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지반 및 원형기초의 특성이 기초의 동적거동에 미치는 영향

        안재훈,Ahn. Jae-Hun 한국방재학회 200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8 No.2

        지반 및 원형기초의 물성이 그 기초의 수직 동적거동에 미치는 영향이 해석적 해와 수치해석을 통해 연구되었다. 해석적 해로는 반무한체 지반 위 원형기초의 거동을 나타내는 간략 해가, 수치해석방법으로는 선대칭 유한요소법이 consistent transmitting 경계조건과 함께 사용되었다. 균일한 지반의 물성으로서의 전단파속도는 원형기초 동적거동의 공명진동수에 영향을 주었으나 공명진동시의 최대반응값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같은 경우에 지반의 밀도는 공명진동수와 최대반응값에 모두 영향을 주었다. 균일한 지반 위 원형기초의 크기와 질량도 원형기초 동적거동의 공명진동수와 최대반응값 모두에 영향을 주었으나 균일 지반의 포아송비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반이 균일하지 않고 층이 존재할 경우에 각 층의 물성으로의 전단파속도들의 상관관계는 원형기초의 최대반응값에 영향을 주었다. The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ground and circular foundation on the dynamic behavior of the foundation in vertical motion are considered using an approximated analytical solution and a finite element analysis with absorbing (consistent transmitting) boundary. The shear wave velocity of homogeneous ground affects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foundation much but has nothing to do with the maximum response amplitude at resonant frequency. The density in this case affects both the resonant frequency and the maximum response. The size and the mass of the circular foundation are related both to the resonant frequency and the maximum response. However, Poisson`s ratio has very little effect on dynamic behavior of the foundation. When the ground is not homogeneous but has the layers, different formations of shear wave velocities would also change the maximum response at resonant frequency.

      • KCI등재

        성인 족부의 거대지 치료 (1예 보고)

        안재훈,김병성,강종원,김동훈,최원식,Ahn, Jae-Hoon,Kim, Byung-Sung,Kang, Jong-Won,Kim, Dong-Hoon,Choy, Won-Sik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3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7 No.1

        Macrodactyly is a rare congenital anomaly characterized by the overgrowth of some or all tissue elements of a digit or digits in the hand or foot. We report of a case of macrodactyly in a foot of an adult female, which was treated successfully with the staged foot narrowing operations.

      • KCI등재

        인공적으로 고결화한 복합 지반재료(CGM)의 압축 거동

        안재훈,김유석,김윤태,Ahn,Jaehun,Kim,Yusuk,Kim,Yun-Tae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2 No.4

        The lightweight soil is an artificially treated soil with air form to reduce the unit weight - therefore making a good backfill material - but is often cement-treated to ensure enough strength. This artificially treated soil has been evolved to be more environment-friendly by using the dredged soft soil and mixing with the bottom ash therefore taking care of by-products of offshore construction and coal production. One of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this family of Composite Geo-Material(CGM) is that they show drastic strain softening in their stress-strain curves, whose constitutive relations are not properly modeled by casual constitutive models, such as conventional hyperbolic or modified cam-clay model. A new set of modified hyperbolic equations is developed to model CGM materials, and its model parameters a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laboratory tests. 건설재료로서의 해상 준설토 재활용에 대한 연구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의 대표적인 예는 경량토로서 자연 준설토에 air foaming agent를 첨가하여 단위중량을 낮추어 자중으로 인한 토압을 줄이려는 시도이다. 하지만 경량토는 자연 준설토에 기포가 들어가 있는 형태이므로 그 강도가 준설토 보다 낮아 적용성에 한계를 가지며, 이에 따라 경량토의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저회, 시멘트 등의 다른 물질과 경량토를 혼합하여 사용하려는 시도 및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지반재료가 자연적으로 혹은 인공적으로 고결화(cementation)되는 경우 고결화의 영향으로 높은 강도를 가지게 되지만, 강도가 최고점에 도달한 이후에는 고결화 구조가 파괴되어 강도가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른 잔류강도는 최대 강도보다 낮게 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와 같이 변형률 연성화(strain softening)가 명확한 재료의 경우, 지반재료의 구성모델로 많이 사용되는 쌍곡선(hyperbolic) 모델이나 수정 Cam-Clay 모델 같은 기존의 구성모델로는 모사가 불가능하거나 극히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CGM 재료의 일축압축 거동을 관찰하고, 이를 모사하기 위한 구성모델로서 기존 쌍곡선식을 변형한 모델을 제안하고, 실내시험에 근거하여 모델계수를 산정하는 과정을 보인다.

