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Various Korean Compositae Herbs in LPS-induced RAW 264.7 Macrophages

        서민규,강윤미,정경숙,천세윤,박종혁,이영철,안효진 대한본초학회 2017 大韓本草學會誌 Vol.32 No.2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candidate materials as anti-inflammation agent from extracts of various Korean Compositae herbs in Hwaak mountain. Among Korea medicinal herbs, Ainsliaea acerifolia (AA) belongs to the Compositae family,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rheumatic arthritis. However, AA has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to have an anti-inflammatory effect.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A and its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s i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RAW 264.7 macrophages. Methods :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by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in RAW 264.7 macrophages. Nitric oxide (NO) was measured with Griess reagent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were detected by enzyme immunoassay (EIA) kits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Protein expressions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enase-2 (COX-2) and p65 subunit of nuclear factor-κB (NF-κB) were determined by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 Among 8 extracts of Korean Compositae herbs tested, AA showed the inhibition of NO production without cytotoxicity. Consistent with the observation, AA reduced the expression levels of iNOS and COX-2 proteins in LPS- s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in dos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AA inhibited the productions of TNF-α and IL-6 in LPS-s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However, AA did not inhibit activation of p65 NF-κB in LPS- s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down-regulation of iNOS, COX-2 protein expression and TNF-α and IL-6 production by AA are responsible for its anti-inflammatory effect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비판적 사고와 창의적 문제해결

        서민규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3

        This paper explores the conceptual relation of the sub-domains of higher-order thinking. For the first part, I analyze Young-Jung Kim’s theory of critical thinking to specify its relation with the domain of creative thinking. In the second part, I review the theoretical outcomes made by creativity theorists or creative thinking educators, and then try to find its categorical relation with other thinking areas such as logical thinking and critical thinking. As the result of this inquiry, I claim that critical thinking never excludes the elements of creative thinking, especially its key aspect which is called ‘divergent thinking ’. Creative thinking cannot be conducted without the basic elements of logical thinking and critical thinking as well, if it is not restricted within its divergent part. Since, both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abilities are substantiated on the thinking agency ’s problem-solving competency, and the problem-solving in the level of higher-order thinking is the emergent outcome of the critico-creative potentiality of the domain specificity. 본 논문은 고차적 사고의 측면에서 그 하위요소를 이루는 각 사고영역들의 관계성을 탐구하기 위한 시도로, 우선 메타-인지적 측면에서 비판적 사고 개념과 범주를 확립하고자 시도했던 김영정의 이론을 선행 사례로 분석하여 그것이 창의적 사고라고 부를 수 있는 사고의 영역과 어떤 관계성을 갖고 있는지 살펴본다. 그리고 교육 심리학자 중심으로 진행되었던 창의성 또는 창의성 교육의 기존 성과들을 바탕으로 창의적 사고의 개념규정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창의적 사고가 비판적 사고와 같은 고차적 사고의 다른 영역들과 맺는 범주관계를 탐색한다. 그 결과 본 논문은 고차적 사고의 하위영역으로 상정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가 창의적 사고의 요소들을 결코 배제할 수 없으며, 심지어 ‘발산적 사고’라고 일컫는 사고의 영역까지도 비판적 사고가 포괄할 수 있어야 함을 주장한다. 또한 창의적 사고는, 그것이 발산적 사고라는 협의의 규정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고 한다면, 논리 또는 비판적 사고의 기본 요소들을 배제하고서는 성립될 수 없음을 주장한다. 비판적 사고와 창의적 사고는 본질적으로 사고 주체의 문제해결 역량으로 실현되며, 고차적 사고의 차원에서 모든 문제해결은 영역 특수적 전문성이 비판적이면서 또한 창의적인 방식으로 발현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고양국제꽃박람회 고양플라워 가든쇼 멀티 페르소나 정원 설계

        서민규,박은영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0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6 No.1

