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아동 및 청소년의 글씨쓰기 향상을 위한 중재 연구 분석 : 단일대상연구 설계를 중심으로

        성지영,최유임 대한작업치료학회 2021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9 No.2

        목적 : 이 연구는 아동과 청소년에게 글씨쓰기 중재를 시행한 국내 단일대상연구의 특성 및 중재의 효과와 질적 수준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학술교육원(e-article), 한국학술정보(Koreanstudies Informatin Service System; KISS) 및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의 원문제공 서비스를 통해 2001 년부터 2020년까지 최근 20년간 발간된 논문 중 ‘글씨쓰기, 아동, 청소년, 단일대상연구’를 주요 키워드 로 검색하였다. 총 7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 대상 논문의 특징, 질적 수준, 효과 크기를 알아보았다. 결과 : 연구 대상은 초등학생이 가장 많았고, 진단명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가 가장 많고 학습장애 및 지적장애 순이었다. 연구 설계는 중재제거(ABA) 설계가 가장 많았다. 글씨쓰기 중재를 위한 독립변인은 보조공학 접근이 2편, 감각통합치료가 2편, 과제중심 중재, 자기-교수 전략, Cognitive Orientation to daily Occupational Performance(CO-OP) 접근법이 각각 1편이었다. 종속변인으로는 글씨쓰기 명료도 가 5편, 글씨쓰기 속도가 4편, 글씨쓰기가 2편, 철자가 1편이었다. 분석대상 연구의 질적 수준은 85.7% 가 중간 수준, 14.3%가 높은 수준이며 낮은 수준의 연구는 한 편도 없었다. 효과 크기를 분석한 결과, 글씨쓰기 중재는 70.83%에서 효과적이고 이 중 54.2%는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 이후 유지는 82.4%가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아동과 청소년의 글씨쓰기를 위한 중재법으로 여러 유형의 작업치료가 활발히 적용되고 있으며, 글 씨쓰기 중재를 적용한 단일대상연구들은 효과적인 중재를 적용하고 있고 질적 수준은 신뢰할 수준인 것 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 single-subject research study in which handwriting intervention was conducted for domestic children and adolescents, as well as the PND of the intervention and qualitative levels. Methods: Using the e-article database, the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and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among the papers published over the past 20 years from 2001 to 2020, “writing, children, adolescents, and single-subject study” were searched as the main keywords. We investigated a total of seven papers to determine the features, qualitative levels, and effect sizes of the papers being analyzed. Resul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ostly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s for the study design, the ABA design had 4 parts, the multiple baseline design had 2, and the ABC design had 1.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an assistive technology approach (2), sensory integration approach (2), task-oriented intervention, self-teaching strategy, and CO-OP. As dependent variables, the clarity was 5, the writing speed was 4, the handwriting was 2, and the spelling was 1. The qualitative level of the study to be analyzed was 85.7% for the medium level, 14.3% for the high level, and none for low level studies. Analyzing the effect size, we found that handwriting intervention was extremely effective at 54.2%. In maintenance after intervention, 82.4% was considered very effective.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occupational therapy is actively applied as an intervention for writing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Korea, and single-subject studies that involved writing intervention were effective and their qualitative levels were considered reliable.

      • KCI등재

        댐 용수공급능력 안정성 평가를 위한 통합지표 개발 및 적용

        성지영,강부식,김보미,노성진 한국수자원학회 2022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5 No.9

