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한지역 토성벽에 잔존하는 석축부에 대한 연구

        안성현 한국문화유산협회 2016 야외고고학 Vol.0 No.25

        성곽연구는 해석적 담론이나 주변유적과의 관계, 관방체계 및 교통로 등을 다루는 거시적 관점과 성곽의 부속시설 및 성벽의 수·개축흔, 그리고 시기적 경관 등을 파악하는 미시적 관점을 통한 접근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이러한 관점에서 필자는 토성벽에 잔존하는 석축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크게 두 가지 정도의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먼저, 토성벽은 안식각 이상으로 쌓을 수 없다는 것이 통설이었다. 하지만 영정주의 기울기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내·외벽은 수직에 가깝지만, 성벽 내·외부에 외피토루를 쌓은 것과 쌓지 않은 것, 그리고 기저부를 보강한 것으로 나누어지는데, 외피토루를 구축한 것은 소수였다. 따라서 판축기법이 적용된 토성벽을 안식각 이상으로 쌓을 수 없으므로 내·외피토루나 석축부를 부가해야 된다는 논지는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다른 하나는 토성벽에 잔존하는 석축부와 토축부가 동시기에 축조된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후대에 석축부가 가축되었으며, 그 시기는 성곽마다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형태의 성벽이 출현하게 된 이유는 토축성벽에 비해 석축성벽의 견고하다는 인식과 선축된 토성벽을 제거하지 않고 수축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라는 현실적 문제가 반영된 결과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성곽에 대한 조사나 분석을 실시할 경우 잔존성벽은 최후대이거나 아니면 여러 시기의 성벽이 중복되어 있으며, 내부 역시 이와 동일하다는 전제에서 출발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Perhaps, it is reasonable to take advantage of different scales of research approaches for ancient castles in Korea. – An interpretive discourse, a macroscopic approach and a microscopic approach. The macroscopic approach tends to focus on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 among the neighboring sites and military defensive system, while the microscopic approach concerns the building methodology for wall and attached facilities and understanding of the past landscape. This paper attempted to explore the stone-building part of the earthen ramparts under the microscopic approach. As a result, the research arrived two conclusions. First of all, it has been widely accepted that the earthen ramparts cannot be built up more than angle of repose, but the wall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the wall does not have covering-earthwork and the base of wall are reinforced though the angle of inside and outside of wall is closely vertical considering the angle of the post which was installed for building up. It means that the above awareness can be modified. Although the stone-made part in the earthen wall was possibly built up with the earthen part at the same time, often the stone-part was added to the earthen wall and the time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castles. It is believed that this type of wall, which is the stone-made part of wall was added to the earthen wall, is a result of awareness which the stone-made wall is stronger than earthen wall and it is efficient to build up the stone-made wall without removal of former earthen wall. Consequently, the survived wall is possibly the last feature of the wall or is overlapped by different times of walls in the excavation on the wall. It is, therefore, reasonable premise that the inner part of castle are identical with the wall.

