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사과원 생태계에서 CO<sub>2</sub>의 연간 순생태 교환량 추정

        심교문,민성현,김용석,정명표,최인태,강기경,Shim, Kyo-Moon,Min, Sung-Hyun,Kim, Yong-Seok,Jung, Myung-Pyo,Choi, In-Tae,Kang, Kee-Kyung 한국농림기상학회 2016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는 국내 사과원 생태계에 대한 $CO_2$ 및 에너지(현열, 잠열) 플럭스를 에디공분산 기법으로 정량화하고 이들의 계절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2006년 국내 사과원 생태계의 누적 NEE는 $-396.9g\;C\;m^{-2}$으로, 유사한 환경 조건에서 수행된 이탈리아의 사과원 생태계의 NEE ($-380.0g\;C\;m^{-2}$)와 아주 비슷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양국의 사과원 생태계에서 일 최대 NEE는 6월 하순에 관측되었다. 다만, 국내 장마기간에 해당되는 7월의 NEE는 양국의 과수원 생태계에서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과수원 생태계와 같은 집약적으로 관리되는 생태시스템에서도 NEE의 변화가 관개 등 영농활동에 의해서 큰 영향을 받지만, 기온, 강수량 등 환경조건에도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내 사과원 생태계의 탄소 흡수능력에 대한 보다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3년 이상의 장기적인 플럭스 자료를 토대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되며, 상호 검증과 탄소수지 평가를 위해서는 챔버방식의 생태학적 접근도 추가로 필요할 것이다. Carbon dioxide ($CO_2$) gases concentration in atmosphere has been growing since preindustrial times. By sequestering a large amount of atmospheric carbon (C), terrestrial ecosystems are thought to offer a mitigation strategy for reducing global warming. Woody agro-ecosystems such as fruit tree are among the least quantified and most uncertain elements in the terrestrial carbon cycle. $CO_2$ and energy fluxes were measured by the eddy covariance method on a 15-year old apple orchard of South Korea in 2006. Environmental parameters (net radiation, precipitation, etc.) were measured along with fluxes. The results showed that during late June, the ability to sequestrate C was significant at an apple orchard ecosystem and it reached on the peak of $-6.5g\;C\;m^{-2}\;d^{-1}$. We found that in the apple orchard, the daily average of net ecosystem exchange of $CO_2$ (NEE) and cumulative NEE on a yearly basis were $-1.1g\;C\;m^{-2}$ and $-396.9g\;C\;m^{-2}$, respectively. These results reveal that there is high carbon sequestration in the apple orchard of South Korea, which is the same magnitude with repect to that of a natural forested ecosystem of the same biome rank (temperate-humid deciduous forest).

      • KCI등재후보

        20세기 한국의 농업기상재해 특징

        심교문,이정택,이양수,김건엽 한국농림기상학회 2003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5 No.4

        Recently, both climate change and unusual meteorological disasters are becoming a more frequent and serious threat to agricultural production. Destruction of the stabilizing base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in Korea is a concern. This study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stabilizing agricultural production by clarifying and analyzing the features of agro-meteorological disasters which have occurred recently in Korea. The occurrence of meteorological disasters has increased rapidly since the 1940s. A 19-fold increase in occurrence is noted over the past 60 years from 1941 to 2000. Meteorological disasters occurred mostly in August, then in July, and least often in October. In terms of regional occurrences, the frequency of meteorological disasters was the highest in Gangwon (751 times) and in Jeonnam (703 times) provinces, and the lowest in Jeju (459 times) province for the 97 years from 1904 to 2000. Agro-meteorological disasters which caused the most serious damage to cropland were rain storms and typhoons for the 10 years from 1991 to 2000, and they occurred 52 and 18 times during this period, respectively. Agro-meteorological disasters occurred mainly during the summer season (from June to September) when major crops are cultivated in Korea.

