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휴머니즘에 기반한 인공지능 협력 미술:이론적 기반, 성격, 그리고 미술교육의 방향

        박휴용 한국미술교육학회 2023 美術敎育論叢 Vol.37 No.2

        This paper seeks to examine the changing characteristics and approaches of art activities and education within current trends, employing the theoretical lens of posthumanism and the practical element of AI-assisted art.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post-human art and what principles and practical examples does it have? Second, what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exist between post-human art and technology-based art? Third, what is the theoretical basis of AI-assisted art and the educational direction for its practice? The core claims of this paper are: First, posthuman art creates works embodying a monistic blend of nature and materiality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human and non-human, leveraging the fusion of technology and art. Second, technology-based art is interactive, dynamic, and interconnected, with AI-assisted art unveiling AI's potential in art ontology, analysis, appreciation, and education, and the aesthetic valuation of art. Third, posthuman art education aims to comprehend the interdependencies among humans, non-humans, technology, and nature through creative, sustainable activities underpinned by posthumanism. This paper’s discussion will be able to refresh the academic discourse on the direction of practice and education in the field of art. 본고는 디지털 기술과 인공지능의 급격한 발달 속에서 미술 활동 및 미술 교육의 성격과 방법론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를 포스트휴머니즘이라는 이론적 틀과 인공지능 협력 미술이라는 실천적 양상을 통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본고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트휴먼 미술이란 무엇이고, 어떤 원리와 실천적 사례를 가지고 있는가?, 둘째, 포스트휴먼 미술과 기술기반 미술은 어떤 특징과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가?, 셋째, 인공지능 협력 미술의 이론적 기반과 그 실천을 위한 교육적 방향은 무엇인가? 이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논의한 본고는 핵심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트휴먼 미술은 기술과 예술의 융합을 바탕으로 예술적 행위의 주체로서 인간과 비인간의 구분 없이 자연성과 물질성(기계성)의 일원론적 통합이라는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미술적 작품들을 생성하는 활동이다. 둘째, 포스트휴먼 미술의 실천으로서 기술기반 미술은 상호작용성, 역동성, 상호연결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고, 그 일례인 인공지능 협력 미술은 인공지능의 예술적 주체로서의 가능성과 인공지능 기술과 인간 예술가와의 상호의존성(존재론), 미술 분석, 작품 감상, 그리고 미술 교육의 측면(인식론), 그리고 창작물의 가치나 미학적 기준(가치론)을 새롭게 제시해주고 있다. 셋째, 포스트휴먼적 가치지향성을 바탕으로 창조적이고 지속 가능한 미술 활동을 통해 인간과 비인간, 기술과 자연 사이의 상호의존적인 관계성을 이해하고 공생을 실천하려는 것이 포스트휴먼 미술교육의 목표이다. 본고의 논의는 최근의 급격한 기술적 변화 속에서 미술 영역의 실천과 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학계의 논의를 환기시킬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메타버스 환경 속 가상학습의 이론적 토대 및 유형, 그리고 수업의 실제

        박휴용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2 교사교육연구 Vol.61 No.1

        본고는 메타버스 속에서의 가상학습이 학교교육에 가져올 변화와 그에 따른 교수학습 전략이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이 주제를 다루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i) 메타버스 환경 속에서의 인간의 경험과 학습은 어떻게 변할 것이며, 그러한 가상학습의 가능성과 한계는 무엇인가, ii) 가상학습의 유형과 특징, 그리고 교육적 활용성은 어떠한가, 그리고 iii) 메타버스에 기반한 기술적 도구들이 어떻게 실제 수업에 활용될 수 있는가이다. 이 세 가지 질문을 기반으로 본고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 있다. 첫째, 오늘날 디지털화, 네트워크화, 가상화(사이버화)되고 있는 기술적 변화는 학생들의 학습과 소통의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둘째, 메타버스에서는 신체성, 감각성, 정서성 등을 자극하는 탈인지적 경험이 훨씬 더 중요하므로, 학교교육의 지식과 수업매체도 그러한 가상적 경험의 특성에 맞게 변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메타버스에 기반한 학습은 다양한 디지털 학습플랫폼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학습성향이나 관심도의 차이, 기술적 매체에 대한 능숙도, 개별적 수준과 학습진도에 따라 상이한 학습과정을 보여주게 될 것이다. 넷째, 가상학습은 증강현실, 생활기록, 거울세계 등의 다양한 유형을 가지며, 각각 서로 다른 학습의 목표에 맞추어 학교교육에서 활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메타버스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온라인 학습플랫폼은 다양한 수준과 관심사를 가진 학생들의 자발성과 흥미, 그리고 팀워크를 촉진하면서 여러 교과들의 실제 학교수업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고는 메타버스라는 기술적 환경이 학생들의 학습과 소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학계와 교육현장의 논의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War Against School Violence”: Discourse Analysis of Korean Schools’ Struggling with School Bullying

