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알쯔하이머성 치매의 언어정보처리과정 특성 연구

        변선경,정옥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4 再活科學硏究 Vol.22 No.1

        알쯔하이머성 치매는 신경 화학적 구성, 뇌조직의 변화에 의해 특성 지어지는 진행성으로 퇴행하는 질병이며, 사실적 지식의 계층적 구조화된 체계, 의미기억의 중요한 손상을 보여준다. 알쯔하이머성 치매환자의 어휘-의미장애의 특징을 의미-범주과제를 이용한 연합성과 의미범주를 통해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치매집단을 중증도에 따라 세 집단으로 분류한 뒤, 각 9명씩 27명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범주에 따른 연합성 이해 차이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다. 치매의 정도에 따른 연합성 이해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치매의 의미적 결함은 범주보다는 연합성에 결함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는 어휘-의미수준의 손상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The goal of this paper was to address 2 issues relevant to the semantic impairment in Alzheimer's disease: (1) stimulus associative effects (2) semantic category effects (contrasting living with non-living categor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3 groups based on K-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scale: probable AD, mild AD, and moderate AD group. Twenty-seven patients with AD were given a semantic category task. The response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to determine an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3 groups.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findings: (1) semantic category effect didn't a difference influence semantic association, (2) The AD group showed a significant on semantic association, (3)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D group and semantic association. In sum, the present results indicated that semantic impairment in AD involved a progressive deterioration of lexical-semantic representation.

      • KCI등재

        18세기 토스카나 대공국의 계몽주의 개혁과 피에타 보호소

        변선경 호서사학회 2022 역사와 담론 Vol.- No.103

        The Habsburg-Lorraine grand dukes made an enlightenment reform in the Grand Duchy of Tuscany in the 18th century based on the consideration that deeply rooted religious practice of Tuscany made the grand duchy sick and the church took away mothers from society as numerous girls became nuns. Pietro Leopldo’s reform, which suppressed female convents and transformed them into conservatories to educate and tend girls, has been regarded as the emergence of a modern advanced female public education system to give women new opportunities. Enlightenment reforms in the Conservatorio della Pietà, however, were carried out with the intention that would break bonds between the conservatory and local tradition for religious piety, which was not necessarily intended to liberate women from the church. The enlightenment reform breaking a long and old tradition of Tuscany to consolidate the power of new foreign sovereigns suggests that retro actions and resistance in Tuscany could not be simply interpreted as an outdated and reactionary responses. 18세기 토스카나 대공국을 계승한 합스부르크-로트링겐 가문은 토스카나의 뿌리 깊은 종교적 관행이 대공국을 병들게 하고, 특히 결혼 적령기 여성들이 수녀가 되면서 교회가 어머니를 사회로부터 앗아간다고 주장하며 계몽주의 개혁을 단행했다. 특히 여성교육에 대한 교회의 독점을 깨기 위해 수녀원을 철폐하고 여성 교육 및 보육기관인 보호소로 전환시킨 레오폴도의 개혁은 여성에게 새로운 기회를 주는 근대적이고 선진적인 여성 공교육 시스템의 등장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피에타 보호소에서 나타난 개혁 조치들은 보호소를 토스카나의 종교적 관행과 유대로부터 단절시키려는 의도에서 시행되었고, 이는 개혁이 반드시 여성을 교회로부터 해방시키려는 의도에서만 비롯되었던 것은 아님을 보여준다. 계몽주의 개혁이 새로운 지배가문의 권력 기반을 공고히 하기 위해 토스카나의 오랜 전통과 유대를 파괴하는 방식으로 나타났다는 점은 이후 토스카나에서 나타나는 복고적 조치와 저항을 시대를 거스르는 반동적 행위라고 단순하게 해석할 수만은 없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성인 만들기’와 ‘신성한 여성들’: 중세 말 근대 초 읍도파의 여성 서사 활용 전략