        The author took note of relations between visual and narrative instruments to deliver space design and themes focusing on creativity and artistry with plants, which one may expect from garden shows, being the main object.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the Multi-Persona Garden presented at the Goyang Flower Garden Show, 2020 International Horticulture Goyang Korea, looking into the theme setting process, design strategies expected from gardens, and expressions that fit the nature of the event as an exposition. The overall concept of the garden is the ‘multi-persona,’ as a metaphor of us forgetting who we really are but living a life shaped by what others see. The theme was materialized with five spaces, entitled “Self”, “Personas”, “Today’s Persona”, “Social Persona”, and “Persona of the Past” respectively. In the center an object was set as a visual focus and an expression of self, serving as an instrument to allow the audience to experience countless personas surrounding them.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at, as a way for crystal-clear delivery of the given theme to the visitors, the garden incorporated various values legitimately expected from gardens and new thoughts and approaches to deliver the message in the space. 정원박람회가 가져야 하는 식물을 주 소재로 한 창작성과 예술성 중심의 공간연출과 주제를 전달하기 위해 시각적이고 서사적인 매개수단의 관계에 대해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20 고양국제꽃박람회 고양플라워 가든쇼에 출품된 ‘멀티 페르소나 정원’을 대상으로 주제의 설정방법과 정원이 담아야 하는 디자인 전략과 박람회로서 지향하는 이벤트성에 부합하는 표현방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정원의 전체적인 컨셉은 우리 스스로의 모습을 잊은 채 주위의 시선을 신경 쓰며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을 표현한 ‘멀티 페르소나’로 설정하였다. 주제의 전달을 위해 ‘자아’, ‘가면들’, ‘오늘의 가면’, ‘사회적 가면’, ‘과거의 가면’의 5개 공간으로 설정하고, 중심공간에 자아의 표현을 위해 시각적인 초점인 오브제를 설정하고, 나를 둘러싸고 있는 많은 가면들을 매개수단을 통해 체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박람회에 주어진 주제를 관람객에게 명료하게 전달하기 위함으로 특히 정원이 본래 가져야 하는 다양한 가치와 함께 메시지 전달을 위한 새로운 사고와 접근방법으로 구성함으로써 공간에 반영하였다는 것이다.

      • KCI등재

        한국적 조형미를 활용한 지역 관광기념품 디자인 프로그램 개발 연구 -고등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서민규,심영옥 한국조형교육학회 2018 造形敎育 Vol.0 No.6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rt education program that can enhance creativity and foster national identity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program will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Korean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design local souvenir using the characteristics in art education program in the era of globalization. While Korean aesthetic can be found in many different forms in Korean culture, the art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focuses on humor, implicitness, calmness, abstractness, whiteness that can be found in Korean architecture, sculpture, craft, painting, and clothing, et cetera. The program will also be useful for students to develop their careers, given that more and more local governments are developing local souvenirs these days. This study identifies the following educational effects of the art education program. First, students can improve aesthetic sensitivity and artistic identity. Second, students can better understand local community and its culture. Third, students can enhance creativity in integrating and express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esthetic and local community. This study concludes that students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y and national prosperity as well as enhance their own learning through practical art education that can be applied to the everyday life.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적 조형미의 특징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한 지역 관광기념품을 디자인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한 것이다. 이를 통해 학습자로 하여금 세계화 시대에 대비한 국가 정체성을 확립하 고 창의·융합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한국적 조형미는 우리나라 건축, 조각, 공예, 회화, 의복 등의 미술문화 전반에 나타나는 순리미, 익살미, 은근미, 추상미, 백색미 등 한국미적 특징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각 지역의 특성을 살려 지역 관광기념품을 제작하는 수업을 구안하였다. 이처럼 세계적이면서 실용적으로 활용가치가 높은 상품을 디자인하는 능력을 기른다면 학생들의 향후 진로 선택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 을 적용 결과 다음과 같은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한국미에 대한 미적 감수성 및 미술 문화 정체성을 이해하는 능력을 향상할 수 있었다. 둘째, 지역 사회와 문화에 대한 이해력을 신장할 수 있었다. 셋째, 한국미적 특징과 현대 지역 사회의 특징을 융합하는 창의적 표현 능력을 향상할 수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시사점은 실생활에 적용 가치가 높은 학습 을 할 경우 학습자 스스로의 자기계발 및 진로 선택은 물론, 지역 사회 발전 및 국가 번영에도 이바지할 수 있는 전인적 인재로 양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임상적 비판적 사고 수업설계 연구-간호교육에 필요한 비판적 사고 기술 교육을 중심으로

