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자녀를 둔 미혼 양육모의 양육경험 이해

        양민옥 ( Min Ok Yang ) 한국윤리학회 2014 倫理硏究 Vol.99 No.1

        본 연구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미혼양육모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양육경험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통해 초등학생 자녀를 둔 미혼양육모들의 현재까지 삶의 경험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미혼양육모 6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은 심층면접에 의해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현상학적 연구방법 중 Giorgi의 분석방법에 따라 이루어졌다. 그 결과 초등학생 자녀를 둔 미혼양육모들의 양육경험은‘어머니로서의 삶이 버거움’, ‘자녀로 인해 알게 된 어머니로서의 삶’, ‘현실적인 문제가 어머니로서의 삶을 어렵게 함``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혼양육모와 자녀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인식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미혼양육모 자녀의 학교에서 차별대우에 대한 개선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미혼양육모를 위한 부모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미혼부의 양육책임권한을 강화하는 제도마련이 시급하다. 다섯째, 미혼양육모 가정을 지원하는 양육비 생계비의 현실화가 요구된다. 여섯째, 공식적인 체계 내의 전담공무원의 태도 변화와 공식적인 지원체계의 개선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ild rearing experiences of unwed mother mothers with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The study examine the child rearing experiences of unwed mothers with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up until now and furthermore explore the differences in child rearing before the children enter elementary school and after they enter elementary schoo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child rearing unwed mothers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Giorgi`s method of analysis,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en focal meanings and Three components emerged from the data analysis. The three components were: ‘overwhelming lives as mothers’, ‘discovering the gratification of motherhood’, ‘practical problems making life as a mother difficult’.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based on these findings. First, there is a need to raise social awareness about the negative perception of unwed mothers and their children. Secondly, improvements should be made toward school-related discrimination of children born to unwed mothers. Third, there is a need for parental education for child rearing unwed mothers. Fourth, there is an urgent need for improvement of the unwed fathers’ child rearing responsibility. Fifth, there is a need to adjust the child rearing expenses support and living expenses support to the actual conditions experienced by the unwed mothers. Sixth, there is a need for a change in the attitudes of the public officials and improvements in the formal support system.

      • KCI등재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목소리 소설 시학: 5대 중편소설의 정치지향성과 목소리 소설 형태를 중심으로

        양민종 ( Yang Min Jong )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6 러시아연구 Vol.26 No.2

        이 글은 2015 노벨 문학상 수상작가 알렉시예비치의 5대 중편소설에 드러나는 `정치 지향성`과 `목소리 소설 형태의 변화 양상`을 살펴본다. 5대소설은 소비에트시대를 돌아보는 내용으로 브레먀 출판사가 펴낸 노벨 문학상 수상 기념 문집에 수록된 작품들이다. 알렉시예비치의 정치성은 과거 동-서 진영 간의 이념적인 갈등 수준을 넘어선 것으로, 국가 권력과 사회적 평판의 폭력 앞에서 소외된 다수의 자유와 인권 등 인간의 기본권에 대한 문제 제기이다. 알렉시예비치 소설이 시대정신에 부합한다고 평한 스웨덴 한림원의 논리를 중심으로 작가의 정치성을 검토하였다. 목소리 소설은 `도스토예프스키가 말한 바 있는 인간 내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목소리들`을 `아다모비치의 문학 형태 실험`을 활용하여 소설로 엮어내는 알렉시예비치 특유의 글쓰기 방식이다. 작가는 소비에트사회를 경험한 다수의 `작은 사람들`과의 인터뷰를 작품 속에 배치하여 `소비에트와 포스트소비에트 사회에 대한 집단 기억을 투사한 소설`들을 펴냈다. 이 글은 5편의 소설들에 나타난 목소리 소설 형태의 변화 양상을 포착하고, 작가의 텍스트 개입 정도에 따라 목소리 시학 장르가 다듬어지는 과정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is to capture the essence of political messages of Aleksievich`s five suits of writings and intends to show differences in the five suits from the poetics` point of view. These five suits are included in the special editions (Vremya press co.) of 2015 Winner of Nobel Prize in Literature by the writer herself. The political orientation of the writer is something different from the years-old confrontation between the West and the East-soviet blocs. It is the calling to pay attention to the sufferings of the ordinary people, their human rights. Nobel Prize committee regards Aleksievich`s human-orientation as the Spirit of our Era and something the Literature should pursue. This article points out the essence of the author`s political thinking with the press release materials of Nobel Prize committee. The main issue of this article is to show the poetics of Aleksievich`s Voice writings. This article finds the author`s literature manifesto in the first book of the five suits. The five suits are the books which contain the collective memories of the ordinary former Soviet people on the Soviet period. This article shows the main elements of the manifesto and the way how the manifesto becomes the polyphonic novels in different way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속담을 활용한 다문화가정의 한국어/문화교육 방안 연구 -한,중,일 속담의 비교를 중심으로

