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쇼핑몰의 특성이 소비자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 플랫폼 형태 차이를 중심으로-

        신종국,김재훈,이승현,Shin, Jong-Kuk,Kim, Jea-Hun,Rhee, Sung-Hyun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4

        현대 산업의 발전과 COVID-19의 출현으로 소비자들의 소비패턴에 변화가 생기면서, 특히 온라인상의 소비가 활발해졌다. 전자상거래가 이루어지는 온라인 쇼핑몰에는 크게 독립형, 임대형, 오픈 마켓형 그리고 스토어팜으로 4가지 플랫폼 유형이 있다. 이 중에서 대표적인 독립형과 스토어팜 형을 비교하여 플랫폼 유형이 소비자의 온라인 쇼핑몰의 특성과 재방문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6개월 이내의 설문조사 202건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몰의 특성인 신뢰성, 정보성, 편의성 그리고 프로모션 중에서 신뢰성과 정보성은 심리적 혜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프로모션과 편의성은 경제적 혜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관계 혜택인 심리적, 경제적 혜택은 재방문 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이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절 변수인 플랫폼의 형태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development of modern industry is changing the consumption pattern of consumers. With the advent of COVID-19, consumers' consumption using online e-commerce has begun to become more active. Online shopping malls where e-commerce takes place have four types of platforms: stand-alone, rental, open market and store farm. Among them, by comparing the stand-alone and store farm types, this study was conducted how the platform type affects consumers' purpose of using the online shopping mall and their intention to revisit the online shopping mall. This study analyzed 202 surveys within the last six month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reliability and inform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sychological benefits. In addition, promotion and convenience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economic benefits. The psychological and economic benefits, have been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tention of revisit.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 depending on the platform type.

      • KCI등재

        OTT 서비스 플랫폼 특성이 심리적 혜택 및 OTT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가족의 형태 중심으로-

        신종국,김재훈,이승현,Shin, Jong-Kuk,Kim, Jaehun,Rhee, SungHyun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10

        In this study, we are going to study the OTT service platform, which is growing rapidly in recent years. Through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tform preferred by consum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benefits and loyalty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famil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tform and psychological benefits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a total of 255 surveys were conducted targeting consumers who have used OTT services, and 206 cases were analyzed with SPSS 18 and AMOS 21, excluding 49 cases that were insincere or inconsistent internal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all factors of convenience, AI recommendation service, and content, which are factors characteristic of OTT platfor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benefits. In addition, psychological benefit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loyalt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OTT platform and the type of family according to the family type, which is a control variabl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providing a theoretical background according to the type of family. Future studies are expected to consider various members or add factors to the study. 본 연구에서는 최근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OTT 서비스 플랫폼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를 통해서 소비자가 선호하는 플랫폼의 특성과 심리적 혜택과 충성도에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또한, 가족의 형태가 플랫폼의 특성과 심리적 혜택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OTT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총 255건의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이 중 불성실하거나 내부적으로 일관성이 없는 49건을 제외한 206건을 SPSS 18과 AMOS 21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OTT 플랫폼의 특징의 요인인 편의성, AI 추천서비스 그리고 콘텐츠의 모든 요인이 심리적 혜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심리적 혜택은 브랜드 충성도에는 유의한 영향이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 변수인 가족의 형태에 따른 OTT 플랫폼의 특징과 가족의 형태는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족 형태에 따른 이론적 배경을 제공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이후의 연구에서는 다양한 시기, 지역 그리고 요인을 추가하여 다룬 연구를 기대한다.