        박휴용 韓國敎育思想硏究會 2013 敎育思想硏究 Vol.27 No.1

        본 논문은 최근 한국의 학교교육에 만연된 집단괴롭힘 현상과 관련하여 교사 및 학생들의 담론을 분석하고, 그 대안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집단괴롭힘 등으로 인해 학생들이 자살로까지 내몰리는 이러한 현실이 오늘날 학교에 만연된 폭력적 문화에 있다고 보고, 그 원인을 위계화된 학교구조 및 교권의 실추에서 찾고자 하였다. 본고의 논의를 위해, 우선 학교폭력의 개념 및 그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개념적 틀을 바탕으로, 최근 우리나라 학교에서의 집단괴롭힘의 실상을 매체에 소개된 자료를 중심으로 학교폭력을 바라보는 학교관련 주체들의 담론을 분석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무엇보다 학교에서의 폭력적 문화를 근절하고 배려의 문화를 촉진하기 위해 위계화된 학교조직 보다는 보다 민주적인 학교조직을 만들어감과 동시에 실추된 교사의 권위를 살리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강조하였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관용의 문화가 학교교육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에 대한 논의와 실제적으로 학교폭력을 줄이기 위한 대안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cent struggles in Korean society with the issues of school bullying. By discussing school bullying in the public schools, this paper argues that it is the culture of violence that consists of chronic exercises of violence, loss of teacher’s authority, and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among the members of the school milieu. To highlight this argument, this paper first illustrates the actual state of school bullying and violence in Korea. This paper then discusses the original causes of school bullying by analyzing the opinions of school members. Based on these arguments, this paper stresses that in order to overcome the culture of violence and to restore the culture of tolerance in Korean schools, it is necessary to nullify the power hierarchy and strengthen teachers’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Other strategies of preventing school bullying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점자악보(Braille Music) 관련 주요 논점 분석과 향후 연구를 위한 기호학적 탐색

        박휴용 교육종합연구원 2016 교육종합연구 Vol.14 No.4

        This study purposes on developing the affordances of Braille music for the MVI(Musicians with Visual Impariment) under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semiotics. Under the purpose, this study firstly reviews the backgrounds of the development of (literary and music) Braille and the literature on the theory and practices of Braille in music education. Then, this study identifies the current contradicting issues on Braille and discusses the problems that Braille music is embedded in.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key notions and criteria for revising Braille music from the seminal concept, affordance: the three elements of Braille music affordance, i.e. mediational means, appropriation, mastery, and the three criteria, i.e., adaptability, learnability, availability. Based on this semiotic framework of Braille music, further studies will be forstered on the redeveloping the structure and practices of Braille music education.

      • KCI등재

        학교구성원들의 정체성과 담론들 간의 역동적 관계: 자율형공립고의 사례분석

        박휴용 교육종합연구원 2016 교육종합연구 Vol.14 No.1

        By adopting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ynamic relationships among the identities of school agencies on the implementation of certain educational policies. Based on Castells’ (2004) theory of the types of identities(projective, legislative, & resistance identity) and Rogers’ (2004) theory of dynamic interactions among the identities (alignment, conflict, & negotiation). this paper analyzes the identities of school agencies(e.g., principals, teachers, and parents/students)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Autonomous Public High Schools(APHS). The participating schools of this study are 5 APHS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or these schools, school executive summery and survey data for the implementation of APHS programs are analyzed. In addition, interviews were administered with the principals, teachers, parents/students in each school. The results are: first, each school has idiosyncratic intents of applying for the APHS program, which are exactly represented in their voices or identities. Second, the identities of the school agencies interact dynamically with each other in terms of alignment, conflict, or negotiation, which are well surfaced in their requests for consulting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This paper’s discussion may provide an exemplary model for analyzing the voices or identities of school agencies upon the implementation of governmental school policies.

