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흉곽출구증후군에서 사각근 주사요법의 임상적 효용성

        백사무엘,김석,신명호,김태민,이승준,안성진,김상효,권영호 대한수부외과학회 2021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6 No.4

        Purpose: We introduce the novel treatment technique, scalene injection, and study its clinical efficacy for diagnosis, treatment, and pain control for patients with thoracic outlet syndrome. Methods: Between November 2001 and October 2018, 266 patients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ustainability, we checked the numerical rating scale (NRS) for pain relief and neck disability index (NDI) for functional improvements, prior to and 1, 12 weeks after the injection. The safety was evaluated by examining side effects for at least 24 hours from the point of injection. Results: NRS was improved from 7.12 to 3.11 at 1 week, and to 3.05 at 12 weeks (p<0.05). NDI was improved from 15.87 to 6.15 at 1 week, and to 6.19 at 12 weeks (p<0.05). There were two cases of convulsion immediately after the injection and were treated with prompt oxygen supply and sedatives. Transient side effects included two cases of dyspnea and one case of nausea and were resolved within 1 hour after. All five cases showed symptoms of side effects on the day of injection and were resolved within a day. A total of 242 patients (91.0%) experienced immediate declines in NRS and 161 patients experienced persistent declines for more than 12 weeks. However, 24 patients (9.0%) showed no improvement and 20 patients (7.5%) experienced increases in NRS. Conclusion: Scalene injection is also effective as a therapeutic method. However, this study suggests that it must be done with monitoring of vital signs in an operating room for any possible complications and side effects. 목적: 흉곽출구증후군 환자의 진단과 치료, 통증 관리에 사각근 주사요법의 임상적 효용성에 대해 알아본다. 방법: 시술 전후 및 3개월째의 효과 판정을 위하여 통증은 숫자평가척도(numerical rating scale, NRS)로, 기능적 불편 정도는 경부장애척도(neck disability index, NDI)로 평가하였다. 추가로 시술 중과 직후, 다음날까지 발생한 부작용을 조사하여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NRS는 시술 전 평균 7.12에서 시술 1주에 3.11, 12주에 3.05로 호전되었고 NDI는 시술 전 평균 15.87에서 시술 1주에 6.15, 12주에 6.19로 향상되었다(p<0.05). 시술 후 2예에서 발작을 보였으나 즉각적인 산소 공급 및 진정제 투여 후 안정되었으며, 2예에서 호흡곤란, 1예에서 오심을 보였으나 1시간 내로 호전되었다. 5예 모두 시술 당일에만 증상을 보이고 시술 다음날까지 지속되는 부작용은 없었다. 242명(91.0%)에서 시술 후 즉각적인 NRS의 감소가 있었는데 161명은 감소가 12주 이상 지속되었다. 24명(9.0%)은 시술 후 NRS의 호전이 없었고 20명(7.5%)은 1개월 내에 NRS가 상승하였다. 결론: 흉곽출구증후군에서 사각근 주사요법은 진단 목적뿐 아니라 효과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으나, 부작용을 고려하면 수술실에서 활력징후 관찰 하에 시행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대통령의 정치적 리더십이 입법적 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 정치갈등 상황에서 입법적 리더십과 대중적 리더십 요인을 중심으로

        백사무엘,김혁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 2022 분쟁해결연구 Vol.20 No.1