      • KCI등재

        가을보리 재배기간중의 기상변화

        심교문,이정택,윤성호,황규홍 한국농림기상학회 2000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2 No.3

        The northward shift of the cultivation region of winter barley has been considered because of consecutive warm winters from the middle of 1980's. There was 1.02℃ rise in mean air temperature during winter barley cropping season from 1975 to 1998. During this period, the maximum air temperature affected the mean air temperature rise rather than the minimum air temperature. The amount of mean precipitation was 513.3mm during winter barley cropping season from 1975 to 1998 and was least in 1992. Sunshine hours has increased little by little in the all regions except rural regions. The air temperature during winter barley cropping season from 1987 to 1999 in which the winter was warm was higher than the normal air temperature(1961∼1990). On the other hand, the air temperature during winter barley cropping season from 1974 through 1986 was similar to the normal air temperature. The amount of mean precipitation during winter barley cropping season from 1987 through 1999 was similar to the normal precipitation except April. During this period, the amount of mean precipitation of April was lower by 26mm than the normal year(1961∼1990). Sunshine hours during winter barley cropping season from 1987 to 1999 decreased generally in comparison with a normal year. Considering the air temperature rise during wintering from 1987 to 1998, it might be possible to extend the cropping area of winter barley northward.

      • KCI등재

        농업기상재해 위험 관리를 위한 농장별 조기경보서비스의 비용편익 분석

        심교문,정학균,임영아,신용순,김용석,최인태,정명표,김호정,Shim, Kyo-Moon,Jeong, Hak-Kyun,Lim, Young-Ah,Shin, Yong-Soon,Kim, Yong-Seok,Choi, In-tae,Jung, Myung-Pyo,Kim, Hojung 한국농림기상학회 2017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에서는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의 전국 확대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조기경보서비스를 활용하는 농가를 대상으로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시범사업 추진에 따른 비용편익을 분석하였다. 설문에 참가한 농가는 조기경보서비스에 대해서 대체로 만족하였고 농사에 잘 활용한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조기경보서비스에 대한 월간 지불의사금액은 평균 8,833원으로 조사되었다. 조기경보서비스가 전국으로 확대되어 시 군 농가의 50%가 6개월간 이용한다고 가정하면, 편익대비 비용의 비가 2.2로 분석되어 전국 확대를 위한 사업추진의 타당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basic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farmstead-specific early warning system (FEWS) for weather risk management nationwide. A survey by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examine farmer's response, and a cost-benefit analysis was made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FEWS on the economy. The farmers who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urvey responded that they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FEWS, and that they used it well for farming. Willingness to pay (WTP) for the early warning service was estimated to be 8,833 KRW per month by survey respondents. If the early warning service is extended to nationwide and 50% of farmers use it for six months, then the ratio of benefit to cost will be 2.2, indicating that nationwide expansion of the FEWS is very feasible.

      • KCI등재

        農業氣候地帶別 作物生育 有效氣溫 出現特性에 따른 벼 淡水直播 安全作期 설정

        심교문,이정택,윤성호,최동향 한국농림기상학회 1999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 No.1

        The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safe cropping season for direct - seeding on flooded paddy by the analysis of meteorological data (1973∼1992, 20 years ) from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critical date for early seeding (CDES) at direct - seeding culture on flooded paddy was decided by the appearance date of daily mean air temperature (DMAT) of 15℃. The optimum heading date (OHD) was the first day when 22℃ of daily mean air temperature could be kept for 40 days of ripening period after heading, and the critical date of late heading for safe ripening (CDHR) was the last day when 19℃ of daily mean air temperature could be kept for 40 days after heading. The optimum seeding date (OSD) and the critical date for late seeding (CDLS) could be decided by the accumulated temperature from OHD and CDHR to the appearance dates of necessary temperatures for early, intermediate, and intermediately late maturing varieties. This results can be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safe cropping season of direct - seeding on flooded paddy in each agroclimatic zone. For in stance, the OSD appearance date for early maturing variety in Suwon region appeared to be May 11∼20 and the CDLS appearance date was May 31∼June 7.

