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CCAPM을 이용한 미래소비 위험에 관한 연구

        빈기범,손삼호 한국재무학회 2010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0 No.11

        본 연구는 한국 주식시장에서 미래소비 위험이 자산가격에 대한 설명력을 갖고 있는지 여부를 살펴봄으로써 소비기반 자본자산가격결정 모형(CCAPM)의 타당성을 검토한다. 미 래소비 위험의 자산가격 설명력을 검정하기 위하여 기업의 규모 및 장부가/시가 비율을 이 용하여 구성한 Fama-French 16개 포트폴리오를 대상 자산으로 설정하였다. CCAPM은 사전적 기대초과수익률에 대한 이론이므로, 대상자산의 초과수익률과 그것이 발생한 기간 이후 일정한 기간 동안에 발생한 소비 증감율 사이의 공분산으로 동 자산의 미래소비 위험 을 사후적으로 측정하여 검증할 수 있다. 이렇게 측정된 미래소비 위험이 다수 자산 수익률간 횡단면적 차이를 얼마나 잘 설명하 고 있는지는 Hansen(1982)의 J-검정과 Hansen and Jagannathan(1997)의 HJ 최소거리 검정을 활용하여 살펴본다. 분석 결과 Julliard and Parker(2005)가 분석한 미국 주식시장과 마찬가지로 한국 주식 시장에서도 미래소비 위험이 자산 기대수익률의 횡단면적 차이에 대해 갖는 설명력은 해당 자산의 수익률 발생 시점으로부터 3년 후 시점까지의 소비를 조정하는 것으로 볼 때 극대 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년 후 시점까지의 미래소비 위험에 기초한 모형의 적합도는 J- 검정과 HJ 최소거리 검정 모두에서 최대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한국 주식시장의 경우 미국 시장과는 달리 미래소비 증가율에 대한 가치프리미엄 과 규모프리미엄의 설명력이 3년간의 시차를 두고 극대화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 국과는 달리 한국 주식시장에서는 가치프리미엄과 규모프리미엄이 Fama-French 포트폴 리오의 초과수익률 특성을 원활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나아가, 초과수익률 발생시점으로부터 3년 후 시점까지 발생하는 미래소비 증가율을 이 용하여 구성한 확률할인인자는 소비가 갖는 시계열 상관으로 인해 강한 경기변동적 특성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측정된 확률할인인자가 표본기간에서 1997년 경제위기와 2003년 카 드채 사태를 비교적 정확히 포착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매우 흥미롭다.