        입법적 성공을 원하는 대통령에게 있어서 입법에 관한 최종 권한을 가진 의회를 상대로 어떤 정치 리더십을 발휘할 것인지는 핵심적인 입법 전략의 내용이 될 수 있다. 고전적으로 의회와의 관계에서 대통령에게 요구되어 온 정치 리더십의 양태는 의회와의 협상과 흥정을 효과적으로 전개하여 입법적 성공을 꾀하는 입법적 리더십이었다. 그러나 정책결정과정의 제도적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의회와의 협상과 흥정이 비효율적이고 불안전한 것으로 여겨지게 되면서 대통령의 관심은 대중에게로 향하게 된다. 즉, 대통령은 유권자인 대중에게 자신과 자신의 정책의제를 직접 호소하여 의회를 압박하는 대중적 리더십을 통해 입법적 성공을 꾀하게 된 것이다. 게다가 통신기술과 다양한 미디어의 발달은 대통령이 대중에게 향할 명분과 수단 모두를 강화시켜주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통령의 입법적 성공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논의되는 입법적 리더십과 대중적 리더십의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그리고 이들 정치 리더십이 대통령의 입법적 성공에 주요한 요인으로 간주될 수 있지만, 다른 요인들도 존재할 수 있기에 대통령의 자원, 정치적 환경 그리고 경제적 환경 등의 변수들을 포함하는 좀 더 설명력이 강한 모형을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입법적 리더십은 대통령의 입법적 성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내에서의 대중적 활동을 통한 대중적 리더십의 발휘는 대통령의 입법적 성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대통령의 자원 가운데 내적자원인 잔여임기와 전문지식의 경우 대통령의 입법적 성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치적 환경 가운데 전국 단위 선거 시기가 대통령의 입법적 성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중적 리더십이 대통령의 입법적 성공에 실증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제한적으로나마 입증하였다고 하겠다. 특히, 대통령이 국내 무대에서 국민들과 직접 대면하고 소통함으로서 개인적 관계를 맺는 시도는 의회에게 상당한 정치적 압박 및 위협으로 작용하여 입법성과에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유추해볼 수 있다. 또한 대통령이 자신과 자신의 정책의제 그리고 국민의 지지와 의회의 협조를 직접적인 내용으로 하여 호소하는 것이 대통령의 입법적 성공에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특정 산업장내의 신경성 흉곽출구증후군의 유병률과 임상적 특징

        김상효,백사무엘,권영호 대한수부외과학회 2016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1 No.3

        목적: 흉곽출구증후군은 임상증상과 유병률이 보고자에 따라 매우 다양한 질환이다. 다양한 원인이 있으며 실제 산업장내에서의 흉곽출구증후군의 유병률과 임상적 특징에 대해서는 보고가 부족하다. 이에 본 저자는 이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05년 1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외래를 방문한 산업장 직원 중 흉곽출구증후군으로 진단받은 환자에 대해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30명의 임상적 기록을 검토하고 설문을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검정하였다. 결과: 이 산업장에서 흉곽출구증후군의 유병률은 9%였으며, 대상군의 나이, 경력, 일의 강도, 작업 노출시간과 팔의 통증 정도 사이의 다중회귀분석 모형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고(p<0.001), 조정 결정계수는 48.9%였다. 결론: 고강도의 작업을 하는 산업장내에서 흉곽출구증후군 환자의 유병률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보다 높으며, 직장으로 조기 복귀를 위해 적절한 진단이 중요하다.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환자의 만족스러운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직장빠른 복귀를 도울 수 있으므로 적극적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ultiple factors as a cause of thoracic outlet syndrome (TOS) in specific industrial field which is a South Korea company manufacturing rolling stock, defense products and plant equipment. Methods: We analyzed questionnaire survey of 30 patients diagnosed as TOS at outpatient department from January 2005 to October 2015 retrospectively. We reviewed clinical records and questionnaire about repetitive task related to microtrauma. Questionnaire was establish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occupational history and TOS. Statistical test was done wi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cidence rate was 9%, all of 30 patients engaged in heavy workload with symptoms of pain in neck and shoulder. A multiple regression was run to predict arm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 from age, force of work, time of work and career. The model of analysis for arm VA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adjusted r2=0.489. Only force of work variable adde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to the prediction, p<0.001. Conclusion: Prevalence of TOS in highly loaded industrial field is higher than typically known, appropriate diagnosis is important for early comeback to work. Aggressive diagnosis and treatment is important since non-operative treatment can have satisfying result for patient and help early comeback to work.

      • KCI등재

        장거리 보행 중 발견된 제 4–5 중족골 결합의 수술적 절제

        조명국,백사무엘,이선근,방청원 대한스포츠의학회 2020 대한스포츠의학회지 Vol.38 No.1

        Intermetatarsal coalition (IC) is very rare; although few cases have been reported in foreign orthopedic journals, these have not originated in our country. We report the case of a 20-year-old man who complained of pain in the left forefoot only during long distance running (3 km). On examination, his foot shape, skin appearance, and gait were normal, with no plantar keratosis; however, the radiograph revealed coalition between the fourth and fifth metatarsals. Surgical excision was performed. In the histopathologic study, fibrous coalition was confirmed. This paper reports an uncommon case involving surgical excision of IC in the military service, involving active sport activity.

