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모죽지랑가』의 형식과 내용, 창작 시기

        서정목 ( 徐禎穆 ) 시학과 언어학회 2013 시학과 언어학 Vol.25 No.-

        One of the most attractive songs among Hyanggas to me is Mojookjirangga. For the time and the motivation of creation, the background of the era, and the historical, political meanings of the song can be investigated nearly close to the historical facts based on already given historical records. The decipherment of this song was nearly completed by Kim, Wanjin (1980, 1985) I guessed that this song was originally 10 lines form Hyangga. Two lines, the third and the fourth, might be missing. In transcribing records, the order of lines might be changed in manuscript. Or the complexity of the manuscript might have caused the engraver to mistake the order of lines in carving the song on a wooden board. The blank after 曰(said), which may be filled with 14 letters, might be the place that the third and the fourth were carved into out of their own places. Finding the mistake at the time of proofreading of the engraved board, the proofreader might have made the plan (a) to shave two lines off this place, and (b) to move the following two lines to this place, then (c) to carve the third and fourth lines at the following place. But only the stage (a) might have been carried out, the stages (b) and (c) might be left unperformed. With this modification, the logical flow of the contents of the song becomes much better; the form of the song can be normally divided in 4-4-2 lines like other ten lines form Hyanggas; sentence-final endings can be found at the dividing points of paragraphs; and the exclamatory vocative word is situated at the head of the ninth line, obeying the law of number of syllables such as 3 lines-6 syllables. Most of researches on this song, following the decipherment of Yang, Joodong (1942, 1965, 1981), show the tendency to believe that this song was created while Jookjirang was still alive. However, the grounds of the argument that this song was created in Jookjirang`s living days, were very weak. The decipherments such as ``the figure which was showing the beauty`` and ``the face was wrinkled`` have some problems. The much-accumulated study of the records of ``Samkookyoosa`` does not coincide with this kind of argument. I have studied decades of years focusing on proving the interpretation that this song was created after Jookjirang`s death, following the decipherment of Kim, Wanjin (1980, 1985). With King Shinmoon`s succession to the throne, there broke out the well-known historical accident, Kim Heumdol`s rebellion, which made a certain circle of nobles from Hwarangdo be killed or expelled, and the Hwarangdo system be abolished. Because of this accident Jookjirang might have lost his political power, and died at King Hyoso period after living in obscurity for 12~3 years. I suggest that this song was created by Deuko, who had been very intimate with the noble Jookjirang in Hwarangdo, in order to be used as an elegy at the day of Thalsangjae, the ending ceremony of the mourning period, after two years from his death.

      • KCI등재후보

        플립러닝을 활용한 영어교과목의 융복합적인 운영에 관한 연구 - 스크린영어, SNS영어 및 TED영어를 중심으로

        서정목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교양교육연구 Vol.9 No.3

        본 논문은 플립러닝 방법론을 활용하여 스크린영어, TED영어 및 SNS영어와 같은 융복합적인 영어교과목의 운영에 대하여 다룬다. 플립러닝은 학습자료를 온라인상에서 제공함으로서 학생들이 사전에 이를 학습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이후에 교수, 교사와 학생들은 오프라인상의 교실에서 인지과정에 있어서 상위차원의 활동을 수행함으로서 학습효과를 제고한다. 온라인상에서 학생들은 학습자료를 학습함으로서 영어교과목과 관련된 기억 및 이해와 같은 인지과정이 수행된다. 그리고 오프라인상에서 토론, 논쟁, 프리젠테이션의 형식으로 학습자료와 관련된 말하기 또는 글쓰기에 대하여 검토, 비교, 해석함으로서 적용, 분석, 평가 그리고 창조와 같은 인지과정이 수행된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수행된 이러한 활동들은 영어교과목에 있어서의 융복합적인 활동이 될 것이다. 스크린영어, TED영어 그리고 SNS영어와 같은 영어교과목은 영어교과목을 위한 플립러닝에 있어서 최적의 교과목으로 제안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operation of convergence-based English subjects such as screen English, TED English and SNS English using flipped learning methodology. The flipped learning leads students to study learning materials in advance by providing them online, and afterwards, professors, teachers and students can perform activities in higher level cognitive processes in the offline classroom, enhancing learning effects. Cognitive processes such as remember and understanding regarding English subjects are performed by studying learning materials online. And then, cognitive processes such as application, analysis, evaluation and creation are performed by reviewing, comparing, and interpreting what students speak or write about learning materials in the forms of discussions, debates or presentations offline. These activities performed both online and offline will be convergence-based ones in English subjects. English subjects such as Screen English, TED English and SNS English can be suggested as optimal in flipped learning for English.

