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춘향전>과 <쿤창과 쿤팬의 이야기>의 애정담 및 여성의식 비교 연구

        양민정(Yang Min j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7 외국문학연구 Vol.- No.65

        본고는 최근 태국의 결혼이주여성들이 많이 증가함에 따라 한국-태국 간 다문화 가정 부부의 상호 소통과 이해를 위한 문학교육적 자료로서 한국-태국 문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한국의 판소리계 소설 <춘향전>과 태국의 쎄파계 소설 <쿤창과 쿤팬의 이야기>는 각각 판소리와 쎄파라는 향유 매개체에 사설을 얹은 19세기 무렵의 민중문학의 최고 걸작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고, 또 남녀 애정담이라는 점에서 본고의 연구 텍스트로 삼게 되었다. <춘향전>은 완판 84장본 <열녀춘향수절가>를, <쿤창과 쿤팬의 이야기>는 번역 발췌본을 연구 텍스트로 삼았다. 판소리와 쎄파의 장르적 특성인 장편운문서사시 형태의 형상화 방식을 살펴 보았으며, <춘향전>과 <쿤창과 쿤팬의 이야기> 두 작품에 그려진 애정담의 줄거리, 구조, 만남의 양상, 인물의 양상 등을 살펴 보았고, 특히 결말 방식의 극명한 차이와 그 의미가 주목되었다. 그를 바탕으로 두 작품 간 비교를 통한 애정담의 특징 및 여성의식을 고찰하였다. 유교문화권과 인도문화권이라는 상이한 문화적 배경에서 두 여주인공의 열절이데올로기에 대응하는 여성의식의 차이도 살펴 보았다. 본 고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의 문학/문화교육에 일익의 의미를 두고자 한국-태국 간 고전문학 비교 연구를 처음 시도하였으며, 차후 연구에서 논의의 확장과 심화로 보완되기를 기대한다. The study aims to compare Thai and Korean traditional societies through the representative classical literature: ChunhyangJeon and KhunChang KhunPhaen. Looking at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of ChunhyangJeon and KhunChang KhunPhaen, there are some similarities. Regarding the genre of literature, both ChunhyangJeon and KhunChang KhunPhaen were initially oral literature which spread widely through the means of Sepha and Pansori respectively and were recorded by writing in the 19th century. In the view of topic, both are love story between man and woman. In this study, the following points were investigated. Firstly, this paper examined genre characteristics in Pansori and Sepha. There is common point in formal characteristics of long-length epic based on folk consciousness. Secondly, the author investigated the plot, the structure of the work, and the characters based on the viewpoint of love story. Lastly, the characteristics and social meaning of love story were examined through comparison of two works. By comparing and analyzing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the contradictory endings and meanings of the two works were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contemporary social meanings based on the socio-cultural values of Korea and Thailand such as a view of marriage and womanhood.

      • KCI등재

        한국,몽골 전통문화를 활용한 다문화 가정의 상호문화교육콘텐츠 연구

        양민정 ( Minjung Yang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5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2 No.-

