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성역할갈등 해소를 위한 게슈탈트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안정아 ( Jeong Ah Ahn ) 한국게슈탈트상담심리학회 2018 한국게슈탈트상담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성역할갈등 해소를 위한 게슈탈트 상담프로그램을 고안하고, 이를 직접 상담사례에 적용하여 관련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고안한 상담프로그램에서는 성역할 발달 단계인 성역할 억압의 자각, 새로운 역할 가능성이 주는 정서적 불안정, 성역할 초월과 통합의 과정을 구체화 하였고, 내담자에게 게슈탈트 치료의 내적 지지 강화, 인식, 성장과 성숙의 과정을 조력하였으며, 게슈탈트 치료에서 강조되는 성역할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게슈탈트와 접촉경계혼란행동에 관한 반복적 알아차림과 접촉, 전경화와 배경화, 미해결 과제의 해소를 통한 게슈탈트 형성 등을 내담자가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고안된 상담프로그램의 성역할갈등 심리치료 효과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성역할갈등 정도를 나타내는 3개의 요인, 남성우월, 감정표현 억제, 성공·권력·경쟁에서 효과를 보였고, 성역할갈등 해소를 위한 상담의 만족도에서도 효과를 보였다. 이는 본고에서 제안한 게슈탈트 상담프로그램의 유형과 내용이 내담자의 성역할갈등 해소에 효과적인 방안이었으며, 상담만족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 대학 내 학생상담센터에서 진행되는 양성평등 상담에서 본 연구가 고안한 게슈탈트 상담프로그램이 적극 활용될 필요가 있다하겠다. This research had devised the Gestalt Counseling Program for solving the Gender-Role conflicts, this had been directly applied to the case examples of the counseling, and the related effects had been analyzed. In the devised Gestalt Counseling Program for solving the Gender-Role conflicts, the self-awareness of the suppression of the Gender-Role, the emotional instability that is given by a new role possibility, and the processes of the transcendence and the integration of the Gender-Role had been made specific.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effects, the effects had been shown in the three factors that represent the extent of the Gender-Role conflict of the male chauvinism, the suppression of the emotional expressions, and the successful power competition. In conclusion, the type and the content of the Gestalt Counseling Program had been an effective plan for solving the Gender-Role conflict of the client. And it had the positive influence on the level of the satisfaction with the gender equality counseling.

      • KCI등재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 영향요인

        김재은,송주은,안정아,부선주,Kim, Jae Eun,Song, Ju Eun,Ahn, Jeong Ah,Boo, Sunjoo 한국중환자간호학회 2021 중환자간호학회지 Vol.14 No.2

        Purpose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levels of job stress, perceptions of the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among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Methods : For this cross-sectional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161 ICU nurses working in two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s in Gyeonggi-do between June 30 and July 30, 2020.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 independent t-test, a one-way ANOVA, the Pearson correlation method,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s : The average levels of job stres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were 3.48, 3.44, and 4.45 out of 5, respectively.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career in current workplace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es of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Conclusion : In order to promot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patient safety culture needs to be incorporated into the education of ICU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should be enhanced to improve patients safety nursing activity.

      • KCI등재

        중환자실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고위험약물 투약오류 위험수준 및 투약안전역량

        이윤희,이영진,안정아,김희준,Lee, Yoon Hee,Lee, Youngjin,Ahn, Jeong-Ah,Kim, Hee Jun 한국중환자간호학회 2022 중환자간호학회지 Vol.15 No.2

        Purpose : The study aimed to identify relationship among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medication error risk level of high-alert medication, and medication safety competency, as well as the factors affecting medication safety competency. Methods : The participants were 266 ICU nurses of one higher-tier general hospital and one general hospital in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August 10 to August 31, 2021. Measurements included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questionnaire, nurses's knowledge of high-alert medication questionnaire, the medication safety competency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using SPSS/WIN 28.0. Results :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edication safety competenc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working department,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medication error risk level of high-alert medication.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o develop and apply an educational strategy that can strengthen the knowledge and skill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medication error risk level of high-alert medication to improve the ICU nurse's medication safety competency.