        변선경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22 西洋中世史硏究 Vol.- No.50

        After the execution of Savonarola, the piagnoni took strategies of actively using prophecies and visions of female mystics to make him a saint and spread his cult, while controlling and supervising them. The piagnoni’s dual strategy for using female narratives could be also seen in the different narratives about Fra Alessandro Capocchi in the Croniche delle Suore della Pietà. The chronicle of 1593 unwrites the vision of a girl of the Conservatorio della Pietà in the record of the death of Fra Capocchi and his stick. It suggests that the chronicler was unwilling to link the female vision to Fra Alessandro Capocchi in the conservative atmosphere of the Council of Trent. On the other hand, the chronicle of 1700 and “Breve notizia d’alcune Suore della Pietà” actively link the vision of Fiammetta, a girl of the Pietà, with the reason that Fra Capocchi’s stick became a relic of Conservatorio della Pietà. It was to reconnect and streng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dominicans and girls of the Pietà. The dual strategy of narrative by male dominican piagnoni shows how they used female narratives to establish their authority in a misogynist perspective. 사보나롤라가 처형된 이후 읍도파는 그를 성인으로 만들고 그에 대한 숭배를 확산시키기 위해 여성 신비주의자를 적극 활용하면서도 이를 통제하고 감독하는 전략을 취했다. 여성 서사를 활용하는 읍도파의 이중적인 전략은 피에타 보호소 연대기 내의 알렉산드로 카포키 수사에 대한 상이한 서술에서도 드러난다. 1593년판 연대기는 트렌토 공의회 시기의 보수적인 분위기 속에서 여성의 환시와 연결되는 것을 꺼리면서 알렉산드로 카포키 수사의 죽음과 그가 남긴 지팡이에 대한 서술에서 피에타 보호소의 소녀의 존재를 지워버렸다. 반면 1700년판 연대기와 「피에타 자매들에 대한 단평」은 카포키 수사의 지팡이가 피에타 보호소의 성물이 된 이유를 피암메타라고 하는 여성의 환시와 적극적으로 연결시켰는데, 대공의 권위에 맞서 피에타 보호소의 소녀들과 자신들의 관계를 다시 연결시키고 강화시키기 위해서였다. 이와 같이 피에타 보호소 연대기 속 알렉산드로 카포키 수사의 기록에서 나타나는 남성 읍도파 성직자들의 이중적인 서사 방식은 여성 혐오적인 시각 속에서 자신들의 권위를 세우기 위해 어떻게 여성 서사를 활용했는지를 보여준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사보나롤라의 『과부론』과 여성 개혁

        변선경 한국프랑스사학회 2018 프랑스사연구 Vol.- No.38

        This essay studies Savonarola’s view of womanhood by reinterpreting his The Book on the Life of the Widow and his proposal to reform of women in Renaissance Florence. The earlier studies tend to understand it with the perspective of feminism, although he had ‘misogynistic’ thoughts, which were traditionally shared among his contemporaries. According to his The Book on the Life of the Widow, however, women are inferior to men, thus they must not only be placed under male control and but also be separated from others to keep their charity and their simplicity. These are repeated similarly in his other works and sermons. Therefore, it has to be understood that Savonarola’s proposal for the committee of women on 18 March 1496 was as misogynistic as his The Book on the Life of the Widow. In the end, his ‘reform’ is not to suggest new model of women, but to recommend traditional model. Likewise, Savonarola’s The Book on the Life of the Widow and his proposal to reform of women show how women are manipulatively subjugated to the patriarchy through expressions and arguments regarded as feminist. 이 글은 사보나롤라의 『과부론』과 여성 개혁을 재해석하여 그의 여성관을 고찰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사보나롤라가 당대인들이 공유했던 전통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여성관을 여성주의적으로 해석하려 했다. 그러나 그의 『과부론』에서 나타나는 여성은 남성보다 열등한 성이므로 남성의 통제 아래 놓여 있어야 하고, 스스로를 격리시켜 순결함과 소박함을 지켜야 했다. 이는 사보나롤라가 정권을 잡은 이후의 다른 작품과 설교에서도 유사하게 반복되었다. 따라서 1496년 3월 18일에 이루어졌던 사보나롤라의 여성위원회 제안 역시 『과부론』과 같이 여성혐오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결국 사보나롤라의 ‘개혁(riforma)’은 새로운 여성상을 제시했다기보다는 전통적 여성상을 따를 것을 권고한데 불과했다. 이와 같이 사보나롤라의 『과부론』과 여성 개혁은 여성주의적으로 보이는 표현과 주장들이 어떻게 여성을 가부장제 속에 교묘하게 종속시키는지 보여준다.