      • KCI등재

        전이성 척추 종양 환자에서 고주파 열 용해술 후 척추 시멘트 충전술의 임상적 효용성과 안정성

        김창수,권영호,정소학,백사무엘 대한척추외과학회 2016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3 No.4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 목적: 전이성 척추 종양 환자의 치료와 통증의 관리에 있어 고주파 열 용해술 후 척추 시멘트 충전술의 유용성과 안전성에 대하여 알아본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수술적 절제가 불가능한 전이성 척추 종양에서 고주파 열 용해술과 척추 시멘트 충전술의 병용 치료법은 종양의 괴사율을 높여 국소 재발을 줄이고 이차적인 추체의 안정효과를 얻을 수 있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3월~2016년 4월까지 본원에서 치료한 전이성 척추 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시술을 시행한 26명과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26명에대하여 비교하였다. 두 군 간의 통증의 경감은 VAS (Visual analog scale)를, 생활능력의 수준은 RMQ (Roland Moris Questionnaire-korean version)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통증 경감의 정도는 시술군의 술 전, 술 후 1주, 4주 및 12주의 VAS 점수는 7.45, 3.01, 3.78 그리고 2.97, 방사선 치료군은 7.04, 6.65, 5.87 그리고3.03로 술 후 4주 이전 통증의 경감에서 시술군이 방사선 치료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나은 결과를 보였으나, 술 후 12주 추시 상 유의한 차이는없었다. RMQ 점수는 시술군에서 13.92에서 7.21로, 방사선 치료군에서 15.33에서 9.75로 두 군 모두에서 개선되었다. 척추체 후벽 피질골과 인접한 전이종양을 가진 2명에서 골 시멘트의 척추체 간 공간, 신경공과 신경관 내 누출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여 7.69%의 신경손상을 보였다. 결론: 고주파 열 용해술 후 척추 시멘트 충전술은 전이성 척추 종양 환자의 치료에서 초기 통증 경감에 효과적이며 즉각적인 추체 안정성을 얻을 수 있어일상적인 생활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전이성 척추 종양에서 골 시멘트 누출로 인한 신경 손상의 가능성이 있다.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of radiofrequency (RF) ablation therapy followed by a bone cement augmentation procedure in treating and managing pain among metastatic spine tumor patient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As a metastatic spine tumor is unresectable, this procedure was performed. Results showed an increase in the necrosis rate, and a decrease in local recurrence and secondary vertebral stability.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2007 to April 2016, 26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RF ablation with a bone cement augmentation procedure and the same number of patients treated with radiotherapy for metastatic spine lesion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Pain relief and functional quality of life were evaluated using a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Roland Morris Questionnaire (RMQ). Results: VAS scores preoperatively and at 1, 4, and 12 weeks follow-up were 7.45, 3.01, 3.78, and 2.97 in the procedure group, and 7.04, 6.65, 5.87, and 3.03 in the radiotherapy group. The procedure group had significantly better average outcomes than the radiotherapy group for pain relief at 4 weeks but showed no difference at 12 weeks. The RMQ score improved from 13.92 to 7.21 in the procedure group, and from 15.33 to 9.75 in the radiotherapy group. Two patients who had a metastatic tumor near the vertebral body posterior cortex showed cement leakage into the disc space, that is, intraforaminal and intracanal space; therefore, operations were performed (7.69% nerve injury). Conclusions: RF ablation therapy with cement augmentation in treatment of metastatic spine tumor shows effectiveness in early pain relief and brings immediate vertebral stability, helping patients return to normal life. However, it carries a risk of nerve injury due to cement leakage.

