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동해 ‘변방’ 담론을 통해 본 근대 공간 정치와 그 역설

        신진숙(Shin, Jin-Sook)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3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35

        This Pater aims to reveal the character of the modern ‘border politics’ in Northeast asia(“the East Sea Rim Region”) by analyzing interaction between the notion of ‘the Other’ and the national narratives in the late 1980’s and 1900’s. The intellectuals of the northeast who understood themselves as pioneers of civilization produced the image of Wildness and primitive peoples contrast to modernity and modern peoples(the nation) to write travel works of the borderlands of northeast asia. The image of primitivity also was coincident with old common sense of the orient that the western had regarded the eastern civilization as inferior. The northeast intellectuals travelled the borderlands of their countries as Russian and Japanese was interested in propagation of primitive images. Therefore to write essays aout the eastern primitive life, they selected primitive features, strengthened their orientalism or colonization and started analyzing them as the others of the civilization. But Korean intellectuals travelled the northeastern borderlands seemed to be based on the idea that they ware the pioneer and the subjugated class, so they were feeling not to unify their historical imagination and the colonized reality. On the other hand, Chinese writers described their primitivity as Chinese roots. The cultural representations of borderlands had been articulated with the national narratives. the discourse of borderlands reveals the inconsistency of the national narratives.

      • KCI등재

        호랑이 사냥을 통해 본 식민지 경관의 생산 방식 고찰 -야마모토 다다사부로 『정호기』와 『매일신보』기사를 중심으로-

        신진숙 ( Shin Jin-sook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7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9 No.-

        본고는 일제강점기 조선의 생태적 환경이 식민화 정책에 의해 급격하게 변해가고 있는 상황에서 어떻게 제국과 식민지 거주민의 시선이 경합하고 충돌했는지를 1910년대 한일 호랑이 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식민화 과정이란 근본적으로 정치, 경제적 체제의 식민화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식민지 생태환경의 변화를 수반한다. 경관은 바로 이러한 식민지 정책과 구현 과정을 잘 보여주는 시각적 자료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한 지역의 생태 환경은 본질적으로 그 속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삶과 분리될 수 없다. 따라서 식민화된 경관에는 제국의 일방적인 시선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식민지 거주자의 삶의 실천이 투영되기 마련이다. 이러한 논 쟁점을 극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바로 조선의 호랑이 담론이다. 조선에서 호랑이가 사라지게 된 직접적인 계기는 일제의 해수구제정책과 무관하지 않지만 그것은 조선의 포호정책의 연장이라는 시각도 제기된다. 그것은 조선에서 호랑이와 민중의 삶이 분리불가한 역사적 전통을 가지고 있음을 반증한다. 따라서 일제가 해수로 파악한 호랑이와 조선인의 삶에서 호랑이가 갖는 의미는 동일한 대상이지만 재현의 맥락 자체가 다르다. 조선인에게 호랑이가 공포와 숭배의 이중적 감정을 갖는 반면 근대 일본인에게 호랑이는 단순히 제거해야 할 동물일 뿐이었다. 삶의 실천을 통해 구성된 인간과 자연의 관계가 일본인의 시각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호랑이 담론 내부에서 제국-여행자의 시선, 즉 식민지 경관을 시각적으로 소비하고자 하는 제국의 시선과, 경관 자체를 삶의 실천 속에서 생산하는 식민지 거주자의 관점이 충돌한다. 이러한 경관에 대한 시선의 충돌은 호랑이 표상 담론보다는 호랑이를 사냥하는 일상적인 실천과정에서 보다 분명 하게 드러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일제강점기 호랑이와 사냥꾼, 그리고 호랑이 사냥이 라는 실천의 맥락을 복합적으로 보여주는 한일 담론을 비교 분석했다. 구체적인 분석 텍스트 는, 야마모토 다다사부로가 1917년 조선에서 호랑이 정호군을 조직해 행군했던 사건을 담은 그의 책 『정호기(征虎記)』 (1917)와 동일 사건을 다룬 동일 제목의, 심천풍이 쓴 『매일신보』 기사를 주로 다루었다. 분석결과 일본 제국의 식민화 과정에서 변화한 조선의 생태 경관은 제국의 시선에 포섭되지 않는 식민지 거주민의 삶의 실천과 능동적인 경관화(landscaping) 과정이었음을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동북아시아 특히 환동해지역에서 자연과 인간, 문화와 동물의 관계를 이해하는 하나의 단초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갖는다. Historically the imperial Japan had transformed the colonialized ecological landscapes not only into sites for leisure of hunting or wildlife tourism but also stages for exhibition of the colonializing the other, the colony Jose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Even though hunting tigers is welcomed as a tactic avoiding from the attack of tigers for the colony Joseon people in 1910s, it was quintessentially associated with the Japanese intention of colonializing Joseon. The representation of the tigers are denoted as wilderness and harmful animals by Japanese tourist and bureaucracy alike during the colonial period. By contrast, inhabitants of colonialized local communities, including Joseon tiger hunters, had explicitly and implicitly respected tigers as the social and cultural important symbol of the Joseon landscapes where in the socio-cultural and ecological contexts of Joseon they themselves are strongly attached to. The imperial-tourist, in terms of a way of seeing, typically looked at the tigers as the part of the colonialized ecological landscapes and regarded those landscapes as the things `out there.` What this means is that not only did Japan intended to exclude the representation of tigers that the Joseon people had have in mind since prehistoric times, but they also intended to replace the image of divine animal tigers with the image of harmful animals. However, in that Joseon people considered tigers sanctified and simultaneously confronted tigers in awe whenever they have to hunt them, the colonized Joseon have still experienced and perceived the tigers as sacred animals. Rethinking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tigers on dwelling perspectives, colonializing and landscaping ecological and cultural landscapes have always readily intertwined with the performative practices of inhabitants of the colony in everyday life.

