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초등학교 국어 수업에서의 다문화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
송현정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0 한국초등국어교육 Vol.4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exploring the status of Korean education fields and finding out about multi-cultural elements and contents in view points of teachers and students in Korean classes. For this, we investigated teachers responsible for and teaching classes containing multi-cultural students to find out about their understanding of the issues related with multi-cultural students and the change of Korean education system for them. We actually attended and monitored their teaching processes to obtain practical information. Main purposes of this study include:As for educational recognition elements for teachers responsible for multi-cultural students, ‘the element of Korean class with multi-cultural students’ and ‘the element of the teachers of multi-cultural students’ were examined. Main contents of the former element include 1) emphasis of the utilization of writing class, 2), demand of customized Korean teaching-studying methods and 3) consideration of variety of Korean teaching materials and data. Main contents of the second element include 1) and 2) emphasis of multiplication, actualization and obligation of multi-cultural teacher training programs, 3) emphasis of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of multi-cultural students, and 4) consideration of the implications in guiding multi-cultural students. Monitoring of Korean classes with multi-cultural students was carried out with the emphasis on both ‘student element’ and ‘teacher element’. For the first case, we could give optimistic scores in the evaluations of multi-cultural students’ Korean ability, understanding of classes, learning attitudes and relationship among students’. However, we found that there were some attentive points in understanding of culture and emotion, problems in pronunciation and specific behaviors. For the later case, we examined the objectives, atmosphere and teaching attitudes of the classes. We found that teacher’s intentional or unintentional teaching activities play important roles in the classes with multi-cultural students. We found that the teacher element is much more important in the transition toward multi-cultural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pursuing whole-person education.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의 급속한 전개에 대응한 국어교육 현장의 실태를 살펴보고 국어 수업에서 고려해야 하는 다문화 관련 요인 및 내용을 교사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 학생이 포함되어 있는 학급을 대상으로 국어 수업을 관찰함과 동시에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는 담임 교사 및 해당 학교의 다문화 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하였다. 국어 수업 관찰을 통해서는 다문화 관련 학생 요인과 교사 요인을 분석하였고, 교사 면담을 통해서는 다문화와 관련한 교사의 국어교육적 인식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서 다문화를 고려한 국어 수업의 특성 및 변화 양상, 국어과 교육과정의 다문화 관련 사항, 다문화 관련 국어교육의 변화 인식 등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의 주요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문화 국어 수업 분석을 위하여 ‘학생 관련 요인’과 ‘교사 관련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전자에 대해서는 다문화 학생의 ‘국어사용 능력, 수업 내용 이해, 수업 태도, 학생 간 협력’ 등의 전반에서 긍정적 평가를 내릴 수 있었다. 그러나 문화 및 정서 이해, 특정 발음 문제, 행동 성향 등에서 주의할 부분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후자의 주요 내용으로는 수업의 목표·내용·분위기 및 교수 태도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교사의 의도적·비의도적 교수 활동이 다문화 학생이 함께 하는 수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전인교육을 지향하는 초등학교에서는 이러한 다문화 학급으로의 변화 과정에서 교사 관련 요인이 끼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국어 수업 관찰과 병행한 담당 교사와의 면담에서는 다문화 담당 교사의 교육적 인식 관련 요인에 대하여 ‘다문화 학생과 국어 수업 관련 요인’과 ‘다문화 학생 지도 교사 관련 요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전자의 주요 내용으로는 첫째, 맞춤식 국어과 교수 학습 방식 요구, 둘째, 쓰기 자료의 활용성 강조, 셋째, 국어 교재 및 자료의 다양성 고려 등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후자의 주요 내용으로는, 첫째, 다문화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실제화 및 제도화 강조, 둘째, 다문화 지도 교사의 전문성 요구, 셋째, 다문화 학생 지도의 복합적 영향 요인 고려 등에 대한 인식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Homogeneous real hypersurfaces in a complex hyperbolic space with four constant principal curvatures
송현정 충청수학회 2008 충청수학회지 Vol.21 No.1
We deal with the classification problem of real hypersurfaces in a complex hyperbolic space. In order to classify real hypersurfaces in a complex hyperbolic space we characterize a real hypersurface $M$ in [수식] whose structure vector field is not principal. We also construct extrinsically homogeneous real hypersurfaces with four distinct curvatures and their structure vector fields are not principal.
