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A Critical Analysis of Multilateral Aid of Middle Power States

        손혁상,김주희 한국정치학회 2017 한국정치학회보 Vol.51 No.3

        In development cooperation, there has been a long-standing debate on the effectiveness of multilateral versus bilateral aid. Many middle-power countries have utilized multilateral approaches strategically to overcome geopolitical restrictions and advance their national causes in the world powers-centered order.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key characteristics of middle power countries’ multilateral aid, including the case of South Korea. By doing so, we attempt to discover whether, and to what extent, a middle power prefers the multilateral approach of ODA to a bilateral one. This study will also analyze the emerging pattern of multi-bi aid of middle powers. The multi-bi aid tends to blur the clear distinction between multilateral and bilateral assistance. At the moment of a big transformation in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paradigm from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s) to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this study attempts to show that the middle power countries have made substantial efforts to enhance their influence in the world through the means of multilateral aid support.

      • KCI등재후보

        개발재원과 Post-2015 아젠다: 주 의제 상정을 위한 비판적 고찰

        손혁상,문경연 한국세계지역학회 2013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1 No.3

        본 논문은 다양한 글로벌 논의과정에서 Post-2015 개발의제 수립 자체에 대한 관심은높아지고 논의도 풍성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반해, 이러한 개발의제 목표 달성을 위해 필수불가결한 개발재원 조성에 관한 논의는 빈약하며, 개발재원의 필요성과 증진 방안에 대한국가간, 국제개발협력 주요 행위자간 상이한 입장 차이가 존재한다는 데서 그 논의를 시작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논문은 국제사회에서 노예제, 인권, 양성평등 등과 같이 특정이슈가 국가경계를 넘어서 초국적 아젠다로 인식 되고, 이것이 다시 국가의 제도 및 정책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규범화 과정에 초점을 둔다. 인권, 양성평등, 환경 아젠다와 같이개발재원 아젠다 역시 국가경계를 넘는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글로벌 의제로서의 주류화가능성과, 동시에 주요 공여주체 및 국제개발 행위자들의 실질적인 정책 및 행위 변화와개발재원 아젠다에 관한 지속가능한 환경을 만들어줄 수 있는 글로벌 아키텍쳐1) 형성으로이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다음세가지 정책방향을 제시한다. 첫째, DAC 회원국과 신흥 경제국을 포함한 국제사회가 1970년 이미 정립한 ODA 0.7% 목표 달성을 추동하기 위한 책무성의 정치(accountabilitypolitics)가 효과적 수단이 될 수 있다. 둘째, 개발재원에 대한 정부와 국제기구의 정책변화및 실질적인 논의 구조 개선을 위해서는 이슈의 범국가적 파급력을 가능하게 하는 초국적네트워크의 조직이 필요하다. 셋째, 개발재원 논의 메커니즘의 주요 행위자인 국가를 움직이는데 시민사회와 그들의 애드보커시 운동이 효과적이다.

      • KCI등재

        원조집행기관의 자율성과 제도적 변화: 영국 DFID 사례를 중심으로

        손혁상 한국유럽학회 2010 유럽연구 Vol.28 No.1

        Aid delivery system of the UK is highly distinguished with most OECD/DAC member countries since not ministry of Foreign Affairs but Department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DFID) is the core institution for aid policy and its implementation. In most donor countries but the UK, Germany and Canada,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takes the lead and is responsible for policy and implementation, or coordinates activities of other ministries. DFID, in particular, which is the most independent, autonomous, and strong governmental body that has both policy and government leadership and aid delivery agency as well as technical expertise functions, plays a central role in all the government’s aid-related issues. The paper aims for analyzing the backgrounds and process behind the development of the UK’s current aid management system. It critically examines exiting theories related to institutional changes such as isomorphism, punctuated equilibrium, and path analyses. It also suggests a new framework for describing institutional changes, which theoretically supplements existing limitations. The new framework mainly focuses on idea, political structure, and agent. It helps figure internal factors of institutional changes out as well as provides explanation of each organization and institution such as DFID that went through gradual changes. The paper describes the process that discourse which considers aid policy as one of the diplomatic tools for maximizing the country’s interest has been diminishing due to the change of international norms in aid and a humanitarianism- centered view to foreign aid has taken the lead. With this, it analyzes how political structure has been ready for institutional changes which allow both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DFID as the Labour party which took humanitarian discourse as policy stance has taken power and the influences of a strong will and roles individual agents including Prime Minister, Tony Blair have shown. 영국의 원조집행체계는 대부분의 OECD/DAC 회원국과 달리 외교부가 아닌 국제개발부(DFID)가 원조정책을 주도한다는 점에서 매우 특이한 사례에 속한다. 영국, 독일, 캐나다를 제외한 선진공여국들은 외교부가 원조정책수립과 집행을 책임지거나 타 부처와의 조정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영국의 국제개발부는 가장 큰 자율성을 확보하고, 독립적으로 영국 대외원조정책의 수립과 집행을 총괄하는 강력한 중앙부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국의 원조집행체계가 어떻게 지금과 같은 제도적 틀을 갖추게 되었는지에 관한 배경과 과정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제도변화와 관련된 기존의 이론(동형화(isomorphism), 단절된 균형(punctuated equilibrium), 경로분석)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제도변화의 이론적 시각에서 보완적 분석 틀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분석틀은 아이디어, 정치구조와 행위자(agent)를 주목한다. 이를 통해 제도변화의 내부적 요인을 규명해 DFID 사례와 같이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조직과 제도 설명을 위해 기존 이론접근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영국의 경우 국제원조규범의 변화의 영향으로 점차 원조를 외교전략으로 보던 담론이 힘을 잃고 빈곤퇴치 등 인도주의적 담론이 주도권을 갖게 되는 과정을 설명했다. 이와 함께 인도주의적 담론을 정책기조로 채택한 노동당이 집권하면서 어떻게 DFID를 설립, 유지라는 제도변화가 가능한 정치구조적 여건이 마련되었는지와 당시 블레어 총리 등의 개별적 행위자들이 보여준 의지와 역할의 영향을 분석했다.

