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선족 중학생들의 읽기 효능감과 능력의 상관관계 연구

        방유미(方有美),량홍(梁?)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21 중국조선어문 Vol.234 No.-

        본 연구는 읽기연구에서 학생들의 읽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읽기 효능감과 능력의 상관관계를 연구함으로써 학생들의 읽기능력을 제고시키고저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길시 모 중학교 8학년 한 학급의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읽기 효능감과 능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읽기 효능감과 능력의 상관계수는 0.834로 아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나타났다. 읽기효능감의 5개 하위 요인들 또한 모두 0.4 이상의 상관계수로 읽기효능감과 읽기능력 사이에 상관관계가 존재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하여 본 연구는 조선어문읽기교육에 있어서 읽기전략을 통하여 읽기능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지만 읽기효능감을 높여줌으로써 읽기능력을 제고시킬 수도 있다는 결론을 얻어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했다.

      • ‘어문핵심소양’에 기초한 〈습작〉 - ‘글의 사로와 구성배치’ 교수목표의 설계

        방유미(方有美)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20 중국조선어문 Vol.227 No.-

        본 론문에서는 2017년에 새롭게 제정된 《보통고중 어문과정표준》(2017년)에서 제기한 ‘어문핵심소양’을 기반으로 조선족고급중학교교과서 《조선어문》 필수 2 제2단원에 수록된〈습작〉― ‘글의 사로와 구성배치’의 교수목표에 대한 설계를 하였다. 고중 조선어문교원들에게 이를 참고로 제공하여 학생들의 글짓기능력을 높이는 데 일조하고저 한다.

      • KCI등재

        1920년대 안재홍의 기행수필 연구

        방유미 우리문학회 2022 우리文學硏究 Vol.- No.75

        The tourism policy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unfolded along the same lines as the colonial control policy, and the travel essays written during this reflected the close cooperation between tourism and colonial control. Under changing tourism policies, travel essays written in the 1920s were much more diverse than in other periods. However, research on such essays has largely focused on the works of Choi Nam-seon or Lee Kwang-su, limiting our understanding of the diversity of 1920s travel essays. This study discusses the works of Ahn Jae-hong and evaluates the aforementioned travel essays from multiple perspectives. Choi Nam-seon’s travel essays can be characterized as a “cross-country pilgrimage” and a “historization of Chosun.” His travels stemmed from a religious background, and he sought what made things “characteristically Chosun” through Chosun’s past. Lee Kwang-su’s travel essays can be defined as an aesthetic representation of real-life experiences. Both Choi Nam-seon and Lee Kwang-su’s narratives reflect a compromise with and acceptance of colonial policies, showing no resistance to Japanese rule and a lack of interest in the everyday struggles of the Chosun people. Their works were abstract and idealistic. Ahn Jae-hong was most unique in that he walked a historically different path from the compromising nationalists Lee or Choi as an intransigent nationalist. This is apparent in his writing style, which served to actively and firmly voice his resistance to the policies of colonial control policies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His work may be characterized as sharply criticizing the colonial policies regarding the treatment of Chosun and its people, and he recorded their impoverished lives in detail in a documentary manner. He also wrote of marginalized and forgotten areas as a way to rediscover their value. Ahn Jae-hong’s travel essays from written in the 1920s ware a “discovery” of the modern period of colonized Chosun. His practical account of his travels differs from the abstract works of Lee Kwang-su and Choi Nam-seon, affording us a valuable glimpse of the diverse facets of travel essays composed in the 1920s. 조선총독부의 관광정책은 식민지 지배정책과 궤를 같이하면서 전개되었고, 관광과 식민정책의 긴밀한 호응은 이 당시 발표되었던 기행수필과도 연결된다. 그 중에서도 1920년대는 관광 정책의 변화에 따라 다른 시기의 기행수필보다 훨씬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그런데 그동안 1920년대 기행수필과 관련된 연구는 최남선이나 이광수의 글에 집중되어 왔다. 이는 1920년대 기행수필의 다채로운 면모를 이해하는 데에 한계가 된다. 본고에서는 안재홍의 1920년대 기행수필을 논의함으로써 1920년대 기행수필에 관해 다각적인 평가를 시도하였다. 1920년대 최남선의 기행은 한 마디로 ‘국토 순례’이자 ‘조선적인 것의 과거화’라고 볼 수 있다. 종교적인 순례자로서 여행을 떠난 최남선은 ‘조선적인 것’을 조선의 과거에서 찾으려 했다. 1920년대 이광수 기행수필의 주요한 특징은 현실 체험의 미적 형상화이다. 최남선이나 이광수의 이런 식의 서술은 궁극적으로는 식민 정책에의 타협점으로 귀결되었는데, 식민지배 정책에 관한 저항의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조선 민중들의 삶의 형편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던 데에서도 이러한 특징을 찾을 수 있다. 이들의 기행수필은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내용을 주로 담고 있었다. 안재홍은 비타협적 민족주의자로서 타협적 민족주의자였던 최남선이나 이광수와는 다른 역사적 노선을 지향했다는 점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기행수필 글쓰기와도 연결되는데, 안재홍은 식민 지배 정책에 관해 분명하고 적극적인 태도로 저항하는 목소리를 내는 데 기행수필을 이용했다. 안재홍 기행수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일본인들이 조선(인)을 대하는 식민 지배 정책에 관한 비판을 분명하게 드러내고 있으며, 조선인들의 당시 피폐한 생활상을 기행수필 곳곳에 다큐멘터리처럼 기록하고 있다. 또한 소외된 지역의 가치를 재발견하는 글쓰기로서의 기행수필을 남겼다. 안재홍의 1920년대 기행수필은 근대 시기 식민지 조선을 ‘발견’하는 글쓰기였다. 특히 관념적 기행수필로 대표되는 최남선, 이광수와는 다른 실제적인 기행수필을 남김으로써 1920년대 기행수필의 다양한 면모를 살펴볼 수 있게 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혼종의 시대에 다시 보는 경계적 존재, 자이니치 - 영화 <용길이네 곱창집>을 중심으로 -

        방유미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인문학연구 Vol.- No.6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aspects of representing Zainichi Koreans [在日] in the film Yakiniku Dragon. Since Zainichi Koreans do not belong to South Korea, North Korea, Japan, or Joseon, they are not categorized as a nation-state, and generates border thinking such as ‘in-between’, ‘interstices’, and ‘beyond’ as a hybrid entity that shakes the name ‘Koreans’ and the identity as the ‘Korean people’. This study looked into the reality of Zainichi Koreans with focus on the damaged bodies of the characters in the film as well as the alienated places they live in and examined how these characters trapped in negative perceptions and situations were portrayed. At the same time, by focusing on these characters as beings that create cultural hybrids and that have the potential to cross boundaries, they will be able to serve as a starting point to explain the cultural phenomena that appear in the postmodern world, as well as the power to imagine a new national discourse. Zainichi Koreans that seek coexistence and diversity beyond the dichotomy that arises from modern thinking can be those worthy of research and analysis in the 21st-century Korean society preparing for a pluralistic society and open cultu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