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지속가능한 낙농산업의 길 - 낙농체험목장 10년, 명(明)과 암(暗)
안희경,An, Hui-Gyeong 한국낙농육우협회 2015 낙농·육우 Vol.35 No.8
정부가 농업농촌정책의 기조로 삼고 이번 정부가 국정과제로 채택하며 농업의 미래로 간주되고 있는 6차 산업화. 6차 산업화를 강조하며 미래 농업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가운데 성공적인 6차 산업 모델로 낙농체험목장이 각광받고 있다. 정부 주도적인 사업이 아닌 민간 주도적인 사업으로 낙농진흥회라는 준정부기관이 사업주체로 있기는 하지만 농가들이 주도적으로 사업을 진행, 발전시켰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 낙농체험목장이 낙농진흥회 인증으로 첫 사업을 시작한 이후 10년이 흘렀다. 2004년 1개로 시작된 낙농체험목장은 전국 30여개 인증목장으로 양적 성장을 하고 있다. 그러나 5,000호가 넘는 목장에서 오직 30여개만 낙농체험목장으로 인증을 받았다는 점, 미래를 고민하며 낙농체험목장을 대안으로 생각하고 있는 목장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낙농체험목장은 새로운 전기를 맞아야 한다. 낙농체험목장 10년, 미래를 준비하는 '한국형 체험목장'을 고민해 보고 명과 암을 살펴본다.
안희경,An, Hui-Gyeong 한국낙농육우협회 2010 낙농·육우 Vol.30 No.11
상전벽해(桑田碧海), 뽕나무 밭이 변해 푸른 바다가 된 것은 아니지만, 논 밭만 즐비하던 시골 땅에 하루 아침에 아파트들이 즐비하게 들어서고 공단이 들어선 것은 비단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교통의 발달로 경기도 근교는 서울과 출퇴근 생활권이 된지 오래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도시화의 물결은 점점 농촌 깊숙이 파고들고 있는 형편이다. 이러한 도시화로 피해를 입고 있는 많은 산업들이 있겠지만 그 중에서도 축산업은 최대 피해자라고 볼 수 있다. 축산업을 평생의 업으로 삼고 살아온 축산인들에게는 보상금 보다 산업을 지속적으로 영위할 수 있는 것이 가장 우선되기 때문이다. 모든 산업이 마찬가지겠지만 도시화가 가장 가속화되고 있는 경기도 일대에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이고 있는 낙농업의 경우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공단과 신도시 개발 등으로 터전을 잃고 있는 낙농가들이 한해해만 몇십 농가가 된다는 것이 업계의 증언이다. 도시화로 인하 목장 이전의 문제점은 무엇이고 성공적인 이전을 한 농가의 성공요건을 낱낱이 분석한다.
Human and Environmental Risk Information for Perfluorinated Compounds (PFCs)
안희경 한국공업화학회 2020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20 No.-
우리나라는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화학물질의 등록, 신고 및 유해성, 위해성에 관한 심사, 평가, 유해화학물질지정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본 규제에 따라 연간 1톤 이상 제조 및 수입하는 기업은 2030년까지 기존화학물질을 등록해야 한다. 과불화화합물은 탄화수소 사슬의 수소가 불소로 치환된 화합물로서 방수, 방오 기능성 소재로 다양한 산업분야에 활용되어 왔으며, 열화학적으로 안정하며, 난분해성으로 환경 내 약 40년 이상, 인체 내 5~6년간 잔류하는 발암성 독성물질이다. 2018년 5월 구미에서 과불화화합물이 유출되어 낙동강 취수원 오염 문제가 심화되면서, 이들 유해화학물질 관리 대책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화학물질 정보는 물질 등록을 이행하는 제조 및 수입 기업뿐만 아니라 위험 노출을 우려하는 국민들을 위해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본류와 지류에서 검출되는 PFOS, PFHpA, PFOA, PFNA, PFDA, PFUnDA, PFDoDA 7종 과불화화합물을 대상으로 한국, 미국, 유럽, 일본, 호주 등 정부기관의 화학물질 DB가 제공하는 물질 정보를 분석하고 서비스 현황을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