      • KCI등재

        시장위험 부도확률 모형을 이용한 예금보험공사 차등평가모형의 정합성 연구: 은행업권을 중심으로

        빈기범,박태준,장병훈 예금보험공사 2018 金融安定硏究 Vol.19 No.2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risk-based deposit insurance premium system for the domestic banking sector over the last 4 years conducted by the KDIC and the expected default probability (EDF) estimated through the Black-Scholes-Merton option valuation model were analyzed. Under the current differential rate evaluation system, most of the indicators are based on the most recent financial and accounting data that are relatively clear and easily obtainable. This is an ex-post management evaluation method for financial institutions. In this study,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EDF calculated using bank stock prices and volatility in stock market is examined, reflecting the market opinion for the risk and the actual differential rate evaluation results. The relationship would be weakly negative in terms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measured by integrating the bank-year observation unit sample. If this weak statistical significance is not simply a matter of data shortage, market information including EDF can be interpreted as providing separate or independent information from the current system. This raises the need to reflect market information in the further improvement of the current differential rate assessment model. However, a more cautious approach is needed to aggregate market information and put it into an evaluation system. 본 연구에서는 예금보험공사가 시행한 지난 4년 간의 국내 은행업권에 대한 예금보험 차등보험료율제도에 따른 평가 결과와 주가를 이용한 Black-Scholes-Merton의 옵션가격평가 모형을 통해 추정된 기대부도확률(EDF)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현행 차등평가제도 하에서는 대부분의 평가지표가 비교적 근거 자료가 명확하고 쉽게 얻어질 수 있는 가장 최신의 재무자료를 바탕으로 산출되는데 이는 금융기관에 대한 사후적인 경영 평가 방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장의 위험에 대한 의견이 반영된 은행 주가 및 변동성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 EDF와 실제 차등평가결과 간 유의한 관계가 존재하는지 검증하고 시장부도 위험 지표가 차등평가 결과에 다소 선행적인 위험평가 지표의 역할을 하는가에 대해서도 분석한다. 은행의 EDF를 1:1로 비교할만한 은행-연도 관찰 단위 표본을 최대한 확보하여 이들 표본을 통합하여 측정한 상관계수 및 그 통계적 유의성으로 볼 때, 두 지표 간 상관관계는 약한 음(-)의 관계로 나타났다. 이러한 약한 통계적 유의성이 단순히 자료 부족의 문제가 아니라면, EDF라는 시장정보는 현행 체계와는 또 다른 별도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다시 현행 차등평가모형의 추가적 개선에 있어 시장 정보를 반영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다만, 시장 정보의 집계 및 평가 체계로의 반영은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블록체인 기술 기반 조직 및 생태계 형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빈기범,박경희 이화여자대학교 경영연구소 2018 신산업경영저널 Vol.36 No.2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that examines entrepreneurship and organizational formation related with blockchain technology that will be expected to lead the so-called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blockchain technology is a radical innovation that has not yet been proven its potential. A variety of types of organizations are emerging because the dominant platform or design has not been proposed yet.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rt-up firms with blockchain technology and the existing start-ups by investigating actual cases. We intend to highlight some examples of personal ties that play an essential role in the nascent entrepreneur in which these entrepreneurs are formed. Based on the blockchain technology, we will look at actual cases of how organizational and ecosystem building processes differ from existing organizations. It is clear that the blockchain will cause important effects on innovations such as P2P platform and IoT (Internet of Things) that will lead the fourth industry. Managers are thus essential to prepare for future business environments where technology becomes a reality. Through this study, understanding the features of the blockchain based entrepreneurs can provid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policy makers who want to foster blockchain technology and business. It will also provide a meaningful solution for building the necessary resources for entrepreneurs who want to form an organization based on blockchain. 본 연구는 블록체인 기술 기반 스타트업 기업을 조직 및 생태계 형성 차원에서 살펴보는 탐색적 연구이다. 블록체인 기술은 공공원장을 통해 정보를 분산 처리 및 저장하고 인증하는 혁신적 시스템으로 아직 지배적 플랫폼이나 디자인이 제시되지 않은 단계이므로 다양한 형태의 조직이 생겨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블록체인 기술 기반 창업 기업으로 어떠한 종류가 있는지 실제 사례를 통해 살펴본다. 그리고 네트워크 이론에기반하여 이러한 창업 기업들이 형성되는 초기 기업가적 과정(nascent entrepreneur)에서 중요하게 작용하는 인적 관계(personal tie)의 사례들을 조명하고자 한다. 블록체인 기술 기반 조직 형성 및 생태계 구축 과정이 기존 조직들과 어떻게 다른지 실제 사례를 통해 고찰한다. 블록체인 기술이 소위 4차산업혁명을 주도할 P2P 플랫폼, 사물인터넷 등과 같은 기술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을 것은 자명해보인다. 기업은 이러한 미래 경영 환경의 변화를 대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블록체인 기반 창업기업의 특성과 다른 창업기업 사이의 차이점은 블록체인 기술 및 사업을 양성화 하고자 하는 정책 당국자에게도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조직을 설립하고자 하는 기업가에게도 필요한 자원을 구축하는데 실질적으로 의미 있는 해결책을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경제/재무학적 이슈와 연구 동향