송현정,강대현,박주현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0 시민교육연구 Vol.52 No.3
This research sets out to investigate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UK with the aim of offering implications for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 In England, prior to the late 1980s, there was no statutory National Curriculum for school subjects, including citizenship education. By the start of the 1990s, growing evidence of a decline in civic engagement such as low voter turnout among young people and detachment of the youth from politics in general, caused some alarm. In addition to this, other pressing issues which reflect the progression of globalization and a multicultural society such as the need to enhance community cohesion and build a sense of the value of cultural diversity, helped citizenship education stay on the political agenda. Amongst the citizenship education initiatives is the Crick Report (1998) which provided the framework for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defining the directions and key concepts of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s. Since the introduction of citizenship education as a new statutory subject at the secondary level in 2002, the focus of citizenship education as a school subject can be summarized as linking the acquisition of civic knowledge with the development of active citizenship. Importantly, the implementation of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UK is interwoven with community involvement,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active use of resources outside of school in the local community. Considering the problematic nature of hierarchically imposed citizenship education initiatives in Korea, more attention needs to be drawn to the importance of fostering political literacy through the promotion of community involvement. which is viewed as one of the key objectives of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UK. 이 연구는 영국 학교 시민교육의 제도화 과정과 현황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학교 시민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국에서는 1980년대까지 민주적인 정치 과정과 문화에 대한 신뢰 속에 학교에서 시민교육을 제도화하지 않았다. 그런데 1990년대부터 청년층의 낮은 투표율 등으로 민주주의 위기가 감지되고 세계화와 다문화 사회의 진전으로 인해 자국 내의 인종 및 문화의 다양성이 증가하면서 학교 시민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에 영국에서는 크릭 보고서 등을 통해서 학교 시민교육의 방향과 핵심 요소를 정하고, ‘시민교육’ 교과목을 구심점으로 교과 및 교과 외 활동 등을 통해서 학교 시민교육을 강화하였다. 그러나 영국의 학교 시민교육은 기존의 사회적 전통에 따라 학교뿐만 아니라 학교 밖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영국의 학교 시민교육은 정치적 논쟁의 극복, 시민교육을 위한 국가정책 수립, 학교와 학교 밖 자원의 연계, 현장 체험 및 실천 중심 교육의 특징을 띠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우리나라 학교 시민교육에 정치ㆍ사회적 합의, 체계적인 학교 시민교육 정책 수립, 학교와 학교 밖의 협력, 체험과 실천 중심 교육 강화 등 여러 시사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최근 들어 민주화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국가 및 정부 주도 하에 학교 및 교과 위주의 시민교육을 추진하고 있는 우리나라 현실에서 영국 시민교육의 접근 방식은 유용한 참고가 될 수 있다.
사회과에서 가치분석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가치분석의 이론과 쟁점에 대한 재검토 -
송현정,강대현,옹진환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4 시민교육연구 Vol.56 No.2
Despite being a major value education approach in social studies, value analysis has not been sufficiently examined theoretically or utilized in school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more advanced discussion of the theory and issues of value analysis approach by reviewing existing discussions and applications of value analysis. First, based on the original text on value analysis, we reviewed the core contents of value analysis theory and examined how value analysis theory has been expanded. Based on these theoretical foundations, we analyzed the discussion and use of value analysis in Korean social studies.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theoretical discussions in introductory social studies education books and previous studies in Korea, and identified the use of value analysis in secondary school teacher appointment test questions, curricula, and textbooks. In this course, we summarize key issues in value analysis and propose a more advanced understanding and approach to existing assessments of the limitations of value analysis. If these discussions are meaningful, the understanding of value analysis can be further expanded, and it is expected that teachers in the field will be able to actively utilize value analysis with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 the future.
