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불임여성에서 NAT2, GSTM1, CYP1A1 유전자 다형성과 자궁내막증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송현정,전진현,최혜원,허걸,강인수,궁미경,이형송,Song, Hyun-Jeong,Jun, Jin-Hyun,Choi, Hye-Won,Hur, Girl,Kang, Inn-Soo,Koong, Mi-Kyoung,Lee, Hyoung-Song 대한생식의학회 2004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1 No.2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endometriosis and polymorphisms of N-acetyl transferase 2 (NAT2), glutathione S-transferase M1 (GSTM1), and cytochrome P450 (CYP) 1A1 genes in Korean infertile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303 infertile patients who had undertaken diagnostic laparoscopy during January, 2001 through December, 2003 at Samsung Cheil Hospital enrolled in this study. The patients were grouped according to laparoscopic findings: minimal to mild endometriosis (group I: n=147), moderate to severe endometriosis (group II: n=57), normal pelvic cavity (n=99). Peripheral blood was obtained and genomic DNA was extracted. The genotypes of each genes were analyzed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For NAT2, RFLP was used to detect the wild type (wt) and mutant (mt) alleles, enabling classification into slow (mt/mt) or fast (wt/wt or wt/mt) acetylation genotypes. For GSTM1, PCR was used to distinguish active (+/- or +/+) from null (-/-) genotypes. For CYP1A1, MspI digestion was used to detect the wild type (A1A1), heterozygote (A1A2) or mutant (A2A2) genotypes. Result: The genotype frequencies of NAT2 slow acetylator was 12.8%, 10.9%, 12.8% in group I, group II and control, respectively. The genotype frequencies of GSTM1 null mutation was 55.3%, 41.8%, 53.2% in group I, group II and control, respectively. The genotype frequencies of CYP1A1 MspI polymorphism was 16.3%, 9.1%, 18.1% in group I, group II and control,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endometriosis and normal controls in the genotype frequencies of the NAT2, GSTM1, CYP1A1 MspI polymorphism. Conclusion: The NAT2, GSTM1, CYP1A1 gene polymorphism may not be associated with the susceptibility of endometriosis in Korean women.

      • SCOPUSKCI등재

        $\textrm{Ta}(\textrm{OC}_{2}\textrm{H}_{5})_{5}$와 $\textrm{NH}_3$를 이용한 산화탄탈륨 막의 원자층 증착 및 특성

        송현정,심규찬,이춘수,강상원,Song, Hyeon-Jeong,Sim, Gyu-Chan,Lee, Chun-Su,Gang, Sang-Won 한국재료학회 1998 한국재료학회지 Vol.8 No.10

        Ta(OC2H5)5와 NH3를 이용하여 Cycle-CVD법으로 산화탄탈륨 막을 증착하였다. Cycle-CVD법에서는 Ta(OC2H5)5와 NH3사이에 불활성 기체를 주입한다. 하나의 cycle은 Ta(OC2H5)5주입, Ar주입, NH3 주입, Ar 주입의 네 단계로 이루어진다. Cycle-CVD법으로 산화탄탈륨 막을 증착할 때, 온도 $250-280^{\circ}C$에서 박막의 증착 기구는 원자층 증착(Atomic Layer Deposition:ALD)이었다. $265^{\circ}C$에서 Ta(OC2H5)5:Ar:NH3:Ar:NH3:Ar의 한 cycle에서 각 단계의 주입 시간을 1-60초:5초:5초:5초로 Ta(OC2H5)5 주입 시간을 변화시키면서 산화탄탈륨 막을 Cycle-CVD법으로 증착하였다. Ta(OC2H5)5주입시간이 증가하여도 cycle 당 두께가 $1.5\AA$/cycle로 일정하였다. $265^{\circ}C$에서 증착된 박막의 누설 전류는 2MV/cm에서 2x10-2A/$\textrm{cm}^2$이었고 열처리후의 산화탄탈륨 막의 누설 전류값은 $10-4A\textrm{cm}^2$ 이하고 감소하였다. 증착한 산화탄탈륨 막의 성분을 Auger 전자 분광법으로 분석하였다. 2$65^{\circ}C$에서 증착한 막의 성분은 탄탈륨 33at%, 산소 50at%, 탄소 5at%, 질소 12at% 이었으며 90$0^{\circ}C$, O2300torr에서 10분 동안 열처리한 박막은 탄탈륨 33at%, 산소 60wt%, 탄소 4at%, 질소 3at%이었다. 박막의 열처리 온도가 높을수록 불순물인 탄소와 질소의 박막 내 잔류량이 감소하였다. 열처리 후의 박막은 O/Ta 화학정량비가 증가하였으며 Ta의 4f7/5와 4f 5/2의 결합 강도가 열처리 전 박막보다 증가하였다. 열처리 후 누설 전류가 감소하는 것은 불순물 감소와 화학정량비 개선 및 Ta-O 결합 강도의증가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언론에 투영된 `비서`의 은유적 해석