        우리나라 다목적댐과 용수댐에서의 이수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기간신뢰도의 주 지표와 함께 회복도, 무차원 취약도를 포함한 수자원이용률, 비 유입량, 비 공급량을 활용한 통합보조지표를 이수안전도 평가지표로 활용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또한 향후 지속가능한 댐 운영 목적에서 이수안전도를 주기적으로 평가하고 평가 결과에 따른 구조적 혹은 비구조적 계획수립을 위한 댐별 우선순위 판단을 위해 이수안전도의 등급화 방안을 함께 제시하였다. 주요 결과로서, 섬진강댐의 경우 기간신뢰도는 99.0%로 1등급이었으나, 통합보조지표는 44점으로 최하인 5등급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의 높은 신뢰도에도 불구하고, 장래의 기후나 지역적 용수수급의 변화가 이수안전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충주댐의 경우는 대조적인 사례로서, 기간신뢰도가 93.0%로 국내 최대 규모의 다목적댐의 위상과는 다르게 전체 다목적댐 중 평균 이하의 성적을 보이는 반면 통합보조지표는 76점으로서 다목적댐 중에서는 소양강댐과 남강댐에 이은 높은 등급을 보인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역 규모상 비 유입량이 185%로서 충분한 유입량이 들어오기 때문에 실제 안정성은 높다는 평가를 할 수 있었다. 단일목적으로 설계된 용수댐은 생·공용수의 비중이 높고 댐의 공급량에 여유가 있기 때문에 이수안전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산정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 왕기(汪機)의 영위론(營衛論)및 의안(醫案)에서 나타난 온보의학사상(溫補醫學思想)

        성지영,윤창열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2013 혜화의학회지 Vol.21 No.2

        汪機(1463-1539), 字省之, 號石山居士, 明徽州祁門人, 新安醫家中最有代表性的人物之一. 幼攻儒學, 后以范仲淹良相良 醫之說爲信念, 棄儒學醫. 汪機在繼承朱丹溪學術思想的同時, 針對當時濫用滋陰降火的時弊, 對朱丹溪的``陽有餘陰不足``之說作 了新的闡述. 又根據營氣由脾胃水穀之氣所化生, 發揮李東垣的脾胃學說, 强調了營氣與脾胃的關係. 對蔘, ?有獨到的見解和 體會. 他用參?不僅是爲了一般地補氣, 同楊也考慮到補陰血的方面, 是汪機用參?的一大特色. 汪機行醫數十年, 臨床經驗豊富, 强調四診合參, 非常重視辨證察形.

      • KCI등재

        단자유도 건물에 설치된 마찰감쇠기의 등가점성감쇠비

        성지영,민경원,Seong, Ji-Young,Min, Kyung-Won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0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23 No.2

        건물에 설치된 마찰감쇠기는 외력의 크기에 따라 정지와 운동의 상태를 반복하여 외부 입력에너지를 소산시키기 때문에 외력과 응답관계가 비선형이다. 마찰감쇠기가 설치된 단자유도 건물은 마찰감쇠기외에 점성감쇠가 동시에 존재하므로 해석적인 정해를 구하기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점성과 마찰감쇠가 있는 단자유도계 건물의 자유진동 정해를 통하여 변위응답과 가속도 응답특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자유진동의 경우 응답이 멈출 때까지 소산에너지식을 이용하여 등가점성감쇠비를 구하였다. 셋째, 조화가진 일 때는 수치해석을 통하여 마찰력비 $F_r$에 따른 응답 특성을 알아보았다. 넷째, 조화가진의 경우 에너지 균형식을 바탕으로 등가점성감쇠비를 유도하였다. 등가점성감쇠비는 변위응답비의 영향을 받으므로 응답을 알아야만 구할 수 있다. 건물 응답의 진동수 특성은 협소영역(narrow band)이므로 고유진동수에 의해 지배된다고 가정하여 등가점성감쇠비를 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유도한 자유진동과 조화가진의 등가점성감쇠비를 이용한 등가선형운동방정식의 해를 비선형 수치해석 한 결과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A friction damper installed at a building shows nonlinear behavior since its stick and slip states are occurred repeatedly depending on the amplitude of external loadings to dissipate input energy. Friction damping is existed for the building with a friction damper. In additionally viscous one is inherently included. Therefore, the building installed in such combined damping is quite involved to find the analytical solution. In this study, first, displacement and acceleration characteristics are identified based on the exact solution for a single-degree-freedom building with a friction damper having both friction and viscous damping. Second, in free vibration, the equivalent viscous damping ratio is obtained by the energy dissipation. Third, numerical analysis is carried out to find response configuration with various friction force ratios. Fourth, corresponding equivalent viscous damping ratio is derived with the finding that the response reaches into steady-state for both friction and viscous damped structure. It is deduced using balance of input external energy and output dissipation energy for steady-state response. Finally, the equivalent viscous damping ratios of free or harmonic vibration are verified through nonlinear analysis.

