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탈현대성 담론의 재해석 - 탈현대시대의 현대성 발현을 위한 유교적 관심에서

        신종화(Shin Jong-Hwa) 동양사회사상학회 2006 사회사상과 문화 Vol.13 No.-

          현대성 담론에 등장하는 현대성의 반테제로서 탈현대성에 대한 논의에는 몇가지 이론적 문제점이 노정된다. 첫째, 시대로서의 탈현대와 시대정신으로서 탈현대성에 구분이 모호한 경우가 많다. 둘째, 시대정신으로서 탈현대성의 지성사에 대한 논의에서 현대성 일반에 대한 협소한 이해가 자주 등장한다. 셋째, 현대성 ‘내부’의 자기 비판적인 성찰로서의 탈현대성 논의는 기존의 현대성 담론의 인식론적 한계를 역시 내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성에 대한 주류적 이해가 갖고 있는 근본적인 한계를 날카롭게 지적하고, 대안적인 제언을 마련하고자 하는 탈현대성 논의를 동양사상의 유교적 전통과 비교를 함으로써, 탈현대성 담론의 함의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내고자 한다. 이 논문은 비교방법을 통해서 탈현대성과 유교사상의 이론적 자원들과 전개 방식에 대해서 심화된 연구를 하고자 한다.   Three theoretical problems, at least, are uncovered on the way of discussing postmodernity as the antithesis of modernity. First, the conceptual difference between postmodernity as the epochal spirit and the postmodern as the epoch is rather obscure in the usages. Second, the narrow-minded understanding on modernity is quite often discovered in the discourse on postmodernity as the epochal spirit in the intellectual history. Third, the ‘postmodernity’ discourse as the role of self-critique of modernity as a whole also shows some epistemic limits which are common in the conventional discourse on modernity. The postmodernity discourse, criticizing the problems of modernity on the way for preparing alternatives, however, unveils its meaningful implications when it is compared with the Confucian tradition in the Eastern Thought. This paper aims at a comparative analysis for an advanced understanding of postmodernity and Confucianism with identifying their theoretical resources and the modes of representations.

      • KCI등재

        모던modern'의 한국적 개념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신종화(Shin, Jong-Hwa) 동양사회사상학회 2013 사회사상과 문화 Vol.27 No.-

        모더니티modernity는 개념의 역사를 갖고 있다. 이 역사는 19세기의 사회과학의 발전 이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모던modern'이라는 단어에 대한 지성사적 관심은 그 자체로 오랜 전통이었다. 이 글은 우선 이 개념 연구의 역사를 요약적으로 소개한다. 이 요약을 바탕으로 '모던modern'의 번역어로서 사용되어온 '근대近代'와 관련 용어들의 문헌적 기록을 한국의 고전 문헌에서 찾고, 해석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이 논문은 『조선왕조실록』을 분석의 대상으로 선택한다. 이 문헌은 500년 이상 지속된 조선의 행정계급(왕, 관료, 사대부 등)의 역사인식을 살펴볼 단초를 제공한다. 조선의 행정계급에게 '근近/금今'은 당대의 문제를 인식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언어적 기능을 수행하였다. 이 기능은 추가적으로 '고古'개념의 활용과 더불어 진행되었다. 이러한 관찰을 바탕으로, 조선시대의 행정계급이 문화적으로 갖고 있었던 '당대'에 대한 진지한 문제의식과 해결노력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었다. Modernity has its conceptual history. Its early history goes back ro the period before the rise of the social sciences. Historically speaking, it is a long tradition in the West thar pursues the intellectual interests in interpreting the meaning of the word, 'the modern'. This paper, first, summarizes this conceptual history. With this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ro investigate the historical records of '근대(近代, Geundae)' and its related terminologies, which have been used as the translation of 'the modern', in the classical texts in Korean intellectual history. This paper chooses the Annals of Chosun Dynasty as the object of this investigation. This text, the Annals of Chosun Dynasty, provides a clue for identifying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 politico-administrative class of Chosun which had been lasted more than five hundred years. With the terminologies, '근(近, Geum)/금(今, Geum)', they recognize the problematique of their period and resolve the critical agendas. Additionally, "고(古, Goh)' supports this linguistic function. With the observation of the linguistic usages in the Annals of Chosun Dynasty, it is identified that the administrative-political class in the Chosun period culturally had 'serious attitudes' and made sincere efforts to solve the problematique of their period.