      • KCI등재

        운동 사슬 개념을 사용한 어깨 외회전 운동 시에 정적 및 동적 신체 자세에 따른 어깨 근육 활성도의 변화

        신명호 ( Myung-ho Shin ),정석원 ( Seok-won Chung ),임제민 ( Je-min Im ),백사무엘 ( Samuel Baek ),김태민 ( Tae-min Kim ),오경수 ( Kyung-soo Oh ) 대한스포츠의학회 2020 대한스포츠의학회지 Vol.38 No.4

        Purpose: We aimed to evaluate shoulder muscle activities during shoulder external rotation exercises using an elastic band with the arm at the side or at 90° of abduction in static and dynamic body positions. Methods: In 2017, a total of 19 right-handed male subjec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Surface electromyography signals were recorded from the anterior deltoid, middle deltoid, upper trapezius, lower trapezius, serratus anterior, and infraspinatus muscles. The subjects underwent 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testing of each muscle in the W position or 90/90 position. Subjects performed the exercise in the sitting, static squat, static rotational squat, dynamic squat to standing (DSS), and dynamic squat to standing and trunk rotation (DSSR) positions. Results: The main finding of this study was that shoulder external rotation exercises in the DSSR position were effective in reducing shoulder muscle activities except in the serratus anterior compared with static rotational squat position. Conclusion: DSSR enabled effective control of scapular motion with less shoulder muscle activation. Therefore, the kinetic chain exercises incorporated with lower extremity, hip, or trunk would be beneficial for shoulder muscle exercises, which is required for patients with weak periscapular muscles, in whom the lower trapezius activities were found to be frequently decreased.

      • KCI등재

        초음파를 이용한 요추부 내측 분지 차단술 시 부위별 바늘 삽입 각도 및 깊이 계측

        김창수(Changsu Kim),심대무(Daemoo Shim),이석중(Seokjoong Lee),우영하(Youngha Woo),백사무엘(Samuel Baek),정학순(Haksun Chu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4

        목적: 초음파를 통한 요추부 내측 분지 차단술 시 초음파 기기의 탐촉자를 이용하여 바늘 삽입점의 지표를 설정한 후 부위별 주사침의 각도, 깊이를 계측한 후 자기공명영상 결과와 비교하여 정확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5년 1월에서 2016년 6월까지 요추부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여 초음파를 이용한 내측 분지 차단술 후 호전있는 환자 중 최근 3개월 이내에 요추부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시행받은 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남자 39명, 여자 41명, 평균 연령 63.3세). 각 부위별(제2-3요추에서 제5요추-제1천추까지, 해당 후관절의 위, 아래 분절) 초음파 기기의 탐촉자의 중앙이 극돌기에 오도록 위치시킨 뒤 탐촉자의 양 끝점에서 1 cm 떨어진 지점에서 주사침을 삽입하였고 각 목표점에 닿았을 때의 극돌기와 주사침이 이루는 각도 및 깊이를 측정하였다. 각 해당값이 정규 분포를 이루는지 여부를 평가하였으며 내측 분지 차단술 시 부위별로 계측한 깊이 및 각도와 자기공명영상 계측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일치를 보이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초음파를 이용한 후관절의 내측 분지 차단술에서 부위별 길이(mm) 차의 평균값은 제2요추(7예) 1.28±1.07 mm, 제3요추(25예) 1.27±4.26 mm, 제4요추(93예) 1.63±5.89 mm, 제5요추(141예) 1.99±4.12 mm, 제1천추(66예) 1.51±3.87 mm로 측정되었으며 부위별 삽입각(°) 차의 평균값은 제2요추 1.69°±1.34°, 제3요추 2.03°±5.35°, 제4요추 1.49°±3.42°, 제5요추 -1.55°±3.67°, 제1천추 1.86°±4.83°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각 부위별로 정규 분포를 따랐으나(p>0.05) 유의한 차이 없이 통계적으로 일치함을 보였다(p>0.05). 결론: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시행한 환자의 경우 각 환자별로 의료 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상에서 미리 부위별 계측을 한 다음 초음파를 이용한 요추부 내측 분지 차단술 시 계측한 깊이 및 각도를 이용하여 주사침 삽입을 한다면 초음파를 처음 접하는 시술자들에게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술기가 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ccuracy of proper needle insertion angle betwee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ultrasonography during lumbar medial branch nerve block procedure.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15 and June 2016, 80 people who underwent MRI in the past 3 months with improved lumbar pain after sono-guided medial branch nerve block were enrolled for analysis (male, 39; female, 41; average age, 63.3 years). The insertion angle and depth between the spinous process and needle at each target points were measured at various levels (superior, inferior segment of each facet joints from L2-3 to L5-S1). The needle was positioned 1 cm apart from both lateral sides of the probe, locating spinous process in the middle. A comparative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an ultrasonography and an MRI. We determined the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the two methods. Results: The average differences with respect to the distance between each level on a sono-guided medial branch nerve block were 1.28±1.07 mm in L2 (7 cases), 1.27±4.26 mm in L3 (25 cases), 1.63±5.89 mm in L4 (93 cases), 1.99±4.12 mm in L5 (141 cases), and 1.51±3.87 mm in S1 (66 cases). The average differences regarding the angle of each level were 1.69°±1.34° in L2 (7 cases), 2.03°±5.35° in L3 (25 cases), 1.49°±3.42° in L4 (93 cases), -1.55°±3.67° in L5 (141 cases), and 1.86°±4.83° in S1 (66 cases). All measurements followed a normal distribution (p>0.05), showing statistical correlation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p>0.05). Conclusion: After measuring each level using an MRI prior to performing the procedure, a sono-guided lumbar medial branch nerve block can be performed with greater safety and efficacy, especially for beginners.

