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홀리스틱 교육의 교육사상적 조명

        송민영(Song, Min-You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4 敎育思想硏究 Vol.14 No.-

        홀리스틱 교육론은 제반 교육사상 문맥과의 연관을 통하여 점차 그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현대 및 전통교육사상의 각각의 계보와도 내재적인 대화의 요소를 갖고있기 마련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홀리스틱 교육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홀리스틱 교육의 유래 및 교육비전 10원칙, 교육과정이론 및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에, 서양교육사에 있어 홀리스틱 교육의 조류를 고대 그리스․로마의 홀리스틱 교육과 근대 이후의 홀리스틱 교육의 조류로 나누어 살펴보고, 홀리스틱 교육 사상이 갖는 의미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홀리스틱 교육사상이 대두되게 된 배경과 함께 홀리스틱 교육 사상이 극복해야 할 문제들을 북미에서의 자성적 비판론자들의 의견과 함께 제시하였다. 이어서 대표적인 홀리스틱 교육론자인 J.Miller의 발자취를 통해 홀리스틱 교육에 대한 이해를 깊이하고, 현대교육 사상 및 한국의 전통교육 사상 중 원효, 율곡의 교육사상을 중심으로 홀리스틱 교육론과의 대화를 시도하였다. Holistic education, a prominent educational thoughts today, has been being shaped through the dialogue with various educational thoughts. It has been sharing intrinsic and common elements which may stimulate dialogue with other traditional and modern educational thoughts. Frist, in the paper, I explored the origin and ten principles of holistic education, holistic curriculum, and holistic teaching-learning method. Second, I inquired into the Western educational history, and traced holistic educational constituents in Greco-Roman educational thoughts and in the modern West. Third, I investigated further the background from which holistic education emerged to make clear the historical and cultural implications of holistic education. I also pinpointed the tasks and limitations of holistic education which it must cope with, introducing the self-criticisms of holistic educators and scholars in the North America. Fourth, I analyzed J. Miller's holistic education. It is a good and concrete example of holistic education, and contains East-West dialogue as its essential part. Furthermore I facilitated the dialogue among holistic education, modern educational thoughts, and traditional Korean educational thoughts of Won Hyo and Yul Gog. In the modern world history, the West played the central or active role in studies including educational thoughts. On the other hand the East was marginalized. Today, however, we need East-West cooperation. "Korean holistic education," which is both Korean in terms of particularity and global in terms of universality, may contribute to the global village, regardless of East or West. Besides, after the model of "Korean holistic education" we, Koreans, can create and develop "Korean philosophy," "Korean economics," "Korean politics," and the like.

      • KCI등재

        한국 고대 교육사의 연구 현황과 과제 : 삼국시대 이전의 연구물을 중심으로

        안경식(安京植)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5 敎育思想硏究 Vol.17 No.-

        이 논문은 우리나라 역사의 출발점인 고조선의 교육을 비롯한 삼국시대 이전의 교육사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기 위해 쓴 글이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의 세 가지다. 첫째, 우리나라 교육사의 출발점에 대한 교육사학자들의 인식을 검토하였다. 둘째, 지금까지의 삼국시대 이전의 교육사 관련 연구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셋째, 연구 현황에 나타난 문제점은 무엇이며, 앞으로 어떤 식으로 고대교육사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인가를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이 시대의 교육사 연구는 다른 시대에 비해 상당히 빈약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것은 역사 연구가 사료를 바탕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는데, 이 시대와 관련된 사료가 제한되어 있다는 것이 주된 이유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교육사는 가치와 의미의 탐구사가 되어야 한다고 볼 때, 고대 교육사 연구는 ‘만들어진’ 역사에 대한 탐구로서만 구성될 수 없고, ‘만들어가는’ 역사라고도 할 수 있기에 연구의 부진을 자료의 탓으로만 돌릴 수는 없다. 本文旨在以文獻硏究方法, 探討硏究對三國時代以前韓國古代敎育史的成果, 呈現出硏究韓國古代敎育史上課題. 本文包括緖論, 共分四章, 各章硏究主題及內容如下: 第一章: 緖論. 提示硏究問題和硏究方法. 第二章:探討敎育史學者之看法對韓國敎育史出發點. 透過國敎育史學者之時代區分論, 探討韓國敎育史之出發點. 第三章: 探討硏究成果. 探討敎育史硏究成果對三國時代以前, 主要是對古朝鮮的硏究成果. 第四章: 向後課題. 本文之結論如下. 硏究古代敎育的學者和硏究成果都?不豊富, 其主要原因是史料之不足. 但從敎育學之觀點而言, 敎育史是一種價値史. 硏究古代敎育史的學者, 積極呈現出自己的敎育哲學, 籍供後代敎育史學者之參考.