      • KCI등재

        부산 배산성의 성격

        안성현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4 항도부산 Vol.- No.48

        이 글은 배산성의 시․발굴조사를 통해 밝혀진 내용을 중심으로 산성의 축조 시기와 성격 및 특징을 밝히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초축 시기는 성벽의 축성법과 유물의 출토맥락을 고려할 때 6세기 중반 신라가 축조하였음을 밝혔다. 성벽은 수차례 수축이 이루어졌고, 통일신라시대에는 한 차례 대대적으로 개축되었다. 또한, 성 내부의 집수지와 건물지 역시 산성과 같은 시기인 것과 후대에 축조된 것으로 나누어진다. 배산성은 부산에서 경주지역으로 이어지는 육상 교통로와 남해를 이용한 해로의 결절점에 위치하며, 주변에는 이 지역 고대의 중요한 유적이 분포하므로 거점성의 기능을 수행하였음이 분명하다. 통일신라시대 동래고읍성이 축조되면서 배후산성으로 성격이 바뀌게 되지만, 그 중요성은 유지하였다. 한편, 배산성의 초축성벽는 6세기 중반 신라 산성의 특징을 공유하면서 새로운 축성술이 확인된다. 개축성벽은 통일신라시대 전형적인 축성법이지만 기단보축이 설치되었다는 점에서 이 시기 다른 석축산성과 차이가 분명하다. 이글에서는 자세히 다루지 않았으나 북동쪽 성우는 비정상적으로 돌출되어 있는데, 돌출부 내부에 대한 시굴조사에서 건물지가 확인되었으므로 초축 당시부터 돌출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확인된 익성이 되는 셈이다. 그러므로 6세기 중반 신라 석축산성의 다양성과 통일신라시대 성벽의 지역성을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8세기 중․후반 동래고읍성으로 치소가 이동되는 양상을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성곽이다. 특히 배산성에서 출토된 기와는 북동쪽으로 6㎞ 정도 떨어진 회동동유적에서 공급되었을 가능성이 크므로 산성 내 기와의 공급체계가 명확하게 밝혀진 최초의 사례로 볼 수 있다. This article is written to reveal the construction timing, characteristic and property of Baesanseong Fortress which focus on the contents revealed through excavation survey. As a result of reanalysis of the survey, it is reasonable to consider Baesanseong Fortress is built by Silla in the mid-6th century, based 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imary embankment walls and the excavated artifacts. It is also noted that multiple renovations occurred during its construction. And then, It was transformed into a different landscape from the previous period due to the large-scale renovation in the Unified Silla Period. Mountain Fortresses are located at the nodal point of the land transportation route from Busan to Gyeongju and the sea rout using South Sea, and important relics of ancient in Busan are distributed around it. Therefore,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it served as a base fortress -local government-. As the Dongnae-eupseong Fortress was built, its characteristic changed to the hinterland fortress, but its importance was maintained. On the other hand, a new construction technique is confirmed as the primarily constructed wall of Baesanseong Fortress shares the characteristic of Silla Fortress in the mid-6th century. Although it is not covered in this article in detail, the northeastern Seong-wu protrudes abnormally. And then,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building site protruded during the initial construction because the excavation survey of the inside of the protrusion confirmed the building site. In this case, it becomes the first confirmed Ik-seong in Korea.Therefore, it is a data which can reveal the diversity of Silla’s stone-based fortress in the mid-6th century and the locality of the wall built during the Unified Silla Dynasty. In addition, It forms as a local government and it is one of the few fortresses that can clearly explain the movement of local government to Dongnae-eupseong in the late 8th century. Especially, tiles excavated from Baesanseong Fortress are likely to have been supplied from the Hoedong-dong ruins about 6km to the northeast, so it can be seen as the first case in which the supply system of tiles in the fortress has been clearly reveale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deny that Baesanseong Fortress is an important relic that can reveal Silla’s governance method in Busan and the government system that protects the enemy invading from South and East Sea.

