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가열식 화침 및 한방치료로 호전된 척추전방전위증 3례

        손슬기(Seol Ki Son),노해린(Hae Rin Ro),최희승(Hee Seung Choi),김종수(Jong Su Kim),김태호(Tae Ho Kim),전재윤(Jae Yun Jun) 대한스포츠한의학회 2013 대한스포츠한의학회지 Vol.13 No.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case report is to observe the effect of burning acupuncture therapy with Korean medical treatment on Spondylolisthesis. Methods Three patients were treated by Korean medical treatment especially with burning acupuncture. The improvements were evaluated with Oswestry Disability Index(ODI) and Numeric Rating Scale(NRS). Results In all of these cases, NRS decreased from 10 to 3. Each ODI decreased from 23 to 16, from 23 to 13 and from 25 to 11. Conclusion Burning acupuncture therapy with Korean medical treatment is effective for Spondylolisthesis.

      • 핀란드와 호주의 보건의료 마이데이터 도입 및 활용

        손슬기 ( Son Seulki ),박나영 ( Park Na-you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4 국제사회보장리뷰 Vol.28 No.-

        한국의 보건의료 마이데이터 추진은 국외에 비해 다소 늦게 시작되었다. 여전히 많은 쟁점이 남아 있으나, 정부와 관계 기관의 노력으로 짧은 기간 내 전 국민 보건의료 마이데이터인 건강정보 고속도로 플랫폼과 나의 건강기록 애플리케이션(앱)을 개발해 운영하고 있다. 핀란드와 호주는 정부 주도로 보건의료 마이데이터를 운영하는 대표적인 국가이다. 핀란드는 통합적인 건강관리시스템인 칸타(Kanta) 서비스를 통해 보건의료 마이데이터를 선도적으로 활용하여 의료 서비스의 품질과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호주는 나의 건강기록(My Health Record) 플랫폼을 통해 국가 디지털 헬스 전략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의료정보의 접근성과 질을 향상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이 글은 핀란드와 호주의 전 국민 의료 마이데이터 도입·활용 과정을 상세히 살펴보고, 현재 한국에서 추진 중인 건강정보 고속도로 플랫폼과 나의 건강기록 앱 중심의 보건의료 마이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Korea is a relatively late starter in the field of MyData, yet it has swiftly developed and implemented MyHealthWay, a MyData health platform, along with the My Health Record App, thanks to efforts from the government and relevant agencies. However, there are numerous challenges to work through. Finland and Australia serve as prime examples of countries with government-led health MyData systems. Finland’s Kanta, a comprehensive health service system, is an exemplary case where a MyData approach has been proactively driven to enhance the quality and efficiency of healthcare services. Australia has in place My Health Record, which, as a MyData platform for implementing national digital health strategies, has contributed to enhancing access to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health information. This article examines the implementation and utilization of national health MyData platforms in Finland and Australia and suggests ways for Korea to enhance health MyData utilization through ongoing initiatives like MyHealthWay and the MyHealthRecord App.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사고 및 충돌유형에 따른 원형교차로 화물차 사고모형

        손슬기 ( Seul Ki Son ),조아해 ( Ah Hae Cho ),박병호 ( Byung Ho Park ) 한국안전학회 2017 한국안전학회지 Vol.32 No.3

        This study deals with the traffic accident of truck at circular inters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truck accident models based on type of accident and conflict. In pursuing the above, the study gives particular attentions to selecting the appropriate models among Poisson and Negative binomial models using statistical program LIMDEP 8.0. The traffic accident data from 2007 to 2014 are collected from TAAS data set of Road Traffic Authority. Such the dependent variable as number of truck accidents and the 24 independent variables as geometry, traffic volume and others are us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5 Poisson models (p<sup>2</sup> of 0.164~0.351) which a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are selected. Second, the common variable based on type of accident and conflict is analyzed to be truck apron width. The specific variables are, however, evaluated to splitter island, area of splitter island, speed limit sign, truck apron, number approach road, circular intersection sign, speed hump and traffic volume. Finally, widening the truck apron width and improving the above specific variables are analyzed to be important for truck accident reduction at circular intersections.