      • KCI우수등재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환자의 간호인력 호출 발생과 증가요인

        성지영,조성현 간호행정학회 2022 간호행정학회지 Vol.28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환자의 간호인력 호출 특성을 확인하고 호출 발생 및 증가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인력은 15개 근무조 동안 발생한 모든 간호인력 호출을 평가하였다. 환자 특성과 간호필요도(간호활동 총점, 일상생활수행능력 총점) 자료는 후향적으로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및 영과잉 음이항 회귀분석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전체 재원환자 251명으로부터 총 235건의 호출이 발생하였다. 환자 1인당 호출 빈도는 일 평균 0.94±2.09회였으며, 최저 0회에서 최대 14회의 범위를 보였다. 전체 환자 중 72명(28.7%)이 하루 1회 이상(1-14회) 간호인력을 호출하였으며, 나머지 환자는 한 차례도 간호인력을 호출하지 않았다. 하루 1회 이상 호출한 호출군과 비호출군을 비교했을 때, 남성 또는 낙상 고위험군에 해당하거나 간호활동 총점이 높을수록 호출군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통증이 있거나 일상생활수행능력 총점이 높을수록 호출 횟수가 증가하였다. 결론: 환자안전 향상과 효과적인 간호업무 수행을 위하여 환자의 간호요구를 적시에 이해하고 충족시킴으로써 간호인력 호출을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아동작업치료에서 부모 상담과 교육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 및 실태조사

        성지영,우희순,홍덕기,최유임 대한작업치료학회 202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0 No.4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parental counseling and education in child occupational therapy, and to provide data for planning effective parental counseling and education by examining the perception of such aspects. Methods: In this study, we us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produced by the researchers. The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three areas of “general information about the research subjects,” “parental counseling and education status,” and “the percep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for parental counseling and education,” and consisted of 85 question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occupational therapists. A total of 228 people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survey, which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from July 24 to August 31, 2021. Results: As the results of the parent counseling and education indicate, these factors were mainly conducted in a treatment room with the mother present within 10 min after treatment. According to the therapists’ perception of parental counseling and education, all therapists stated that parental counseling and education are essential, and the appropriate target for these factors was “both parents.” However, in the current clinical field, a separate time and place for counseling and education are insufficient, and it has been found that it is difficult to conduct counseling and education for both parents. Moreover, the respondents stated that a protocol for parental counseling and education is needed, and that it will be necessary to complete the related education for achieving the proper effectiveness. Among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occupational therapists’ perception, content, effect, and satisfaction with parental counseling and education, that between the content and satisfaction of the results of the therapist was found to be the highest.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t is believed that effective parental counseling and education can be planned and conducted in the field of child occupational therapy and can help with the development of protocols and guidelines in the future. 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작업치료 임상에서의 부모 상담과 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치료사의 인식을 조사해봄으로써 효과적인 부모 상담과 교육을 위해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본 연구에서는 부모 상담과 교육에 대한 개념 정립 후, 연구자가 제작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연구 대상에 대한 일반적 정보’, ‘부모 상담과 교육 실태’, ‘부모 상담과 교육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의 3가지 영역으로 나뉘며, 총 85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 대상자는 현재 임상에 있는 아동작업치료사로 하였고, 2021년 7월 24일부터 8월 31일까지 설문지 배포 및 회수를 하여 총 228명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결과:부모 상담과 교육 현황 결과에 따르면, 상담과 교육은 주로 치료 후 10분 이내로 아동의 ‘모’와 함께 치료실에서 이루어졌다. 부모 상담과 교육에 대한 치료사의 인식에 따르면, 모든 치료사가 부모 상담과 교육이 필수적이라고 하였으며, 적절한 부모 상담과 교육의 대상은 ‘부모 모두’라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현재 임상 현장에서는 상담 및 교육을 위한 별도의 시간과 장소가 부족하고, 부모 모두를 대상으로 상담과 교육 진행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들은 부모 상담과 교육에 대한 프로토콜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효과적인 부모 상담과 교육을 위해 관련된 교육 이수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부모 상담과 교육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 내용, 효과,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상담 및 교육 내용과 치료사의 만족도 결과 간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아동작업치료에서 효과적인 부모 상담과 교육을 계획하고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부모 상담과 교육 프로토콜 또는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팀 내 개인간 인구통계학적 비유사성과 개인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비선형효과를 중심으로