      • KCI등재

        입당 구법승 교각[地藏], 무상, 무루의 정체와 출가계기

        서정목(Suh Chung Mok)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서강인문논총 Vol.0 No.47

        이 글은 당나라에서 불법을 닦은 신라 왕자 출신 세 고승의 정체와 출가계기를 밝힌 것이다. 『三國史記』와 『三國遺事』, 『宋高僧傳』, 『九華山化城寺記』 등을 통하여 논증한 이 세 왕자들의 정체는 다음과 같다. 500 나한 가운데 455번째 나한인 無相禪師는 31대 신문왕의 넷째 아들이다. 『삼국사기』에서 그의 이름은 金嗣宗이다. 사종은 683년 5월 7일 혼인한 신목왕후가 낳은 적통 원자이다. 691년 왕자 이홍을 태자로 책봉할 때 그는 태자 후보 1위였다. 그러나 부모의 혼외 관계에서 677년에 태어난 동복형 이홍이 태자로 책봉되었다. 그는 692년 효소왕 즉위 때에 부군으로 책봉되었으나 700년 5월 ‘경영의 모반’에 연루되어 부군에서 폐위되고 원자의 지위도 잃은 것으로 보인다. 728년 7월 성덕왕의 ‘王弟’ 자격으로 당나라에 숙위 갔다. 그의 나이 45세 때였다. 釋無漏는 31대 신문왕의 다섯째 아들이다. 『삼국사기』에서 그의 이름은 金釿{欽}質이다. 702년 효소왕이 승하했을 때는 근{흠}질이 왕위 계승 제1 후보였다. 『삼국사기』의 687년 2월 ‘元子生’ 기록은 신문왕의 두 번째 원자, 이 근{흠}질의 출생연월이다. 그는 왕위 계승전에 두려움을 느끼고 왕위를 형에게 양보하고 출가하였다가 726년 5월 王弟의 자격으로 조공사로 당나라에 갔다. 그는 이때 40세였다. 安徽省池州靑陽의 九華山에는 지장보살의 화신으로 불리는 신라 왕자 金喬覺의 시신에 금을 입혀 ⺼身佛로 만든 세계 최초의 등신불이 있다. 그는 696년생이다. 696년의 신라 왕은 32대 효소왕이다. 김교각은 32대 효소왕과 왕비 성정왕후의 아들이다. 『삼국사기』에 나오는 그의 이름은 김수충이다. 그는 성덕왕의 태자인 4촌 중경과 다투었다. 717년 중경이 사망한 뒤에는 중경의 아우 승경과 태자 자리를 다투었다. 719년 성덕왕과 소덕왕후의 혼인이 추진되는 시점에 당나라로 갔다. 나이 24세 때였다. 이 세 왕자는 모두 속세의 왕위 쟁탈전에 휘말려 골육상쟁을 벌이다가 패배하거나 양보하고 불교에 귀의하였다가 어쩔 수 없이 이 땅을 떠났다. 그들이 불법을 깨치기 위하여 당나라로 간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은 미화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속세의 정쟁의 더러움에 실망하여 깊이 인생이 허무하고 허망하다는 것을 느끼고, 석가모니가 성을 넘어 출가[踰城出家]한 것처럼 이 땅을 떠난 것도 또한 사실이다.

