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래 놀이가 유아의 어휘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박향아 ( Hyang Ah Park ),김민정 ( Min Jeong Kim ),안경매 ( Kyung Mae An ),최선미 ( Seon Mi Cho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5

        본 연구는 모래 놀이가 유아의 어휘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육현장에서 모래 놀이를 활성화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남 C시와 J시에 소재한 유치원의 만4세 유아 41명이며 실험집단이 21명, 통제집단은 20명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처치기간은 9주간이며 실험집단은 1주에 2회 총18회의 모래 놀이를 구성하여 실외놀이시간에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실외 놀이시간에 다른 놀이기구를 이용한 놀이나 산책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두 집단 간의 사전·사후 t검증과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하는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실험집단 유아의 어휘력이 통제집단 유아의 어휘력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 유아와 통제집단 유아 간의 정서지능전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하위영역인 감정이입에서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즉 모래 놀이는 유아의 어휘력과 정서지능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sandbox play on infant vocabulary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order to promote it in infant care education. The study subjects were 41 infants from kindergartens in cities C and J in the province of Kyungsang-namdo, with 21 in the treatment group and 20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lasted for 9 weeks, with babies in the treatment group being exposed to sandbox play during outdoor playtime twice a week, 18 times in total. Meanwhile, those in the control group were engaged in activities with different toys and rides, or were sent for a walk during the outdoor pla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oftware program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Version 14.0 to run pre- and post-hoc t-tests fo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s well as covariate analysis using the pre-score as a covariate. As a result, the treatment group’s vocabular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hil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emotional intellig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treatment grou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one of the sub-topics (i.e., empathy)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andbox play has a considerable influence on infants’ vocabulary and emotional intelligence.

      • KCI등재
      • KCI등재

        성, 연령 및 정서지능에 따른 유아의 갈등해결전략에 관한 연구

        박향아 ( Hyang Ah Park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성, 연령 및 정서지능에 따라 유아의 갈등해결전략이 어떠한 지를 알아 보는 것이다. 연구는 C시 소재 유치원에 재원 중인 3,4,5세 유아 579명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정서지능검사와 갈등해결전략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t검증, F검증, Pearson 적률상관계수와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에 따른 유아의 갈등해결전략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협력, 절충, 양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연령에 따른 갈등해결전략을 알아본 결과 회피, 절충, 협력, 지배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정서지능과 갈등해결전략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유아의 정서지능과 협력, 절충, 양보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나고, 지배전략과는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연령과 정서지능이 유아의 갈등해결전략을 결정하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The study investigated how strategies of conflict resolution vary across children of different age, gender, and emotional intelligence level. ``The Emotional Intelligence Assessment`` and ``Strategies of Conflict Resolution Assessment`` was utilized to examine 579 children of age three to five who were atten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 in C-city. Collected data were then processed and analyzed through t test, F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The study`s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across gender in integrating, compromising, and obliging strategies of conflict resolution; (2)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across ages in integrating, compromising, and obliging strategies of conflict resolution; (3) Positive correlations existed between integrating, compromising, and obliging strategies and emotional intelligence, whereas a negative correlation exists between dominating strategies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4) Age and emotional intelligence were variables that effectively predicts a child`s strategies of conflict resolution.

      • KCI등재

        입자 군집 최적화를 이용한 전지전력저장시스템의 충ㆍ방전 운전계획에 관한 연구

        박향아(Hyang-A Park),김슬기(Seul-Ki Kim),김응상(Eung-Sang Kim),유정원(Jung-Won Yu),김성신(Sung-Shin Kim) 대한전기학회 2016 전기학회논문지 Vol.65 No.4

        Analyze the customer daily load patterns, be used to determine the optimal charging and discharging schedule which can minimize the electrical charges through the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BESS) installed in consumers is an object of this paper. BESS, which analyzes the load characteristics of customer and reduce the peak load, is essential for optimal charging and discharging scheduling to save electricity charges. This thesis proposes optimal charging and discharging scheduling method, using particle swarm optimization (PSO) and penalty function method, of BESS for reducing energy charge. Since PSO is a global optimization algorithm, best charging and discharging scheduling can be found effectively. In addition, penalty function method was combined with PSO in order to handle many constraint conditions. After analysing the load patterns of target BESS, PSO based on penalty function method was applied to get optimal charging and discharging schedule.