        본고에서는 한국과 몽골의 전통문화, 특히 전통혼례와 설. 추석(나담)의 대표 세시풍속을 활용한 다문화 가정의 상호문화교육콘텐츠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첫째, 한국. 몽골 문화의 역사적 관련성과 의미에 대해 살펴 보았다. 둘째, 양국 간 전통문화를 활용한 다문화 가정을 위한 상호문화교육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Ⅲ장에서는 한국. 몽골 전통문화 중 대표적 두 유형, 즉 전통혼례와 세시풍속(설. 추석-나담축제)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두 유형의 전통문화를 공통점과 차이점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Ⅴ장에서는 Ⅳ장 논의를 근거로 한국. 몽골 구성원 가정을 위한 상호문화교육콘텐츠를 제시하였다. 본고는 민속학 분야의 학술적 전공 연구는 아니다. 한국과 몽골과의 교류, 특히 몽골 여성의 결혼 이주 현황이 급증하면서 보다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다문화 가정으로의 정착, 나아가서는 한국형 다문화 구성원의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는 상호문화교육콘텐츠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논의를 위해 양국 간 전통문화를 활용하였다. 본고는 한국. 몽골 간 전통문화 분석을 통하여 정주문화 및 유목민문화의 사유방식을 이해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한 연구의의도 있다고 본다. 나아가 다문화 가정 구성원의 실질적인 상호이해와 소통에 실질적, 교육적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ducational strategies using seasonal customs of traditional cultures of Korea and Mongolia, especially traditional wedding, New Year´s Day and ``Naadam(Mongolian Thanksgiving day)``. In chapter 2, we looked into historical relevance and meaning of culture in Mongolia and Korea, and discussed needs of intercultural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using traditional cultures of two countries. Chapter 3 deal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seasonal customs and traditional wedding as the representative types of traditional cultures of two countries. In chapter four, two types of traditional culture arou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analyzed. And, we extracted a cross-cultural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it. In chapter 5, we proposed 21 plans of intercultural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of Korea and Mogolia based on the rational of chapter 4. This paper is not an academic major field of study of folklore. It has attempted to provide a cross-cultural educational content that can contribute to social integration for the purpose of lead to the settlement of a desirable multicultural family of Mongolian women immigra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substantial, practical educational assistance to the mutu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디지털콘텐츠 개발을 위한 고전소설의 활용 방안 試論

        양민정(Yang, Min-j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5 외국문학연구 Vol.- No.19

        This thesis is a study of the application of Korean classic novels to developing digital contents. The main text of this study is Maiden Suk Young, which is one of the Korean classic romance novels. In chapter Ⅱ, I focused on the desirable transformation of classic novels in the age of digital media. To speak in detail, I examined the various aspects of possibility of the transfiguration of the text, including the change of cultural perspective of the text, the style transition of the genre, the change of characters, the modific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text, and the change of the value of text in the cultural market. In chapter Ⅲ, I studied the useful qualities of Korean classic novels for the digital contents. In other words, I examined the suitable characteristics of those novels for transformation into the contents which can serve as the driving force of new creation and development for digital media in the terms of literature, image, popularity, and fantasy. In chapter Ⅳ, I researched the ways to make use of Korean classic novels for developing digital contents. To begin with, I examined the background story of Maiden Suk Young. Next, I analysed the storyline, the modern scenario, the characters, the plot, the theme, and the background of the text. Lastly, I examined the conversion of the genre, the narrative structure, motifs, love affairs, the appearance of characters, attire, and the material of the text. In chapter Ⅴ, I reviewed the prospective of transfiguration of Korean classic novels into digital contents, including the multi-use effect of the original source, the insurance of high added value as a cultural goods of Maiden Suk Young, the flourishing of producing films of traditional culture, the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the activation of popular recreations, the promotion of the studies for the reception of classic literature in the modern age, and the utilization of the contents for the education practice.