      • KCI등재

        孝昭王의 출생 시기 관련 기록 검토

        서정목 진단학회 2014 진단학보 Vol.- No.122

        King Hyoso succeeded the throne when he was 16 years old and died when he was 26 years old as was told evidently in ‘Daesan Oman Jinsin,’ Samkukyusa. All the Chinese literatures of history about Shilla, such as Kutangseo, Shintangseo and Chachitonggam, say that King Seongdeok is a younger brother of King Hyoso. Samkuksagi recorded that King Shinmun's wonja was born in 687 A.D., and wangja I-hong was nominated for the crown prince in 691 A.D. and succeeded the throne in 692 A.D. From this records, most of scholars inferred that this wonja was the same person as wangja I-hong, and that King Hyoso succeeded the throne in 692 A.D., when he was 6 years old. However, in this inference there is a serious misunderstanding that this wonja and the wangja I-hong refer to the identical person. The wonja who was born in 687 A.D. is not the wangja I-hong. Wangja I-hong, who became King Hyoso was not born in 687 A.D. He was born in 677 A.D. The crown prince in ‘Manpasikjeok’ [682 A.D.], Samkukyusa is not the wonja born in 687 A.D., but the wangja I-hong born in 677 A.D. King Hyoso in ‘Hyetong Hangryong’ [692 A.D.], Samkukyusa is a youthful 16-year-old King who has a princess, not a boyish 6-year-old King. The story of Buryerang's being kidnapped and renaming ‘Manpasikjeok' as ‘Manmanpapasikjeok’ in ‘Baekyulsa,’ Samkukyusa is said very logically, and King Hyoso who dealt the event was not a 7-year-old boy but a 17-year-old youth. 효소왕은 『삼국유사』 권 제2 「기이2」의 「효소왕대 죽지랑」 조의 ‘익선의 죽지 장군 모욕 사건’을 관장한 왕이다. 이 사건은 「모죽지랑가」와 「찬기파랑가」 창작의 정치적 배경과 시기를 구명하는 데에 핵심적인 사건이다. 이를 다스린 효소왕의 출생 연대와 사연은 이 노래들의 정치적 배경이 되는 ‘金欽突의 모반’의 근본 원인을 보여 준다. 『삼국유사』 권 제3 「탑상」의 「대산 오만 진신」 조는 효소왕이 16살인 임진년[692년]에 즉위하여 임인년[702년]에 26살로 승하하였다고 증언하고 있다. 이 기록은 그동안 거의 대부분의 논저에서 믿을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것은 30여 년 전 한 연구자가 『삼국사기』의 기록을 잘못 읽어 효소왕이 6살에 즉위하여 16살에 승하한 것처럼 파악하고, 22살에 즉위한 성덕왕이 효소왕의 이복형이라고 주장한 것을 무비판적으로 추종함으로써 생긴 일이다. 『구당서』, 『신당서』의 「열전」 「동이전」 「신라」 조는 ‘성덕왕이 효소왕의 아우’라고 명시적으로 기록하고 있다. 『자치통감』 「측천후」 장안 3년[703년] 조에는 신라왕 金理洪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사신을 보내어 그 아우 金崇基가 권좌에 오르는 것을 도왔다고 증언하고 있다. 『삼국사기』도 김흠돌의 딸은 태자비 시절 無子하였으며, 성덕왕이 효소왕의 同母弟라고 말하고 있다. 『삼국사기』는 683년에 신문왕이 신목왕후와 혼인하고, 687년에 元子가 출생하였으며, 691년에 王子 理洪을 太子로 책봉하고, 692년에 태자 이홍이 즉위하여 효소왕이 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 기록은 잘못 읽으면, 687년생 원자가 왕자 이홍이고, 692년에 즉위하여 효소왕이 되었으니, 그가 6살에 즉위하여 702년 16살에 승하한 것처럼 오해될 수 있다. 그 오해 위에 성덕왕이 『삼국유사』처럼 22살에 즉위하였다고 보면 성덕왕이 효소왕의 형이 된다. 그리하여 성덕왕은 681년에 폐비된 김흠돌의 딸의 아들이라는 주장까지 나오게 되었다. 그러지 않고 702년에 즉위한 성덕왕이 효소왕의 아우라면 12살 정도에 즉위한 것이 된다. 그러나 이 추론에는 元子가 王子 理洪과 동일인이라는 誤讀이 들어 있다. 687년에 태어난 원자는 왕자 이홍이 아니다. 효소왕은 692년에 16살이었으니 그로부터 환산하면 그는 677년생이다. 성덕왕은 702년에 22살이니 681년생이다. 이들은 신목왕후 소생으로 동모형제이다. 그런데 신목왕후는 683년에 신문왕과 혼인하였다. 그러므로 이 두 왕은 부모가 혼인하기 전에 태어난 아들들이다. 이것이 ‘김흠돌의 모반’의 근본적 원인이다. 『삼국유사』 권 제2 「기이2」 「만파식적」 조에 등장하는 태자[효소왕], 권 제5 「신주」의 「혜통항룡」 조에 등장하는 효소왕과 그의 王女, 권 제3 「탑상」의 「백률사」 조의 효소왕도 모두 그가 6세에 즉위하여 16세에 승하한 어린 왕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 준다.