      • KCI등재

        족부에서 발생한 상피육종 -1예 보고-

        안재훈,김하용,강종원,김경희,양승오,최원식,Ahn, Jae-Hoon,Kim, Ha-Yong,Kang, Jong-Won,Kim, Kyung-Hee,Yang, Seoung-Oh,Choy, Won-Sik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5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9 No.2

        Epithelioid sarcoma is a rare tumor which is usually presented with a nontender nodule on a distal extremity. It is sometimes confused with granulomatous process or chronic inflammation. We report of a case of epithelioid sarcoma on a foot of an adult male, which progressed rapidly.

      • 족부 및 족관절 병변에서 초음파의 활용

        안재훈,Ahn, Jae Hoon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3 No.2

        족부 및 족관절 분야는 대부분의 구조물들이 피하에 가깝게 위치하여 초음파 검사가 용이하며 여러 병변의 감별 진단에 초음파가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종설에서는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족부 및 족관절 질환을 중심으로 초음파의 활용에 대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The use of sonography is easy in the foot and ankle region due to the subcutaneous location of most structures. The sonography can be helpful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many foot and ankle disease. This review tried to describe the usefulness of the sonography for the common foot and ankle diseases.

      • 흔한 족부 및 족관절 질환의 원인과 초음파적 진단

        안재훈,Ahn, Jae Hoon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2 No.1

        근골격계 분야에서의 초음파는 검사 비용이 비교적 낮고 동적인 검사가 가능하다는 장점에 힘입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족부 및 족관절 분야는 초음파 검사가 용이하며 국소 증상이 있는 경우 그 감별 진단에 초음파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종설에서는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족부 및 족관절 질환을 중심으로 그 원인 및 초음파적 진단에 대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Musculoskeletal sonography is rapidly developing due to the merits such as relatively low cost and possibility of dynamic study. Sonography can be helpful and easily introduced for the diagnosis of the foot and ankle disease. This review tried to clarify the cause and sonographic diagnosis of common foot and ankle diseases.

      • KCI등재후보

        원위부 중족골 쉐브론 절골술을 이용한 무지 외반증의 치료

        안재훈,최원식,김하용,이도현,배경완,Ahn, Jae-Hoon,Choy, Won-Sik,Kim, Ha-Yong,Lee, Do-Hyun,Bae, Kyoung-Wan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9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3 No.2

        Purpose: The authors intended to analyze the operative results of mild to moderate hallux valgus treated with distal chevron metatarsal osteotomy.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six feet of twenty three patients were followed for more than 1 year after the distal chevron metatarsal osteotomy. Biplanar osteotomy with wedge resection was done when the distal metatarsal articular angle (DMAA) was increased. The mean age was 39 years, and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27 months. Clinically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AOFAS hallux MP-IP scale and satisfaction after the surgery were analyzed. Radiologically hallux valgus angle, the 1st intermetatarsal angle, DMAA and sesamoid position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were analyzed. Results: Distal chevron osteotomy was done in 15 cases and biplanar osteotomy was done in 11 cases. Clinically AOFAS scale was increased from 65.3 points preoperatively to 92.2 points postoperatively. Two patient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results. Radiologically hallux valgus angle was decreased from $21.9^{\circ}$ preoperatively to $8.5^{\circ}$ postoperatively. The first intermetatarsal angle was decreased from $11.8^{\circ}$ preoperatively to $6.7^{\circ}$ postoperatively. DMAA was decreased from $11.8^{\circ}$ preoperatively to $5.5^{\circ}$ postoperatively. There was one case of minor wound infection. Conclusion: Distal chevron metatarsal osteotomy appears to be safe and satisfactory procedure for mild to moderate hallux valgus.

      • KCI등재

        유관 나사와 분쇄 골이식을 사용한 거골하 관절 유합술

        안재훈,김갑중,최원식,나규현,Ahn, Jae-Hoon,Kim, Kap-Jung,Choy, Won-Sik,Na, Kyu-Hyun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6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0 No.1

        Purpose: To analyz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 of subtalar arthrodesis using cannulated screws and morselized bone graft.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one patients with follow-up of more than 1 year after subtalar arthrodesi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Mean age was 40.8 years, and mean follow-up duration was 38 months. Underlying diseases were 19 cases of posttraumatic arthritis (18 calcaneal fractures and 1 talar fracture) and 2 cases of tarsal coalition. Clinically AOFAS ankle-hindfoot score, operation time, complication and satisfaction of patients were analyzed. Radiologically time to union, arthritis of surrounding joints,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talar declination angle were analyzed. Results: AOFAS ankle-hindfoot score was improved from preoperative 33 points to postooperative 79 points. Eighteen patients (86%) were satisfied with the results. Mean operation time was 91 minutes. All cases were fixed with 1-2 cannulated screws and morselized bone graft. Mean time to radiologic union was 12.1 weeks. There was 1 case of delayed union. There was no significant perioperative changes in talar declination angles. Conclusion: Subtalar arthrodesis using cannulated screws and morselized bone graft seems to be relatively simple and effective treatment method for subtalar arthritis.