        송현정(Song, Hyeon-Jeong) 한국비서학회 2015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은유분석을 활용하여 일간지 기사제목에 투영된 ‘비서’직에 대한 사회·문화적 인식을 분석, 해석하고, 비서직의 사회적 위치 및 정체성 확립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연구문제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설정하였다. 첫째, 일간지에 나타난 비서직의 은유적 구조는 어떠한가? 둘째, 비서직에 대한 은유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연구문제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문헌분석 및 내용분석을 활용하였다. 먼저 문헌분석을 통하여 은유연구의 전개를 제시하였다. 일간지 분석을 통하여 비서직에 대한 은유의 구조를 개인적 차원, 비서-상사간 관계적 차원, 그리고 사회적 차원으로 분석하였다. 개인적 차원에서는 ‘언제, 어디서나, 지원 가능한 만능인’인 비서직 이미지를 도출하였고, 비서-상사간 관계적 차원에서는 ‘기밀보유자로서 상사의 입이자 운명 공동체’로서의 비서의 상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차원에서는 정략적 도구화, 가십의 대상화가 되어가는 비서직의 은유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비서의 직무와 역할에 대한 능동적 이미지의 노출, 전문직으로서 비서직의 정체성 재구축 및 가시화에 대한 노력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provides a metaphoric understanding of administrative assistants in the newspaper.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1)What is the metaphoric structure of administrative assistants in the newspaper? 2)What metaphoric changes in administrative assistants can be observed based on time series data? To address these research questions, a literature review and a content analysis were employ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concept of metaphors and their educational value were evaluated. The results provide three levels of metaphors for administrative assistants: individual, relationship between administrative assistants and superiors, and social levels. The results suggest that a dynamic and independent image of administrative assistants should be delivered to people and that professional groups should attempt visualize their value and contributions to society and cultur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조직 내 사회적 자본 개념의 재해석 -의사소통행위이론 관점을 중심으로-