      • KCI등재

        탈산업화 시대의 산업도시의 장소성과 관광의 진정성에 대한 문화사 회학적 고찰

        신진숙(Shin Jin sook) 대한관광경영학회 2017 觀光硏究 Vol.32 No.7

        근대 산업화 시대에 산업도시로서 성장해온 도시들은 산업화 시대의 유산을 문화적 관광상품으로 전환하는 도시관광 기획들을 선도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그러한 관광기획의 성과는 그다지 가시적이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산업도시가 가진 역사적 기억들을 간직한 채 새로운 탈산업적 문화도시로 전환하는 일은 많은 영역에서 난관에 부딪치고 있다. 특히 산업도시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다양한 사회문제뿐 아니라 불명확한 장소정체성 때문이다. 산업화 과정에서 외지에서 이주해온 거주민들이 존재하고 역사적으로 거주해온 사람들이 있으며, 최근에 새롭게 이탈하거나 유입되는 이동인구도 존재한다. 이들 사이의 장소감은 장소의 기억과 경험에서 차이를 드러낼 뿐만 아니라 도시경관에 대한 인식 또한 일정하지 않다. 산업도시에서 문화관광도시로 전환하는 계획들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이들 사이의 도시경관인식이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하는지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환동해 경제권에 속한 포항(송도해변)을 사례로 들어, 블로그를 통해 형성된 미디어스케이프를 중심으로 도시거주민의 시선이 관광객의 시선과 교차하는 지점을 고찰한다. 도시관광에서 거주민의 장소애착감 정도를 분석하고 도시관광의 진정성과 어떻게 연계되어야 하는지 문화사회학적 시각에서 고찰했다. 탈산업화 시대에 전형적인 산업도시 포항에서 관찰된 도시경관인식이 장소애착감과 장소상실이라는 이중의 장소감과 결부되어 있다는 것에 주목했다. 포항시에서는 포항이라는 전통적인 도시정체성, 즉 산업도시라는 이미지를 벗어나는 계획이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산업도시로서의 장소정체성과 역사적 형성과정을 정립하고, 이를 산업도시 고유의 관광콘텐츠로 활용하는 방안도 가능하다. 산업도시 고유의 스토리텔링을 집적하는 과정에서 거주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이를 통해 장소 애착감을 높이는 전략을 세움으로써 산업도시에서 관광의 진정성을 구현할 수 있다. This paper analyses how blogs represent the way in which individuals perceive places and landscape from the case of ‘Songdo Beach’ in Pohang, focusing on the mediascape of blogs as travelogues or records of personal experiences on sociocultural perspective. The perception that people visited in Songdo Beach emerges by dual way. On one hand, visitors thought the place as memorial and historic sites, that is, their reminiscence of industrial city or their nostalgic emotions about the past. The other hand, they thought as ordinary commercial tourist facilities, consuming the placeless images of Songdo Beach. However, residents as well as visitors to Pohang, as existential outsiders, see the place in a similar way. Even residents see and post the place by tourist angles. The success of urban tourism, especially in the modern industrial cities, depends on participation by local residents. It is considered a disciplinary plan to introspect the spatial and temporal multi-layers of senses of place from industrial cities tourism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is a cooperation between tourism and sociocultural research.