      • KCI등재

        급성 전방십자인대 손상 환자에서 조기 재건술과 지연 재건술을 시행한 군의 임상적 결과 및 이차 관절경 소견의 비교

        이수원(Soo Won Lee),김성환(Sung Hwan Kim),이용식(Yong Sik Lee),안병길(Byung Kil Ahn),백사무엘(Samuel Baek),정재훈(Chae Hoon Chu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4

        목적: 급성 전방십자인대 손상 환자에서 조기 및 지연 재건술 간의 임상적 결과와 이차 관절경 소견을 후향적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3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24개월 이상 추시 관찰 가능하였던 급성 전방십자인대 손상 환자 중 수상 후 1주 이내에 경경골식 재건술을 시행한 조기 재건군 21예와 3주에서 6주 사이에 시행한 지연 재건군 15예를 대상으로 하여 임상적 결과, 이차 관절경 소견 및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에서 Lysholm,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Tegner 점수는 양 군 간 차이가 없었다(p=0.173, p=0.154, p=0.109). 신전 및 굴곡 제한, Lachman, pivot shift 검사 등도 양 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808, p=0.680, p=0.377, p=0.894). 이차 관절경 소견(파열의 유무 및 정도, 이식건의 긴장도, 활액막 형성 정도)도 양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 며(p=0.936, p=0.944, p=0.789), 임상적 결과와 이차 관절경 소견 사이의 유의한 상관관계는 관찰되지 않았다(p>0.05). 결론: 급성 전방십자인대 손상 환자에서 조기 및 지연 재건군 모두 만족할만한 임상적 결과와 이차 관절경 소견을 얻었다. 따라서 수 상 후 1주 이내의 조기 재건술도 치료 방법의 하나로 선택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comparison of clinical and second look arthroscopic results between early and delayed reconstruction of acut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injurie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six patients who underwent ACL reconstruction between March 2008 and October 2011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two groups, those in the early reconstruction group underwent surgery before one week, and those in the delayed reconstruction group underwent surgery after three weeks, before six weeks. We checked clinical results and second look arthroscopic results and analyzed correlation of clinical and second look arthroscopic results. Results: At the final follow up, the Lysholm,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and Tegner score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p=0.173, p=0.154, p=0.109). No difference for the range of motion (p=0.808, p=0.680), Lachman test (p=0.377), and pivot shift test (p=0.894) was observed between the groups. In the results of second look arthroscopy, there was no difference in graft continuity (p=0.936), tension (p=0.944) and synovial coverage (p=0.789). No statistical clinical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clinical and second look arthroscopic results (p>0.05). Conclusion: We obtained satisfactory clinical and second look arthroscopic results in both the early and delayed ACL reconstruction groups. Therefore, early reconstruction of ACL performed before one week could be a treatment options for acute ACL inj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