      • 사고유형에 근거한 학교와 인접한 회전교차로 사고모형

        손슬기 ( Son Seul Ki ),박병호 ( Park Byung Ho ) 충북대학교 건설기술연구소 2018 建設技術論文集 Vol.3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 근처 회전교차로의 사고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사고유형(차대차, 차대보행자 및 차량단독)별 특성을 가산자료모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고 논의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인접 회전교차로의 사고유형에 따라 교통사고가 차이가 없다.’라는 귀무가설이 기각된다. 둘째, 통계적으로 유의한 4개의 포아송 모형이 개발된다. 셋째, 학교와 인접한 회전교차로 사고유형별 사고모형 의 공통변수로는 일평균 교통량 및 고원식 횡단보도 유무가 채택되며, 특이변수로는 접근로 수, 중앙분리대 유무, 어린이보호구역 안내표지판, 지역구분, 버스정류장 유무 등이 선정된다. 따라서 학교와 인접한 회전교차로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 해서는 고원식횡단보도의 설치를 권장하며, 사고유형별 영향요인에 따른 기하구조 개선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roundabout accident near school. This study gives particular attentions to comparatively analyzing and discussing the characteristics by type of accident (vehicle-to-vehicle, vehicle-to-pedestrian and vehicle alone) using the count data model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ll hypothesis that the number of accidents are the same is rejected. Second, 4 Poisson accident models (p<sup>2</sup> of 0.227~0.270) which a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have been developed. Third, while the common variable are analyzed to be ADT and hump-type crosswalk, the specific variables are evaluated to be the number of approach road, bus stop, circulatory roadway width, school zone sign, median barrier, speed limit sign, region, entry lane width and speed hump. Finally, this study could give some implications to decreasing the number of accidents at roundabout near school.

      • KCI등재후보

        동결견의 한의학적 치료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손슬기,김종수,김신웅,문병헌,유수빈,이차로,Son, Seol-Ki,Kim, Jong-Su,Kim, Shin-Woong,Yoo, Su-Bin,Moon, Byung-Heon,Lee, Cha-Ro 척추신경추나의학회 2014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Vol.9 No.1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s on frozen shoulder. Methods : We investigated the studies o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s for frozen shoulder via searching 6 Korean web databases. As a result, 32 research papers were found to b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published year, the titles of journals, published institution, the types of study, the number of cases, the types of treatments, the instruments for assessment and ethical approvals. Results : 32 papers were published since 1989. The studies o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s about frozen shoulder were mainly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medicine. 10 case series, 7 reviews, 6 non-randomized controlled trials, 5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nd 4 case reports had been under research. In most of the research, the number of the cases were not enough. In 15 cases of the studies, various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s were used to treat the symptoms. In 8 cases of the studies, one method was used to treat the symptoms. Range of motion(ROM) and visual analogue scale(VAS) were used as primary assessments. Among the 25 clinical studies, 5 of them were accepted by institutional review board(IRB). Conclusion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trend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s on frozen shoulder. Reviewing the domestic trends of studies o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s for frozen shoulder and examining the strong and weak points of those treatments are essential for the future studies.

      • KCI등재

        주한미군 사드(THAAD) 배치 결정에 대한 북한의 보도행태 및 전략적 함의: 『로동신문』과 『우리민족끼리』기사를 중심으로

        대권 ( Son Daekwon ),슬기 ( Ahn Seul Ki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2017 東亞 硏究 Vol.36 No.1

        본 논문은 북한의 대내외 선전선동 매체를 통해 주한미군의 사드배치 결정에 대한 북한의 보도행태를 분석하고 그 전략적 함의를 파악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한미 양국이 사드 배치 논의를 공식적으로 시작한 2016년 2월 7일부터 북한이 제5차 핵실험을 감행한 9월 9일까지 『로동신문』과 『우리민족끼리』에 보도된 사드 배치 관련 기사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확인된 사드 배치에 대한 북한의 주된 보도 내용 및 그 전략적 함의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북한은 한국 내 사드 반대여론을 대대적으로 보도함으로써, 한미 양국의 사드 배치 결정이 부당하다는 인식을 퍼뜨리고자 하고 있다. 둘째, 북한은 중국과 러시아의 사드 반대 의견을 적극적으로 보도함으로써, 국내적으로 고립국가로서의 이미지를 탈피하며, 동시에 사드에 대한 자신들의 반대를 정당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셋째, 북한은 사드 배치의 목적이 미국의 동북아 지역에서의 패권 추구 혹은 북한에 대한 미국의 침략 준비에 있다고 규정함으로써 사드 배치에 반대하였고, 국제적으로 중국, 러시아와의 공조를 회복하고 핵 보유의 정당성을 주장하며, 더 나아가 핵보유국으로서의 지위를 획득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North Korean media`s coverage of the United States` decision to deploy the THAAD system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AAD-related news articles reported in Rodong Sinmun and Uriminzokkiri from February 7, 2016 to September 9, 2016. As a result, the features of North Korean media`s coverage of the THAAD deployment and its strategic implications are found to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yongyang, by extensively covering anti-THAAD rallies held in South Korea, attempts to propagate a perception that the decision to deploy the THAAD system in South Korea is unjust and wrongful. Second, Pyongyang, through condemning the THAAD deployment, domestically struggles to break away from the image of being isolated. Third, by defining the THAAD deployment as the United State`s means of invading North Korea and maintaining hegemony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Pyongyang seeks to restore an amicable relations with China and Russia internationally, justify its nuclear weapons development and to win a nuclear power status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 KCI등재