        송현정 ( Hyeon Jeong Song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0 HRD연구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 내 사회적 자본 개념의 재해석에 있다. 사회적 자본은 조직 내 지식경영과 결합되어 사회적 자본의 구조적, 관계적, 인지적 측면에서 지식경영 기여에 대한 그 효과성이 검증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회적 자본에의 접근은 관계에의 투자라는 사회적 자본의 본래의 이론적 기원에서 볼 때 오히려 구조 기능주의적 측면에 전착되어 관계의 행위자 즉 개인의 인지적 측면의 가치가 저평가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Habermas의 의사소통 행위이론의 관점에서 문헌분석 연구를 통하여 조직 내 사회적 자본의 가치를 다시 이해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문제로 첫째 의사소통행위 이론과 사회적 자본의 연관성은 무엇인가, 둘째 의사소통행위 이론 관점의 사회적 자본 개념이 인력개발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라는 두 가지를 제기하였다. 이 분석을 위하여 의사소통행위 이론의 이해, 사회적 자본의 개념 이해 및 한계점 분석, 조직 내 의사소통행위와 관련된 문헌분석의 과정을 거쳤다. 연구를 통하여 사회적 자본의 인지적 차원에 대한 학문적 탐구는 현재는 미미하지만 사회적 자본의 증대 및 그로 인한 조직 성과 향상에 잠재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인력개발에 주는 시사점으로는 첫째 인지적 차원 사회적 자본에 대한 가치인식으로 이원적 관점의 전환, 둘째 기술적 관점과 사회적 과정 관점으로 이분화 되어 있는 조직학습이론에 소통적 학습이론의 조직학습 필요성 제기, 셋째 상황학습이나 실천공동체의 학습형태 활성화뿐만 아니라 학습내용과 이행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 제기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social capital in organization. Many studies of social capital have been conducted combined with knowledge management(KM) to show its direct and indirect effectiveness in organizations in terms of structural, relational, and cognitive levels of social capital. However, those of outcomes draw underestimates the value of cognitive level of social capital owing to concentrate on the structural-functional effect of social capital.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analyse and understand the value of cognitive level of social capital with perspective of communicative theory by Habermas. Based on this the research questions are (1)what relations between social capital and the communicative theory are, and (2)how we can analyze out implications from the communicative theory to th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hrough literature review we could find the potential for contributions of the cognitive levels of social capital to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its development although it is a nascent stage to appreciate its value at this moment.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a few implications are proposed. First, it can provide extended views of social capital which is limited to only two dimensions like relational and structural dimension. Second, it suggests to broaden the views of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ies which is dividend as a dichotomy approach like instrumental perspective vs social process perspective. We may consider communicative learning perspective as a comprehensive frame. Finally, we can explore the new learning content based on the importance of cognitive dimension of social capital. They may be weighing on the languages itself include narratives and discourse, and its interpretation intra- and inter-organizations for example.

      • 미국 법관윤리규범에 관한 연구: 외관을 중심으로

        송현정 ( Song Hyun Jung ) 사법정책연구원 2018 연구보고서 Vol.2018 No.14

