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미지 스키마의 은유적 전용에 의한 개념구조 확장에 관한 연구- 일본어와 한국어의 비교 고찰 -

        양경모 한국일본어학회 2006 日本語學硏究 Vol.0 No.15

        이 연구는 인간의 중요한 인지능력의 하나인 이미지 스키마(image schema)가 세계를 이해하고, 개념화하는 데 이용되는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上下> <前後> <內外>와 같은 공간 이미지를 대상으로 하여, 그것들이 일본어와 한국어에 있어서 개념화에 어떻게 관여하고 있는지를 각각 고찰하고, 비교함으로써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上下>의 이미지 스키마는 두 언어 모두에서, <위치의 상하>라는 공간적 개념에 대해서 뿐 아니라, <겉과 속>, <지위나 신분의 차이>, <능력의 차이>, <수량의 차이>를 개념화하는 데 이용되고 있다. 한편, 일본어에서 <上>은 <사람의 심리적 상태>나 <사항과 사항 간의 관계>와 같은 개념 영역에까지 그 전이가 확장되고 있으며, <下>는 <예비적인 행위>, <바탕을 이루는 것>, <기세가 약한 상태>, <어떤 행위가 끝난 바로 뒤> 등과 같은 개념에까지 이용되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前後>의 이미지 스키마는 두 언어 모두에서 <공간>, <시간>, <순서>의 개념에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한국어에서 <前>은 맥락에 따라 <기준시 이전> 혹은 <기준시 이후>를 개념화하며, 또한 <능력이 더 뛰어남>을 개념화하는 데 특징이 있다. 한편, 한국어에서 <後>는 <감춰진 부분, 배후>, <능력이 떨어짐>, <감정의 남은 것> 등을 개념화하는 데 이용되고 있으며, 맥락에 따라 <기준시 이후>뿐 아니라 <기준시 이전>을 개념화하기도 한다. <內外>의 이미지 스키마는, 두 언어 모두에서 <한정된 공간의 내부/한정된 공간의 경계 밖>, <물체의 내부/물체의 표면>을 개념화하는 데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한국어에서 <內外> 이미지 스키마가 <여자 쪽/남자 쪽>을 개념화하는 데 이용되고 있음에 비해, 일본어에서는 그렇지 않다. 한편, 일본어에서는 <자신의 사회적 영역/자신의 사회적 영역 밖>을 <內外> 이미지 스키마를 이용하여 개념화하고 있는 데 비해, 한국어에서는 <자신의 사회적 영역>이라는 개념에 <內>를 적용하지 않고, 다만 <자신의 사회적 영역 밖>이라는 개념에 대해 <外>를 적용하고 있다. 그리고 두 언어 모두에서 <內>가 <한정된 시간의 내부>, <집합의 내부>를 개념화하고 있지만, 일본어에서는 <內>가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실제>, <마음속>을 개념화하고 있는 데 비해, 한국어에서는 그러한 전용을 볼 수 없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일본어동사「出る」의 다의성 형성에 관여하는 인지적 배경에 관한 고찰