      • KCI등재

        사라진 ‘어머니’: 피에타 보호소를 통해서 본 근대 초 여성 자선기관의 변화와 그 의미

        변선경 부산경남사학회 2022 역사와 경계 Vol.122 No.-

        This paper analyzes the changes of the Conservatorio della Pietà in early modern Florence through its Croniche delle Suore della Pietà. Called ‘mothers’, women of the Compagnia della Pietà made the alternativ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with girls, thereby forming an artificial family community in the Conservatorio della Pietà founded as a female lay charitable community in the relatively free and flexible form. However, as the religious patriarchy with ‘father’ confessor was established in the lay devotional community institutionalized by the Council of Trent, consequently laywomen who participated in charity have been excluded from the female lay charitable community. The Emotional distance and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as a result, appeared not only between women and girls but also among the girls of the Pietà, which made ‘mothers’ disappear from the names of female governors of the Pietà. In other words, It was the loss of bonds between women that was brought by the religious patriarchy of the Council of Trent into the female charitable institution in the early modern. 이 글의 목적은 근대 초 피렌체의 고아 소녀를 돕기 위해 문을 열었던 피에타 보호소의 운영주체 변화와 그것이 지닌 의미를 보호소의 연대기를 통해 분석하는 것이다. 비교적 자유롭고 유연한 형태의 자선기관으로 세워진 피에타 보호소에서는 이를 운영하는 피에타회의 여성 평신도들이 ‘어머니’라고 불리면서 보호소의 소녀들과 유사 모녀 관계를 맺었고, 이에 따라 보호소 내에 대체 가족 공동체가 형성되었다. 그러나 트렌토 공의회가 평신도 공동체를 제도화함으로써 고해 신부를 정점으로 하는 종교적 가부장제 질서가 확립되었고, 그 결과 자선 공동체 운영에서 오히려 창립자이자 실질적인 운영주체였던 여성 평신도가 배제되기 시작했다. 이는 피에타회 여성들과 보호소 소녀들 사이뿐만 아니라 보호소 내의 소녀들 사이에서 서로 거리감과 위계관계가 나타나는 것으로 이어졌다. 피에타 보호소의 여성 운영진의 명칭에서 ‘어머니’가 사라진 점이 확인시켜주듯이 트렌토 공의회의 종교적 가부장제 질서가 여성 자선기관에 여성들 사이의 유대감 상실이라는 근본적인 변화를 초래한 것이다.

      • KCI우수등재

        제3회 우수석사논문상 수상작 : 사보나롤라와 덕의 공화국

        변선경 ( Sun Kyung Byun ) 한국서양사학회 2015 西洋史論 Vol.0 No.125

        본고는 15세기 말 피렌체에서 권력을 잡았던 예언자이자 설교가인 사보나롤라의 정치사상과 피렌체의 최후의 공화국까지 이어지는 그의 유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샤를 8세의 이탈리아 전쟁을 계기로 예언자라 불리게 된 사보나롤라는 피렌체가 다가오는 새로운 시대에 교회 갱신의 중심이 되리라는 비전을 제시하였다. 그에 따르면,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신의 계시를 받아 자유로운 공화국을 피렌체에 세워야 했다. 이로써 교회 갱신은 자유로운 공화국을 위한 정체 개혁과 일치하게 되었다. 피에로 데 메디치가 피렌체에서 추방당한 후, 사보나롤라는 천년왕국사상과 베네치아 정체를 혼합하여 그리스도교적 덕과 공화주의를 결합한 ‘새로운예루살렘’으로서 신성한 공화국을 이상정체로 제시하였다. 사보나롤라는 3,500여명의 시민이 참여하는 대평의회를 핵심으로 하는 이 정체를 시민정이라고 불렀는데, 그것은 평민정이라기보다는 일종의 혼합정으로서 상이한 계급의 연합체라 할 수 있다. 나아가 그는 종교적 언어를 사용하여 시민정에 주권을 부여하였고, 내부의 폭군에 대해 신성한 자유를 지키기 위하여 종교적 화합과 정치적 화합을 일치시켰다. 그가 처형당한 후에도 그가 제시한 덕은 읍도파에 의해 전유되고 발전되 었다. 이처럼 사보나롤라와 그가 제시한 그리스도교적 덕의 공화국은 공화주의가 종교적 이념과 결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political thought of Savonarola, a prophet and preacher who gained power in late Quattrocento Florence. He left his intellectual and political legacies in the last republic of Florence. Savonarola became renowned as a prophet while the French King Charles VIII``s Italian war was being waged. He presented a vision of Florence which was interwoven with herpolitical tradition emphasizing the role of civil life in politics and society. The vision said that she would become the centre of renewal in the upcoming new era. According to Savonarola, the Florentine people had to establish a free republic inspired by a revelation of God for that purpose. This meant that the renovation of the church should be carried out in parallel with the constitutional reform for the free republic. After Piero de`` Medici``s exile from Florence Savonarola proposed the holy republic as the New Jerusalem. This republic would have a mixed constitution combining Christian virtues with republicanism - Millenarianism with the Venetian Constitution. Consequently, the Great Council was introduced in Florence for thefirst time. Savonarola called it ‘governo civile’, ‘the civil government’, which was a coalition of different classes as asort of mixed constitution rather than ‘governo popolare’, ‘the popular government.’ Furthermore, he proceeded to give sovereignty to it by means of religious language. This reconciled religious ideas with political practices in order to preserve holy liberty against the internal tyrant. After his execution, the value of virtues he had preached and stressed was appropriated and developed by Piagnoni. Savonarola``srepublic of virtue shows how republicanism can be intellectually combined with religious ideas. (Pusan National University / sk1591312@naver.com)

