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ZCA 저항성 돌연변이 세포주로부터 선발 육성만 내염성 벼 돌연변이 계통의 특성 검정

        송재영,김동섭,이긍주,이인석,강권규,윤성중,강시용,Song, Jae-Young,Kim, Dong-Sub,Lee, Geung-Joo,Lee, In-Sok,Kang, Kwon-Kyoo,Yun, Song-Joong,Kang, Si-Yong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7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4 No.1

        본 연구는 벼 배 배양 캘러스에 방사선 조사와 AZCA 처리를 통해 AZCA저항성 세포주를 선발 육성하고 proline 함량이 증가된 선발 계통을 중심으로 염분 스트레스에 저항성을 갖는 벼 계통을 육성하고 그 기작을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1) AZCA 저항성 후대로부터 NaCl 저항성 식물체를 선발하고, 2) 선발된 저항성 계통의 생리적 생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3) 분자적 특성을 RT-PCR을 통해 조사하고 유전적 변이를 탐색하였다. AZCA저항성 $M_{3}$ 3,000 계통으로부터 얻어진 약 20,000 종자에 염분 적정 선발 농도로 밝혀진 1.5%의 염분을 처리하여 내염성 (ST) 벼 116 개체를 선발하고, $M_{4}$ 후대 세대를 양성하였다. $ST\;M_{4}$ 세대에서 2차 내염성 계통 선발을 위해서 $M_{4}$ 세대계통을 1.2% NACl 에서 대조구와 생육 조사한 결과, 대조구 식물은 생육이 약하고 성장이 지연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내염성 계통(ST-13, ST-16)으로부터 유도된 캘러스에 NaCl 처리한 결과, 대조구, ST-13, ST-16의 생존율은 9%, 16%, 20%로 나타났다. 또한, 필수 아미노산 함량을 잎, 종자 및 캘러스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ST-13와 ST-16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1) 잎에서는 약 1.24, 1.3배, 2) 종자에서는 1.49, 2.43배, 3) 캘러스에서는 1.32, 1.60배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내염성 계통과 대조구에서 이온함량을 비교한 결과 잎과 뿌리에서 $K^{+},\;Na^{+}$ 및 $Na^{+}/K^{+}$ 비율을 보면 대조구보다 $Na^{+}/K^{+}$ 비율이 낮아진 것이 확인되었다. 내염성과 연관된 유전자 P5CS, NHXI를 이용하여 RT-PCR 실험을 수행한 결과, 돌연변이 계통에서 이들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선발된 계통은 내염성 육종 및 기초 연구를 위한 재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o develop rice (Oryza sativa L.) cultivars to be planted on salt-affected sites, cell lines with enhanced proline content and resistance to growth inhibition by Azetidine-2-carboxylic acid (AZCA), a proline analogue, were screened out among calli irradiated with gamma ray of 50, 70, 90, and 120 Gy. The calli had been derived from embryo culture of the cultivar Donganbyeo. Selected AZCA resistant lines that had high proline accumulation were used as sources for selection of NaCl resistant lines. To determine an optimum concentration for selection of NaCl resistant lines, Donganbyeo seeds were initially cultured on the media containing various NaCl concentrations (0 to 2.5%) for 40 days, and 1.5% NaCl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as the optimum concentration. One hundred sixteen salt-tolerant (ST) lines were selected from bulked 20,000 seeds of the AZCA resistant $M_{3}$ seeds in the medium containing 1.5% NaCl. The putative 33 lines ($M_{4}$ generation) considered with salt-tolerance were further analyzed for salt tolerance, amino acid and ion contents, and expression patterns of the salt tolerance-related genes. Out of the 33 lines, 7 lines were confirmed to have superior salt tolerance. Based on growth comparison of the entries, the selected mutant lines exhibited greater shoot length with average 1.5 times, root length with 1.3 times, root numbers with 1.1 times, and fresh weight with 1.5 times than control. Proline contents were increased maximum 20%, 100% and 20% in the leaf, seed and callus, respectively, of the selected lines. Compared to control, amino acid contents of the mutants were 24 to 29%, 49 to 143%, 32 to 60% higher in the leaf, seed and callus, respectively. The ratio of $Na^{+}/K^{+}$ for most of the ST-lines were lower than that of control, ranging from 1.0 to 3.8 for the leaf and 11.5 to 28.5 for the root, while the control had 3.5 and 32.9 in the leaf and root, respectively. The transcription patterns for the P5CS and NHXI genes observed by RT-PCR analysis indicated that these genes were actively expressed under salt stress. The selected mutants will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rice cultivar resistant to salt stress.