      • KCI등재

        포스트휴머니즘의 윤리적 패러다임과 기독교 윤리

        박휴용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2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2

        Witnessing the crisis of ecological environment and the unpredictable progres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this paper ventures to convene posthumanism to discuss how the paradigm of ethics should be changed for the upcoming posthuman society. To address this theme, this paper set up four research questions in terms of ontological and axiological perspectives: First, what is the nature of posthuman beings and how can the category of the humanness be expanded?, Second, how can the humanistic notions of subjectivity, self-identity, human rights, and freedom be applied to posthuman beings and what contradictions thess attempts might bring about as the matter of ethical considerations? Third, what kind of arguments might be emerging when we propose new ideas about posthuman ethics? And fourth, what can the supportive theories of posthumanism be used in establishing new paradigm of posthuman ethics? The core findings of this paper’s discussion are as follow: First, three main issues need to be discussed for considering posthuman ethics, which are post-humanistic dignity, the entanglement of posthuman beings, and the posthuman bio-politics. Second, the paradigm for posthuman ethics may consist of four kernel sub-theories of posthumanism, which are eco-feminism, vitalism, non-representative theory, and biopolitcs. This paper’s suggestion may entice the discussion of posthuman ethics in the field of humanities and can give some useful insights for this issue. 본고는 급격한 생태적 위기와 기술적 발전이 동시에 일어남으로 인해 인류의 삶과 존재 방식이 포스트휴먼적 성격으로 변해가고 있음에 주목하고, 포스트휴머니즘의 관점에서 윤리학의 패러다임이 어떻게 변해야 할 것인지를 논의하고 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다음 네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포스트휴먼적 존재란 무엇이고, 그에 따라 ‘인간’의 범주가 어떻게 확장될 수 있는가?, 둘째, 포스트휴먼적 존재를 위해 주체성, 자기정체성, 인권, 자유의 개념은 어떻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윤리학적 범주의 확장에 대해 어떤 논란점이 있는가?, 셋째, 포스트휴먼적 윤리학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논쟁점들은 어떤 것이 있는가? 마지막으로 넷째, 포스트휴먼 윤리학의 패러다임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관점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 네 가지의 질문들에 대한 논의 결과, 본고는 포스트휴먼 윤리의 핵심논점으로는 탈인본주의적 존엄성, 포스트휴먼적 존재들 간의 관계성, 그리고 포스트휴먼 생명정치학의 관점들을 논의될 필요가 있고, 그에 따라 포스트휴먼 윤리학의 패러다임은 생태페미니즘, 생기론, 비대표성이론 그리고 생명정치학의 이론들의 관점을 기반으로 수립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고의 논의는 향후 포스트휴먼 사회의 윤리적 문제들에 대한 학계의 논의에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시해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신전문경영주의에 기반한 시장주의적 교육개혁하의 교사책무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박휴용 교육종합연구원 2018 교육종합연구 Vol.16 No.3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investigate the discourses on teacher professionalism under the ideology of marketized education reform. This paper adopts three main research questions: i) what is the natures teacher professionalism, proposed by the ideology of marketized education?; ii) what are the effects of it on public education and the role of teachers?, and iii) what could be the strategies of teacher responsibility, resisting to the market-based teacher professionalism discourses? Regarding these questions, this paper, first of all, critically reviewed the ideas and substances of the New Professional Management (NPM); second, compared the notions of teacher professionalism and teacher responsibility by highlighting that the latter would better address the social obligation of teachers for their public roles; third, based on Foucault's governmentality theory, analyzed how NPM deviates the purpose of public schools and distorts the role of teachers; and finally, suggested alternative attitudes and strategies of teacher responsibility against NPM. This paper's discussion may trigger echoes from the academy and classroom teachers for the issues of teacher professionalism.