      • KCI등재

        회화적 재현에 대한 경험과 상상하기

        양민정 ( Yang Min Jeong ) 한국미학회 2021 美學 Vol.87 No.1

        이 글은 회화적 재현에 대한 경험과 상상하기와의 관련성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재현적인 회화에 대한 경험이 상상하기와 관련이 있다는 생각은 많은 이들에게 직관적 설득력을 가지는 것 같지만, 그 정확한 관계가 무엇인지 설명하는 것은 그리 쉽지 않다. 이 글은 회화에 대한 경험을 상상하기로서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들을 비판함으로써 논의를 전개시킬 것이다. 우선 재현적인 회화에 대한 경험을 “본다고 상상하기”로서 정의하는 켄달 월튼의 이론을 살펴볼 것인데, 월튼은 그림을 바라보는 감상자는 자신의 실제 행위에 대해, 그것이 그림에 재현된 대상을 보는 행위라고 상상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반해, 캐슬린 스톡은 재현적인 회화에 대한 경험에서 핵심적인 상상하기는 무엇인가가 존재한다고 상상하는 것이며, 이러한 상상하기는 명제적인 상상하기라고 주장한다. 필자는 이 두 이론을 비판하고, 재현적인 회화에 대한 경험에서의 상상하기는 재현된 대상을 본다고 상상하기도, 그 대상이 존재한다고 상상하기도 아닌 “공간에 대한 상상하기”라고 제안한다. 필자는 우리가 재현적인 그림을 경험할 때 대상들을 보는 것과 공간성을 경험하는 것은 다르다고 생각하며, 그림 안에서 대상을 보는 경험은 볼하임이 말하는 “이중성”을 가진 경험, 즉 그림 표면의 속성들에 대한 의식과 재현된 대상에 대한 의식이 하나로 통합된 “안에서 보기” 경험으로서 설명될 수 있지만, 공간성에 대한 경험은 상상하기로써 가장 잘 설명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In this article, I clarify the relation between pictorial experience and imagining. The thought that the experience of pictorial representation has to do with imagination has an intuitive appeal to many, but it is not easy to explain what the exact relationship is. Kendall Walton famously argues that a picture of an object induces the viewer to imagine seeing the object. However, it is not clear how we can understand “imagining seeing” as a kind of perceptual experience. Kathleen Stock argues that the imaginative thought which is central to pictorial experience is the thought that something exists. I criticize these theories and suggest that imagining in the experience of a representational painting is imagining a three dimensional space rather than imagining seeing an object or imagining that it exists. I think that when we explain pictorial experience, seeing spaces and seeing objects should be explained differently. Whereas the experience of seeing objects in pictures can be explained as the “twofold” experience which Wollheim says, the experience of spatiality when we see pictures can be explained as imagining.

      • KCI등재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성취목표지향성이 대학생의 학업적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양민정(Yang Min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업적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 D대학에서 200명의 학생으로부터 자료를 수집 하였고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학업적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업적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업적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한 통계처리는 SPSS 22.0을 사용하였고 상관분석과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의 하위요인 중 수행의심이 학업적 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요인 중 숙달목표지향성과 수행회피 지향성이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요인을 모두 함께 투입했을 때 수행의심, 숙달목표, 수행회피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학업적 지연행동을 보이는 학생들에 대한 개입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goal orientation on college students academic procrastination. The objects of the study were 200 students in D Univers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orrelation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doubts about action had an only effect on academic procrastination. Second, mastery goal and work-avoidance goal had an effect on academic procrastination. Three, doubts about action, mastery goal and work-avoidance goal had an effect on academic procrastination. From above results, it was suggested to form adaptive goal orientation and reduce doubt about action.

      • KCI등재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문화소통 능력 향상 교육 방안 연구 : 한국,베트남,몽골 3국의 창세,건국신화를 중심으로

        양민정 ( Min Jung Yang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12 世界文學比較硏究 Vol.41 No.-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present a few educational methods for improving 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of multicultural family’s childre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it has discussed of the myth of creating the world and the myth of founding a country of Korea, Vietnam, Mongolia. The summary is on the below. In chapter 2, it dealt the necessity and the educational meaning using the myth for multicultural family’s children. The chapter 3 has been consist of inquiries on contents of the myths of Korea, Vietnam, Mongolia. In chapter 4 and 5, comparative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among the myths of Korea, Vietnam, Mongolia. In chapter 6, it dealt the 10 items for educational methods for improving 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of multicultural family’s children.

      • KCI등재

        속담을 활용한 다문화가정의 한국어/문화교육 방안 연구 -한,중,일 속담의 비교를 중심으로

        양민정 ( Min Jung Yang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09 世界文學比較硏究 Vol.29 No.-

        This study investigated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plan of multicultural home on the basis of proverbs of three Asian countries; Korea, China and Japan. Firstly, the study examined tangible attributes of proverbs. Secondly, the research considered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as to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plan of multicultural home using proverbs. It also looked for meaning of comparison of three countries` proverbs. Thirdly, comparison was executed on the proverbs of Korea and China, and those of Korea and Japan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cultural factors of Korean proverbs were extracted. Next, this study investigated Korean culture education plan of multicultural home utilizing proverbs. Lastly, the research considered modern modification of proverbs.