        빈기범,장호규 텔코경영연구원(구 국제무역경영연구원) 2018 텔코 저널 Vol.6 No.-

        이 연구에서 우리는 경제학과 재무학의 관점에서 ‘블록체인(blockchain)’ 및 ‘암호화폐(cryptocurrency)’의 주요 특징에 대해서 살펴보며 대표적인 학술 연구 동향을 소개한다. 구체적으로 암호화폐 혹은 ‘암호자산(cryptoasset)’의 화폐적 특징에 관한 논의 및 새로운 대안적 투자대상으로서의 디지털 자산의 성격을 논의한다. 이후 ‘유틸리티 토큰(utility token)’에 대해서 간략히 알아보고 ‘토큰경제(token economy)’의 성격과 특징에 관해 소개한다. In this paper, we study several key features of blockchain and cryptocurrency that are important in economics and finance and introduce some ongoing research trends alongside. In particular, we first discuss monetary characteristics of cryptocurrency and cryptoassets. Second, we provide in-depth discussion on the validity of cryptocurrency as a new investment asset class. Finally, we discuss some features of cryptotokens with its applications.

      • KCI등재

        소상공인 거래 블록체인 구축에 관한 제언

        빈기범,이수진,장호규 한국금융정보학회 2020 금융정보연구 Vol.9 No.1

        4차 산업 혁명은 지급결제시스템을 중심으로 금융시스템을 변화시키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제로페이가도입되고, 핀테크 및 금융플랫폼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결제 인프라 혁신 방안이 발표되는 등 지급결제와관련된 금융혁신이 진행 중이다. 현재 진행 중인 혁신은 기존 시스템의 불합리한 측면을 개선하기는 하지만, 앞으로 급격히 변화할 전 세계적 금융환경에 대응하기에는 충분하지는 않다. 이에 본고에서는 새로운 금융환경에종합적으로 대처하며 지급결제제도와 소상공인금융에서 근본적 혁신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소상공인 거래 블록체인 네트워크(일명 소상공인체인1.0)” 구축에 대하여 논의한다. 인프라 구축과 운영에소요되는 비용이 낮아 소상공인체인1.0은 소상공인들은 물론 참여하는 소비자 등의 거래비용을 현재 시스템보다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장기적으로 체인 내에 쌓이는 데이터를 활용한다면, 소상공인에 대한 신용평가가개선될 수 있는 등 소상공인 금융 환경의 전반적 개선도 가능하다.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globally transformed the financial system, especially the payment and settlement system. In Korea, changes related to the payment and settlement system such as the introduction of so-called Zero Pay and the announcement of the government's payment and settlement infrastructure reform measures are underway. However, it is not sufficient to innovate the current payment and settlement system because ongoing changes simply fix the unreasonable aspects of existing systems. In this article, we discuss the establishment of a “Self-employed Small Business Transaction Block Chain Network (so called Small Business Chain 1.0)” as one of the radical ways to innovate the payment and settlement system and small business finance. Due to the intrinsic nature of blockchain technology, the Small Business Chain 1.0 can offer great benefits to self-employed small businesses as well as participating consumers by reducing payment and settlement costs. Also, the Small Business Chain 1.0 can be a comprehensive solution to small business finance by naturally and securely collecting all the true transaction and financial data.

      • KCI등재후보

        The Role and Competitiveness of IBK as SME Loan Provider in Korea

        빈기범 한국금융정보학회 2017 금융정보연구 Vol.6 No.2

        The Industrial Bank of Korea (IBK) is a government-funded financial institution aiming to provide capital to SMEs and a commercial bank that funds a significant portion of its resources from private depositors. The purpose, operation and governance structure of IBK is public and therefore subject to government support and regulation, while it is exposed to competition from other private commercial banks in Korean domestic banking market. Although the Korean economy has a structure that is largely led by large business groups, the protection and upbringing of SMEs has been a constitutional value, and none of the previous governments has neglected the SME sector promotion. The establishment of IBK in 1961 is an essential evidence of the Korean government's steadily developing SME policy. As of 2015, the total asset of IBK amounts at KRW 225 trillion which is equivalent to that of commercial banks. Morevoer IBK has ranked the overwhelming number one position in SME loan banks. In particular, in the systematic credit crunch period, such as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IBK lent boldly to SMEs. Recently, IBK is leading in finance for cultural contents industry and technology finance. IBK is a nice example of Korea's policy finance as well as a system that can be introduced to overseas developing countries while exemplifying a proper and efficient combination of government support and private capital while carrying out public functions as a national bank.