      • KCI등재

        Customized Service Evaluation by Preference Clarity and Customer Participation in Korean and Chinese Culture

        신종국,박민숙,옥정원,Shin, Jong-Kuk,Park, Min-Sook,Ock, Jong-Won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2014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선호명확성과 고객참여수준이 맞춤서비스의 적합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요인과 상호작용하여 맞춤서비스 평가에 차이를 보일 수 있는 문화권의 차이로 한국과 중국을 설정하여 $2{\times}2{\times}2$ 집단간 실험설계를 통한 ANCOVA분석을 실시하였다. 한국인과 중국인 각각20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한 결과, 선호가 명확한 경우, 참여수준이 높은 경우, 한국소비자의 경우에 각각 맞춤서비스에 대한 적합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국소비자들은 참여수준이 높아질수록 적합성이 높다고 평가하지만, 중국소비자들은 참여수준이 높을 때 오히려 적합성 평가가 낮아지고 있었다. 또한 선호명확성이 높은 경우에 참여를 많이 할수록 적합성 평가가 높아지지만, 중국의 경우에는 한국과 달리 참여수준에 따른 적합성 평가 향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examines how preference clarity and customer participation levels affect evaluation of fit toward customized services and also analyzes the effects of cultural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China that may cause variance in the evaluation of fit in the course of interaction with the prior two factors, preference clarity and customer participation level. It conducted a $2{\times}2{\times}2$ between-subjects factorial design adopting preference clarity, customer participation level, and difference of culture.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200 Korean and 200 Chines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it is revealed that Korean consumers highly perceived fit toward customized services when their preference is clear and participation level is high, and they evaluate fit more favorably as participation level increased, while Chinese consumers' evaluation for fit deteriorated as participation level increased. The result shows that fit evaluation became more positive through participation when preference clarity is high in Koreans but not in Chinese.

      • KCI등재

        경영학 전공 학생들의 세계 지리에 대한 지식수준 연구

        신종국(Shin Jong-Kuk),박민숙(Park Min-Sook) 한국경영교육학회 2007 경영교육연구 Vol.46 No.-

        세계 지리에 대한 지식은 국제 경영 및 마케팅 전략의 성공적인 수행에 있어 주된 요인으로 인식된다. 매년 증가하는 해외 마케팅의 제품과 서비스를 감안할 때 이러한 지리 지식에 대한 교육은 더욱 필수적인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의 경영학 전공 학생과 미국 등 여러 국가 대학생들의 지리적 지식에 대한 비교는 향후 국제 마케팅 과업 수행능력에 대한 국가 간의 수준을 비교해 보는 기회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경영학 전공 학생과 미국, 멕시코, 이스라엘, 그리고 아일랜드 대학생을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였다. 각 국 학생집단의 세계지리 지식수준을 비교하고, 지식수준의 차이를 결정짓는 요인을 검토하여 교육학적 측면의 가치 있는 정보를 도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세계 지리에 대한 지식수준은 성별, 경영학 전공여부, 마케팅 전공여부, 나이, 해외여행 경험 유무, 직장 생활 경험 유무, 국제학 관련 과목 수강 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다. Until recently in Korea scholars seldom researched on the geographical knowledge of business school students about foreign countries contrary to more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the geographical knowledge of high school students. Geographical knowledge about foreign countries is considered to be a significant factor related to the successful marketing of goods and services in international markets. Unfortunately, previous researches have concluded that Korean business school students who will make decisions that will impact their firms’ international operations have inadequate levels of international geographical knowledge. This article compares the geographical knowledge of Korean business school students to that of business school students in four countries : U. S., Mexico, Ireland, and Israel. The sub-par performance exhibited by the Korean students and the impact of six independent variables on global geographical knowledge are used to develop a number of pedagogical conclusions designed to enhance the international geographical knowledge of Korean and foreign business school students and overcome the antipathy toward this subject matter that apparently exists with in business schools and their various external constituencies.