        양민정 ( Min Jung Yang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09 世界文學比較硏究 Vol.29 No.-

        This study investigated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plan of multicultural home on the basis of proverbs of three Asian countries; Korea, China and Japan. Firstly, the study examined tangible attributes of proverbs. Secondly, the research considered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as to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plan of multicultural home using proverbs. It also looked for meaning of comparison of three countries` proverbs. Thirdly, comparison was executed on the proverbs of Korea and China, and those of Korea and Japan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cultural factors of Korean proverbs were extracted. Next, this study investigated Korean culture education plan of multicultural home utilizing proverbs. Lastly, the research considered modern modification of proverbs.

      • KCI등재후보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화 속의 한국 전통 춤의 사회적 역할 -러시아 상트 페테르부르크 지역을 중심으로-

        양민아 ( Min Ah Yang ) 한국무용기록학회 2008 무용역사기록학 Vol.15 No.-

        본 연구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거주하고 있는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화에 있어서 한국 전통 춤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것이다. 그 중에서도 한국 전통 춤 교육과그 공연을 통해 한국 문화에 대한 고려인들의 의식 변화와 나아가 러시아 사회에서의한국 전통 춤의 역할을 조명해 보고자 한다. 민족 무용은 민족의 정신적인 삶을 형성하는 예술형식이다. 이와 더불어, 세대를 거듭하여 형성된 전통 춤에는 민족의 역사, 철학 그리고 삶이 반영되어있다. 민족무용은 민족의 생활 문화 환경 특히 사회 환경을 결정짓고, 개인 또는 집단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게 해준다. 이에 민족무용 수업은 학습자에게 사회문화적인 경험(지식,관습, 가치, 전통 등)을 습득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학습자를 그 문화체계에 적극적으로 포함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국 전통 춤은 반 만년 동안 한민족과 공존하며 형성되었다. 한국 전통 춤에는 유교, 불교, 도교의 철학적, 종교적 이념과 민간신앙이 서로 융화되어 다양한 형태로 표현된다. 그리고 중용의 미, 자연스러움의 미 그리고 조화의 미로 대표되는 전통 춤의특징은 중용, 자연스러움, 조화를 중요시하는 한민족의 성격이 반영되어있다. 본 연구자는 약 3년간 상트 페테르부르크 청소년 문화 교육 센터에서 한국 전통춤 교사 및 2003년에 창단된 전통 무용단 ‘소운’의 예술 감독으로 활동하며 상트페테 르부르크 및 러시아 각 지역의 각종 한국전통 문화 행사와 세계문화축제에 참가해 전통 춤을 통한 고려인과 러시아인들의 한국 문화의 수용 과정을 관찰할 수 있었다. 연구는 설문조사와 심층면담 그리고 참여관찰을 통해 이루어 졌으며, 그 결과 고려인들에게 전통 춤은 전통을 계승하고 한국 문화의 이해와 전파에 가장 효과적인 수단임이 증명되었다. 그러나 춤 교육을 통해 피험자의 의식 변화가 이루어지는 데는 최소 6개월에서 1년 정도의 기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다민족 국가인 러시아는 현재 공산주의에서 자본주의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위치해 사회적 안정을 필요로 한다. 그 하나의 해결책으로 정부는 각 민족을 회유하기 위해,민족 문화 활동을 장려하고, 타 문화에 대한 관용정신 함양을 정책적으로 내세우고있다. 이에 한국 전통 춤의 교육과 ‘소운’ 무용단의 공연활동은 1차적으로 고려인들에게는 자 문화를 되찾고, 러시아 사회에는 새로운 문화를 소개해 문화의 다양성을 제공, 더 나아가 춤 교육이러시아인들을 상대로 이루어진다면 중용의 미, 자연스러움의미 그리고 조화의 미를 추구하는 한국 전통 춤의고유한 특징이 그들에게 관용정신과원숙한 인격형성을 할 수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이는 글로벌 시대를 맞아 안정적인신 러시아사회 건설을 필요로 하는 다민족 국가 러시아의 발전에 좋은 밑거름이 될것이다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social rol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in the culture of Korean Diaspora in St. Petersburg, Russian Federation. The word ‘Diaspora’ means a steady set of people of the uniform ethnic origin, living in foreign environmental outside of the historical native land (or outside of an area of moving of people) and having social institutes for development and functioning of the given generality. National dance is a component of a spiritual life of ethnos. Really, live national dance existed for the sake of dancing executors; it collectively was created and reproduced. At the same time it was individual on the experience. Its time is simultaneously infinite, historically close. The Korean dance was being enriched by philosophical doctrines and religious beliefs. It has connected their elements