      • KCI등재후보

        신라 제34대 孝成王의 계비 惠明王妃의 아버지에 관하여

        서정목 진단학회 2016 진단학보 Vol.- No.126

        This paper tries to prove that the father of Queen Hyemyeong is not Kakkan Soonwon but Kakkan Jinjong. The name “Soonwon,” that is written as the father of Queen Hyemyeong in “King Hyoseong, 3rd year”, Samkooksaki, is a miswriting of “Jinjong.” Soonwon is the grand father of Queen Hyemyeong. There are three evidences which support this fact apparently. The first evidence is the bureaucratic rank of Soonwon. He was ‘Ichan’ in 720 A.D. when his daughter Sodeok married King Seongdeok. And he was Ichan too in 739 A.D. when his daughter Hyemyeong married King Hyoseong. The term of 19-years is too long a period for one, who was and would be the farther-in-law of a Queen, to remain in the same bureaucratic rank. The second evidence is the age of Soonwon. Let's suppose that he was 50 years old when he was fired from the position of Joongsi in 700 A.D. He might be 89 years old when Queen Hyemyeong married King Hyoseong in 739 A.D. And if Hyemyeong married King Hyoseong around at the age of 15 years, Soonwon should have got her when he was about 74 years old. Nobody could be Jungsi at the forties in Shilla, and none the less give a birth to his daughter at the age of 74. The third evidence is that Choongsin used the family appellation ‘second or third nephew’ to refer Kim Jiryeom, King Seongdeok's nephew. Choongsin must be a second cousin of King Seongdeok. We may, therefore, reasonably conclude that there must have been a generation between Soonwon and Choongsin who was the cousin of King Shinmoon. It might be the generation of ‘Jinjong’ as is alluded in Samkookyoosa. Samkookyoosa tells us exactly that Kakkan Soonwon is the father of Queen Sodeok and Kakkan Jinjong is the father of Queen Hyemyeong. 이 글은 효성왕의 계비 혜명왕비의 아버지가 ‘순원 각간’이 아니라 ‘진종 각간’이라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삼국사기』 권9 「효성왕」 3년 조의 혜명왕비의 아버지 ‘순원’은, ‘진종’으로 써야 하는 것을 ‘순원’으로 잘못 쓴 것이다. 그 제1 증거는 김순원의 관등이다. 720년 소덕왕후를 성덕왕의 계비로 들이는 순원의 관등은 이찬이다. 그로부터 19년 뒤인 739년 효성왕의 계비 혜명왕비를 들이는 것으로 기록된 순원의 관등도 역시 이찬이다. 그 당시의 최고의 권력 실세인 그의 관등이 19년 동안이나 이찬으로 있다가 그 뒤에 각간이 되었다는 것은 상식을 벗어난다. 다른 사람들의 경우 10여 년이면 이찬에서 각간으로 승진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 제2 증거는 김순원의 나이이다. 700년 순원이 중시에서 면직되었을 때 50세라고 쳐도 739년에는 적어도 89세이다. 89세나 된 노인의 딸이 왕과 혼인한다면 그 왕비는 아버지가 몇 살에 낳았어야 하는가? 그 딸이 15세에 혼인한다고 쳐도 74세에 낳았어야 한다. 그러나 50세 이전에 중시가 되는 것은 드문 일이고, 74세에 딸을 낳는 것은 상식에 벗어난 있기 어려운 일이다. 그 제3 증거는 김충신이 성덕왕의 조카인 김지렴을 가리킬 때 사용한 ‘종질’이라는 친족 호칭이다. ‘종질’은 5촌 조카가 원래의 뜻이지만 여기서는 7촌 조카로 보인다. 충신이 지렴을 7촌 조카라 부르므로 충신은 지렴의 3촌 성덕왕과 6촌이다. 성덕왕의 아버지 신문왕은 충신에게 5촌숙이 된다. 순원은 나이로 보아 자의왕후의 동생으로 판단된다. 신문왕의 외3촌이다. 충신과 순원 사이에 신문왕의 외4촌이 될 한 대가 필요하다. 그 한 대의 인물이 『삼국유사』 권1 「왕력」의 「효성왕」 조에 ‘진종 각간’으로 기록되어 있는 것이다. 『삼국유사』는, 소덕왕후의 아버지는 ‘순원 각간’이라고 명백하게 구분하여 적고 있다. 혜명왕비는 김순원의 딸이 아니라 김진종의 딸이다. 김순원은 혜명의 할아버지이다. 따라서 소덕왕후와 혜명왕비는 자매가 아니라 고모와 질녀이다.

