewers` experience form passive state to active with the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work and viewers. In this way, Media Art imitates a traditional art form and aesthetic categories of subjects and at the same time expands the new concept by changing the art form with different mediums and tools. In this sense, this study analyzes through case work how the embodiment process - that began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nature and art, and human and art - is implemented in today`s media art. This study also present the media art work, Fine, which generates active human experience with the subject of nature and analyzes the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that is formed in the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