        성지영,박원우,윤석화 한국인사조직학회 2008 인사조직연구 Vol.16 No.4

        Organizations are increasingly adopting work group arrangements such as cross-functional project teams that incorporate differences in functional or educational background (van Knippenberg & Schippers, 2007). Diversity is also introduced into work groups by mergers, acquisitions and joint ventures. As a result, managing diversity forms a major challenge for organizations. In this context, considerable research has focused on the distribution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ithin work groups, and the consequences that arise (e.g., Chatman et al., 1998). Although diversity is a group characteristic, there is a stream of research on what is called relational demography (Chattopadgyay et al., 2004; Tsui & O’Reilly, 1989), which focuses on the effects of individuals’ similarity to their work group (e.g., Chatman & Flynn, 2001; Chattopadhyay, 1999) or to their leader (e.g., Tsui et al., 2002) as predictors of individual outcomes (van Knippenberg & Schippers, 2007). A recent development in this research is based largely on two related theories: what has been termed social identity theory (Tajfel & Turner, 1986) and self-categorization theory (Turner, 1987). The key questions in diversity or relational demography research are how similarities or differences between work group members affect individual outcomes or group processes and performance (e.g., van Knippenberg & Schippers, 2007). In this vein, our study explores how the relational demography in work teams can affect individual performance. In contrast to the social categorization perspective, the information/decision-making perspective emphasizes the positive effects of work group diversity. To integrate these opposing perspectives, van Knippenberg et al.(2001) propose the Categorization-Elaboration Model (CEM). This model posits that social category diversity may have a positive effect on task performance, because it stimulates the processing of task-relevant information. From this perspective, emerges the idea that the effects of relational demography might be curvilinear. The potentially positive effects of the relational demography on individual performance may only apply at a certain level, beyond which the lack of a common frame of reference may obstruct or prevent a full appreciation of all group members’ contributions. Thus,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made: H1 : Demographic dissimilarity (Relational demography in work group) will have an inverted U-shaped curvilinear relationship to individual performance. H1a : Age dissimilarity will have an inverted U-shaped curvilinear relationship to individual performance. H1b : Gender dissimilarity will have an inverted U-shaped curvilinear relationship to individual performance. H1c : Rank (hierarchical status) dissimilarity will have an inverted U-shaped curvilinear relationship to individual performance. H1d : Tenure dissimilarity will have an inverted U-shaped curvilinear relationship to individual performance. We collected data from a private-sector firm. Participants comprised 130 employees from an electronic company located in Seoul. Relational demography and performanc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personnel records and documents of the company. We used performance appraisal ratings from supervisors and execut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demographic dissimilarity (relational demography in work group) will have an inverted U-shaped curvilinear relationship to individual performance. The results provided support for Hypothesis 1b and Hypothesis 1d. However, the results did not support Hypothesis 1a and Hypothesis 1c. As noted above, the current study explored the curvilinear effects of relational demography on individual performance. The lack of significant curvilinear effects for age and rank dissimilarity might be explained by the organizational context in which these relational differences are embedded. The workforce at this firm had a high proportion of men (85%). Previous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팀 내 개인이 다른 사람과 차이나는 정도 즉, 개인간 인구통계학적 비유사성(demographic dissimilarity) 혹은 관계적 인구통계(relational demography)가 개인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자기범주화 관점(self-categorization perspective)과 유사성/매력 관점(similarity/attraction perspective) 및 정보/의사결정관점(information/decision-making perspective)을 바탕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연령, 성별, 직급, 그리고 근속년수의 네 가지 측면에서 팀 내 구성원들 간의 관계적 인구통계를 분석하였고, 이들과 성과와의 관계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성별 비유사성 및 근속년수 비유사성과 개인성과 간의 관계는 약한 역 U자형 형태, 비선형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다양성(diversity) 연구에서 성과와의 비선형관계를 제시하는 연구들과 일치되는 결과이다. 이로써 개인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적정 수준의 다양성 또는 비유사성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성과관리의 책임을 지고 있는 관리자들에게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