      • KCI등재

        우리나라의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위한 생산 자동화의 역할

        신종국(Jong Kook Shin),정용훈(Yonghun Jung),이성훈(Seong-Hoon Lee) 한국자료분석학회 202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4 No.3

        로봇과 인공지능에 의한 생산 자동화는 과거의 기술 혁신과는 달리 모든 영역에 적용되어 생산요소를 광범위하게 대체하고 있다. 노동력 고령화는 물론 로봇과 인공지능의 생산요소 대체 속도도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서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예측이 매우 불확실하다. 본 연구는 로봇시장 매출액을 통해 세계와 우리나라의 생산 자동화 현황을 비교하고, 주어진 최소한의 정보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생산 자동화와 경제성장의 관계에 대한 첫 번째 실증분석을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실증분석 결과, 세계는 서비스용 로봇시장이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로봇 부품시장의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1인당 실질 국내총생산으로 측정된 노동 생산성 변수를 통해 생산 자동화(지역별 로봇의 사업체수, 매출, 생산, 출하, 취업)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노동력 고령화는 경제성장에 음(-)의 영향을, 생산 자동화는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동력 고령화와 생산 자동화의 동시 진행은 고령화 비중의 증가에 의한 노동 생산성 감소가 생산 자동화의 확대를 통해 상쇄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서비스용 로봇 위주로 빠르게 개편되고 있는 로봇화에 대한 로봇산업 지원과, 노동력 고령화와 생산 자동화의 동시 진행에 대한 다양한 정책 연계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나타내고 있다. Unlike past technological innovations, automation of production by robot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has been applied to replace all factors of production at a stunning pace. With a rapid progress in aging of the labor force, together with the ongoing automation-driven factor replacement, an empirical analysis of their uncertain impacts on economy is called for. Thus, despite the limited available information, we attempt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on automation and economic growth in South Korea and suggest policy implications. We first compare the production automation in South Korea vis-à-vis the world by focusing on robot market sales. Our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the growth in the world’s robot sales is driven primarily by the service robot sector, whereas South Korea focuses on the production robots. In our analysis of its implications on economic growth, we find that proxies for production automation exert a positive impact on labor productivity as measured by the real GDP per capita, while the aging of labor force has a negative effect. Moreover, we find that an increased adoption of production automation amidst the progress of labor force aging offsets the negative impacts emanating from the latter, and improves labor productivity. Our findings militate in favor of the benevolent effects of the government policies advocating the “robotization” on sustainable economic growth in the era of declining fertility and labor force aging.

      • KCI등재

        소매업체의 옴니채널 서비스가 고객경험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신종국(Jong-Kuk Shin),오미옥(Mi-Ok Oh) 한국자료분석학회 202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2 No.5

        본 연구는 소매업체의 옴니채널 서비스 특성이 고객경험을 매개로 고객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파악하기 위해서, 옴니채널 서비스 특성을 통합성·개인맞춤화·편재성·상호작용성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특성이 경제적·쾌락적·관계적·상징적 경험의 네 가지 차원으로 구성된 고객경험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 다양한 유형의 고객경험 중에서 어떤 유형이 고객충성도를 더 잘 설명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옴니채널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매업체 이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옴니채널 서비스 특성 중 통합성·개인맞춤화·편재성은 경제적·쾌락적·관계적·상징적 고객경험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나 상호작용성은 경제적·관계적 고객경험에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적·관계적·상징적 고객경험은 태도적 충성도와 행동적 충성도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나 쾌락적 고객경험은 태도적 충성도에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태도적 충성도는 행동적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옴니채널 서비스를 통한 차별적인 고객경험 구축을 위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chanisms of omni-channel service characteristics of retailers affecting customer loyalty through customer experien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lassifies the characteristics of omni-channel service into integration, personalization, ubiquity, and interaction. And it analyzes the influence of each characteristic on the customer experience consisting of four dimensions of economic, hedonic, relational, and symbolic experience, and examines which type of customer experience of various types better explained the customer loyalt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by surveying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 in using omni-channel services, the integration, personalization, and ubiquity of omni-channel service characteristics have a positive effect on both economic, hedonic, relational, and symbolic customer experiences, but the interactivity has a positive effect on only economic and relational customer experiences. In addition, economic, relational and symbolic customer experi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attitudinal loyalty and behavioral loyalty, but hedonic customer experienc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ttitude loyalty only, and attitude loyalty has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loyal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differentiated customer experience through omni-channel service are presented.