      • KCI등재

        유아교사의 전래동요 학습전략에 관한 연구

        박향아(Park, Hyang-Ah),서순태(Seo, Soon-Ta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2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73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일반적 배경변인인 시설유형과 학력, 인지적 및 정의적 변인인 전래동요를 아는 정도, 교사로서의 자신감과 만족도에 따른 전래동요의 학습전략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유아교육기관 561명의 교사들에게 질문지를 배부하고 수거하여 SPSS WIN 14.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시설유형에 따라서는 활용, 확인전략, 학력에 따라서는 사회전략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전래동요를 아는 정도에 따라서는 활용, 확인 전략, 자신감에 따라서는 습득전략, 만족도에 따라서는 습득, 활용, 사회전략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교사들의 전래동요를 학습함에 있어 교사들은 자신의 입장에 따라 다양한 전략을 선택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n 561 teachers in order to examine the learning strategies of nursery rhymes. One Way ANOVA analysis has been done with background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eachers’ learning strategies as dependent variable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in application and self-evaluation strategies were observed between cohorts belonging to different types of institution. Second, differences in social strategies were observed between cohorts of differing levels of education. Third, differences in application and self-evaluating strategies were observed between cohorts with differing number of memorized rhymes. Fourth, differences in acquisition strategies were observed between cohorts of differing levels of confidence. Fifth, differences in acquisition, application, and social strategies were observed between cohorts of differing levels of job-satisfaction. The results therefore show that early-childhood teachers employ different types of strategy in learning nursery rhymes, taking into account their backgrounds.

      • KCI등재

        1세-3세 영유아의 발달과 애착의 관계

        박향아 ( Hyang Ah Park ),배구택 ( Gu Taek Bae ),윤지영 ( Ji Young Yun ),정도영 ( Do Young Jeo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4

        본 연구는 일상생활 속에서 1세-3세 영유아를 대상으로 발달과 애착의 관계 및 발달이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남 소재 가정어린이집에 재원중인 영유아 40명이며 평균연령은 31.48개월이었다. 연구대상의 애착과 발달평가도구는 각각 애착Q-set(AQS)와 영유아정신발달진단법을 사용하였으며 부모와 유아교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발달과 애착의 관련성과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영유아기 발달과 애착 각각의 종합적 관점 및 하위변인에 있어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영유아의 전체적인 발달, 탐색 및 조작영역, 사회성영역, 이해 및 언어영역의 발달은 애착안정성 뿐만 아니라 애착의 하위변인인 규칙에 따름(Comp)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어머니를 힘들게 하는 아동의 까다로움(F/D)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양육자가 발달과 애착의 관계를 이해하고, 자녀의 전인적 발달 및 안정된 애착 형성을 돕기 위한 유용한 정보의 제시와 발달과 애착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 자료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development and attachment in infants and toddlers (aged between one and three) and the effect of this development on attachment. The participants were 40 infants and toddlers that went to a family-home-style daycare in Gyeongnam province, and the average age was 31.48 months. The tools used to measure attachment and development were attachment Q-set (AQS) and mental development diagnostics for infa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ir parents and caregiv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development and attachment and the effect of development on attachmen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mprehensive viewpoint and lower variables of each category (development and attachment)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Additionally, young children’s overall development in the exploration and control domain, social domain, and comprehension and language domain was identifi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table attachment and compliance to rules (a lower variable of attachment) and a negative effect on children’s, which bothered the mothers. These results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help parents of young children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development and attachment and to assist in children’s holistic development and stable attachment formation, and may be used as research data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development and attach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