      • KCI등재

        포스트휴먼 리터러시- 개념 및 범주, 이론적 기반, 그리고 교육의 방향

        박휴용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0 리터러시 연구 Vol.11 No.1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transitions of the forms and natures of literacy, in the context of sheer ICT (Information-Computer-Technology) development and the emergence of new media. This study ventures to discuss the following four research questions, to support the rationale and the validity of the new term, posthuman literacy: First, what are the trajectories of the concepts of literacy and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posthuman literacy?; Second, what areas of study and practice fall into the category of posthuman literacy?; Third, what is the theoretical basis of posthuman literacy?; Fourth, what are the major fields of interest in posthuman literacy research and the directions of posthuman literacy education? The main points of argument can be epitomized as follows: first, posthuman literacy is based on the philosophy of flat ontology and equal relationship among all creatures in the universe; second, posthuman literacy accepts and enjoys multimodal, critical, virtual/hybrid styles of literacy; third, posthuman literacy firmly stands on the four theoretical positions of new materialism, actor-network theory, non-representative theory, and post-phenomenology; and fourth, posthuman literacy aims to investigate the issues of affection, materiality, and virtuality of literacy practices. 본고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나타난 리터러시의 성격과 형 태의 변화를 포스트휴먼 리터러시란 용어를 통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본고 의 논의는 네 가지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첫째, 리터러시의 발달 과정과 포스트휴먼 리터러시가 등장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둘째, 포스트휴먼 리터러시의 범주는 어디까지인가? 셋째, 포스트휴먼 리터러시의 이론적 기반은 무엇인가?, 그리 고 넷째, 포스트휴먼 리터러시의 대안적 연구 주제와 교육의 방향은 무엇인가? 본고 에서 논의한 주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트휴먼 리터러시는 일원 론적 철학과 탈인본주의적 세계관을 기반으로 세상 속 모든 존재들 간의 평등한 관계 성을 기반으로 한 소통과 상호작용에 목표를 두고 있다. 둘째, 포스트휴먼 리터러시 는 양식성(디지털 리터러시), 핵심적 관점(탈인본주의 리터러시), 방향성(비판적 리터러시), 그리고 성격(혼성적 리터러시)에 따라 네 가지 영역으로 구분되어 논의되고 있다. 셋째, 포스트휴먼 리터러시의 핵심원리들은 포스트휴머니즘의 네 가지 주요 이론인 신물질 주의, 행위자-망이론, 비대표성이론, 그리고 포스트현상학을 통해 이해될 수 있다. 넷 째, 포스트휴먼 리터러시는 기존의 리터러시 이론에서 등한시되었던 정서의 재발견, 담론의 물질성, 그것을 가상적 정체성의 문제에 더 큰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아울 러 포스트휴먼 리터러시 교육이 학교 교육의 범주와 포스트휴먼적 존재성을 확장하 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강조하였다. 본고에서 논의한 포스트휴먼 리터러시는 급 속히 발달하는 정보통신기술 환경 속에서 리터러시 연구와 실천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해주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영어학습 플랫폼으로서의 ChatGPT 활용 방안

        박휴용 영상영어교육학회 2023 영상영어교육 (STEM journal) Vol.24 No.3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potential of ChatGPT to serve as a comprehensive English learning platform for public school context by analyzing previous literature and current AI-based chatbots. To this end, the study investigated the potential of ChatGPT through four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educational possibilities of English learning chatbots?; Second, what ar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English learning chatbots when applied in classroom lessons?; Third, how can ChatGPT be utilized in classroom lessons?; Fourth, how can ChatGPT be utilized when applied to an intelligent adaptive learning model? The main conclusions of this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the capabilities of AI-based English learning chatbots rely o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bilities, conversation modeling, providing dynamic feedback to learners, and offering personalized learning experiences which are lack in existing AI chatbots. Second, conventional English learning chatbots have been utilized in school education as free conversation apps, debate-specific bots, and integrated learning platforms. Third, ChatGPT has the potential to be integrated into a language learning platform and applied in formal learning environments. Finally, this paper proposes a plan to utilize ChatGPT in the context of an intelligent adaptive learning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