      • KCI등재

        현대국어 ‘오오체’ 어미의 형태론적 해석

        서정목 형태론 2001 형태론 Vol.3 No.2

        현대국어 문법 기술에서 ‘오오체’ 어미의 형태소 확인과 변이 형태 분포 파악은 치밀하게 논증되지 않은 채 상당한 혼란을 보이고 있다. 이 글은 ‘오오체’ 어미에 대한 그 동안의 연구 결과들을 검토하여 어떤 과정을 거쳐 오늘과 같은 상황에 이르게 되었는지를 살펴보고, ‘오오체’ 어미에 대한 바람직한 기술은 어떠해야 하는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하여 ‘오오체’ 어미 기술의 혼란이 문법의 변화와 더불어 유추와 변개에 의한 것임을 밝히고, 동남방언과 표준어의 ‘오오체’ 어미를 구조 기술 언어학의 형태 이론을 원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의문법, 평서법의 ‘오오체’ 어미와 명령법의 ‘오오체’ 어미가 형태소상으로는 서로 다름을 논증하고, 그에 따라 이들의 변형생성문법 이론상의 통사적 자격도 서로 다름을 밝힌다.

      • KCI등재

        법정드라마를 통한 미국법의 이해와 코퍼스에 기반한 법률영어의 학습방안 연구

        서정목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2

        Dramas have various contents and present the topics according to their intentions and purposes. The major targets of legal dramas are legal affairs and lawsui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ffective way of understanding U.S. law through legal dramas and legal English based on the corpus from legal dramas and legal terminology. The understanding of U.S. laws and regulations through legal dramas can, first, help learners to learn U.S. law and its legal culture easily and, second, contribute to enhancing the ability of legal English as a kind of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which requires not only the knowledge of English but also the knowledge of law by utilizing the corpus of legal English and the database of legal terminology. Legal dramas including TV series are a proper genre to consistently deal with hundreds of legal affairs and situations, and they mostly require the form of series. The series of legal dramas can consist of several seasons, which, in turn, consist of dozens of episodes, totaling hundreds of pieces of legal dramas. Studying legal dramas where such sources of law as cases are reflected will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U.S. law and the improvement of legal English because legal dramas as a discourse and legal cases as a text are vehicles of delivering various legal aspects. 드라마는 다양한 내용을 대상으로 하며 의도와 목적에 따라 그 주제를 제시한다. 법정드라마는 법률사건 및 법정 소송과 관련된 사건을 주요 대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법정드라마를 구성하는 텍스트로 구성된 코퍼스와 법률전문용어 데이터베이스의 활용을 통하여 미국법의 이해와 법률영어에 대한 효과적인 학습방안을 제시한다. 법정드라마를 활용한 미국법의 이해는 첫째, 법정드라마를 대상으로 학습함으로서 미국법률의 지식과 법률문화를 쉽게 익힐 수 있으며, 둘째, 이러한 법률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학습자들이 법률드라마로 구성된 코퍼스와 법률전문용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함으로서 영어뿐만 아니라 법률적인 지식도 필요로 하는 특수목적영어로서의 법률영어 능력을 향상하는데 기여하도록 한다. TV 시리즈물을 포함하여 법정드라마는 다양한 법률사건과 법률행위를 일관성있게 다루기에 적당한 장르로서 주로 시리즈의 형식을 필요로 한다. 법정드라마의 시리즈 형식은 다수의 시즌으로 구성되며, 또한 각 시즌은 수십 편의 에피소드로 구성됨에 따라 각 법정드라마는 수십 내지 수백 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담화로서의 법정드라마와 텍스트로서의 미국법판례가 다양한 법률적 양상을 반영하는 기제임에 따라 판례와 같은 법원이 반영된 미국 법정드라마를 학습함으로서 미국법 이해의 제고와 법률영어능력의 향상을 추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발화와 사유