      • KCI등재

        다운증후군 학생의 특성 및 통합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신진숙(Shin, Jin-Sook)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0 교육혁신연구 Vol.30 No.4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다운증후군 학생의 특성과 통합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방법: 다운증후군 자녀를 둔 학부모 6명을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다운증후군 학생의 특성은 지능, 적응행동, 발음, 의사소통, 신체활동으로 제시되었고 통합교육의 저해요인은 두 가지 하위 주제가 제시되었다. 즉, 교사의 자질 및 전문성 부족, 부정적인 장애인식 등. 또 지원 요구에 대해서도 세 가지 주제를 파악하였다. 즉, 교사 및 부모교육, 행·재정적 지원, 장애인식 개선 등. 논의 및 결론: 다운증후군 학생은 일반 학생과 다른 특성과 능력을 가지고 있거나 발달이 지연될 수 있고 다운증후군 장애 안에서도 특성이 유사하지 않다. 따라서 성공적인 완전통합교육을 위해서는 일반학생 보다 그들의 특성과 발달 속도에 맞는 더 전문적인 지원과 자극이 필요하고 장애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어야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arental perceptions on the characteristics and inclusive education of students with Down syndrome. Metho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parents of children with Down syndrome. Results: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 were identified: (i) intelligence; (ii) adaptive behavior; (iii) pronunciation; (iv) communication; and (v) physical activity. Along with parental perceptions on inclusive education, two barrier themes were identified: (i) lack of qualifications and specialization of teachers; (ii) negative perception of disability. And three support needs themes were identified: (i) education for teachers and parents; (ii)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nd (iii) improvement of perception on disability. Conclusion: Students with Down syndrome can have characteristics and capabilities that are different from general students, or they may have delayed development. Moreover, such characteristics are not similar among students within Down syndrome.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more specialized support and stimulation appropriate for their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al pace, rather than for general students, and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the general public on the disability.

      • KCI등재

        宋稶 시에 나타난 '신체적 주체' 의 의미 고찰

        신진숙(Shin Jin-sook) 한국시학회 2004 한국시학연구 Vol.- No.10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meaning of 'Body-Subject' and to gain an insight into itself appeared in the poems of Wook Song especially focused on his 3rd collection of poems Wol-Jung-Ga. This paper shows how the poetic significances which are described in a collection of poems Wol-Jung-Ga can be connected with Merleau-pontys' 'Body-Subject' discussions appeared in Wook Song's essays of criticism 'Threshing of Civilization'. The process how the concept of 'Body-Subject' shown in Wol-Jung-Ga is getting into shape is studied in three aspects such as the image of Body, the image of Other and last, the image of Touch. Those of three aspects are; First, Body-image in Wook Song's poems connotes the meaning of body subjectivity which is described as <Thinking of Body> or <Body of Thinking> in Merleau-Pontys. The second thing, Other-image. This is a poetic take-shape against from another's eye and comes from a viewpoint saying that Subject is tried to be found among action & re-action between Subject and Other. Thirdly, Touch-image means re-organiz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Other as consensus and symbiosis as a view point of Mutual Subjectivity. As mentioned above' at the basis of perception and reconsideration of modern age, Wook Song's poetic take-shape makes his new grope for Subject worth being significant.