      • KCI등재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환자의 간호필요도 수준과 영향요인

        정예솔,이영진,안정아,서은지,Jeong, Ye Sol,Lee, Youngjin,Ahn, Jeong-Ah,Seo, Eun Ji 한국가정간호학회 2024 가정간호학회지 Vol.31 No.1

        Purpose: This is a retrospective secondary data analysis study based on real-world data to analyze the level of nursing care needs of patients in a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and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nursing needs. Methods: Study participants included patients admitted to two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at a tertiary general hospital located in Gyeonggi-do, Korea. After obtaining permission from the health and medical information team of the target hospital, data were collected from their electronic medical records. Nursing care needs were measured using seven items on nursing activity and four items on daily living activities develope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H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version 29.0 with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minimum and maximum value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The level of nursing care needs of patient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was found to be higher for patients with pressure sores (β=.33), older patients (β=.26), patients who underwent procedures (β=.15), patients with present guardians (β=.15), and patients with more comorbidities (β=.10). The total explanatory power was 51.0%.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identify patients' nursing care needs and provide nursing care according to priority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 KCI등재

        중환자실 간호사의 의도적 반추, 자기 노출,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민새미,김희준,김춘자,안정아,Min, Sae Mi,Kim, Hee Jun,Kim, Chun-Ja,Ahn, Jeong-Ah 한국중환자간호학회 2022 중환자간호학회지 Vol.15 No.2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intensive care units (ICU) nurses'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deliberate rumination, self-disclosure, social support, and post-traumatic growth (PTG), and to explor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Methods : Participants were 157 nurses who have provided direct patient care for six months or more in ICUs at a university hospita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s, one-way ANOVAs, Pearson correlation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s using the SPSS/WIN version 23.0. Results : The PTG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liberate rumination (r=0.36, p<.001), self-disclosure (r=0.39, p<.001), and social support (r=0.54, p<.001). Factors that affect PTG significantly were found in the order of social support (𝛽=0.40, p<.001), self-disclosure (𝛽=0.25, p<.001), and deliberate rumination (𝛽=0.24, p<.001). The final regression model explained 40.1% of the variance of PTG (F=26.33, p<.001). Conclusion : The influencing factors identified in this study on PTG, including social support, self-disclosure, and deliberate rumination should be included in programs to promote PTG for ICU nurses who may experience traumatic events repeatedly.