        양경모 한국일본어학회 2005 日本語學硏究 Vol.0 No.13

        이 논문의 목적은, 동사 「出る」가 다의성을 가지게 된 인지적 배경을 설명해 보려는 데 있다. 「出る」가 표현하는 기본적 의미는 ‘(이동자가) 한정된 공간의 안에서 그 밖으로 이동함’이며, 이러한 기본적 의미는 은유(metaphor)라는 인지적 작용을 통해 다른 의미 영역으로 확장되고, 그 결과 ‘발생’, ‘출현’, ‘진출’, ‘이탈’과 같은 의미들을 획득하게 된다. 「出る」의 다의성 형성에 관여하는 은유적 작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보면, ‘공간 이미지의 전용’과 ‘존재의 은유’이다. 우리는 이 논문을 통하여, ‘인간의 신체’, ‘미지의 영역’, ‘사회적 영역’, ‘범주’, ‘집합’ 등이 ‘한정된 공간’으로서 이해됨을 보았다. 한편, 추상적인 것을 물체나 물질 등, 실체가 있는 것으로서 이해하는 ‘존재의 은유’에 의해, ‘생각’이나 ‘감정’, ‘행위’, ‘활동’, ‘성질’, ‘상태’, ‘사건’, ‘현상’ 등이 한정된 공간을 드나드는 구체적인 실체로서 이해되고 있음도 보았다. 「出る」가 표현하는 다양한 상황들은, 결국 ‘안에서 밖으로의 이동’이라는 하나의 간단한 이미지에 의해 이해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그것이 가능한 것은 ‘공간 이미지의 타 의미 영역으로의 전용’과 ‘존재의 은유’라는 인지적 작용이 개입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IRMA 법을 이용한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 검사

        양경모,이명희,최은경 대한임상검사과학회 1992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KJCLS) Vol.24 No.1

        The thyroid hormones are essential to the normal development of brain and tb:; growth in infants. However, in the infants Hith congenital hypothyroidism, they typically have an elevated TSH concentration and lowered T4 value, which will lead to mental retardation without the medical treatment. Approximately one infant in every 3000 and 4000 has congenital hypothyroidism. The clinical symptoms of congenital hypothyroidism are very difficult to detect earlily because of nonspecificity of it. Threrfore, masscreening test is indispensable from the frequent occurrence. We have routinely tested T4 and TSH concentration in infants by 3-- 7 days of birth with the blood blotling paper as specimen by RIA mehtod. According to our laboratory data, approximately 8 in 30,000 samples were abnormal case. Which was one per 3,500 samples.

      • KCI등재

        한・일어 수동 표현의 비교 고찰 - 일본어 「Vーられる」와 한국어 {이} 피동사 및 {V-어지다}의 대응 관계의 성격 -

        양경모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7 비교일본학 Vol.41 No.-

        이 논문은 일본어와 한국어의 수동 표현을 비교・고찰한 것으로 수동 표현과 관련한 양 언어 각각의 특성을 밝혀보고자 한 것이다. 소설에서 53개의 수동 표현을 추출하고, 그것들을 한국어로 번역하면서, 일본어 수동 표현의 「Vーられる」에 대해 한국어의 어떤 술어 형태로 대응할 수 있는지를 관찰하였다. 본고에서는 특히 「Vーられる」에 대한 한국어의 {이} 피동사와 {V 어지다}의 대응 관계에 한정하여, 그 대응의 양태를 관찰・기술하고, 아울러 그것이 양 언어의 특성에 대해 무엇을 말해 주고 있는지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일본어의 「Vーられる」는 문법적으로 형성되는 데 비해, 한국어의 {이} 피동사는 개별적으로 파생되어 있는 어휘적인 성격의 것이기 때문에, 「Vーられる」에 대한 {이} 피동사의 대응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한국어의 {V 어지다}도 그 형성에 제약이 있고, 본질적으로는 수동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고, [대상의 변화]를 표현하는 자동사적인 것으로, 일본어 「Vーられる」에 대한 대응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음도 분명히 밝혀졌다. This paper aims at comparing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Japanese and Korean passive expressions and exhibiting their differences. Translating 53 Japanese passive sentences into Korean, I observed how Japanese passive verbs correspond to Korean verb predicates. In this study, I specially focused on the corresponding relation between Japanese {V rareru} and Korean {이} passive verb and {V 어지다} verb, and analyzed the ways of corresponding between them. Japanese passive verbs are formed by grammatical way, but Korean {이} passive verbs have been derived individually by word-formation rule. So, they have a limit in mutual corresponding. There is also a restriction in making korean {V-어지다} verb forms. {V-어지다} is intrinsically not an expression for [passive], but one for expressing intransitive meaning, that is, [change of properties or states]. Also, there is a limit in corresponding between Japanese {V-rareru} and Korean {V-어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