      • KCI등재

        후쿠시마 이후, 대지(大地)의 의미 변화 고찰 - 일본의 방사능 피폭소 이야기를 중심으로

        신진숙(Shin, Jin-Sook) 문학과환경학회 2021 문학과 환경 Vol.20 No.4

        이 논문은 후쿠시마라는 사건 이후 구성될 수 있는 ‘땅’, 즉 ‘대지’의 서사가 무엇인지, 일본의 방사능 피폭소 이야기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2011년 3월 11일 일본에서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은 예상치 못한 거대 쓰나미와 도쿄 원자력 발전소의 폭발과 멜트다운이 연쇄적으로 발생하면서 심각한 복합재난을 만들어냈다. 이 과정에서 대량의 방사능이 유출되면서 후쿠시마는 이후 원자력 에너지 시스템에 대한 논쟁을 포함한 다양한 환경운동과 환경철학의 난제들이 양산됐다. 더욱이 방사능의 해양 오염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후쿠시마는 이제 일본뿐 아니라 한국은 물론 글로벌한 환경적 문제들과 연결되고 있다. 이 논문은 후쿠시마가 제기하는 다양한 사회-생태학적 문제들 중에서 방사능 오염지역에서 살아가는 피폭된 가축소의 삶을 중심으로 근대적 사유체계 속에서 인간중심주의에 기반 해 구성되어온 대지에 대한 개념이 어떻게 변형되고 있는지 고찰했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인간-비인간 공동의 ‘대지’라는 생태철학적 관점을 재조명하고자 했다. 본 논문에서는 인간과 비인간 관계를 ‘대지의 것’(the terrestrial)이라는 개념으로 조명한 브뤼노 라투르의 생각들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했다. 분석 자료는 가축소와 야생소 사이의 경계를 무너뜨리며 후쿠시마지역을 활보하고 있는 방사능 피폭소에 관한 이야기들을 중심으로 살펴봤다. 이를 통해 동물(비-인간), 인간중심주의, 대지에 대한 근대인의 상상력을 해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했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통해 인간과 비인간이 공동으로 만드는, 인간과 비인간의 집합체로서의 대지 이야기를 새로운 생태서사의 가능성으로 고찰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earth’ after Fukushima, focusing on Japan’s nuclear cattle stories.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that occurred in 2011 was accompanied by a tsunami, which further caused the explosion and meltdown of the Tokyo nuclear power plant, causing a series of serious complex disasters. Since then, radiation has contaminated the area around Fukushima. This event sparked a debate about the nuclear energy system. Then, various environmental movements and challenges of environmental philosophy were mass produced. Moreover, the problem of radioactive contamination of the sea has been raised. As a result, Fukushima ignited global environmental issues. This article analyzed the stories of exposed animals and cattle. It seeks to critically reflect on the concept of land based on anthropocentrism in the modern system of thought. And it shows the ‘terrestrial’ co-constructed by human and non-human. Theoretically, it draws on the ideas of Bruno Latour. This article focuses on the stories of radioactive bombs roaming the Fukushima area, blurring the line between cattle and wild cattle. Through this, it explores the possibility of deconstructing modern imagination about animals (non-humans), anthropocentrism itself, and the earth. In conclusion, it highlights the possibility of an ecological narrative co-constructed by collectives between human and non-human.

      • KCI등재

        정신지체 학생을 둔 부모의 자녀교육 환경별 특수교육서비스 만족도와 요구 분석

        신진숙 ( Jin-sook Shi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6 No.4

        Recently,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putting forward their demand boldly to secure their right to educate their children. However, the existing study on the demand from parents of disabled students was conducted not from their perspective, but from experts`` and it is hard to find the studies on the demand from parents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us,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as a basic work to form a true partnership between schools and parents and to figure out the reason for selecting parents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by finding the reason for selecting their children``s schools, whether they were satisfied with special schools and what they demanded for improvement. In this study,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8 parents of students of general and special schools located in two cities in K Province where special schools were located. Based on the results of qualitative analysis of interviews with parents in two groups, detailed demands were presented by dividing 2 to 4 sub areas according to general and special schools depending on each subject.

      • KCI등재

        경도정신지체 학생의 협동학습 지원을 위한 보조공학 장치의 활용

        신진숙 ( Jin Sook Shi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7 No.3

        Cooperative learning is a common instructional arrangement that is used by classroom teachers to foster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acceptance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Cooperative learning is appealing to classroom teachers because it can provide an opportunity for more instruction and feedback by peers than can be provided by teachers to individual students who require extra assistance. Recent studies suggest that student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may need adaptations during cooperative learning activities. The use of assistive technology adaptations may be necessary to help some student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compensate for their specific learning difficulties so that they can engage more readily in cooperative learning. A process for integrating technology adaptations into cooperative learning activities is discussed in terms of three components: selecting adaptations, monitoring the use of the adaptations during cooperative learning activities, and evaluating the adaptations`` effectiveness. Besides, the article concludes with comments regarding barriers to and support systems for technology integration, technology and effective instructional practices, and the need to consider technology adaptations for students who have mild mental retard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