      • KCI등재

        Joint Estimation of Baseline Prepayment Function and Prepayment Factor Model of Residential Mortgages Using the Discrete Tim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with Stepwise Baseline

        빈기범,박연우 한국금융학회 2023 금융연구 Vol.37 No.3

        We develop a discrete tim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with stepwise baseline (DCPHM), a version of the discrete tim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which allows both temporal and cross-sectional variation of prepayment. Unlike the standard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PHM), which gives the estimates of hazard intensity, DCPHM gives the estimates of conditional prepayment probability directly, which are essential for the valuation of mortgages and mortgage-backed securities. Specifically, DCPHM allows us to estimate the prepayment curve, which is the term structure of conditional prepayment rate (CPR), and prepayment factor model of residential mortgages jointly. Unlike logit, which estimates prepayment factor model only, DCPHM also estimates the baseline prepayment curve. Furthermore, unlike the standard logit model, which only estimates the cross-sectional factor model, DCPHM also estimates the baseline prepayment curve. Joint estimation of baseline prepayment function and prepayment factor model allows us to value mortgages as well as pools of mortgages using the OAS valuation model (Monte Carlo cashflow-based valuation model) directly and efficiently. Using a sample of 145,782 residential mortgages originated in Korea between January 2004 and December 2007,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DCPHM in its ability to estimate the term structure of conditional prepayment rate by comparing the baseline prepayment function based on DCPHM and that based on Kaplan-Meyer product limit method. We als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DCPHM in its ability to estimate the prepayment factor model by comparing estimated factor models based on DCPHM with that based on logit model. We find that the DCPHM estimates both the baseline prepayment function and the prepayment factor model jointly and reliably.

      • KCI등재

        긴급경영안정자금의 코로나19 위기에 대한 지원 효과 분석

        빈기범,박재성 신용보증기금 2023 중소기업금융연구=Journal of SME finance Vol.43 No.4

        본 연구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중소기업의 경영애로 해소를 위해 정부가 공급한 긴급경영안정자금의 지원 효과를 사건연구 기법으로 분석한다. 코로나19 대유행이 본격적으로 확산되는 2020년을 전후로 추정기간과 사건기간을 정하고, 개별 기업별 추정기간 자료로, 추정된 매출액에 대한 선형모형에 기반하여 2020년 사건기간에 대한 표본 외 예측치, 즉 사건 발생이 없었더라면 실현되었을 정상 매출액을 산출한다. 그것과 실제 매출액과의 차이가 사건의 효과이다. 다만, 여기에는 코로나19의 부정적 효과와 긴급경영안정자금의 긍정적 효과가 혼재되어 있으므로, 코로나19의 효과를 제거해야 긴급경영안정자금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긴급경영안정자금 지원 여부에 따라 처리집단과 비교집단을 설정한 후 두 집단 간 평균 초과 매출을 차분하여 +2.5 억원을 얻었다. 이는 긴급경영안정자금이 기업 수준에서 미친 영향이며 당시 코로나19로 인한 피해를 상쇄시키는 역할을 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와 같은 재난적 경제 충격의 시기에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정부 정책자금의 효과에 대한 실증적 증거를 제공한다. This study analyses the effects of the Emergency Aid Fund for Business Stabilization (EAFBS) provided by the government to alleviate the business difficulties of SMEs due to COVID-19 using the event study method. We set the estimation period and the event period before and after 2020, when the COVID-19 pandemic began and spread, and calculate the out-of-sample prediction for the event period in 2020, i.e., the normal sales that would have been realised if the event had not occurred, based on a linear model of the sales estimated in the estimation period for each firm.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sales and predicted normal sales is the effect of the event. However, since the negative effect of COVID-19 is mixed with the positive effect of EAFBS, the effect of the former must be removed to obtain the effect of the latter alone. Therefore, in this study, we set up a treatment group and a control group according to whether they received EAFBS, and differentiated the average excess sal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 is KRW 250 million, which is the impact of EAFBS at the firm level. Moreover, this served to offset the damage caused by COVID-19 at the time.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on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policy funds to support SMEs during a severe economic shock such as COVID-1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