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국내 모성적응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송주은 ( Ju Eun Song ),안정아 ( Jeong Ah Ahn ) 여성건강간호학회 2013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국내 산모를 대상으로 한 모성적응 증진 프로그램에 관한 선행연구들의 동향을 분석 제시함으로서 향후 모성적응증진을 위한 효율적 간호중재 방안 모색의 기초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먼저 연구에 이론적 기틀을 제시한 논문은 총 18편 중 5편으로 소수에 불과하였는데, 이는 국외에서도 산모를 대상으로 한 중재의 설계시 이론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한 바와 같은 맥락이라고 본다(Mercer & Walker, 2006). 이론적 기틀은 연구 현상과 관련된 개념과 이들 간의 관계를 논리적으로 구조화하여 표현한 것으로, 이는 충분한 문헌고찰과 연구자의 경험을 반영하여 정련화되어 나타나는 것이다(Lee et al., 2009). 따라서 향후 중재연구 시에, 이론적 기틀을 바탕으로 보다 논리적이고 과학적인 근거 하에 연구설계가 수립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겠다. 또한 선정된 모든 문헌은 유사실험연구로서 순수실험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는데, 순수실험연구(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는 임상 연구의 과학적 근거를 지닌 최상의 기준(gold standard)으로서 이의 수행은 간호중재와 결과간의 관련성을 설명하기에 가장 철저하고 엄격한 연구방법으로 여겨지며 가장 높은 수준의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Bench, Day, & Metcalfe, 2013). 따라서 향후 모성적응증진 간호중재 관련하여 중재의 효과를 명확히 하고 최상의 근거를 간호실무에 적용하기 위해 많은 연구자들의 순수실험연구에의 도전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대상자의 경우 각 군의 대상자 수가 30명 미만인, 상대적으로 적은 표본의 경우가 대부분(13편)을 차지하였는데, 이는 최근 국내 출산률 저하를 고려해 산모 대상자를 모집하는 것이 쉽지 않은 것과도 관련이 있다고 본다. 그러나 실험연구에서 충분한 대상자 수는 연구결과의 위음성(type II error) 가능성을 낮추고 연구결과의 적절한 해석과 적용에 기초가 됨을 고려할 때(Biau, Kerneis, & Porcher, 2008), 연구결과의 검정력을 높이고 임상 적용의 일반화를 위해 가능한 연구에 따른 적정 표본수 이상의 대상자 모집 전략과 노력, 예를 들면 모집기간의 증가, 참여 대상자의 흥미 유도, 기관 간 공동연구 등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중재가 제공된 장소로는 병원이 가장 많았고(8편) 그 다음 이 산후조리원(6편)으로 나타났으나, 문헌의 출판연도 별로 이를 다시 살펴보면, 대상 문헌 중 특히 2006년까지는 산후조리원 환경에서 수행된 모성적응증진 중재가 전무하였으며, 2007년부터 연도가 더해질수록 산후조리원에서 수행된 중재가 주를 이루었음을 알 수 있다. 산후조리원은 근래 산업화와 핵가족화, 취업증가 등의 사회구조 여건변화로 인해 가정 내에서 전통적인 산후조리가 어려워짐에 따라 산모의 산후조리를 돕기 위하여 새롭게 대두된 시설로서(Yoo & Ahn, 2001), 1996년 처음 개설된 이래 2010년에는 428개소에 이르렀음이 보고되었으며 최근 수도권과 대도시를 중심으로 개설이 더욱 빠르게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따라서 변화하는 산모간호의 실정과 특수성을 고려할 때 산후조리원과 같이 공동의 거주를 하는 산모를 대상으로 한 집단 중재 프로그램의 반복 시행은, 대상자 모집 가능성을 높이고 추후 보다 실용가능성이 높은 효과적인 중재 연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대부분 산후조리원의 경우 남편을 제외한 중요 조력자들의 면회가 제한되는 환경이어서, 신생아 양육을 적시에 도움으로서 모아 애착이나 모유수유, 아기 돌보기 능력의 자연스런 획득을 도울 수 있는 사회적 지지체계로부터의 도움이 제한되는 경우가 흔하나(Song & Park 2010), 한편으로는 출산 후 유사한 경험을 하는 다수의 산모가 함께 거주하는 공동의 시설로서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산후조리원의 환경적 특성들을 고려하여 산모들 간의 상호 지지와 역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집단 간호 중재의 개발은 향후 산후조리원의 이용이 점점 더 증가할 수 밖에 없는 국내의 현실을 고려할 때 매우 중요한 간호중재의 방향이 될 수 있으리라 본다. 이에 더불어, 실제 산후조리원을 이용하지 못하는 산모의 경우 간호중재의 사각지대에 놓일 가능성 또한 고려해야 할 것이다. 즉 병원과 보건소, 가정에서 산후조리를 하는 산모의 경우, 각 중재 장소의 특성을 고려해 활용 가능한 모성적응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의 노력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가장 많이 시도된 중재 프로그램은 모성역할 교육 프로그램(6편), 신생아 행동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3편)과 모유수유에 대한 내용만을 포함한 모유수유증진 교육 프로그램(3편) 등으로, 이는 산모들의 교육요구도가 신생아 돌봄에 대한 지식과 기술에 있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지지하는 바이긴 하나(Sim, Kho, & Lim, 2002), 정서적 측면의 모성(maternity) 혹은 어머니다운 마음(motherliness)의 준비가 실제적 돌봄 활동인 모성역할(mothering)의 핵심적 요인임을 고려할 때(Association for Research on Women``s Health Subject, 2012), 모성적응을 도모하기 위한 교육적 중재는 신생아에 대한 실제적 돌봄 능력의 증진 뿐 아니라 어머니로서의 정서적 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역시 포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추후 산모의 모성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에 어머니로서의 마음을 준비시키는 심리적 중재와 양육능력의 증진을 위한 실제적인 중재가 모두 포함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겠다. 