shamanism, Confucianism, Daoism and the Buddhism. Between these elements is not present the contradiction as for example to the western culture, and find in harmonious unity, enriching and supplementing each other. As, the Korean dance the nature, moderation etc. Process mastering of the Korean dance not only techniques training, but also education of the mature person and spirituality brings to the person internal harmony, calmness, tolerance, obedience of the la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process of revival of Korean culture by the Korean Diasporasas an ancestor``s culture and theirs through the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The methodologies used in this study are a historical research, a questionnaire poll, a depth interviewing and a participant observation. Author has worked as a teacher of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at the same time, as an artistic director in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company “Soun” for 3 years. Training to the Korean dance allows to see rather complex, but simultaneously interest to dance, mastering of its complex philosophic and aesthetic maintenance, movements, plastics and through it changes of the attitude for culture of Russian-Koreans, - another, to “another’s”, unfamiliar culture which becomes close and clear. The Russian society requires stability. Showing special care of ethnic minority, the Russian Government creates conditions for formation of new culture of interethnic dialogue, considering it as the important tool of struggle about intolerance and xenophobia. The decision of this problem represents itself as one of mainstreams of the state national policy. Experience of Russia is important and useful to Korea. One of ways of its achievement is formation of the tolerant relation to other cultures. Acquaintance of Russians to traditional Korean dance can promote successful intercultural dialogue. In turn, this will enrich also Russian culture.

      • KCI등재

        재외한인을 위한 한국전통공연예술교육의현황과 과제 연구: 러시아상트페테르부르크 지역을 중심으로

        양민아 ( Mina Yang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5 예술교육연구 Vol.13 No.4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한인들과 그들의 문화에 대해서 살펴보고, 한국전통무용을비롯하여 한국문화교육의 현황과 그 변화과정을 한국청소년문화교육센터 < 난(蘭) >과 한국전통무용단< 소운(小雲) >의 활동을 통해 알아볼 것이다. 먼저, 상트페테르부르크 한인들의 한국전통무용 활동의 중요성과 특수성을 분석한다. 그리고 2012년 초연 한 러시아어로 하는 마당놀이 < 두 형제와 마술호박이야기 >의 한국전통공연예술의 현지화 교육모델로써의 가능성을 진단해 볼 것이다. 이와 함께, 다문화 사회에서 대한민국과 거주국 양국의 문화를 잘 이해하고 양국의 발전을 위해서 활약할 수 있는 글로벌 인재의 양성과 한국문화의 적극적 향유를 위한 재외한인들의 한국전통공연예술교육의 현황과 그 과제에 대하여 논의해 보고자 한다.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life and culture of ethic Koreans living in St. Petersburg, Russia. And also the current status and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dance as well as Korean cultural education were studied with the activities of ‘Nan’ a Korean Youth Cultural-Educational Center and ‘Soun’, a Korean traditional dance company.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importance and uniquenes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for ethic Koreans living in St. Petersburg. As an glocalizational educational model of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the possibility of a Korean traditional outdoor performance ‘the story of two brothers and a magic pumpkin’ (premiere 2012) in the Russian language will be checked out. Furthermore, this research highlights the necessity and task of the educational model of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for overseas Koreans to foster global talents who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both Korea and the Russia as well as to arouse their interests in Korean culture.