      • KCI등재

        국립공원의 양서류 로드킬 현황

        송재영 ( Jae Young Song ),김민선 ( Min Sun Kim ),김인수 ( In Su Kim ),김태헌 ( Tae Heon Kim ),노일 ( Il Roh ),서상원 ( Sang Won Weo ),서은경 ( Eun Kyuoung Seo ),서정근 ( Jung Keun Seo ),양주영 ( Ju Young Yang ),우경덕 ( Kyung Duk 한국환경생태학회 200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3 No.2

        국립공원 내 양서류 로드킬(Roadkill)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년 동안 24개 노선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2복 5과 9종 l,748개체가 차량에 의해 로드킬 된 젓으로 나타났으며, 년차별 비교결과 2006년에 비해 2007년, 2008년에 로드킬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월부터 6월 사이에 북방산개구려, 두꺼비, 물두꺼비가 집중적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림-하천" 및 "산림-산림" 환경에서 교통사고가 집중 발생하였고, 덕유산국립공원 국도 37호선, 속리산국립공원 지방도 517호선, 오대산국립공원 6호선, 월악산국립공원 지방도 597호선 등 총 4개 노선에서 집중적으로 로드킬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 지역의 주요 로드킬 대상 종이 북방산개구리와 물두꺼비로 확인됨에 따라서 이들 종에 대한 저감대책 수립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o investigate the roadkill of amphibians in Korea National parks, we conducted a survey from 2006 to 2008. As a result, our count of road-killed amphibians included 1,748 individuals from 9 species over three years, and the ratio of road-killed amphibians decreased in 2007, 2008 as compared to 2006. Additionally, many amphibians, including Rana dybawskii, Bufa gargarizans, and Bufo stejnegeri were road-killed by vehicles in "Forest-Stream" or "Forest-Forest" environments, and between March and June. In the risk analysis by frequency, 4 lines including national line 37 (Deogyusan), provincial line 517 (Songnisan), national line 6 (Odaesan) and provincial line 597 (Woraksan) were classed as RISK V category. This designation involves species considered to be extremely important, such as Rana dybowskii and Bufo stejnegeri. Therefore, a conservation plan is needed to protect important species located near RISK V lines.

      • KCI등재

        산개구리류 4종(양서강; 개구리과)의 형태적 비교

        송재영 ( Jae Young Song ),장민호 ( Min Ho Chang ),정규회 ( Kyu Hoi Chung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5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23 No.2

        한국산 산개구리류 3종의 분류학적 형질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형태학적, 계량형태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한국산 산개구리류 3종(북방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 아무르산개구리)과 일본산 산개구리류 1종 (R. tsuchimensis)을 비교분석하였다. 형태학적 비교 분석결과, 산개구리류는 손가락 끝과 발가락 끝의 모양, 아래턱에 형성된 반은의 발달유무, 윗입술선의 유무, 물갈퀴의 발달 정도, 서구개치열의 형태 등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계량형태학적 분석을 통하여 고막의 직경과 발길이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학적, 그리고 계량형태학적 특징은 한국산 산개구리류를 동정하는데 매우 유용한 형질이라고 생각된다. To clarify the key characteristics of Korean brown frogs (R. dybowskii, R. huanrenensis and R. amurensis coreana), this study employed a morphological and morphometrical comparisons among brown frogs found in Korea and Japanese endemic species, R. tsushimensis. As a result, it was considered that the key characteristics were the shape of the finger and toe tips, the markings of the lower jaw,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upper lip line, the development of toe webbing, and the shape of the vomerine teeth series by morphological comparisons of brown frogs.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ympanum diameters and foot lengths of the four species of brown frogs. Therefore, a comparison between morphological and morphometric characters is an effective way to clarify the identification of brown frog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미토콘드리아 16S rDNA 부분 염기서열을 이용한 한국산 개구리 속 (Amphibia: Ranidae)의 종간, 종내 변이에 대한 연구