      • KCI등재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사용자 개인특성에 따른 지각된 관계혜택 및 충성도 차이에 관한 연구

        신종국(Shin, Jong-Kuk),박민숙(Park, Min-Sook),박지연(Park, Ji-Yeon) 한국상품학회 2012 商品學硏究 Vol.30 No.4

        가상공간의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고 있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급속하게 성장함에 따라 이를 통한 소비자들과의 관계형성 및 강화를 위한 기업들의 마케팅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마케팅 측면에서 보면 SNS 사용자 전체를 대상으로 마케팅 전략을 시행하는 것보다는 사용자들의 특성을 분석하여 세분화된 사용자층에 따라 적절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NS 사용자들의 개인특성에 따른 관계혜택 지각과 충성도에 대한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관계혜택 지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차원의 특성 요인들인 사회적 실재감, 몰입, 플로우를 기준으로 사용자 집단을 세분화하고, 세분집단별 특성을 도출하여 각 세분시장이 지각하는 관계혜택 및 충성도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아 이를 통한 전략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시장세분화 분석결과 4개의 세분시장이 도출되었으며, 이들은 열성집단, 관계중심집단, 잠복집단, 자기중심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SNS사용자들이 지각하는 관계혜택은 사회적 혜택, 심리적 혜택, 정보적 혜택, 관리적 혜택, 명예적 혜택으로 구분되었다. 그리고 세분시장 유형에 따라 관계혜택에 대한 지각에 차이가 났으며, 충성도와도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Social Network Services(SNS) have showed an exponential growth in the last years. The first step for an efficient use of SNS stems from an understanding of the individuals' behaviors within these sites. In this research, we have obtained a typology of SNS users, based on three personal variables (social presence, commitment, and flow) by which users perform different interaction patterns within the SNS. Four different segments have been obtained and are named as follows: Earnestness group, Relation-centered group, Lurking group, and Self-centered group.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SNS users perceive five-typed benefits, that is, social benefits, psychological benefits, information benefits, administration benefits, and honor benefits. Finally, it was shown that four segmen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ly perceived relational benefits and loyalty toward SNS,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which, especially, play a critical role in the process of personal interaction.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 디젤엔진 배출가스 질소산화물 저감을 위한 암모늄 카보네이트 재응고 물질의 분석 연구

        신종국(Jong Kook Shin),이호열(Hoyeol Lee),윤천석(Cheon Seog Yoon),김홍석(Hongsuk K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13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3 No.5

        디젤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 질소산화물은 고온 산화 분위기에서 공기중의 질소와 산소가 결합하여 생성된다. 현재 디젤엔진에 적용되는 질소산화물 저감기술로는 NOx와 선택적으로 반응하여 NOx를 저감시키는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기술로, 암모니아를 환원제로 공급한다. SCR 기술에 사용되는 환원제는 AdBlue<SUP>ⓡ</SUP>라는 우레아수용액 또는 DEF(Diesel Exhaust Fluid)를 사용하고 있지만, 액체의 특성상 ?12 ℃이하에서 빙결되며, 배기가스중 고체 생성물이 적층되거나, 배기온도 200 ℃이하의 저온에서 도징장치문제, 그리고 균일한 암모니아 농도 유지를 위한 믹서등의 장착으로 인하여 복잡한 패키징장치가 필요하다. 반면에, 암모니아 저장물질의 하나인 암모늄 카보네이트는 열분해 온도가 낮기 때문에 상온에서 적절한 열원을 인가하면 고체상태에서 직접 기체상태로 승화되며 암모니아 가스를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암모늄 카보네이트가 승화된 후, 냉각됨에 따라 생성되는 부산물질에 관한 분석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시화 간이 반응기를 제작한 후, 반응기와 냉각수온도를 조절하여 압력과 온도를 계측하고, 포화압선도를 구하였다. 또한 자동차 작동환경을 모사하기 위하여 가열 및 냉각과정을 반복하여 간이반응기 내부의 응고 물질을 XRD(X-Ray Diffraction)와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을 이용하여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로부터, 응고된 물질과 수차례 가열 및 냉각을 통해 획득된 부산물질은 암모늄 카보네이트의 성분과 유사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