        사법부의 권위는 궁극적으로 사법과정에 대한 국민의 신뢰에서 비롯된다. 이때 사법과 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법관의 자질 내지 그 실체를 평가할 만한 마땅한 척도를 가지고 있지 않은 국민은 외부로 표출되는 법관의 언행에 의하여 법관이 관여하는 재판절차에 대한 신뢰를 구축할 수밖에 없다. 곧 법관에 관하여 국민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가 국민의 사법신뢰를 형성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이러한 점에서 법관은 실제로 독립성과 염결성, 공평성을 갖추어야 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외관도 갖추어야 한다는 점을 부인할 수 없다. 미국에서는 외관이 실체와 불가결한 구성요소라는 전제를 바탕으로 외관에 중점을 두고 법관의 독립성과 염결성, 공평성에 대한 의구심을 들게 만드는 외관의 형성에 주의하도록 요구한다. 특히 미국 법관윤리의 전범이라 할 수 있는 미국 변호사협회가 채택한 모범법관행위규범에서는 ‘부적절한 외관(appearance of impropriety)’을 창출하는 것조차 금지하는 규정을 두고 있다. 이 규정에 따르면 법관이 실제로 부적절한 행위를 하지 않았더라도 부적절한 외관을 형성하였다는 사유로 해당 법관을 징계할 수 있다. 사법부에 대한 공중의 신뢰를 위해 법관에게 고양된 수준의 행위기준을 마땅히 받아들이도록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법관윤리강령을 비롯한 관련 규범, 권고의견 등을 토대로 국민의 사법신뢰를 확보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 사이 법관들의 윤리의식은 크게 높아진 것도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법관윤리에 대한 인식뿐만 아니라 법관에 의해 창출되는 외관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 또한 낮은 편이다. 최근 사법행정권 남용이나 이른바 ‘재판거래 의혹’과 관련된 언론보도가 나오는 등 법관윤리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1924년부터 구체적으로 부적절한 외관에 대한 논의를 거듭해온 미국의 모범법관행위규범의 발전과정, 관련 사례 등을 조사·분석한 이 연구가우리나라 법관윤리강령 및 구체적 행동지침, 관련 규범 등을 재정립하는 데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uthority of the judiciary ultimately derives from public confidence in the judicial process. Yet, the public have no recourse but to build confidence in the judicial process through the words and deeds of the judge sitting in the proceeding since it is difficult for them to fully comprehend the judicial process and set an apt scale to evaluate the qualification of the judge. Accordingly, the public image of the judge becomes a key factor in establishing the confidence in the judiciary. In this respect, it is indisputable that a judge should not only satisfy independence, integrity and impartiality but also satisfy such appearance. In the United States, under the premise that the appearance of justice cannot be divorced from justice itself, judges are required to avoid conducts that would undermine independence, integrity and impartiality of the judiciary with significance of appearance. In particular, in the Model Code of Judicial Conduct adopted by the House of Delegates of the American Bar Association, there exists a rule that clearly prohibits a judge from engaging in conduct which creates the appearance of impropriety. Under the rule, judges are subject to discipline for creating a perception of wrongdoing even where no actual misconduct occurs. Likewise, a judge shall exhibit and promote high standards of judicial conduct in order to reinforce public confidence. Korea has also made continuous efforts to secure public confidence in the judiciary establishing the Canons of Judicial Ethics, setting related rules, and publishing advisory opinions. In so doing, the awareness of judges about judicial ethics has been raised significantly. It is nonetheless true that overall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created by the judge is still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at of the United States. Furthermore, the issues of judicial ethics such as abuse of judicial authority have continuously been observed through the media in recent years. In these circumstances, the examination of the Model Code of Judicial Conduct of the United States especially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tself would be helpful to strengthen the enforcement of the Canons of Judicial Ethics and other related rules in Korea.