        서정목 ( Suh Chung-mok ) 국어학회 2015 국어학 Vol.73 No.-

        내포절이 의문문이고 그 속에 의문사가 들어 있는 경우, 의문사의 영향력은 내포절에만 미친다는 것이 생성 통사론의 한 규칙이다. 그 이론에서는 ‘[+WH] 의문 보문자 제약’에 의하여 내포절 밖으로의 의문사 이동을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좁은 범위 해석만 나오게 규정하였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내포된 의문문의 의문사의 영향력이 내포절에만 미치는 경우도 있고, 모문에까지 미치는 경우도 있다는 것을 보이고 그 현상을 설명하는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였다. 모문 동사가 화법 동사인 경우 내포되는 절의 성격은 ‘발화’와 ‘사유’로 나누어진다. 내포절이 의문문이 아닌 경우[즉, 평서, 명령, 청유문인 경우], 그 속에 의문사가 있고 모문이 의문문이면 내포절은 무조건 ‘사유’로 해석되고 내포절 속의 의문사는 모두 넓은 영역을 가진다. 의문문이 내포된 경우, ‘발화’가 내포되었을 때는 의문사의 영향력이 내포절에만 미치고, ‘사유’가 내포된 경우에는 모문에까지 미친다. 대부분의 경우는 ‘발화’의 내포로서, 이때는 내포절 절말 위치에 ‘[+WH] 의문 보문자’가 나타나고 ‘WH-의문 보문자 제약’과 ‘하위 인접 조건’이 적용되어 의문사의 영향력은 좁은 범위로 제한되고 모문은 판정 의문문이 된다. 아주 드물게 특별한 상황에서 ‘사유’가 내포될 때는 내포절의 절말 위치에 ‘-(으)ㄴ고’계의 [+WH] 의문 어미가 올 수 없고 ‘-(으){ㄴ가, ㄴ지}’의 [-WH] 의문 어미가 나타나야 한다. 이 경우에 내포절에서는 의문사와 의문 보문자 사이의 [+WH] 자질 일치가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의문사의 영향력은 넓은 범위가 되어 모문에까지 영향력이 미쳐서 모문이 설명 의문문이 된다. 모문 동사가 사유 동사인 경우는 내포절이 ‘사유’인 것이 대부분이고 그 경우 넓은 범위 해석을 가진다. 드문 경우 의문사의 영향력이 내포절에만 미치는 경우가 있는데 그때는 내포절이 ‘발화’로 해석된다. 추측 표현의 경우 내포절은 모두 ‘사유’로 해석되고 내포절의 의문사는 넓은 범위 해석을 가진다. 그러므로, 이 현상은 통사론적 현상이 아니라 의미론적 현상으로 설명하는 것이 더 합당하다. In an interrogative sentence which has a wh-word in the embedded interrogative clause, the effect of the wh-word reaches only to the embedded clause. This is a well known rule in the Theory of the Generative Syntax. In this framework, they explained the phenomenon as ‘wh-complementizer constraint’, that is, the wh-word can not move out of the embedded interrogative clause. This paper, however, argues that the effect of the wh-word in the embedded interrogative clause may reach to the matrix sentence in some cases, and suggests a new criterion to explain this phenomenon. When the matrix verb is a ‘narrative verb’, the content of the embedded clause is divided into an ‘utterance’ or a ‘thought’. If the embedded clause is not an interrogative[that is a declarative, an imperative, or a propositive], the content of the embedded clause must be a ‘thought’, and the effect of the wh-word in the embedded clause must reach to the matrix sentence. In case the embedded clause is an interrogative, the content of the embedded clause may be either a ‘thought’ or an ‘utterance’. And when the content of the embedded clause is a ‘thought’, the effect of the wh-word in the embedded clause may reach to the matrix sentence. When the content of the embedded clause is an ‘utterance’, the effect of the wh-word in the embedded clause can only reach to the embedded clause. When the