        서민규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5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background of how to design clinical critical thinking class that can be applied to the general nursing education. This research is descriptive one analysing preceding studies in the fields of nursing education and critical thinking.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claims that nursing education must be focused on decision-making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to promote critical thinking skills in the clinical circumstances. Thus the nursing class must be designed to facilitate the critical thinking skills related with those abilities, and this study provides an exemplification for that. With this preliminary work, further interdisciplinary research among the specialists in the area of nursing education and critical thinking education should be promoted. 본 연구는 간호교육에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 기술 교육의 방향성과 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하고, 그에 적합한 비판적 사고 수업의 모델을 구상해보려는 목적을 갖는다. 그 결과 간호교육에서 필요로 하는 비판적 사고 역량은 임상현장에서의 ‘적절한 상황판단능력’과 ‘최선의 문제해결능력’임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비판적 사고를 기반으로 하는 간호교육 수업은 이러한 역량을 중심으로 교수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함을 주장하고, 이를 반영한 임상적 비판적 사고 수업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그간 간호교육계에서 진행되었던 비판적 사고 성향 중심의 연구에 기술적 측면의 중요성을 제기하고, 간호교육 연구자들이 부족한 것으로 지적했던 비판적 사고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방법론 논의의 활성화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아울러 본 연구가 향후 간호교육 전문가와 비판적 사고 전문가의 학제간 융합 연구를 활성화하여 실증적인 측면에서 보다 체계화된 연구결과들이 축적되기를 기대한다.

      • <논리와 사고>교육 현황 분석과 교육 내실화 방안 모색

        서민규 중앙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11 교양논총 Vol.- No.5

        논리 및 비판적 사고 교육은 대학생의 학습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기초교육의 한 축이다. 그것은 고차적 또는 종합적 사고력을 증진하여 결과적으로는 문제해결 역량을 강화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논리 및 비판적 사고 교과가 일반적으로 다루고 있는 논리적 분석능력, 비판적 평가력, 합리적 대안제시와 문제해결력이 이러한 목적에 부합한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대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기초역량 강화를 위해 <논리와 사고>가 담당해야 할 역할이 무엇인지 국내의 대표적인 평가 기준들(K-CESA와 TOCT)을 근거로 제시한다. 그리고 현재 중앙대 교양학부대학에서 진행 중인 <논리와 사고> 교육의 현황을 분석하여, 공통교양인 『논리와 사고』가 재학생들의 기초역량을 강화하는데 보다 효과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교과 개선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현재 중앙대에서 진행 중인 <논리와 사고> 교육을 고차적 또는 종합적 사고력 증진을 위한 기초교육의 사례로 제시하고 교과의 내용과 형식을 분석한다. 고차적 또는 종합적 사고력 교육이라는 취지와 함께, <논리와 사고>는 기존의 ‘논리학’에서 ‘논리 및 비판적 사고 교육’으로 이행해 가는 과정으로 인식하고 양자를 절충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따라서 <논리와 사고>를 크게 논리적 추론영역(LR)과 비판적 사고영역(CT)으로 나누고 각각의 영역이 논리적 분석력, 비판적 평가력, 합리적 대안제시 및 문재해결력 증진을 실현할 수 있도록 교과의 체계를 구성하고 있다. 지금까지 진행된 <논리와 사고> 교육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 교육의 내용을심화하고 교수방법론을 개발하는 문제도 개선사항으로 지적할 수 있겠지만, 특히 <논리와 사고> 교육의 전공/계열별 다각화가 요구된다. 이는 전공 학습능력 또는 직업능력 향상이라는 기초교육의 목적에도 부합하는 일이 될 것이다. Education of logic and/or critical thinking plays a substantial role as basic general education to strengthen college students' study competency. It aims to promote higher-oder or integral thinking ability and in its result to help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The general contents of logic and/or critical thinking courses cover logical analysis, critical evaluation, and rational problem-solving parts, and thus they are coincident with its educational aim. In this paper, <Logic and Thinking>, the mandatory course of Chung-Ang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program, is under review as an example of the basic general education at issue. In addition to serve as higher-oder or integral thinking education, <Logic and Thinking> should compromise the forms and contents of the traditional 'logic' course and the new model of 'critical thinking'. Thus <Logic and Thinking> consists of Logical Reasoning(LR) and Critical Thinking(CT) parts largely, and it is systematized to realize logical analysis, critical evaluation, and rational problem-solving elements in its subordinate areas. Analyzing the outcomes of <Logic and Thinking> education so far, what is exceedingly needed to improve its educational role is to diversify its forms and contents to conform with the study areas of the students who take the course.