      • KCI등재

        서울 구의동 보루의 구조와 사용시기의 再考

        안성현,박동선 백산학회 2022 白山學報 Vol.- No.123

        Although Guui-dong fortress consider as a Baekje tumulus, It reperceive as a Goguryeo military facility during the process of organizing relics that excavated from Mongchontoseong Fortress. In this writing, after recognizing synchronism of a pit dwelling and excavated relics in Guui-dong fortress, we looked at the landsca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fortress during the period of the fortress, focusing on the loading method.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fortress in Guui-dong was divided into threee periods. The remains belonging to the first stage are drainage channels and earth mines. However, the remains of this period were damaged because of transfusion residence was installed. Therefore, the exact aspect is unknown. Rampart of first stage was stacked up by large size of chipping, a spur -chiwas not installed.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exact structure of the fortress, however considering the size of the fortress and the installation of drainage channels inside, it is difficult to say that a large number of people resided. State of second stage changed extremely. Projection added in rampart and digged structures installed inside. Inside the residence, an area of up to seven troops will be secured. Considering the organization of Goguryeo army, it is believed that about five people were stationed. However, the number of weapons or household containers used by the garrison is unknown. In addition, it is clear that the importance of the fortress has increased or was actively used as the ruins, earthworks, and stone pillars were installed in the south of the portress. The standard for distinguishing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stages is whether excavated artifacts can be loaded inside the residence, and if the structures functioned inside the residence, the excavated relics cannot be loaded, indicating that they were expanded to their appearnace at the time of the investigation. Furthermore, unlike the previous period, it suggests that the characteristics changed to special facilitiessuch as warehouses and were discarded in that state. Since troops could not reside inside the warehouse during this period, it is considered that the management would have alternately worked with the troops residing in the 2st bastion of Guui-dong or the troops from the surrounding bastion. The fortress in Guui-dong was built as a the secretaria relic, but its character changed to a warehouse, and as it was discarded in that state, a large amount of relics were excavated from inside the remains, unlike other dwellings. This aspect can be applied to Goguryeo and South Korea fortresses in Achasan Mountain and also other region both. Therefore, if the fortresses in Guui-dong and Goguryeo fortresses in Achasan Mountain are reexamined, Goguryeo’s rule over the Hangang River basin from 475 to 551 years will be restored in three dimensions. 구의동 보루는 백제 고분으로 인식되었으나 몽촌토성 출토 유물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재분석이 이루어졌으며, 고구려 군사시설로 재인식되었다. 이 글에서는 구의동 보루 내 수혈주거지와출토유물의 동시성을 인정한 후 유물의 적재 방식을 중심으로 보루이 시기적 경관과 성격의 변천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구의동 보루는 세 시기로 나누어짐을 밝혔다. 1기에 속하는 유구는 배수로와 토광인데, 수혈주거지가 시설되면서 이 시기의 유구가 훼손되어 정확한 양상은 알 수 없다. 1기의 성벽은 대형의 할석으로 허튼층쌓기를 하였으며, 돌출부-치- 는 설치되지 않았다. 보루 내부의 정확한 구조는 파악하기 어렵지만 보루의 규모와 내부에 토광및 배수로가 설치되었음을 고려할 때 다수의 인원이 상주하였다고 보기 어렵다. 2기에는 경관이 획기적으로 변한다. 성벽에는 돌출부가 가축되며, 내부에는 수혈 건물지가 설치되었다. 주거지 내부에는 최대 7명의 병력이 상주할 정도의 면적은 확보된다. 다만, 고구려 군대의 편제를 고려할 때 1오(伍)인 5명 정도가 주둔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주둔 병력이 사용하였던 무기나 생활용기의 수량은 알 수 없다. 이와 더불어 보루의 남쪽에도 전을 깐 유구와 토광및 석렬이 설치되면서 보루의 중요성이 이전보다 높아졌거나 아니면 적극적으로 활용되었음은분명하다. 2기와 3기를 구분하는 기준은 출토된 유물을 주거지 내부에 적재될 수 있는가 여부인데, 주거지 내부에 구들이 기능을 하였다면 출토된 유물을 적재할 수 없으므로 조사 당시의 모습으로 확장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또, 이전 시기와 달리 창고와 같은 특수 시설로 성격이 변화하였고, 그 상태로 폐기되었음을 시사한다. 이 시기 창고 내부에 병력이 거주 할 수 없으므로 관리는 구의동 2보루에 상주한 병력이나 주변 보루의 병력이 교대로 근무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구의동 보루는 관방유적으로 축조되었으나 창고로 성격이 변화였고, 그 상태로 폐기됨으로써유구 내부에서 다른 주거지와 달리 다량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이러한 양상은 아차산 일대 고구려보루를 비롯해 남한지역 고구려 성곽 및 보루에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구의동 보루와 아차산일대 고구려 보루에 대한 재검토가 이루어진다면 475년에서 551년간 이루어진 고구려의 한강유역 지배방식을 입체적으로 복원할 수 있을 것이다.