      • KCI등재

        디지털 콘텐츠화를 위한 조선시대 애정소설의 구성요소별 유형화와 그 원형적 의미 및 현대적 수용에 관한 연구

        양민정(Yang, Min-j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7 외국문학연구 Vol.- No.27

        본 논문은 고전 애정소설을 디지털 콘텐츠화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문학적 과제들을 고찰하고 그 현대적 수용과 활용 방안을 소개함으로써 고전 텍스트의 문화콘텐츠로서의 역할과 효과를 밝히고자 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상상력을 토대로 창의성을 강조하는 문화콘텐츠가 급부상하면서 상상력의 보고인 고전소설은 하나의 블루오션이 된다 하겠다. 한편 IT산업의 비약적 발전에 비해 우리만의 특화된 콘텐츠 확보가 빈약한 현실에서 고전소설 텍스트는 창작 원천으로서 그 역할과 활용 효과가 더욱 지대하다고 본다. 본 논문은 문자매체인 고전 애정소설 텍스트가 애니메이션, 영화, 게임, 만화, 드라마, 에듀테인먼트 등 다른 장르형태의 문화콘텐츠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문화원형 콘텐츠화 방안을 구축하고 제시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처음에 선정한 애정소설 10개 작품 중 4유형으로 압축한 <숙영낭자전>,<숙향전>,<조웅전>,<운영전> 등 4작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Ⅱ장에서는 애정소설과 디지털 콘텐츠화의 연계 의의를 살펴 보았고, Ⅲ장에서는 콘텐츠화의 개발 내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Ⅳ장에서는 애정소설의 구성요소를 캐릭터, 배경, 애정적 모티프 및 묘사, 소품과 신물 등에 고찰하였다. Ⅴ장에서는 디지털 콘텐츠화의 방안으로서 작품의 스토리 서사, 캐릭터의 현대적 변용, 각색 등을 대표 작품 1편씩을 예로 들어 제시하였으며, Ⅵ장에서는 Ⅴ장의 작업을 바탕으로 현대적 수용 가능성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necessary literary problems that appear in the process of making digital contents of ancient romance novel and introduce how to accept and use it to reveal ancient text's role and Its effect as cultural contents. As cultural contents that emphasize imagination is on the surface, romance novel, the reportage of imagination, has become one of the blue ocean. On the other hand, in the reality of confirming our own specialized contents when IT industry progressed rapidly, ancient novel text has enormous effect on Its role and usage as a creative source. This study progresses in the direction of constructing and presenting cultural contents where ancient romance novel text can be applied in animation, movies, game, comics, drama, edutainment and other form of genre of cultural contents. Among the ten chosen romance novels in this study, four works that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such as Sookyoung Maiden Story, Sookhyang Story, Jowoong Story, Woonyoung Story were analyzed. In Chapter Ⅱ, the connected significance between romance novels and digital contents were considered and Chapter III deals with developing contents. In Chapter IV, romance novel's element of constituent was considered: character, background, motif of romance and description, and props. In Chapter V, story epic, metamorphosis of character, and adaptation were proven through major works as digital contents plan, and in Chapter VI, the possibility of accepting works in Chapter V and Its usage were suggested.

      • KCI등재

        다문화적 관점에서 <구운몽>을 통해 본 소통과 화합 방식

        양민정(Yang, Minj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6 외국문학연구 Vol.- No.61