국어 교과서 검정제에 관한 실태 분석과 도입의 방향 탐색
송현정 이중언어학회 2005 이중언어학 Vol.2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realities of textbook screening system about Korean textbook, and to search the direction of the introduction for Korean textbooks. To satisfy the purpose of the study, it conducted 1) a nationwide questionnaire to get opinions from teachers, educrats and the pupils' parents, and so on. 2) the an proposal of the solution direction for Korean textbooks as an authorized textbook
송현정 미국헌법학회 2024 미국헌법연구 Vol.35 No.1
코로나19 발생으로 인한 공중보건 위기 상황은 전 세계적으로 불안과 공포를 확산하여 전대미문의 복합적 위기 상황을 초래하였다. 각 국가는 코로나19 발생 초기 미증유의 공중보건 위기 속에서 신속하게 감염병 예방을 위한 정책을 마련하여야 했고, 그러한 탓에 대응 조치에는 여러 흠결이 있을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흠결의 중심에 집회의 자유의 문제가 있었다. 집회의 자유는 헌법상 보장되는 기본권임에도 불구하고 필연적으로 대면 접촉이 이루어져야 하는 특성 때문에 코로나19 공중보건 위기 상황에서 과도하게 제한되는 면이 존재하였다. 미국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었다. 코로나19가 성행하던 시기 캘리포니아주, 뉴욕주 등을 위시하여 미국 개별 주 및 지방 정부는 자택 체류 명령이나 외출 금지령, 아니면 대중 집회 금지 내지 사업장 폐쇄를 명한 행정명령 등을 발하였다. 공중보건을 이유로 집합을 제한하는 행정명령에는 집회에 대한 예외 조항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집회에 대처하는 방식이 일관되지 않았다. 이러한 행정명령의 위법ㆍ위헌성을 다투면서 관할 연방지방법원에 임시적 제한명령을 구하는 사건이 제기되었고, 대다수의 사건에서 연방지방법원은 공중보건 보호를 위하여 기각결정을 내리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연방지방법원은 집회의 자유에 대한 침해 문제와 관련된 임시적 제한명령 신청사건에서 대체로 표현에 대한 방법규제에 적용되는 요건이 충족되었는지를 주요하게 검토하여 판단을 내렸다. 이 기준에 따르면 문제가 된 행정명령은 내용 중립적이어야 하며, 중대한 정부 이익에 부합하도록 정밀하게 재단되어야 하고, 정보의 의사소통을 위한 충분한 대안적 채널을 열어 두어야 한다. 이때 규제가 정밀하게 재단되긴 하여야 하지만 가능한 최소한의 제한 수단을 요구하지는 않는다는 점과 충분한 대안적 채널의 존재란 거부된 채널을 완벽하게 대체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의사소통을 하기에 적절한 정도의 채널이면 된다는 점이 주요하게 작용하여 대다수 기각결정이 내려졌다. 반면, 이례적으로 인용결정을 내린 연방지방법원은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덜 부담되는 방법이 있다면 전면적 금지보다는 일정 방역수칙을 준수하는 조건에서 집회의 자유를 보호하려고 하는 편을 선택하였다는 점, 헌법상 기본권인 집회의 자유에 대한 보호를 강조함과 동시에 주정부가 발한 여러 조치가 객관적이고 균형성을 유지하였는지를 살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다.
송현정 미국헌법학회 2022 美國憲法硏究 Vol.33 No.1
The United States recognizes freedom of speech as an essential right that leads American society to a true democratic society from the viewpoint that democracy may be achieved only if diverse opinions freely compete in the marketplace of ideas. In the same vein, there are no federal-level laws in the United States that directly prohibit hate speech, and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also takes a critical stance on the regulation of hate speech, focusing on restrictions on freedom of expression. Yet, the stance of the Court needs to be understood together with the fact that it is coupled with strong government sanctions against discriminatory acts derived from hate and widely shared recognition of the discriminatory effect of hate speech throughout society. Furthermore, while freedom of speech is in a preferred position, not all speech is deemed worthy of protection. According to the Court, several categories of speech are given no protection by the First Amendment, including incitement of illegal activities, fighting words, obscenity, and defamatory speech, and therefore laws related to hate speech have been held constitutional in a limited context. This study examines judicial standards established by the Court, focusing on the principle of the incitement of illegal activity, fighting words, defamatory speech, and threatening speech, which may include certain types of hate speech. 미국은 다양한 의견이 자유롭고 평등하게 표현의 시장에 나올 수 있어야 비로소 민주주의가 가능해진다는 관점에서 표현의 자유를 미국 사회를 진정한 민주주의 사회로 이끌기 위한 필수적 권리로 인식한다. 이를 방증하듯이 실제로 미국에는 혐오표현을 직접적으로 금지하는 연방 차원의 법률이 존재하지 않으며, 미국 연방대법원 또한 표현의 자유에 대한 제한에 주안점을 두고 혐오표현 규제에 대하여 비판적 입장을 취한다. 다만, 혐오표현 규제에 대한 미국 연방대법원의 회의적 태도는 혐오라는 기제가 낳는 차별행위에 가하는 미국 정부의 강력한 제재 그리고 사회 전반에 널리 공유된 혐오표현의 차별적 효과에 대한 비판적 인식과 맞물려 있다는 맥락에서 조망할 필요가 있다. 또한 표현의 자유를 우위에 두는 미국이라고 해서 표현에 대한 규제가 일체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은 아니다. 미국 연방대법원은 위법행위의 선동(incitement of illegal activity)이나 도발적 언사(fighting words), 음란물(obscenity), 명예훼손적 표현(defamatory speech) 등과 같이 수정헌법 제1조에 의하여 보호받지 못하는 유형의 표현으로 선언하면서 이른바 ‘보호받지 못하는 표현’에 대한 법리를 정립하여 오면서 제한적으로나마 혐오표현과 관련된 표현행위에 대한 규제의 합헌성을 인정하는 판결을 내리기도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보호받지 못하는 표현’ 가운데 일부 유형의 혐오표현이 포섭될 수 있는 위법행위의 선동, 도발적 언사, 명예훼손적 표현, 위협적 표현(threatening speech)에 대한 법리를 중심으로 미국 연방대법원의 위헌성 판단기준을 검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