      • 경남지역 통일신라시대 토성연구

        안성현 한국성곽학회 2012 한국성곽학보 Vol.21 No.-

        본고에서는 경남지역 통일신라시대 토성 중 시굴 및 발굴조사와 발표자가 지표조사상에서 확인된 성곽을 중심으로 이 시기 토성의 특징과 축조주체 및 목적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이제까지의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통일신라시대는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시기 경남지역은 이전 시기와 달리 왜구의 방어를 중점을 둔 축성이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양상은 조선시대까지 변함없이 이어졌다. 통일신라시대 토성의 특징 중 가장 두르러지는 것은 해안가에 집중적인 축성이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그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으나 안정적인 해로의 통제와 대 왜구 방어에 중점을 둔 축성이 아니었나 생각된다. 그리고 토성의 규모는 길이900∼2,000m 사이의 토성들이 바닷가와 내륙 등 다양한 위치에 축조되고 있는 점으로 보아 길이 약 900∼2,000m 사이의 토성들이 주로 축성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경남지역 통일신라시대 토성들은 모두 내․외벽 기저부에 기단석렬을 배치한 뒤 성벽을 쌓았다. 기단석렬은 평행한 것과 사직선을 이루는 것으로 나누어지지만 시기성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지는 못한다. 또한 영정주 간격 역시 정형성을 찾기 힘들 정도로 다양하다. 주목되는 점은 기존에 알려진 것과 달리 영정주를 중심으로 좌․우의 판축토가 동일한 것과 판이하게 다른 것으로 나누어지는데 판축토가 달라지는 양 끝부분을 한 구간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 것이다. 토성벽의 내․외부 퇴적토에서 출토되는 다량의 기와편들은 성벽의 구조를 밝히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는 가정하에 4가지 정도의 가능성을 검토해 본 결과 와적여장 및 성벽 상부 덮을 때 사용하는 개와였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시기 토성의 축조주체는 신라사회의 변화 궤를 같이하므로 축조주체 역시 변하였을 것이다. 즉 삼국통일 후에서 9C 전반에서 중반 정도까지는 중앙 정부의 영향력이 강하였다고 생각된다. 그 이후 호족들의 세력이 커지는 9C 후반에서 10C 초반에는 새로운 토성을 축성하는 경우도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기존의 토성을 최대한 활용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토성들은 고려시대 초 조운제가 운영되면서 최대한 활용되었으며, 토성이 축조되어 있지 않은 지역은 새로운 축성을 통하여 안정적으로 해로를 통제한 것으로 보인다.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main construction agents and purpose of earthen fortifications constructe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which were confirmed in Gyeongnam region by the presenter through the investigation were examined briefly. The examinatio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unified Silla period began when Shilla unified three Kingdoms. During this period, fortifications were constructed in Gyeongnam region with intent to defend invasions by Japanese pirates unlike the previous periods, the this aspect had continued until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 most prominent characteristic of fortifications in the unified Silla period was that the fortifications were intensively constructed on the coast. The exact reasons are not known, but it is considered to be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sea route and defending invasions by Japanese pirates. And, the earthen fortifications with a size ranged between 900m and 2,000m are found from various locations including the seaside and inland region, and this shows that earthen fortifications with a size ranged between 900m and 2,000m were mainly constructed. And, gidanseokyeol were placed on the base of both inside and outside walls first and then fortification walls were constructed for earthen fortifications constructed in Gyeongnam region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Gidanseokyeol are classified into parallel ones and obliquely straight ones, but gidanseokyeol in these fortifications do not reflect this aspect of change actively. And, also intervals between pillars are so diverse so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a set pattern. It is noted that, unlike as known previously, some places have panchukto between the right side and left side of panchukto and other places have different panchukto between the right side and left side of panchukto, and it would be proper to consider the both ends of where different panchukto were used as one section. Provided a large quantity of roof tiles excavated from deposit soils inside and outside of the earthen fortification walls provides a critical clue to reveal the structure of fortification walls, the examination of 4 possibilities confirmed that these roof tiles were used to cover whajeokyeojang and the top of fortification walls. And, the construction of earthen fortifications went along with the changes in the Silla society, so the main agents who constructed the earthen fortifications also might have been changed. That is, the influence of the central government must be powerful from the early 9th century to the mid 9th century after the Shilla unified three Kingdoms. New earthen fortifications might have been constructed during a period between the late 9th century and early 10th century when local lords became more powerful, but it is highly possible that existing earthen fortifications were utilized to the maximum. It seems that these earthen fortifications were utilized to the maximum after the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was adopted in early Koryo Dynasty periods, and new fortifications were constructed in regions without earthen fortifications were to control safe sea routes.