        본고에서는 다문화적 관점에서 <구운몽>을 통해 본 소통과 화합 방식에 관해 고찰하였다. <구운몽>에 관한 연구는 다각적, 다층적으로 풍성한 연구 성과들이 축적되어 있어서 새로운 연구 주제를 찾아보기 어려운 우수 작품이다. 다문화 시대에 부응하여 우리의 고전 텍스트들에 대한 다문화적 시각의 접근은 시의적이고 참신함의 의미로 새롭게 부각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한국 고전소설의 대표작으로 평가되는 <구운몽>은 시각에 따라 다문화적 요소가 상당히 풍부하게 담지되어 있고 다양한 함의를 지니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김만중의 개인적, 사회적, 국가적 삶의 역정과 그의 내밀한 의식과 문학관을 살펴볼 때, <구운몽>은 표면적으로 제시되는 다양한 애정 방식을 통한 일부다처의 남녀 결연, 가문 창달의식, 자유롭고 환상적인 애정 행각 등의 주제 이면에 다문화 사회에 대한 선구적 관심과 통합 의식, 나아가서는 글로벌적 소통의식이 담지되어 있다고 분석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다문화적 관점에서의 <구운몽>의 분석 의의를 논하였고, <구운몽>의 작품 경개를 다문화적 요소 중심으로 정리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구운몽>에 나타난 인물들의 타자적 특성과 의미를 살펴 보았으며, 다문화적 관점에서 <구운몽>에 나타난 소통과 화합 방식에 관해 고찰하였다. 끝으로 김만중의 다문화적 작가의식에 관해 논하였다. 극소수의 짧은 한문소설 중 작품 일부에서 다문화성을 고찰한 연구 업적은 몇편 있지만 중편의 국문소설에서, 그것도 조선조 시대 대표적 관료 문인의 작품인 <구운몽>에서는 작품 거의 전체를 다문화적 관점에서 읽을 수 있다는 점은 작가 김만중의 글로벌한 선구적 작가의식의 혜안이 돋보인다는 소설사적 의의도 크다고 본다. The paper studied the way of communication and unity viewed from the multi-cultural perspective in the Cloud Dream of the Nine. The novel has been studied in multilateral and multi-layered ways along with a huge quantity of research results, which made it harder to find a new subject matter for the great masterpiece. In the arrival of the multi-cultural era, taking a multi-cultural perspective on our classical texts can be considered timely and original. Among them, one of the representative classical novels of Korea, the Cloud Dream of the Nine has been viewed to contain abundant multi-cultural elements and implications depending on viewpoints. Considering the author Kim Manjung’s personal, social and national life journey and his inner consciousness and literary perspective, the novel has been analyzed to contain pioneering interest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e awareness of unity and global communication awareness behind the subjects the author presented on the surface; polygamic unity among genders through various ways of love, family formation awareness and free and fantastic acts of love. Therefore, the paper discusses the analytic implication of the novel from the multi-cultural viewpoints and summarizes the story outline according to the multi-cultural elements found in the novel. Based on the analysis,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found in the novel is reviewed and the way of communication and unity presented in the artwork is analyzed from the multi-cultural perspective. And his multi-cultural consciousness as an author is discussed. Few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to review multi-culturalism in parts of few short novel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However, the Cloud Dream of the Nine has a hug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history of novel as the mid-length novel written in Korean and the artwork of a leading bureaucrat author of the Joseon Dynasty is outstanding with the author’s global pioneering consciousness and insights and the most part of the work can be appreciated from the multi-cultural perspective. 본고에서는 다문화적 관점에서 <구운몽>을 통해 본 소통과 화합 방식에 관해 고찰하였다. <구운몽>에 관한 연구는 다각적, 다층적으로 풍성한 연구 성과들이 축적되어 있어서 새로운 연구 주제를 찾아보기 어려운 우수 작품이다. 다문화 시대에 부응하여 우리의 고전 텍스트들에 대한 다문화적 시각의 접근은 시의적이고 참신함의 의미로 새롭게 부각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한국 고전소설의 대표작으로 평가되는 <구운몽>은 시각에 따라 다문화적 요소가 상당히 풍부하게 담지되어 있고 다양한 함의를 지니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김만중의 개인적, 사회적, 국가적 삶의 역정과 그의 내밀한 의식과 문학관을 살펴볼 때, <구운몽>은 표면적으로 제시되는 다양한 애정 방식을 통한 일부다처의 남녀 결연, 가문 창달의식, 자유롭고 환상적인 애정 행각 등의 주제 이면에 다문화 사회에 대한 선구적 관심과 통합 의식, 나아가서는 글로벌적 소통의식이 담지되어 있다고 분석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다문화적 관점에서의 <구운몽>의 분석 의의를 논하였고, <구운몽>의 작품 경개를 다문화적 요소 중심으로 정리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구운몽>에 나타난 인물들의 타자적 특성과 의미를 살펴 보았으며, 다문화적 관점에서 <구운몽>에 나타난 소통과 화합 방식에 관해 고찰하였다. 끝으로 김만중의 다문화적 작가의식에 관해 논하였다. 극소수의 짧은 한문소설 중 작품 일부에서 다문화성을 고찰한 연구 업적은 몇편 있지만 중편의 국문소설에서, 그것도 조선조 시대 대표적 관료 문인의 작품인 <구운몽>에서는 작품 거의 전체를 다문화적 관점에서 읽을 수 있다는 점은 작가 김만중의 글로벌한 선구적 작가의식의 혜안이 돋보인다는 소설사적 의의도 크다고 본다. The paper studied the way of communication and unity viewed from the multi-cultural perspective in the Cloud Dream of the Nine. The novel has been studied in multilateral and multi-layered ways along with a huge quantity of research results, which made it harder to find a new subject matter for the great masterpiece. In the arrival of the multi-cultural era, taking a multi-cultural perspective on our classical texts can be considered timely and original. Among them, one of the representative classical novels of Korea, the Cloud Dream of the Nine has been viewed to contain abundant multi-cultural elements and implications depending on viewpoints. Considering the author Kim Manjung’s personal, social and national life journey and his inner consciousness and literary perspective, the novel has been analyzed to contain pioneering interest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e awareness of unity and global communication awareness behind the subjects the author presented on the surface; polygamic unity among genders through various ways of love, family formation awareness and free and fantastic acts of love. Therefore, the paper discusses the analytic implication of the novel from the multi-cultural viewpoints and summarizes the story outline according to the multi-cultural elements found in the novel. Based on the analysis,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found in the novel is reviewed and the way of communication and unity presented in the artwork is analyzed from the multi-cultural perspective. And his multi-cultural consciousness as an author is discussed. Few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to review multi-culturalism in parts of few short novel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However, the Cloud Dream of the Nine has a hug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history of novel as the mid-length novel written in Korean and the artwork of a leading bureaucrat author of the Joseon Dynasty is outstanding with the author’s global pioneering consciousness and insights and the most part of the work can be appreciated from the multi-cultural perspective.