      • KCI등재후보

        비판적 사고 능력 함양을 위한 시각예술 수업 방안 연구 - 창작실기 수업을 중심으로

        서민규,이봄순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교양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시각예술 분야에서의 비판적 사고의 관련성과 필요성을 모색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로, 비판적 사고 능력 함양을 위한 시각예술 수업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그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려는 이론적 연구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시각예술 창작실기 교육과정에 접목될 수 있는 비판적 사고 교육의 기본적 방향을 탐색하고, 이를 잘 적용할 수 있는 교육의 틀을 구성해보려 한다. 본론에서는 우선 시각예술 교육에서 비판적 사고 능력이 왜 필요한 것인지 그 이유와 정당성을 논의하고, 기존 시각예술 교육의 문제점들을 지적한 뒤 이를 극복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순서로 논의를 진행한다. 아울러 본 연구는 기존의 창작실기 수업처럼 기본적인 스케치와 데생능력 등 재료를 다루는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예술 전공자들 뿐 아니라 비예술 전공의 학생들도 충분히 참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시각문화에 익숙한 요즘의 학생들을 위한 비판적 사고 교육의 한 방안으로 창작활동을 매개로 한 교양수업을 개설하여 텍스트의 분석과 평가를 중심으로 하던 기존의 비판적 사고 교육의 한계점들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연구를 심화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시도가 갖는 의미와 교육적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실증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tries to reveal the necessity of critical thinking education at the field of visual art, and suggests a detailed educational way of promoting critical thinking skill and attitude in the visual art class. For this, the main part of this study goes through the reason and justification of the needs of critical thinking skill and attitude in visual art education,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curriculum of visual art, and the specific alternative method to overcome that problems. This study additionally opens the possibility of a new general education class for the non-art- major students, because the suggesting new class does not need any prepared technique of treating basic art skills like dessin and drawing. The current university students are very familiar with visual culture rather than traditional text-oriented environment. Thus we even expect that the new critical thinking curriculum in the medium of art creating will supplement the existing critical thinking class focused on just text analysis and evaluation. For the future study we suggest the empirical research to show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is curriculum development.

      • KCI등재

        국내 대학의 인문학 및 사회과학 융합교육 실태 연구

        서민규,서덕희,이희용 한국교육학회 2014 敎育學硏究 Vol.52 No.2

        This study aims to survey and analyze its result of the current status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focusing on the areas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Firstly, the prior researches related in interdisciplinary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are reviewed. It is indicated that the theoretically refined outcomes of the meaning and the need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in the fields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re still insufficient, and the empirical researches are very limited in mere introduction of institutional and curricula models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Thus this study precedes the focus group interview (FGI) with the specialists in interdisciplinary education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applies it to the consultation of the survey on the experiences of the teachers and students who involved in that educational area. With this research, it is noticed that th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in the areas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re variously programmed. However, it is indicated as a conclusion of this survey that there are several things that should be improved for the educational quality in this area, including teachers' professionality, contents development, and the better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he students who are engaged in the interdisciplinary study. 본 연구는 인문학 및 사회과학 분야에서의 융합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그 실태를 조사하고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우선 인문학 및 사회과학 분야에서의 융합교육과 관련하여 그간 진행되어온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여 인문학 및 사회과학 분야에서의 융합교육의 필요성과 의미에 대한 심층적이고 세분화된 이론적 논의가 여전히 부족하다는 점과, 실증 연구에 있어서도 제도적 실태나 교육모델에 대한 단순한 소개에 그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홈페이지 등을 활용한 객관화된 자료를 전체 대학을 대상으로 수집하였을 뿐만 아니라 인문학 및 사회과학 분야 융합교육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는 심층면접 조사를 선행하여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융합교육을 담당하는 교수자와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문항을 작성하고 그 결과를 해석하는 데 활용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인 결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연구방법을 설계하여 진행하였다. 그 결과 국내 대학에서의 인문학 및 사회과학 분야에서의 융합교육은 비교적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융합교육의 질적 측면에서는 교수자의 전문성 확보, 콘텐츠 개발, 학습자의 융합교육 환경 조성 등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