      • KCI등재

        교육사상의 연구 방법에 관한 한 시론

        팽영일 韓國敎育思想硏究會 2013 敎育思想硏究 Vol.27 No.2

        사상 연구는 아직 독립적인 학문으로 정립되어 있지 못하여 연구 방법이나 대상이 다양하고, 접근 방법 또한 명확하게 확립되어 있지 않아 정치사상, 경제사상, 사회사상, 예술사상, 종교사상, 윤리사상, 문학사상, 교육사상 등 여러 종류의 사상들이 다양한 접근방법들을 통해 연구되고 있다. 교육사상은 인간상, 다음 세대에 대한 기대, 자연적, 사회적 조건의 변화가 인간의 성장 발달에 초래한 영향에 대한 생각, 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제도에 관한 종합적인 관념 등을 토대로 하여 성립된다. 이 연구는 교육사상의 연구 방법에 관한 한 시도로서 여기에서 말하는 교육사상이란 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관한 체계적인 인식으로서 교육관, 교육철학과 같은 의미로 쓰이기도 하지만 교육현상에 관한 관념적인 대안으로서 교육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원리들을 체계적으로 서술하고 있는 것을 지칭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사상의 연구 방법을 역사적인 접근과 철학적인 접근으로 대별하고, 구체적인 접근 방법으로서 문헌적인 접근법에서부터 변증법적, 비판이론적 접근법까지 여러 연구 방법들을 개관한 후 교육사상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였다. 교육사상의 연구는 연구 대상과 연구자의 접근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연구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역사적, 철학적인 접근 방법은 서로 협력하고 서로 보완하고 통합되어야 교육사상의 전체적인 온전한 파악이 가능해 질 것이다. Research of thought of education is not yet an established field of study, which leads to various research methods and subjects regarding this field. Also, the approach to this field of study is not clearly established making these studies become a research approached through a variety of thoughts such as political, economical, social, artistic, spiritual, literary, and educational thoughts. Thought of education i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expectations on the next generation, thoughts of the influences of the changing environmental and social conditions on the development of mankind, and the overall idea of the purpose, text, method, and system of education. This study attempts an essay of research methods of thought of education. The thought of education mentioned here means not only a systematic view of education regarding theory and practice, but it also includes an alternative view in educational practices, which describes the principles in fulfilling the purpose of education. This study classifies the research methods of educational thought according to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approaches. The specific approach to these methods were to use literary, dialectic, and critical ways, which are overviewed in this essay. Research of educational thought can be studied variously according to the approach of the researcher and subject of study. However, both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approaches should be used in cooperation, and supplement and integrate each other in order to fully comprehend thought of education.

      • KCI등재

        코메니우스 평화교육사상의 성격

        강기수(Kang, Gi-Su)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9 敎育思想硏究 Vol.23 No.1