      • KCI등재

        디지털 콘텐츠화를 위한 조선시대 애정소설의 구성요소별 유형화와 그 원형적 의미 및 현대적 수용에 관한 연구

        양민정(Yang, Min-j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7 외국문학연구 Vol.- No.27

        본 논문은 고전 애정소설을 디지털 콘텐츠화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문학적 과제들을 고찰하고 그 현대적 수용과 활용 방안을 소개함으로써 고전 텍스트의 문화콘텐츠로서의 역할과 효과를 밝히고자 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상상력을 토대로 창의성을 강조하는 문화콘텐츠가 급부상하면서 상상력의 보고인 고전소설은 하나의 블루오션이 된다 하겠다. 한편 IT산업의 비약적 발전에 비해 우리만의 특화된 콘텐츠 확보가 빈약한 현실에서 고전소설 텍스트는 창작 원천으로서 그 역할과 활용 효과가 더욱 지대하다고 본다. 본 논문은 문자매체인 고전 애정소설 텍스트가 애니메이션, 영화, 게임, 만화, 드라마, 에듀테인먼트 등 다른 장르형태의 문화콘텐츠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문화원형 콘텐츠화 방안을 구축하고 제시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처음에 선정한 애정소설 10개 작품 중 4유형으로 압축한 <숙영낭자전>,<숙향전>,<조웅전>,<운영전> 등 4작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Ⅱ장에서는 애정소설과 디지털 콘텐츠화의 연계 의의를 살펴 보았고, Ⅲ장에서는 콘텐츠화의 개발 내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Ⅳ장에서는 애정소설의 구성요소를 캐릭터, 배경, 애정적 모티프 및 묘사, 소품과 신물 등에 고찰하였다. Ⅴ장에서는 디지털 콘텐츠화의 방안으로서 작품의 스토리 서사, 캐릭터의 현대적 변용, 각색 등을 대표 작품 1편씩을 예로 들어 제시하였으며, Ⅵ장에서는 Ⅴ장의 작업을 바탕으로 현대적 수용 가능성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necessary literary problems that appear in the process of making digital contents of ancient romance novel and introduce how to accept and use it to reveal ancient text's role and Its effect as cultural contents. As cultural contents that emphasize imagination is on the surface, romance novel, the reportage of imagination, has become one of the blue ocean. On the other hand, in the reality of confirming our own specialized contents when IT industry progressed rapidly, ancient novel text has enormous effect on Its role and usage as a creative source. This study progresses in the direction of constructing and presenting cultural contents where ancient romance novel text can be applied in animation, movies, game, comics, drama, edutainment and other form of genre of cultural contents. Among the ten chosen romance novels in this study, four works that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such as Sookyoung Maiden Story, Sookhyang Story, Jowoong Story, Woonyoung Story were analyzed. In Chapter Ⅱ, the connected significance between romance novels and digital contents were considered and Chapter III deals with developing contents. In Chapter IV, romance novel's element of constituent was considered: character, background, motif of romance and description, and props. In Chapter V, story epic, metamorphosis of character, and adaptation were proven through major works as digital contents plan, and in Chapter VI, the possibility of accepting works in Chapter V and Its usage were suggested.