      • KCI등재

        동양사회사상과 ‘여가’개념의 쟁점들

        신종화(Shin,Jong-Hwa) 동양사회사상학회 2010 사회사상과 문화 Vol.21 No.-

        2010년 현재에 이르기까지 지난 십여 년 동안,여가에 대한 학제적 관심이 증가해왔다.더불어 여가학 분야의 연구성과가 양적으로 확대되어 왔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연구성과가 세대별,계층별,사회적 단위별 여가활동에 대한 분석적 평가에 집중되고 있는 경향이 짙다.한편,여가기구의 제도적 설치 및 여가정책 담론의 증가에도 불구하고,정책담론의 심층적 평가를 위한 이론적 접근이 부족하다.사회과학의 응용분야로서 삶의 편리성을 증가시키는 여가학이 아니라,인간 삶의 본질적 특징들이 논의되고,그 방향성에 대한 제언 생산과 실천이 가능한 여가학이 되기 위해서는 여가 담론의 현재적 문제점들을 확인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이 글의 목적은 ‘여가’개념을 둘러싼 쟁점들을 유형적으로 분류함으로서,이러한 문제점들을 보다 가시적으로 노출시키는 것이다.동양사회사상학계의 지난 5년 동안의 여가연구 성과들은 이러 한 문제점들의 파악과 대안구상에 대한 긍정적 기여를 해왔다.이러한 평가를 바탕으로 첫째,여가 개념의 역사적 형성의 한계,둘째,문화적 다양성과 여가 개념의 해석 관계,셋째,정책 용어로서 여가의 혼란,넷째,여가정책의 규범적 방향에 대한 철학적 긴장 등으로 쟁점을 분류하고자 한다.이러한 분류를 통하여 현대성의 이론적 자원으로 여가개념이 갖는 특징들을 가시화시킨다. For the last ten years up to 2010 this year, alongside of increased inter-disciplinary interests in the topic of leisure, considerable are research outcomes in leisure studies in terms of its quantitative increase. Most of them are, however, likely concentrated upon the analytical evaluation of leisure activities from generations, social stratifications, gender and family types. By the way, highly limited are theoretical approaches which are necessary for the fundamental evaluation of policy discourses, whereas the introduction and establishment of leisure-related institutions and the discourse on leisure policy are increased. It is necessary to identify current problems of leisure discourses in order to develop leisure studies as the field in which human conditions and their characteristics are discussed and the alternative proposals are suggested and more easily practically realiz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veil these problems more visibly, by way of classifying typologically issues around the conceptualization of 'leisure'. For the last five years, the researchers in the East Asian thoughts have contributed themselves to recognize these problems and to think the alternatives to them. Based on this kind of evaluation, major issues are classified as follows: first, the limitation of the historical formation of the concept of leisure, second, the interpretativ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plurality and the concept of leisure, third, the confusion of leisure as policy terminology, and fourth, the philosophical tension in setting the normative direction of leisure policy. Through this classification, the merits of the conception of leisure as theoretical resources for modernity are partly suggested

      • KCI등재

        한류, 한국의 문화적 현대성

        신종화(Shin Jong-Hwa),최석호(Choe Sok-Ho) 동양사회사상학회 2007 사회사상과 문화 Vol.15 No.-

          The Korean wave has been one of the major cultural themes, as well as well-being, in Korea since 2000. A global focus on the Korean wave has provoked various discussions on the emerging power of Korean culture and its reality. In spite of the fact, many writings in this flow only highlight either on the practical value of the Korean wave and its nationalist character or its problems related to cultural industries. This paper aims at interpreting the Korean wave a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project of modernity in Korea. Focusing on the historical understandings of modernity and culture, explained is the way in which the Korean wave develops and changes in the cultural sphere of Korea and abroad. We hav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Korean wave embedded itself in context of contested modernities and multiple cultural environments has so many different faces. Both arguments, an analysis and critique of the Korean wave as a product of Korean nationalists or cultural industries, are reaching the limits of explanation.   한류韓流(the Korean wave)는 웰빙(well-being)과 더불어 2000년대 이후 한국문화의 큰 화두가 되고 있다. 해외에서의 한류열풍은 한국문화의 역량과 현실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진척시켜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류현상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관점들의 상당수는 한류의 실용적 의미와 민족주의적 가치에 집중하거나, 문화산업적 특성의 문제점들을 지적하는 데 그치고 있다. 이 논문은 한류를 한국에서 현대성의 문화적 특성과 기획이라는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한다. 현대성과 문화에 대한 역사적 이해에 초점을 맞추고, 한국과 해외의 문화적 공간에서 한류가 전개되는 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결론적으로, 경쟁하는 현대성의 맥락과 복합적인 문화환경 속에서 배태된 한류 역시 여러 개의 얼굴을 할 수밖에 없음을 주장한다. 이것을 바탕으로 한류를 민족주의적 시각에서 분석 또는 비판하거나 산업적인 측면으로만 간주하는 시각은 심각한 오류를 안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지적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SCIESCOPUSKCI등재

        대형 밀폐 챔버를 이용한 파프리카(Capsicum annumm L.) 개체의 이산화탄소 소비량 측정 및 정량화

        신종화(Jong Hwa Shin),안태인(Tae In Ahn),손정익(Jung Eek Son) 한국원예학회 2011 원예과학기술지 Vol.29 No.3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rify precise CO₂ demands of paprika plants (Capsicum annumm L.) by measuring photosynthesis rates of the leaves in high, low positions, and the CO₂ consumption of a whole plant in a large sealed chamber. A photosynthesis measuring system (LI-6400) was used to measure the photosynthetic rates of the leaves located in different positions. A large sealed chamber that can control inside environmental factors was developed for measuring CO₂ consumption by a whole paprika plant. With increase of radiation, photosynthetic rates of the leaves in higher position became larger than those in lower position. The CO₂ consumption by the plant was estimated by using decrement of CO₂ concentration from initial level of 1500 μ㏖ㆍ㏖-1 in the chamber with increase of integrated radiation. A regression model for estimating CO₂ consumption by the plant (leaf area = 7,533.4 ㎠) was expressed with integrated radiation (x) and was suggested as y = - 0.06234 + 3.671<SUP>*</SUP> x / (2.589 + x) (R² = 0.9966<SUP>***</SUP>). The photosynthetic rate of the whole plant measured in the chamber was 3.4 μ㏖ CO₂ㆍm?²ㆍs?¹ under 300 μ㏖ㆍm?²ㆍs?¹ light intensity, which is in-between photosynthetic rates of the leaves in high and low positions. For this reason, some differences between required and supplied CO₂ amounts in greenhouses might occur when depending too much on photosynthetic rates of leaves. Therefore, we can estimate more accurately CO₂ amount required in commercial greenhouses by using CO₂ consumption model of a whole plant obtained in this study in addition to leaf photosynthetic r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