      • KCI등재

        국제개발협력에서 국제기구-NGO 파트너십 연구: 국제기구 사업 실행 파트너(Implementing Partner) 선정 기준과 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손혁상,윤혜정,안지혜 국제개발협력학회 2019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1 No.2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ocesse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NGO partnerships in the project implement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and to examin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to activate participation in IO’s projects. Originality: Academic contributions are made as exploratory research that reconstructs and theorizes the existential phenomena in which development NGOs extend their partnerships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Methodology: To analyze the criteria and procedures of partner selection fo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we conducted a literature survey of prior research on NGO partnerships. We also conducted stakeholder and in-depth interviews. Result: International organizations generally tend to carry out formal open selection procedures. The criteria for selecting an NGO partner are: ① whether the NGO’s vision, missions, and activities are in line with the strategic goals and priorities of the multilateral organizations, ② experience in carrying out international organization projects, and field performances, ③ transparent financial management and accounting reporting procedures, ④ building democratic and ethical internal governance, and ⑤ ensuring human resources with the ability to implement project plans and securing internal financial resources. Conclusion and Implication: First,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expand opportunities for funding that can be utilized for Korean NGO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international organization cooperation projects. Second, in the multilateral aid project, we will establish a policy direction that considers various private actors such as Korean NGOs, businesses, and academics as implementing partner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 KCI등재후보

        이중유통체계에서의 수직적 가격제한 행위에 관한 연구 -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

        손혁상,권영관 한국유통법학회 2019 유통법연구 Vol.6 No.1

        이중유통은 공급업자와 독립 유통업자 간의 수직적 관계 뿐 아니라 수평적 관계도 존재하는 특수성으로 인해 단순히 수직적 관계에만 입각하여 법집행이 이루어지는 경우 오류의 가능성이 내재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이중유통체계를 고려한 경쟁법적 규율에 관한 연구나 경쟁법 집행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은 이중유통체계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이중유통 공급업자가 하류의 유통업자들에 대해 부과하는 제한행위 중 가격제한행위에 초점을 맞춰 공정거래법적 규율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중유통 공급업자의 수직적 가격제한 행위에 관련된 미국의 판례를 중심으로 관련된 경제학적 논거들을 함께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중유통 체계에 대한 적법성 판단기준, 이중유통 공급업자의 수직적 가격제한의 의도, 수직적 가격제한의 경쟁제한성 판단 시 수평적 관계에 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다. 나아가 현행 공정거래법 상 수직적 공동행위에 관한 규제공백을 해결함에 있어서도 이중유통체계에 관한 면밀한 검토는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At the Nexus of Advocacy and Accountability: New Challenges and Strategies for Japanese Development NGOs

        손혁상,정복철,김태균 인하대학교 국제관계연구소 2017 Pacific Focus Vol.32 No.1

        This study explores how Japanese development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s) had altered their patterns of advocacy and accountability after changes in political structure that occurred in the 2000s when the Democratic Party of Japan created the two-party system and the Liberal Democratic Party took power again. After the 1990s, a unique feature of development NGOs actively performing advocacy and accountability within the ODA domain, while also eagerly reaching political authorities by forming networks, was found. Behind their efforts were the appearance and expansion of the Democratic Party of Japan through its systematic and political ties. As concluding remarks, the active participation of civil society not only represents the level of internal resources mobilized within the civil society network, but is also an indicator on how supportive the policy space at the bottom is towards civil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