      • 미국의 증거배제신청에 관한 연구: 형사소송에서 Motion in Limine와 Motion to Suppress를 중심으로

        송현정 ( Song Hyun Jung ) 사법정책연구원 2017 연구보고서 Vol.2017 No.11

        배심제도를 바탕으로 하는 미국형사절차에서는 증거개시절차(discovery)를 통해 교환한 증거자료 가운데 관련성이 없는 증거, 배심원에게 현출될 경우에 예단이나 편견을 발생하게 할 우려가 있는 증거 및 위법하게 수집된 증거 등이 법정에서 증거로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안 공판이 개시되기 전 법원에 증거의 허용성(admissibility)에 대한 판단을 구하는 신청을 제기할 수 있다. 신청에 따라 법원은 증거의 허용성을 따져 채택 또는 배제의 결정을 내린다. 이처럼 미국은 공판 전 단계에서 증거배제신청을 제기하도록 함으로써 증거의 허용성에 대한 판단을 내리는 심리절차와 본안 판단을 분리하고 본안 판단에서 증거의 허용성에 대한 공방이 이루어지는 것을 최소화한다. 법원에 증거배제의 결정을 구하는 대표적인 절차적 방법으로는 두 가지 신청을 들 수 있다. 민사사건 또는 형사사건에 관계없이 적용되는 유해증거배제신청(motion in limine)과 형사사건에만 적용되는 위법수집증거배제신청(motion to suppress)이다. 유해증거배제신청은 대체로 사실판단자의 예단이나 편견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증거가 법정에서 예상치 않게 현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법관에게 미리 유해한 증거를 배제해 줄 것을 요청하는 신청이다. 유해증거배제신청은 재판 전 단계에서 제기될 것이 촉구되지만, 필요하다면 재판 중에도 제기할 수 있다. 유해증거배제신청에 대한 법원의 결정은 대체로 언제든지 다시 심리할 수 있는 잠정적인 결정으로 중간불복(interlocutory appeal)의 대상이 되지 못한다. 따라서 신청자는 법원에 의해 자신에게 불리하게 증거가 허용되는 잠정적인 결정이 내려졌다면, 추후 본안 판단 후 항소심에 대비하여 법정에서 해당 증거가 현출된 즉시 다시 이의제기(objection)를 하고 이를 소송기록에 남기기 위해 입증제의(offer of proof)를 하여야 한다. 한편, 위법수집증거배제신청은 피고인이 수사기관의 위법행위를 통해 취득한 증거의 배제를 구하는 요청을 의미한다. 위법수집증거배제신청은 연방대법원의 판례에 의해 정립된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exclusionary rule)을 근거로 형사소송규칙에 공판 전 신청(pretrial motion)의 하나로 법제화되어 있다. 위법수집증거배제신청은 공판 전에 제기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실기한 신청인 경우라 할지라도 정당한 이유를 소명하면 이를 받아들여 심리를 진행할 수 있다. 연방지방법원 판사는 연방치안판사(magistrate judge)에게 해당 절차를 수행하여 의견을 제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연방치안판사의 의견은 권고사항일 뿐이며 위법수집증거배제신청에 대한 결정은 반드시 연방지방법원 판사가 내려야 한다. 위법수집증거배제신청에 대한 종국적 결정은 이를 연기할 만한 정당한 이유가 소명되지 않는 한 공판 전에 내려진다. 연방 사건의 경우, 1심에서 피고인이 무죄를 선고받게 되면 검사의 불복할 권리를 인정하지 않고 있으므로 피고인의 위법수집증거배제신청에 대한 인용결정에 대하여 검사는 중간불복을 할 수 있다. 반면에 피고인은 추후 유죄판결이 내려지면 종국적 판결에 대한 심사를 항소심에서 구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중간불복을 할 수 없다. 이 연구는 절차적인 측면을 중점적으로 미국의 유해증거배제신청과 위법수집증거배제신청을 개괄적으로 소개·분석하는데 중점을 둔다. 또한 미국의 증거배제신청제도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증거채택 단계에서 보다 충실한 심리를 진행하고, 적법하게 수집된 증거로서 공소사실과 관련성이 있고 예단이나 편견을 발생시키지 않는 증거를 집중적으로 조사하여 재판의 공정성 및 형사사법의 염결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데 참고할 만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In United States criminal proceedings, the prosecution and the defendant frequently employ motions to ask the court to determine the admissibility of certain evidence which is deemed irrelevant, prejudicial or was illegally obtained before a trial begins. Upon the motion, the court makes an evidentiary ruling admitting or excluding the evidence. Such motions to exclude evidence before trial enable the court to minimize unnecessary trial interruptions by holding separate evidentiary hearings. There are two types of motions that are most often used to exclude evidence. One is a motion in limine that is appropriate in both civil and criminal proceedings, the other is a motion to suppress that is available only in criminal cases, not civil cases. A motion in limine is a request that the court rule on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in advance so as to bar presentation of prejudicial evidence which may cause the jury to make irrational or emotional decisions. A motion in limine should preferably be raised prior to a trial, but can be brought up at any time during trial. As for an interlocutory appeal of a trial court’s ruling on a motion in limine, since this ruling is preliminary in nature and subject to change during the trial, it is not appealable. Thus, where the court grants or denies a motion in limine to exclude evidence and indicates willingness to reconsider its ruling, the mover must renew its objection if the evidence is offered during trial and make an offer of proof to preserve the issue for appeal. Meanwhile, a motion to suppress is a request that the judge exclude illegally obtained evidence from consideration by the judge or jury at trial. A motion to suppress stems from the exclusionary rule that forbids the use of evidence obtained in violation of a defendant’s constitutional rights against him or her. A motion to suppress shall be made before trial, otherwise the motion is considered untimely and may not be considered unless good cause is shown. Before ruling on the motion, the court retains discretion to hold an evidentiary hearing. If the court chooses to hold a hearing, a trial judge may designate a magistrate judge to hear a motion to suppress and thereafter submit recommendations for disposition of the motion, including any proposed findings of fact. The court, however, is not bound by the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of the magistrate judge. The court must decide a motion to suppress before trial unless it finds good cause to defer a ruling. On the federal level, the prosecutor may take an interlocutory appeal from the pretrial granting of a motion to suppress because it cannot appeal a judge’s decision or jury’s verdict of acquittal due to the double jeopardy principle, whereas the defendant with a right to appeal his or her conviction cannot appeal the denial of a motion to suppress before the final judgment. This research focuses on motions in limine and motions to suppress with particular emphasis on their procedural aspects. Hopefully,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sound practices for the Korean judiciary in the course of trial, especially at the evidentiary s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