      • KCI등재

        선천코눈물관막힘환자에서 코눈물관탐침술과 실리콘관삽입술의 임상 결과

        안성현,이태은,유인천,조남천,안민 대한안과학회 2019 대한안과학회지 Vol.60 No.7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rates of nasolacrimal probing and silicone intubation (SI) in patients with congenital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CNLDO).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including 69 eyes of 59 patients who received probing and 61 eyes of 49 patients who received SI. In patients with probing, the age, sex, and history of conservative treatment were analyzed in the success and failure groups, and a success rate comparison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se values into postnatal group 1 (< 6 months), group 2 (6-12 months), and group 3 (≥ 12 months) following their age. In patients with SI, the age, sex, retention period of the tube, and history of probing and conservative treatment were analyzed in the success and failure groups. Results: In the failure group involving probing, the average age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with the success group (p = 0.005), and the success rate of group 3 was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with group 2 (p = 0.005). In the failure group involving SI, the age was significantly higher (p = 0.015); however, the retention period was shorter (p = 0.006), and the history of probing als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 = 0.009).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age and history of probing had an effect on the success rate (p = 0.049 and p = 0.047, respectively); however, the retention period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411). Conclusions: In patients with CNLDO > 12 months, the success rate of probing was lower than in patients < 12 months, and probing might have an effect on the success rate of future SIs. It is therefore recommended that SI be preferentially performed on patients > 12 months. 목적: 선천코눈물관막힘환자에서 코눈물관탐침술과 실리콘관삽입술의 효과와 수술 성공률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탐침술을 받은 59명(69안)과 실리콘관삽입술을 받은 49명(61안)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탐침술을 받은 환아를 성공군과 실패군으로 나눠 연령, 성별, 보존적 치료 과거력 등을 조사하였고, 연령에 따라 1군(6개월 미만), 2군(6개월 이상12개월 미만), 3군(12개월 이상)으로 나눠 수술 성공률을 비교하였다. 실리콘관삽입술 환아는 성공군과 실패군으로 나눠 연령, 관 유지기간, 성별, 탐침술 및 보존적 치료 과거력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탐침술을 받은 환자에서 성공군에 비해 실패군에서 유의하게 평균 연령이 높았으며(p=0.005), 1군과 2군에 비해 3군에서 수술 성공률이 낮았다(p=0.005). 실리콘관삽입술 실패군에서 평균 연령은 유의하게 높았으나(p=0.015), 관 유지기간은 유의하게 짧았으며(p=0.006), 탐침술 과거력 또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9).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연령 및 탐침술 과거력이 수술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049, p=0.047), 관 유지기간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411). 결론: 12개월 이상의 선천코눈물관막힘환자에서는 12개월 미만의 환자보다 탐침술의 수술 성공률이 낮고, 탐침술이 추후 실리콘관삽입술의 성공률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12개월 이상의 환자에서 탐침술보다 실리콘관삽입술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