        송재영 ( Jae Young Song ),신정아 ( Jung A Shin ),장민호 ( Min Ho Chang ),윤병수 ( Byoung Su Yoon ),정규회 ( Kyu Hoi Chung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4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22 No.1

        한국에 분포하고 있는 개구리 속에 대한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상호 비교하여 종간 유전적 변이 정도를 밝히고자 한국산 개구리 속 6종과 일본산 개구리 속 1종에 대한 미토콘드리아 16S rDNA를 분석하였으며, Genebank에 수록된 일본산 산개구리류 3종도 함께 비교 분석하여 총 437 bp의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산개구리류 7종에 대한 similarity는 91.3~97.3%이며, 참개구리류는 96.1~97.3%로 나타났다. 또한, 참개구리류와 옴개구리류의 genetic distance가 참개구리류와 산개구리류보다 더 가깝게 나타났다. Neighbor-joining 분석에서 참개구리류와 산개구리류로 2개의 cluster를 형성하였는데, 이 중 산개구리류는 충 3개의 subcluster를 형성하였다. 또한, 참개구리는 내륙지방과 도서지방에 분포하는 집단이 각각 나눠지는 것은 지리적 격리에 의한 결과라고 사료된다. Maximum-likelihood분석도 NJ분석 결과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옴개구리(R. rugosa)는 NJ와 ML 분석에서 서로 상반된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한국산 옴개구리가 남부지역과 기타 지역에서 유전적 차이가 크게 나타나며, 일본 집단과 외부 특징에서 차이를 보이는 등 문제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올바른 해석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In order to clarify intra- and inter-specific variation of Korean Rana species, the partial DNA sequences of mitochondrial 16S rDNA gene were determined from 6 Korean and 1 Japanese Rana species. DNA sequences from Korean and Japanese species were comparison-analysed within, and also with the sequences from three species of Japanese brown frogs. DNA similarities were calculated as 91.3~97.3% among brown frog (R. amurensis coreana, R. dybowskii and R. huanrenensis), as 96.11~97.26% among pond frogs (R. nigromaculata and R. plancyi chosenica). Genetic distance of pond frog and wrinkle frog (R. rugosa) were near than that of pond frog and brown frog. Two clusters were formed brown frogs and the other group by neighbor-joining and maximum-likelihood analysis, also the populations of R. nigromaculata were well distinguished between Korean peninsula and Korean island. But result from maximum-likelihood analysis slightly differed from neighbor-joining to cluster of R. rugosa. Further analyses for their population will be necessary to study the phylogenetic status.

      • KCI등재후보

        자치민주주의의 『인민의 자치력』에 의한 대의제의 극복 방안 연구

        송재영(Song jae young)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0 한국과 국제사회 Vol.4 No.3