      • KCI등재

        율피.솔잎.호프의 수성 아세톤 추출물에 의한 Melanin 생성 억제 효과

        양민진(Min Jin Yang),김명길(Myung Gill Kim),임세진(Se Jin Lim),안형수(Hyung Soo Ann),안령미(Ryoung Me Ahn) 대한약학회 1999 약학회지 Vol.43 No.4

        The skin whitening effects of pine needle extract, hop extract and chestnut inner shell extract were evaluated both in vitro and in B 16 mouse melanoma cell lines. Each extracts significantly inhibited tyrosinase activity, dopa auto-oxidation and melanin biosynthesis in vitro and in B 16 cell lines. In vitro, hop extract inhibited melanin biosynthesis 15 times stronger than kojic acid at 10 mcg/ml concentration. Each extracts were stronger inhibitors of melanin biosynthesis than kojic acid in B 16 mouse melanoma cell at less than 4mcg/ml concentration. These results show that extracts of pine needle, hop and chestnut inner shell could be developed as skin whitening component of cosmetics.

      • KCI등재

        다문화적 관점에서 <구운몽>을 통해 본 소통과 화합 방식

        양민정(Yang, Minj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6 외국문학연구 Vol.- No.61

        본고에서는 다문화적 관점에서 <구운몽>을 통해 본 소통과 화합 방식에 관해 고찰하였다. <구운몽>에 관한 연구는 다각적, 다층적으로 풍성한 연구 성과들이 축적되어 있어서 새로운 연구 주제를 찾아보기 어려운 우수 작품이다. 다문화 시대에 부응하여 우리의 고전 텍스트들에 대한 다문화적 시각의 접근은 시의적이고 참신함의 의미로 새롭게 부각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한국 고전소설의 대표작으로 평가되는 <구운몽>은 시각에 따라 다문화적 요소가 상당히 풍부하게 담지되어 있고 다양한 함의를 지니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김만중의 개인적, 사회적, 국가적 삶의 역정과 그의 내밀한 의식과 문학관을 살펴볼 때, <구운몽>은 표면적으로 제시되는 다양한 애정 방식을 통한 일부다처의 남녀 결연, 가문 창달의식, 자유롭고 환상적인 애정 행각 등의 주제 이면에 다문화 사회에 대한 선구적 관심과 통합 의식, 나아가서는 글로벌적 소통의식이 담지되어 있다고 분석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다문화적 관점에서의 <구운몽>의 분석 의의를 논하였고, <구운몽>의 작품 경개를 다문화적 요소 중심으로 정리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구운몽>에 나타난 인물들의 타자적 특성과 의미를 살펴 보았으며, 다문화적 관점에서 <구운몽>에 나타난 소통과 화합 방식에 관해 고찰하였다. 끝으로 김만중의 다문화적 작가의식에 관해 논하였다. 극소수의 짧은 한문소설 중 작품 일부에서 다문화성을 고찰한 연구 업적은 몇편 있지만 중편의 국문소설에서, 그것도 조선조 시대 대표적 관료 문인의 작품인 <구운몽>에서는 작품 거의 전체를 다문화적 관점에서 읽을 수 있다는 점은 작가 김만중의 글로벌한 선구적 작가의식의 혜안이 돋보인다는 소설사적 의의도 크다고 본다. The paper studied the way of communication and unity viewed from the multi-cultural perspective in the Cloud Dream of the Nine. The novel has been studied in multilateral and multi-layered ways along with a huge quantity of research results, which made it harder to find a new subject matter for the great masterpiece. In the arrival of the multi-cultural era, taking a multi-cultural perspective on our classical texts can be considered timely and original. Among them, one of the representative classical novels of Korea, the Cloud Dream of the Nine has been viewed to contain abundant multi-cultural elements and implications depending on viewpoints. Considering the author Kim Manjung’s personal, social and national life journey and his inner consciousness and literary perspective, the novel has been analyzed to contain pioneering interest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e awareness of unity and global communication awareness behind the subjects the author presented on the surface; polygamic unity among genders through various ways of love, family formation awareness and free and fantastic acts of love. Therefore, the paper discusses the analytic implication of the novel from the multi-cultural viewpoints and summarizes the story outline according to the multi-cultural elements found in the novel. Based on the analysis,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found in the novel is reviewed and the way of communication and unity presented in the artwork is analyzed from the multi-cultural perspective. And his multi-cultural consciousness as an author is discussed. Few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to review multi-culturalism in parts of few short novel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However, the Cloud Dream of the Nine has a hug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history of novel as the mid-length novel written in Korean and the artwork of a leading bureaucrat author of the Joseon Dynasty is outstanding with the author’s global pioneering consciousness and insights and the most part of the work can be appreciated from the multi-cultural perspective. 