      • KCI등재

        비도덕적 작품이란 무엇인가 : 윤리적 비평 논쟁 다시 보기

        양민정(YANG Minjeong) 현대미술학회 2020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24 No.2

        윤리적 비평에 대한 논의들은 예술 작품의 도덕적 성격이 작품의 가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윤리적 비평 논쟁의 핵심적인 쟁점은 작품의 비도덕성이 그 작품의 가치를 감소시키는가의 문제이다. 이 때 작품의 비도덕성이란 일반적으로 외재적 비도덕성과 구분되는 내재적 비도덕성을 가리키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이 글에서는 기존 논의들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바탕으로 일반적으로 내재적 비도덕성을 가진 것으로 분류되는 작품들 간에는 그 비도덕성이 의식적인가 아닌가에 따라 비도덕성이 작품의 가치와 맺는 관계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이고, 그러한 구분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윤리적 비평 논쟁에 어떤 통찰을 제공할 수 있는지 밝히도록 하겠다. Discussions on ethical criticism have centered on how the moral character of a work of art affects the value of the work. The central issue of the debate is whether the immorality of a work diminishes the aesthetic value of the work. The immorality of a work in this debate has been generally regarded as referring to an intrinsic immorality that is distinguished from an extrinsic immorality. Based on a critical review of recent discussions, I show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mmorality and the value of the work, depending on whether the immorality is conscious or not, among works generally classified as having intrinsic immorality. I would like to argue that such distinctions can provide important insights into the ongoing ethical criticism deb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