matrix verb is a ‘thinking verb’, the content of the embedded clause is in most cases a ‘thought’, and the effect of the wh-word in the embedded clause reaches to the matrix sentence. In a few cases, however, the effect of the wh-word in the embedded clause reaches only to the embedded clause. That is when the content of the embedded clause is an ‘utterance’. In the case of the ‘guess expression’, the content of the embedded clause is always a ‘thought’, and the effect of the wh-word in the embedded clause always reaches to the matrix sentence. Therefore, this phenomenon is not a syntactic one but a semantic one.

      • KCI등재

        "모죽지랑가"의 새 해독과 창작 시기

        서정목 ( Chung Mok Suh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3 언어와 정보 사회 Vol.20 No.-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a revised decipherment and to discuss the chronological origin of the hyangka Mojukjirangka of ‘Hyosowangdae Jukjirang’ in Samkukyusa. We can investigate when this song was created by examining the contents of the song and preexisting historical records. Most of the research on this song follows the decipherment of Yang, Ju-dong (1942/1965/1981), and shows the tendency to believe that Deuko might have create this song when Jukjirang visited him at the Busan castle (富山城). However, the contents of this song do not show that it was created when Jukjirang was alive. Furthermore, the historical records on this period do not show that this song was created when Jukjirang visited Deuko at the Busan castle. The interpretation such as ‘the figure which was showing the beauty’ and ‘the face was wrinkled’ is problematic because the much-accumulated study of the records of Samkukyusa and others does not coincide with this kind of argument. This study focuses on demonstrating the interpretation that this song was created after Jookjirang`s death, following the decipherment of Kim, Wan-jin (1979/1980, 1985, 2008). Because of Kim Heum-dol`s rebellion, Jukjirang might have lost his political power and died at King Hyoso period after living in obscurity for about 15 years. Kim, Wan-jin (2008) claims that Jukjirang`s figure mentioned in the fourth line is not the figure in the portrait but that in Deuko`s memory, and that ‘皆理米’ in the first line must be deciphered as ‘to conduct his funeral service’. Based on Kim, Wan-jin (2008), I suggest that this song was created by Deuko, who had been very intimate with the noble Jukjirang in Hwarangdo, in order to be used as an elegy on the day of funeral ceremony after his death or memorial ceremony one year after his dea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