본고에서는 다문화적 관점에서 <구운몽>을 통해 본 소통과 화합 방식에 관해 고찰하였다. <구운몽>에 관한 연구는 다각적, 다층적으로 풍성한 연구 성과들이 축적되어 있어서 새로운 연구 주제를 찾아보기 어려운 우수 작품이다. 다문화 시대에 부응하여 우리의 고전 텍스트들에 대한 다문화적 시각의 접근은 시의적이고 참신함의 의미로 새롭게 부각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한국 고전소설의 대표작으로 평가되는 <구운몽>은 시각에 따라 다문화적 요소가 상당히 풍부하게 담지되어 있고 다양한 함의를 지니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김만중의 개인적, 사회적, 국가적 삶의 역정과 그의 내밀한 의식과 문학관을 살펴볼 때, <구운몽>은 표면적으로 제시되는 다양한 애정 방식을 통한 일부다처의 남녀 결연, 가문 창달의식, 자유롭고 환상적인 애정 행각 등의 주제 이면에 다문화 사회에 대한 선구적 관심과 통합 의식, 나아가서는 글로벌적 소통의식이 담지되어 있다고 분석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다문화적 관점에서의 <구운몽>의 분석 의의를 논하였고, <구운몽>의 작품 경개를 다문화적 요소 중심으로 정리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구운몽>에 나타난 인물들의 타자적 특성과 의미를 살펴 보았으며, 다문화적 관점에서 <구운몽>에 나타난 소통과 화합 방식에 관해 고찰하였다. 끝으로 김만중의 다문화적 작가의식에 관해 논하였다. 극소수의 짧은 한문소설 중 작품 일부에서 다문화성을 고찰한 연구 업적은 몇편 있지만 중편의 국문소설에서, 그것도 조선조 시대 대표적 관료 문인의 작품인 <구운몽>에서는 작품 거의 전체를 다문화적 관점에서 읽을 수 있다는 점은 작가 김만중의 글로벌한 선구적 작가의식의 혜안이 돋보인다는 소설사적 의의도 크다고 본다. The paper studied the way of communication and unity viewed from the multi-cultural perspective in the Cloud Dream of the Nine. The novel has been studied in multilateral and multi-layered ways along with a huge quantity of research results, which made it harder to find a new subject matter for the great masterpiece. In the arrival of the multi-cultural era, taking a multi-cultural perspective on our classical texts can be considered timely and original. Among them, one of the representative classical novels of Korea, the Cloud Dream of the Nine has been viewed to contain abundant multi-cultural elements and implications depending on viewpoints. Considering the author Kim Manjung’s personal, social and national life journey and his inner consciousness and literary perspective, the novel has been analyzed to contain pioneering interest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e awareness of unity and global communication awareness behind the subjects the author presented on the surface; polygamic unity among genders through various ways of love, family formation awareness and free and fantastic acts of love. Therefore, the paper discusses the analytic implication of the novel from the multi-cultural viewpoints and summarizes the story outline according to the multi-cultural elements found in the novel. Based on the analysis,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found in the novel is reviewed and the way of communication and unity presented in the artwork is analyzed from the multi-cultural perspective. And his multi-cultural consciousness as an author is discussed. Few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to review multi-culturalism in parts of few short novel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However, the Cloud Dream of the Nine has a hug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history of novel as the mid-length novel written in Korean and the artwork of a leading bureaucrat author of the Joseon Dynasty is outstanding with the author’s global pioneering consciousness and insights and the most part of the work can be appreciated from the multi-cultural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