      • KCI등재

        국내 벼-보리 이모작지와 벼 단작지의 탄소수지 비교

        심교문,민성현,김용석,정명표,최인태,강기경 한국농림기상학회 2016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8 No.4

        Carbon dioxide (CO2) and methane (CH4) were measured in a rice-barley double cropping and rice mono cropping paddy fields, which are located in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over a one-year period. Net ecosystems CO2 exchange (NEE) and ecosystem respiration (Re) were estimated by the eddy covariance (EC) method, and an automatic open/close chamber (AOCC) method was used to measure CH4 fluxes. Environmental factors (solar radiation, air temperature, precipitation etc.) were also measured along with fluxes. After the quality control and gap-filling, the observed fluxes were analyzed. As a result, NEE was –603.0 and –471.5g C m-2 yr-1 in rice-barley double cropping and rice mono cropping paddy field, respectively. CH4 emissions increased during the course of flooded days and were similar in two cropping paddy field. Accoding to rough results considering only fluxes of CO2 and CH4, it was estimated that the carbon absorbation in rice-barley double cropping paddy field was higher than that in rice mono cropping paddy field by 128.9g C m-2 yr-1.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 신용리의 벼 단작지 및 벼-보리 이모작의 논 생태계에 설치된 플럭스 관측시스템으로부터 1년간 연속적으로 관측된 CO2 플럭스 자료 및 CH4 배출량 자료를 활용하여, 논 생태계의 탄소수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벼 단작지 및 벼-보리 이모작 논 생태계의 CO2 플럭스는 대표적인 미기상학적 방식인 에디공분산 방법을 이용하였고, CH4 발생량은 개폐형 챔버방식의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여러 가지 기상인자(복사, 기온 및 지온 등)도 함께 조사하였다. 관측된 CO2 플럭스자료는 보정과 결측보충의 과정을 거친 후 탄소수지 분석에 활용되었다. 2014년도의 벼 단작 및 벼-보리 이모작 논 생태계의 CO2의 순생태 교환량은 각각 단위면적(m2)당 –436.8, -587.5g C로 분석되었고, CH4 발생량은 각각 +16.04, +18.61g C m-2로 분석되었다. 벼 재배 기간 동안 CH4 발생량은 물 관리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담수상태에서 CH4 발생량이 배수상태보다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벼 단작과 벼-보리 이모작의 논 생태계의 CO2 플럭스와 CH4 배출량을 기반으로 탄소수지를 정량화한 1차적인 연구결과로서, 벼-보리 이모작의 논 생태계가 벼 단작의 논 생태계보다 1년에 약 128.9g C m-2를 더 흡수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KCI등재

        국내 노지 봄배추 생산량에 대한 엘니뇨 영향

        심교문,김용석,정명표,김지원,강기경 한국농림기상학회 2018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20 No.4

        El Niño would cause extreme weather conditions, which would result in a negative impact on crop produc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impact of El Niño on spring kimchi cabbabe production for the period from 1981- 2016 in South Korea. In this study, years with less than 1.0 Oceanic Niño index were classified into non El Niño years. The other years were classified as El Niño years. The national average production of spring kimchi cabbage in El Niño years (3,800 ㎏ 10a-1) tended to be less than that in non El Niño years (4,016 kg 10a-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p = 0.078) in the production between these groups of years. The averaged production of spring kimchi cabbage of El Niño end years (3,707±331 ㎏ 10a-1) was less than those of El Niño start years and non El Niño years by 186 and 309 ㎏ 10a-1, respectively. Still, such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p=0.127), either. In contrast, there were provinces where the production of spring kimchi cabbage had significant differences by El Niño occurrence. For example, El Niño end years had significantly less spring kimchi cabbage production than El Niño start years and non El Niño years in Gangwon (p=0.038) and Gyeongbuk (p=0.053) provinces. It appeared that differences in cabbage production resulted from short sunshine duration, which merits further analysis on the impact of extreme weather condtions during El Niño years on crop production. 본 논문에서는 1981년 이후 중간 강도 이상의 엘니뇨가 발생한 해의 노지 봄배추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엘니뇨가 발생한 해(n=16)의 전국 평균 노지 봄배추의 생산량은 4,016±342kg 10a-1으로 미발생한 해(n=20)의 전국 평균 노지 봄배추의 생산량(3,800±370kg 10a-1)보다 단위면적당 216kg 적었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t=1,812, p=0.078). 또한, 엘니뇨가 종료한 해의 전국 평균 노지 봄배추의 생산량이 엘니뇨가 시작한 해와 엘니뇨가 미발생한 해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지만, 이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df=2, f=2.195, p=0.127). 하지만, 강원도와 경상북도에서는 엘니뇨가 종료한 해의 노지 봄배추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엘니뇨가 시작한 해와 엘니뇨가 미발생한 해보다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원인으로 노지 봄배추 재배기간의 일조부족 현상이 1차적으로 조사되었으나, 앞으로 작물기상환경 측면에서 엘니뇨 발생이 작물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한국의 기후변화 현황과 농업부문 적응대책