중재의 지속기간은 1일(1회)이 8편으로 가장 많았고, 중재 후 효과 측정시기 또한 중재직후가 9편으로 가장 많았다. 하지만 1회성 간호중재는 대상자가 획득할 수 있는 이익의 적절성이나 중재 효과의 측정에 대한 신뢰를 기대하기 어려우며(Bang et al., 2013), 지식 이외의 태도나 신념, 돌봄행위 증진 등의 태도적, 행동적 측면의 변화까지를 유발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향후 모성적응증진 프로그램에서는 1회성 교육보다는 지속적인 교육과 피드백을 통해 그 효과를 증대 및 지속시켜줄 수 있는 연구와 전략의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효과 측정 역시 중재직후 뿐 아니라 나아가 종단적 연구를 통한 지속적인 측정을 통해 교육이 실제로 산모의 실제적 양육능력의 변화에까지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추적조사가 필요하리라 본다. 종속변수와 관련하여, 모성역할 교육 프로그램 중재를 통해서는 심리적 적응 측면의 모성역할 자신감이 가장 많이 측정되어 대부분(5편 중 4편)에서 긍정적 효과를 보였으며, 또한 문헌 간 이질성이 높아 연구의 일반화에 제한이 있긴 하나 모성역할 교육 프로그램 중재를 통해 모성역할 자신감을 측정한 5건의 문헌이 통합된 메타분석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효과는 양육에 대한 지식과 기술의 부족이 어머니로서의 역할 수행 시 자신감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문헌을 근거해 볼 때(Chae & Hwang, 2011), 모유수유와 신생아 돌봄 등 모성역할에 대한 지식의 제공은 모성역할 수행 및 모성적응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하겠다. 또한 신생아 행동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은 심리적 적응 측면의 모성역할 자신감과 더불어 관계적 적응 측면의 모아상호 작용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는데, 이는 초산모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 이들에게 매우 어려운 것이 신생아의 신호나 행동을 이해하는 것이라는 입장을 고려할 때(Park, 2005), 신생아 행동의 이해 증진을 위한 교육은 신생아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증진시키고 나아가 모성역할 자신감의 증진에 기여하며 모아상호작용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더불어 영아경락 마사지 교육이나 조기 모아 접촉과 같이 모아의 신체적 접촉을 통한 중재는 관계적 적응 측면의 모아 애착이나 모아상호작용을 비롯한 여러 변수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통하여 모아의 신체접촉 중재는 산모에게 신생아에 대한 사랑과 애착의 마음을 증진시키고 나아가 신생아를 실제로 돌보고자 하는 마음과 양육 행동에도 긍정적으로 기여할 것이라 생각되었다. 모성적응은 영아에 대한 어머니다운 마음이 기본이 되어 실제적인 돌봄 행동의 성공적 수행으로 이어짐(Association for Research on Women``s Health Subject, 2012)을 고려할 때, 신생아를 사랑하고 돌보는 모성 형성을 위한 접촉과 애착 중재는 효과적이고도 중요한 중재라고 본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산모에게 있어서 신생아 행동 및 신호에 대한 이해나 모유수유와 신생아 돌봄에 대한 지식의 제공은 신생아 돌봄에 대한 자신감과 성공적인 모성역할 수행을 증진시키기 위한 토대로서 기본적이지만 여전히 중요한 산모 중재라 할 수 있겠다. 또한 모아 간의 접촉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 역시 중요하다 할 수 있는데, 특히 산모의 산후조리원 이용이 증가하는 국내의 현대 사회 여건 속에서, 모아애착과 모아상호작용의 선행요인으로 설명되는 모아접촉이 제한되는 산후조리원 이용 산모에게 있어서 실제적 돌봄 행동의 토대가 되는 어머니다운 마음이나 애착 증진을 위한 중재는 우선적이고도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라고 보며, 이때 모아간의 신체적 접촉 뿐 아니라 심리적 접촉의 증진 전략 또한 함께 모색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향후에는 이러한 내용들을 포함하며 더불어 공동 거주의 산후조리원의 환경적 특성을 고려한 산후조리원 산모를 위한 모성적응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상으로 최근 국내 산모에 대한 모성적응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결과, 모성역할 교육 프로그램외 다양한 모성적응증진 간호중재가 시행되어 왔고, 이를 통해 모성역할 자신감의 증가 외 다양한 종속변수의 측정을 통해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이러한 중재와 종속변수의 다양성으로 인해 메타분석을 통한 명확한 근거, 즉 특정 중재 내용의 요소가 특정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는 데에는 미흡하였음을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들 수 있겠다. 또한 본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는 한정적 기간에 출판되고 제한적 검색엔진을 통해 수집된 국내 문헌만을 대상으로 시행하였기 때문에, 출판논문 편견의 가능성이 있다 하겠다. 그러나 본 연구는 국내 산모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한 모성적응증진 간호중재와 그 효과에 대한 문헌의 최근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추후 반복적 간호중재 시행시의 고려와 나아가 효과적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적 근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h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