        회전 및 진입 차로 수에 따른 학교와 인접한 회전교차로 보행자 사고모형

        손슬기,박병호,Son, Seul Ki,Park, Byung Ho 한국안전학회 2017 한국안전학회지 Vol.32 No.5

        This study deals with the safety of roundab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pedestrian accidents of roundabout near schools. In pursuing the above, this study gives particular attentions to comparatively analyzing the pedestrian accident by number of entry and circulatory lane. The traffic accident data from 2013 to 2015 are collected from TAAS data set of Road Traffic Authority. To develop the pedestrian accident model, the Poisson and negative binomial models has been utilized in this study. Such the dependent variable as the number of pedestrian accidents and the 24 independent variables as geometry, traffic volume and others are us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3 Poisson and 2 negative binomial models(${\rho}^2$ of 0.153~0.426) which a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are developed. Second, the common variable of models based on the number of circulatory roadway lane is analyzed to be the entry lane width and that of the number of entry lane is evaluated to be the design speed. Also specific variables are evaluated to splitter island, roundabout sign, number of approach road, bus stop and elementary school. Finally, the design speed might be expected to decrease the number of pedestrian accidents near schools.

      • KCI우수등재

        학교와 인접한 원형교차로의 보행자 사고율 모형

        손슬기,이민영,박병호,SON, Seul Ki,LEE, Min Yeong,PARK, Byung Ho 대한교통학회 2017 대한교통학회지 Vol.35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pedestrian accidents of roundabout near schools. To this end, this study has focus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edestrian accidents across different school areas. The traffic accident data from 2007 to 2014 are collected from TAAS data set of Road Traffic Authority. To develop the pedestrian accident rate model, the linear regression model has been utilized in this study. 28 explanatory variables such as geometry and traffic volume factors are used.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ull hypotheses that the number of pedestrian accidents are the same are rejected. Second, 5 multiple linear regression accident models with higher statistical significance (adjusted $R^2$ of 0.651~0.788) have been developed. Third, while the common variables of 3 models (model I~III) related to school location are evaluated to be the pedestrian island, crosswalk, types of roundabout, elementary school and bus stop. Fourth, while the common variable of 3 models (model III~V) related to near school area or not is evaluated to be pedestrian island, type of roundabout, sidewalk, elementary school, speed hump, speed limit sign and number of entry lane. As a result, the installation of pedestrian islands and crosswalk might be expected to decrease the number of pedestrian accidents near schools. 이 연구는 원형교차로의 안전성을 다루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학교와 인접한 원형교차로에서의 보행자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이 연구는 학교 위치에 따른 보행자 사고를 비교분석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교통사고자료는 도로교통공단의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를 이용하여 8개년도(2007-2014년) 자료이다. 보행자 사고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다중선형회귀모형이 이용되며, 종속변수는 교통사고율이다. 독립변수에는 교차로의 기하구조 요인과 교통량 등이 포함된 28개 변수가 선정된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형개발에 앞서 학교와 인접한 원형교차로와 인접하지 않은 원형교차로의 사고가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가설검정을 실시한 결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학교와 인접한 원형교차로일수록 사고가 오히려 적게 발생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둘째, 수정된 $R^2$값이 0.651-0.788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총 5개의 모형이 개발된다. 셋째, 학교와 인접한 원형교차로(모형 I-III)의 공통변수로는 분리교통섬 유무와 횡단보도 유무, 그리고 특정변수로는 원형교차로 유형, 초등학교 유무 및 정류장 유무가 채택된다. 넷째, 학교와 인접한 원형교차로와 인접하지 않은 원형교차로(모형 III-V)의 공통변수에는 분리교통섬 유무, 그리고 특정변수로는 원형교차로 유형, 초등학교유무, 횡단보도 유무, 감속시설 유무, 제한속도표지판 유무 및 유입차로 수가 선정된다. 따라서 학교 인접 원형교차로 유무에 따라 학생들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원형교차로 횡단 시 대기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주는 분리교통섬과 안전하게 횡단할 수 있는 횡단보도의 설치가 권장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