        이 연구에서는 ‘평화의 사도’라 불리는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을 근거로, 그의 평화교육사상을 고찰하고, 그 성격을 구명하였다. 먼저 코메니우스의 평화교육사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그의 사상 형성 배경이 되는 민족적, 신학적 배경과 그의 교육사상의 기저가 되는 하나님과 인간, 자연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특히 하나님과 인간, 그리고 자연은 그의 교육사상의 궁극적인 목적이었던 인간교육의 실현과 평화로운 인류공동체의 건설의 근거가 된다는 점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코메니우스의 평화교육사상은 주로 ‘범지학’과 ‘범교육’을 통하여 전개되었고, 민족의 회복과 신앙의 통일을 넘어 전 인류의 화합과 평화를 실현하려는 세계평화론으로 발전되었으며, 이는 오늘날의 각종 세계 평화기구의 설립을 위한 이론적 토대가 되었다. 이러한 코메니우스의 평화교육사상은 종교적이면서도 종교교육을 초월하고 있고, 인간존엄성과 인류애, 그리고 평등사상에 근거하고 있으며, 이론적이면서도 실천지향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지나치게 종교적이며, 낙관적이라는 한계를 지니고 있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평화교육사상은 온 인류의 하나됨과 화해, 그리고 인류 공동체의 공영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대를 앞서가는 진정한 평화교육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Das Ziel von der Forschung ist, daß Wir friedlichen Pädagogiksgedanken von Comenius betrachten und Pädagogischen Charakter(wesen) davon erforschen. Um friedlichen Pädagogiksgedanken von Comenius zu verstehen, haben Wir Betrachtung über Zeits-, Volks-, und Theologies hintergrund, Hintergrund von seiner Gedankensgestaltung zu werden, und Gott, Menschen und Natur, Basis von seinem Pädagogiksgedanken zu werden, angesteut. Vorwiegend wurde der friedliche Pädagogiksgedanke durch Pansophia und Pampaedia ausgeführt, und auch sein friedlicher Pädagogiksgedanke wurde sich über Volkswiederherstellung und Religionseinheit(Glaubenseinheit) zur Weltfriedensgedanke entwicklt, Einklang und frieden von allen Menschen auszuführen. Der friedliche Pädagogiksgedanke von Comenus ist religiöus und auch noch überspringt Religionspädagogik und liegt auf Grund von Würde von Menschen, Menschenheitsliebe und Gleichheitsgedanken, und sein friedliher Pädagogiksgedanke ist auch theoretisch, aber erhält den Charaker von Praxis-zielsetzung. Der friedliche Pädagogiksgedanke von Comenius ist übertreibend religiöus, erhält auch Begrenzung von “Optimismus”, aber von Standpunkt, allgemeinen, weltlichen Friedenspädagogik zielzusetzen, ist das sozusagen, “der die Zeit vorgehende ehrliche Friedens-Pädagogiksgedanke”.

      • KCI등재

        한국의 교육철학 연구 동향(2011-2020) : 『교육철학연구』, 『교육사상연구』, 『교육철학』을 중심으로

        우정길(Woo, Jeong-Gil)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1 敎育思想硏究 Vol.35 No.4

        본 연구는 지난 10년(2011-2020)의 한국 교육철학계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의 교육철학계를 대표하는 3종의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총 897편을 귀납적 방법과 다중코딩의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당 기간 한국의 교육철학계는 전통적으로 교육철학의 연구과제로 인식되어 온 교육의 본질과 토대에 대한 탐구를 균형 있게 지속하였다. 이에 더하여 교수・학습 및 교육의 과정 전반으로 관심을 확장하였으며, 동시에 교육이 발생하는 공간과 기관에 대하여도 연구의 관심을 구체화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한국 교육철학계의 두드러진 특징인 인물・사상가 연구는 여전히 대단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그중 유럽의 인물・사상가 연구 및 듀이 연구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동시에 아시아・한국의 인물・사상가 연구도 적지 않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해당 기간에는 가치・윤리교육, 전인・인격・인성・개성교육, 세계시민교육, 인문・교양교육, 자유교육, 심미・예술교육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였으며, 초중등 교과교육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졌다. 넷째, 특정 지역・시대・종교 영역에서는 한국・일제강점기・유교에 대한 연구 빈도가 높았다. 마지막으로, 학교 현안과 관련된 교육의 제도・정책・정치 및 현대사회의 다양한 현안에 대한 연구도 적지 않은 빈도로 이루어졌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in philosophy of education in Korea based on 897 articles published in three major journals in this field from 2011 to 2020 using the method of inductive categorization and multiple coding. The research tren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Korean researchers in philosophy of education have shown their persistent and balanced enthusiasm for foundations of education; subjects of education, educational relationship, human and structural condition of education and purpose of education. In addition to it, they have extended their research to the whole process of education, namely teaching-learning, curriculum and evaluation as well as the field/institution of education. Second, study on thinker, the predominant feature of research in Korea, showed high frequency in the last decade. Modern-European thinkers and J. Dewey were the most frequent subjects in this category. Third, studies on value and morality, personality and whole person, civil and general education, liberal and aesthetic education as well as school curriculum education were reported frequently. Fourth, in terms of specific region, period and religion, the researchers showed high interest for Korea,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Confucianism. Lastly, it is proven that researchers in philosophy of education were not immersed in the foundations of education and self reflection, but they expressed keen interests for educational system, law and politic, contemporary social issues which can influence on education and can be influenced by education.