      • SCOPUSKCI등재

        치환된 방향족 알코올과 이차아민을 사용한 Mannich염기의 합성:기질에 따른 상대적인 반응성과 위치선택성

        지기완,안윤수,박태호,안정,김현아,박주연,Chi, Ki Whan,Ahn, Yoon Soo,Park, Tae Ho,Ahn, Jeong Soo,Kim, Hyun Ah,Park, Joo Yeon 대한화학회 2001 대한화학회지 Vol.45 No.1

        치환된 하이드록시 방향족 화합물과 이차아민, paraformaldehyde를 비 양성자성 용매하에서 one-pot으로 반응시켜 기질에 따른 상대적인 반응성을 비교하였으며, Mannich반응이 일어난 자리도 조사하였다. 치환된 하이드록시 방향족 고리의 Mannich반응의 반응성과 위치선댁성은 기질의 친핵성도와 아민의 입체장애에 의존함을 알 수 있었다. One-pot Mannich reaction of substituted hydroxy aromatic compounds with secondary amines in an aprotic solvent has been studied.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relative reactivity and regioselectivity of the Mannich reaction depend on the steric hindrance of amines as well as the nucleophilicity of hydroxy aromatic rings.

      • KCI등재
      • KCI등재

        보조생식술을 받는 여성의 불확실성과 배우자 지지가 난임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혜신 ( Hye Shin Lee ),부선주 ( Sunjoo Boo ),안정아 ( Jeong-ah Ahn ),송주은 ( Ju-eun Song )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구 여성건강간호학회) 2020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26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ncertainty and spousal support on infertility-related quality of life (QoL) in women undergoing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Methods: In this correlational survey study, 172 infertile women undergoing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for infertility treatment at M hospital in Seoul participated. Data collection took place at the outpatient department of M hospital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July to August 2019.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for Windows version 28.0. Results: The mean scores for uncertainty, spousal support, and infertility-related QoL were 28.35 (out of 50), 86.67 (out of 115), and 57.98 (out of 100), respectively. Infertility-related Qo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pousal support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uncertainty.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infertility-related QoL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uncertainty, total number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treatments, marriage duration,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financial burden of infertility testing, and the presence of a burdensome person. These variables had an explanatory power of 35.0% for infertility-related QoL. Conclusion: Uncertainty wa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infertility-related QoL among women undergoing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cused on reducing various forms of uncertainty during assisted reproductive procedures and to consider other factors affecting infertility-related QoL in the clinical set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