        이 글은 현대 대의민주주의의 결함과 문제점에 대한 보완 및 극복하는 방안을 찾기 위한 고민에서 출발하였다. 대의제는 근대 시민혁명 이후 시민의 동의를 매개로 선출된 권력 간의 상호 견제와 균형을 통해 작동되는 공화주의적 공적 권력체계를 말한다. 필자는 이러한 대의제의 한계의 근본 원인이, 원래 민주주의의 이념인 <인민의 자치력>의 결핍으로부터 기인한다고 보았다. 민주주의의 강점과 생명력은 스스로 통치하고(self-governance) 스스로 복종하는(self obedience) 인민주권의 원칙으로부터 나온다. 필자는 인민주권의 원칙인 인민의 정치적 자치가 훼손될수록, 대의제는 민주주의로서 결함과 한계를 드러낸다고 판단했다. 데이비드 헬드(Held)는 자치를‘사적·공적 생활에 있어 여러 행동 방침에 대해 숙고·판단하고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는 능력’으로 규정했다. 따라서 필자는 역사상 나타난 인민의 직접 정치의 방식을 자치민주주의로 규정하고, 이에 관한 연구를 통해 대의제의 극복 방안을 찾을 것이다. 여기서 자치민주주의는 아테네의 민회식 직접민주주의, 근대 및 현대에 이르기까지 인민의 자기 지배의 자치 정치를 포괄하였다. 필자는 자치적 정치사상의 추적을 통해 자치민주주의의 공통점과 특질을 비교함으로써, 대의제의 한계와 문제점을 부각하려고 하였다. 따라서 필자는 헬드의 민주적 자치의 개념을 기반으로 하였지만, 그에게 부족한 자기 정치로서 인민의 자치력의 개념을 강조하였다. 자치민주주의에서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인민의 지배 수준을 표시하는 준거틀을 <인민의 자치력>으로 규정한 후, 달(Dahl)의 5개의 이상적 정치적 평등권과 자치민주주의의 자치력 개념을 종합하여 <인민의 자치력>을 4가지의 척도로 분류하고, 각 자치민주주의에 대한 비교를 통해 대의제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began with the thought of finding ways to compensate for and overcome the various flaws and problems faced by modern representative democracy. Therefore, I wanted to comprehensively define the various ways of democracy in which the people, who are sovereigns, become the main agents of politics, as autonomous democracy, and to find ways to supplement and overcome the representative system through research. Here we summarize the commonalities and characteristics of autonomous democracy through the pursuit of the theory and ideology of the people s self-politics that have existed in history. Therefore, I based on the concept of democratic autonomy of David Held, but emphasized the concept of autonomy as direct politics of the people who lacked it. In the above four autonomous democracies, the author defined a the level of people s control as people s autonomy. By comparing each autonomous democracy on the level of people s control, we will seek to find a way to overcome the representative system by combining the commonaliti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autonomous democracy.

      • SCOPUSKCI등재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Thermostable L - Iactate Dehydrogenase Produced by Escherichia coli

        송재영(Jae-Young Song),김경숙(Kyoug-Sook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3 No.6

        Bacillus stearothermophilus의 유산탈수소 효소에 대한 4.3kb인 유전자를 subcloning하여 대장균에서 생산된 효소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효소는 25%의 수율로 200배 정제되었으며, 열처리, OEAE-Sephadex A-50, NAD^+ -Sepharose CL-4B affinity chromatography, gel filteration을 거쳐서 정제되었다. Gel filteration에 의해 정제된 효소의 분자량은 약 140,000이었으며, SDS-polyacrylamide 전기영동 결과, 분자량 35,000의 단일 band를 나타내어 4개의 subunit로 구성된 효소임을 알 수 있었다. 정제효소에 대한 pyruvate 환원 반응과 lactate 산화 반응에 있어서의 최적 pH는 각각 5.5와 8.5이었고, pH 안정성은 pyruvate 환원 반응에 있어서 5에서 7 사이였다. 효소활성에 대한 최적온도 및 열안정성은 pyruvate 환원 반응에서 60℃, lactate 산화 반응에서 70℃와 75℃이었다. 본 효소는 FeSO4와 pCMB에 의해 강한 저해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sodium oxalate는 경쟁적 저해제로 작용하였다. 또한 fructose 1,6-bisphosphate에 의한 효소활성 촉진은 0.8mM에서 최대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The 4.3-kb gene coding for L-Iactate dehydrogenase of Bacillus stearothermophilus has been subcloned and expressed in E. coli cells. The enzyme was purified 200-fold with 25% yield by heat treatment, DEAE-Sephadex, and NAD^+ -Sepharose CL-4B affinity chromatography followed by gel filtration through Sephadex G-200.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urified enzyme was estimated to be about 35,000 and 140,000 on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d gel filtration,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 enzyme is composed of four identical subunits. The enzyme for pyruvate reduction and lactate oxidation was stable at 60 and 75℃ for 30min, and the optimal temperatures for both reactions were 60 and 70℃, respectively. The enzyme had an optimal pH at 5.5 and 8.5 in pyruvate reduction and lactate oxidation, respectively. The pH stability of enzyme for pyruvate reduction was stable between pH 5 and 7. More than 90% of enzyme activity was lost at 1mM FeSO₄ and p-chloromercuribonzoate. The maximal activation of the enzyme was obtained with 0.8mM fructose 1,6-bisphosphat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