      • KCI등재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분석을 통해 본 한국교육사상학회 30년간 발표논문 동향과 시사점

        최진(Jin Choi),장윤선(Yoonsun Jang)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2 敎育思想硏究 Vol.36 No.2

        이 글은 부산 경남지역에서 교육사상을 연구하는 한국교육사상학회에서 지난 30년간 이루어졌던 발표 및 연구경향성을 통해 우리나라 교육사상 연구의 고유성에 대하여 생각해볼 만한 지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991년 제1회부터 90회까지 총 341번 이루어졌던 발표주제의 경향성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최근 비정형데이터의 분석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인 LDA 토픽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30년간의 발표주제들은 크게 네 가지로 범주화할 수 있었는데 첫 번째 주제로는, 어떠한 사안이나 텍스트로부터 교육사상의 ‘교육적, 혹은 교육학적 의의’를 도출하려는 교육 본질에 대한 탐구로 모아졌다. 두 번째는 당대 이슈가 되고 있는 ‘교육현안이나 과제, 혹은 사회에 대한 교육학적 분석이나 전망’ 등의 주제로 모아졌고, 세 번째는 ‘한국교육 고유의 특성’을 이해하거나 ‘학교, 교사의 문제’를 연구하는 주제, 마지막으로 네 번째는 ‘동서양을 아우르는 사상가에 대한 연구’나 그 사상가의 개념 혹은 사유에 대한 연구로 모아졌다. 이 네 가지 주제 모두에서 “서양근대사상가”라는 용어가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국내의 교육사상 및 교육철학 연구가 지니는 일인칭적 글쓰기 방식인 고유한 ‘행위’로서의 연구방법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아울러 실천적 교육학과 교육과학이 협업해야 할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to provide future directions of Korean educational idea research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presented in KEIA. A total of 341 research topics presented since 1991 were analyzed using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topic modeling, which is a text mining technique that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According to the LDA analysis, the research topics presented for 30 years were classified into four topics. The first topic was about an exploration of the essence of education so as to discover the ‘educational or pedagogical meaning’ from specific issues. The second topic was about analyzing and prospecting ‘the current issues or tasks of education.’ The third topic was about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education’ or ‘studying the problems of schools and teachers’. Lastly, the fourth topic was about Eastern and Western scholars and their concepts or thoughts. The term ‘Western modern scholars’ appeared frequently over these four topics, and this result was suggested that the first-person writing “action” is the unique research method in domestic educational ideas and philosophies Furthermore, this study was suggested the need of collaboration with practical and scientific approaches to research in educational idea and philosophy of education.

      • KCI등재

        교육사상(敎育思想)의 학문적 정체성 Ⅱ

        김석완(Kim Suk Wa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5 敎育思想硏究 Vol.29 No.3

        이 논문은 "교육사상의 학문적 정체성"(교육사상연구, 27-1)의 후속 연구이다. 교육사상은 하나의 논리와 통일적 설명으로 해명하기 어려운 속성을 지니는 말이다. 따라서 교육사상이라는 낱말의 단일한 본질이나 그것이 가리키는 지시적 대응관계가 아니라 교육사상이라는 표현이 그 구체적 사용의 맥락에서 드러내 보이는 의미작용의 다양성과 복잡성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아이 기르기와 관련된 느낌이나 감정, 풍속이나 습관, 신념이나 사유 그리고 지성, 상상이나 공상이 일상의 삶 속에서 만들어내는 다양한 의미작용과 그것이 낳는 관습적ㆍ제도적 결과 모두 교육사상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교육사상 연구는 추상적 개념이나 이론이 아닌 구체적 보편을 추구한다. 이것은 고유한 생명 현상을 다루되 초월적 보편성을 지향한다. 교육사상 연구의 심층구조는 크게 세 가지 계기로 이루어진다: 첫째, 교육사상의 배경이 되는 구체적 현실에 대한 분석과 이해하고, 둘째, 연구자의 현시대적 수용과 평가의 과정을 거쳐야 하며, 셋째, 궁극적으로 자아전환을 목표로 한다. 교육사상 연구는 인간의 주체성과 도덕성을 긍정하되 시비선악을 가리거나 가치를 판단하지 않고 객관적이며 가치중립적인 설명과 이해를 추구한다. 이것은 칸트의 철학적 사유의 틀이 교육사상 연구와 관련하여 제안하는 내용이다. 교육사상 연구는 인간의 자유의지를 긍정하는 실천이성을 전제한 가운데 사변이성의 직관과 개념, 감성과 지성, 경험과 이성을 통해 생명 현상으로서의 교육적 삶을 해명할 필요가 있다. It looks difficult to clarify the expression 'educational ideas' with unified explanation. Because this phrase has been formed through diverse paths. So it'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diversity and complexity of its signification depending on specific contexts. The research object of educational ideas covers from feelings and emotion, customs and practices, belief and thinking and intellect to imagination and fiction with regard to educating children. Research of educational ideas, however, is not oriented to abstract universality of objects or phenomena with concept and theory, but aims to concrete universality that is specific to life. The deep structure of research of educational ideas consists of three elements, that is: first,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concrete reality that is the background of educational ideas, second, current acceptance and evaluation of researcher about the research on historical contemporary, third, self conversion. Research of educational ideas is oriented to objective and value-neutral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affirming subjectivity and morality. This is what Kant's philosophy is to suggest about research of educational ideas.