      • 거골하 관절경 : 적응증과 그 결과

        안재훈,이광원,김하용,이승훈,최원식,김승권,Ahn, Jae-Hoon,Lee, Kwang-Won,Kim, Ha-Yong,Lee, Seung-Hun,Choy, Won-Sik,Kim, Seung-Kwon 대한관절경학회 2007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1 No.1

        목적: 저자들은 각종 질환이나 외상에 대해 거골하 관절경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그 결과를 분석하여 거골하 관절경의 적응증과 그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9월부터 2005년 8월까지 본원에서 거골하 관절경을 시행하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54명, 5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성별은 남자 43예, 여자 14예였고, 평균 연령은 40세, 평균 추시 기간은 18개월이었다. 술전 진단은 족근 동 증후군 19예, 퇴행성 관절염 13예, 종골 골절 10예, 관절 섬유화 5예, 삼각골 증후군 3예, 거골 골절 3예, 거종 결합 3예, 종골 종양 1예였다. 결과의 분석은 술전 및 술후 AOFAS ankle-hindfoot scale과 환자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외 거골하 관절경술로 인한 합병증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결과: 관절경술은 활액막 절제술 23예, 거골하 관절 유합술 13예, 진단적 관절경술 11예, 유착 박리술 5예, 유리체 제거술 4예, 삼각골 제거술 3예, 관절경적 골절 정복술 1예가 시행되었으며 이중 4예에서 두 가지 수술이 병행되었다. 동반된 질환으로는 족관절의 충돌 증후군이 17예, 만성 족관절 불안정성이 11예, 거골의 골연골 병변이 7예 관찰되었으며, 이에 대해 족관절 관절경술 25예, 변형 Brostrom 수술 11예 등의 동반 술식이 시행되었다. AOFAS ankle-hindfoot scale은 거골하 관절 유합술을 시행한 군에서는 술전 33점에서 술후 77점으로 향상되었으며, 그 이외의 군에서는 술전 69점에서 술후 89점으로 향상되었다. 환자의 만족도는 42예에서 만족, 4예에서 불만족을 표시하여 91%의 만족도를 나타내었으며 특별한 합병증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 적절한 적응증에 대해 시행한 거골하 관절경술은 관절에 대한 손상을 가능한 줄이면서 병변을 정확하게 치료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술식이나 기법의 숙달을 위한 노력 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s of subtalar arthroscopy and to define the indications for the procedure. Materials and Methods: Fifty-four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1 year after subtalar arthroscopy. The mean age was 40 years,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8 months. Preoperative diagnoses included sinus tarsi syndrome in 19 cases, degenerative arthritis in 13 cases, calcaneal fracture in 10 cases, arthrofibrosis in 5 cases, os trigonum syndrome in 3 cases, talar fracture in 3 cases, talocalcaneal coalition in 3 cases and calcaneal tumor in 1 case. Clinically AOFAS ankle-hindfoot scale and satisfaction of the patients were evaluated. Results: There were 23 synovectomies, 13 subtalar fusions, 11 diagnostic arthroscopies, 5 adhesiolyses, 4 loose body removals, 3 excisions of os trigonum and 1 arthroscopic reduction of fracture. Twenty-five ankle arthroscopies and 11 modified Brostrom's operations were performed for the accompaning 17 ankle impingment syndromes, 11 chronic ankle instabilities and 7 osteochondral lesions of talus. AOFAS ankle-hindfoot scale was increased from 33 points preoperatively to 77 points postoperatively in subtalar fusion group, and was increased from 69 points preoperatively to 89 points postoperatively in other-than-fusion group. Ninety one percent of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 procedures. There were no serious complications related to the subtalar arthroscopy. Conclusion: Subtalar arthroscopy appears to be safe and highly accurate procedure for subtalar pathology, although it requires technical expertise.

      • KCI등재

        개방성 종골 골절과 동반된 후족부 연부조직 결손에서의 역행성 지방근막 피판술: 1예 보고

        안재훈,강종원,이영근,최원식,Ahn, Jae-Hoon,Kang, Jong-Won,Lee, Young-Geun,Choy, Won-Sik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6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0 No.1

        Open calcaneal fractures are potentially devastating hindfoot injuries, in which the status of soft tissue envelope is very important. The reversed adipofascial flap has a merit of simplicity and minimal complication compared to free tissue transfer. We report of a case of open calcaneal fracture with soft tissue defect of hindfoot, which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reversed adipofascial fla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