      • KCI등재
      • KCI등재

        4차 산업시대의 인문학적 사고와 테크노-구조주의

        백승국,노진화,강정규,선경,용수 한국프랑스학회 2019 한국프랑스학논집 Vol.105 No.-

        C’est un article qui examine le concept de la techno-structuralisme qui apparaît pendant 4ème de l’industrie et examine le fond théorique et la synthèse de la logique. Les transgenres qui sympathisent avec l’idéologie centrée sur le centre de la technologie, disent que la science et les nouvelles technologies libèrent les êtres humains de la maladie et de la douleur. Dans ce flux, nous voulons explorer la logique et la logique de la France qui revendique constamment des critiques et des analyses éthiques dans le centre de technologie et le centre de l’humanisme. De plus, nous allons discuter de la possibilité d’une approche humanisme d’un écosystème qui peut s’appliquer à divers domaines et mettre en pratique la technologie de l’intelligence artificielle qui créer une société techno. Autrement dit, la technologie de convergence de l’intelligence artificielle doit être une technologie magique pour satisfaire les désirs cachés au cœur de l’homme et réaliser soi-même. De plus, la technologie de convergence de l’intelligence artificielle ne devrait pas seulement stimuler l’environnement physique, mais aussi chercher un raisonnement pour créer une valeur humanisante pour l’homme et la société.

      • KCI등재

        국립장기이식센터 연보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한 각막이식의 최신 경향

        이지영,이순영,윤영채,선경,황웅주,용수,황형빈,나경선,이현수,정소향,김은철,조양경,김현승,황호식 대한안과학회 2023 대한안과학회지 Vol.64 No.4

        Purpose: To analyze trends in corneal transplantation surgery and determine the number of domestic and imported corneal grafts used in South Korea. Method: The total number of keratoplasties and number of each individual surgical procedure conducted in 2010 and 2020 were identified using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data. The number of keratoplasties using domestic corneas in 2010 and 2020 was determined from the annual report of the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KONOS). The number of keratoplasties using imported corneas was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number of keratoplasties using domestic corneas from the total number of keratoplasties. Results: In 2010, 802 keratoplasties were performed in Korea, of which 299 (37.3%) used imported corneas; 715 (89.2%) were penetrating keratoplasties and 87 (10.8%) were anterior lamellar keratoplasties. In 2020, 911 keratoplasties were done in Korea and 564 (61.9%) used imported corneas; 541 (59.4%) were penetrating keratoplasties, 60 (6.6%) were anterior lamellar keratoplasties, and 310 (34.0%) were endothelial keratoplasties. From 2010 to 2020, the number of penetrating keratoplasties in Korea decreased, while the numbers of endothelial keratoplasties and keratoplasties using imported corneas increased. Conclusions: There was a 30% decrease in the number of penetrating keratoplasties from 2010 to 2020, and a 30% increase in the numbers of endothelial keratoplasties and keratoplasties using imported corneas. The proportions of endothelial keratoplasties and imported corneas have increased steadily in Korea over the last 10 years. 목적: 최근 국내 각막이식 중 전체층각막이식, 전부층판각막이식, 내피각막이식의 비율과 수입 각막 이용 각막이식의 비율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0년부터 2020년까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에서 국내 진행 각막이식 중 전체층각막이식, 전부층판각막이식, 내피각막이식 수와 총 각막이식 수를 파악하였다. 2010년부터 2020년까지 국립장기이식센터(Korea Network for Organ Sharing) 연보 자료를 통해 국내 각막 이용 각막이식 수를 파악하였다. 수입 각막 이용 각막이식 건수는 국내 진행 총각막이식 건수에서 국내 각막 이용 각막이식 건수를 제외하여 얻었다. 결과: 2010년 국내 진행 각막이식 총 802건 중 전체층각막이식 715안(89.2%), 전부층판각막이식 87안(10.8%)이었고, 수입 각막 이용각막이식은 299안(37.3%)이었다. 2020년 국내 진행 각막이식 총 911건 중 전체층각막이식 541안(59.4%), 전부층판각막이식 60안(6.6%), 내피각막이식 310안(34.0%)이었고, 수입 각막 이용 각막이식은 564안(61.9%)이었다. 전체층각막이식은 감소한 반면, 내피각막이식과 수입 각막 이용 각막이식은 증가하였다. 결론: 2010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 진행 각막이식에서 전체층각막이식은 약 30% 감소하였으며, 내피각막이식은 약 30% 증가하였고, 수입 각막 이용 각막이식의 비율은 약 30% 증가하여, 최근 10년간 국내 진행 각막이식에서 내피각막이식과 수입 각막을 이용한 각막이식의 비율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