        심교문 한국응용곤충학회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10

        기상청(2009년)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 100년간(1912~2008년) 한반도의 기온 상승률은 1.7℃로 전지구 기온 상승률(0.74±0.03℃)에 비해 2배 이상 높았으며, 1960대 이후로 기온 상승률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사계절 중 겨울철에 가장 크게 증 가한 반면에 여름철 평균기온 상승 경향은 뚜렷하지 않았다. 연 강수량은 공간적 및 시간적 변동성이 매우 크지만, 1970년 이후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계절적으로는 여 름철에, 공간적으로는 태백산맥 주변지역에서 집중호우의 강도 증가에 의해서 강수 량이 뚜렷하게 증가하였지만, 겨울철 강수량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지 난 100년간 온난야, 여름일수 등 고온과 관련된 기후지수의 발생빈도는 증가하고, 한랭야, 한파일, 서리일 등 저온과 관련된 극한 기후 현상의 발생빈도는 감소하고 있 다. 특히 여름철의 경우에는 평균기온은 크게 변화가 없었지만, 극한 고온일수와 극 한 강수량이 증가하여 점차 집중호우와 고온현상이 반복되는 양상을 보였다. 지난 50년간(1963~2012년) 한반도의 일조시간은 매년 평균 2.2시간씩 줄어들어, 과거 10년(1963~1972년) 대비 최근 10년(2003~2012년)의 연 일조시간은 5% 감소하 였는데, 계절적으로 여름철의 감소가 뚜렷하였다. RCP8.5시나리오에 따른 현재 (1981~2005년) 대비 미래(2076~2100년)의 한반도 연 평균기온은 4.9℃ 상승하고, 과거의 관측결과와는 달리 여름철에도 기온 상승이 뚜렷하여 현재대비 5.1℃ 증가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RCP8.5시나리오에 따른 현재대비 미래 한반도의 연 강수량은 15.0% 증가되며, 과거의 관측결과와는 달리 겨울철의 강수량 증가가 아주 클 것으로(30.8% 증가) 전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는 기 상이변을 동반하고, 기상재해로 이어져서 농작물 및 농업시설의 피해, 농업생태계 교란, 농업생산성 저하 등 농업분야에 막대한 피해를 가져온다. 따라서 농업분야에 미치는 기후변화의 직접적인 피해를 줄이고, 예측되는 농업시스템의 변화를 긍정적 인 방향으로 유도하는 적극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농업부문의 기후변화 영향대책을 분야별로 살펴보면, 식량작물 분야는 이상기상과 병충해에 강한 내재해성 품종육성 을, 원예작물 분야는 기상변동을 고려한 과종별 재배적지의 재설정을, 병해충과 잡 초 분야는 국가 예찰망 구축 및 대발생 원인 구명을, 농업환경 분야는 농업인프라 확 보 및 농업기상재해 발생 조기경보시스템 구축을, 농업정책 분야는 농산물 수급안정 등을 중심으로 기후변화 적응역량을 강화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