      • KCI등재

        재외 교육기관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역사적 고찰

        박채형(Park, Chae-Hyeo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1 敎育思想硏究 Vol.25 No.1

        재미동포의 한국어 교육은 1900년대 초반부터 이루어진 미국을 향한 한국인의 이민과 더불어 시작되었다. 재미동포의 한국어 교육은 그 이후 193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하여 약 25년간 거의 중단되어 있었다가 1960년대에 들어와서 재개되어 확산의 길을 걷게 되었다. 여기에는, 한국 정부의 노력보다는, 역시 재미동포의 자발적인 노력과 더불어 미국 정부의 이민정책과 교육정책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재미동포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한국 정부의 본격적인 개입은 1980년대 이후부터 이루어졌다. 재미동포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한국정부의 교육정책과 지원은 그 이후에도 지속되었지만, 그것은 그다지 현실성 있는 정책이나 지원이 되지 못했다. 현재에도 재미동포의 한국어 교육은 여전히 한글학교와 미국 중·고등학교의 한국어 반에 의존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 재미동포 교육기관은 교육과정과 교재, 교사, 교육방법, 시설 등에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장차 이들 문제점을 극복하는 방안이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It began with emigration to teach korean to korean residents in the United States by their leaders independently in the 1900’s. Since the middle of 1930’s, this education had been discontinued for 30 years. It was in the 1960’s affair which this education began again and was encouraged. It was not owing to the korean government’s efforts, but to exertions by korean resident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emigration policy of the United States.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taking part in korean education for korean residents in the United States since the 1980’s. Concretely speaking, korean government has began not only to establish korean schools and korean education institutes, but also to support korean language schools from the 1980’s in the United States. However, the government’s policy for it has not really been an actuality up to now. Although korean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has been coming into force by korean language schools and korean classes of formal american schools for the most part, the korean government’s support of it has been insignificant. Especially, these institutes have been requiring the korean government’s support for its curriculum, textbooks, teaching tools, equipment and teachers. The following is the potential methods to solve the problems: to complete and proclaim the tentative standard curriculum, to develop textbooks and teaching tools according to the curriculum and various conditions, to collect contributions for korean education, and to establish the teacher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It is expected to fulfill these methods in the future.

      • KCI등재

        한국교육사상학회 학술지 『교육사상연구』의 연구동향 분석

        강기수(Gi-Su Kang),이승형(Seung-Hyeong Lee),최은주(Eun-Ju Choi)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3 敎育思想硏究 Vol.3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육사상학회의 학술지인 『교육사상연구』에 게재된 논문을 분석함으로써 『교육사상연구』의 연구동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992년 창간호부터 2021년 12월까지의 『교육사상연구』에 게재된 총 680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기존의 연역적, 귀납적 분석틀에 근거한 분석방법과 이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텍스트마이닝 기반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교육사상연구』의 전체적인 동향은 교육(학)의 체계 정립, 교육사상 및 관련 교육이론, 교육 실제에 관한 연구가 적정하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교육(학)의 본질과 체계정립에 있어서는 지식, 지성, 진리, 경험, 마음, 감성, 몸 등 인간 이해 및 인간 특징에 관한 연구와 교육의 주체와 교육적 관계, 교육의 목적 등을 중심으로 연구가 수행되고 있었다. 교육사상 및 관련 교육이론에 관한 연구 동향은 주제·영역별 교육과 사상가 및 인물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교육 실제에 관한 동향은 수업 및 교육과정과 교권 및 교사론 등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교육(입시)제도 및 교육정책, 교육기관 및 교육공간에 관한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다. 텍스트마이닝에 기반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통한 『교육사상연구』에 대한 동향 분석결과 핵심 키워드는 ‘교사’, ‘철학’, ‘인간’, ‘사회’로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었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결과 역시 분석틀에 근거한 동향 분석과 마찬가지로 교육사상 및 이와 관련한 교육이론의 연구 및 인간과 교육에 대한 본질 이해, 그리고 교육현장에 관계되는 학생, 교사, 학교, 사회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다. This study aims to dentify the research trends of Educational Thought Research by analyzing papers published in Educational Thought Research, an academic journal published by The Korean Educational Thought Association.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680 papers published in Educational Thought Research from 1992 when its first issue was released to December 2021 were selected and analyzed as analysis targets.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e studies was analyzed using a method based on the existing deductive and inductive analysis framework and a text mining-based keyword network analysis technique to compensate for its shortcomings. The analysis, the overall research trend of Educational Thought Research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of education, educational ideas and related educational theories, and educational purposes. Research trends on educational ideas and related educational theories mainly focused on education, thinkers, and people, by subject and area, and mainly studies on education (admission) systems, and educational policies, institutions, and spaces were conducted. Analysis of the trends in Educational Thought Research using a text mining­based keyword network analysis technique showed the network to be composed of “teacher”, “philosophy”, “human”, and “social”.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results, like the trend analysis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revealed that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educational ideas and related educational theories, the nature of humans and education, and students, teachers, schools, and society, as related to the educational field.

      • KCI등재

        교육사상(敎育思想)의 학문적 정체성

        김석완(Kim, Suk-Wa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3 敎育思想硏究 Vol.2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학문적 연구대상으로서 교육사상의 정체성에 대한 시론적 고찰이다. 이것은 한편으로 학문적 반성 없이 사용되고 있는 교육사상에 개념적 준거를 마련하기 위함이고, 다른 한편으로 교육사상이라는 개념이 기존 교육학 연구의 한계를 넘어 교육 현실 혹은 교육 현상에 대한 유의미한 분석의 틀이나 도구가 될 수 있는지 검토하기 위함이다. 교육사상은 생활 감정이나 느낌과 같은 무반성적 사고에서부터 고도로 추상적이고 논리적인 사고의 체계까지 포괄하는 범위가 중층적이고 다면적이다. 이처럼 교육사상에 대한 포괄적이고 다원적인 의미를 학문적 개념으로 사용할 경우 의미 있는 연구 결과를 산출하기 어렵다. 따라서 교육사상의 개념에 대한 전략적 정립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교육사상은 교육적 삶에 대한 이해를 추구하되 당대인의 교육적 실감(實感)을 획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사상은 교육적 사실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구체적인 특정 주제나 쟁점에 대해 깊고 넓게 연구한다. 따라서 교육사상에 대한 연구는 문제사 연구다. 또한 교육사상 연구는 교육적 사실에 대한 전면적 이해를 위해 분과의 경계를 넘어 공동연구를 요청한다. 교육사상 연구는 다양한 사회과학적 방법론을 수용함으로써 교육적 사실에 대한 이해를 심화할 필요가 있다. 교육사상은 제도적으로 대학원 과정에 개설함으로써 다양한 방법론에 숙달된 전문 연구자를 양성해야 한다. This study is a introductory study of educational idea as academic target. The purpose of this paper, on the one hand, is to found conceptual criteria for educational idea that has been used without theoretical reflections, on the other, to examine, if the concept of educational idea would be a meaningful analytic frame of educational phenomena. Educational idea connotes so multilayered and omnifaceted meanings that they include non-reflective thinking like emotion and feeling to highly abstract and logical system of theory. It is very difficult to yield meaningful results with comprehensive and polysemantic concept like educational id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y a strategic setting of the meaning of educational idea. Educational idea pursues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life. It aims at getting actual feeling of education of contemporaries. Educational idea is infrastructural basic research at educational facts. It throughly and widely studies specific concrete themes and issues. The study of educational idea is, as a result, one of a history of the problem of education. And for the across-the-board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facts, the study of educational idea needs collaborative research project that goes beyond boundaries between specialities. The research of educational idea needs to accept the methodologies of social sciences to deepen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facts. Through opening the course of educational idea in graduate school, one has to cultivate special researcher that are proficient in various methodolo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