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VR 기반 메이커 교육용 모바일 앱 개선을 위한 사용성 평가 도구 개발 및 적용

        박태정,차현진,Park, Taejung,Cha, Hyunjin 한국IT서비스학회 2022 한국IT서비스학회지 Vol.21 No.2

        In this study, a usability evaluation tool was developed for "ICANDUINO", a VR-based mobile application for maker education, and usability evaluation was conducted with a heuristic survey method for experts. The usability evaluation tool was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validated by two experts. It consisted of seven domains (effectiveness, efficiency, satisfaction, learnability, memorability, error, and cognitive load) and twenty-five sub-items. As a result of the usability evaluation conducted for six experts, it received the highest score in the domain of efficiency and the lowest score in the domain of error. The improvements of ICANDUINO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qualitative opinions of experts in each of the four stages (training, coding, tinkering, and testing) of ma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guideline when evaluating the usability of a mobile app for education.

      • SCOPUSKCI등재

        Mo 기판위의 NaF 중간층을 이용한 Cu(In,Ga)Se<sub>2</sub> 광흡수층의 Na 도핑특성에 관한 연구

        박태정,신동협,안병태,윤재호,Park, Tae-Jung,Shin, Dong-Hyeop,Ahn, Byung-Tae,Yun, Jae-Ho 한국재료학회 2009 한국재료학회지 Vol.19 No.8

        In high-efficiency Cu(In,Ga)$Se_2$ solar cells, Na is doped into a Cu(In,Ga)$Se_2$ light-absorbing layer from sodalime-glass substrate through Mo back-contact layer, resulting in an increase of device performance. However, this supply of sodium is limited when the process temperature is too low or when a substrate does not supply Na. This limitation can be overcome by supplying Na through external doping. For Na doping, an NaF interlayer was deposited on Mo/glass substrate. A Cu(In,Ga)$Se_2$ absorber layer was deposited on the NaF interlayer by a three-stage co-evaporation process As the thickness of NaF interlayer increased, smaller grain sizes were obtained. The resistivity of the NaF-doped CIGS film was of the order of $10^3{\Omega}{\cdot}cm$ indicating that doping was not very effective. However, highest conversion efficiency of 14.2% was obtained when the NaF thickness was 25 nm, suggesting that Na doping using an NaF interlayer is one of the possible methods for external doping.

      • KCI등재

        메이커 중심 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원 연수 프로그램 효과 및 교사 요구사항 분석

        박태정,차현진,Park, Taejung,Cha, Hyunjin 한국정보교육학회 2019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3 No.2

        본 연구는 메이커 교육에 대한 교원 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메이커 중심 교육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 설계 및 실행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메이커 교육이 교육 현장에 정착하기 위한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구 교육지원청에서 제공한 메이커 교육 교원 연수 프로그램을 연구 문맥으로 설정하고, 5일간 구성된 교사 역량강화 연수 프로그램에서의 효과 분석과 연수 프로그램 후 교사들이 제안하는 메이커 중심 교육의 현장 정착 및 활성화를 요구사항을 도출하고자 양적 및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교육현장에서 혁신적인 교수 방법과 정책을 도입할 때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이 참여한 교원 연수 프로그램의 사례를 통해 교원 양성 프로그램 설계 방향과 메이커 중심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to promote maker-centered education and draw implications on the design and practice of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by studying a case.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the research context was set on a teacher's training program provided by the S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in Seoul, an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were conducted to deduce the teacher's requirements for establishing and promoting maker-centered education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s well as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the 5-days training program. From the results, this study contributes to suggesting implications on activating maker-centered education and providing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designs of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the case participated by teachers who play a crucial role in performing and practicing innovative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policy in real educational contexts.

      • KCI등재

        디지털교과서 커뮤니케이션 환경에 감성적 반응유발가능성(Emotional Affordance)을 위한 이모티콘 지원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박태정 ( Tae Jung Park ),임철일 ( Cheol Il Lim ),김광일 ( Kwang Il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8 No.2

        디지털교과서 내 토론방, 쪽지, 게시판, 블로그 등의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도구들은 교수·학습환경에서 학습자와 교수자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활동, 즉 의사소통, 정보공유, 의견교환, 의미협상 등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교과서 커뮤니케이션도구들은 텍스트 기반의 메시지 중심이므로 정서적, 감성적 내용 표현에 많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교과서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서로의 감성을 잘 이해하고 자신의 감성을 표현하고 조절하여, 다양하고 활발하며 역동적인 대인간의 상호작용을 유도할 수 있는 감성적 반응유발가능성(emotional affordance)을 확보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이모티콘(emoticon) 지원도구를 제안하는데 있다. 2차원 원형 스펙트럼 형태의 이모티콘 지원도구 프로토타입은 여섯 가지 감성유형과 세 단계 감성강도를 양축으로 하는 6x3 감성매트릭스(행복-기쁨-평온, 깜짝놀람-놀람-심란, 비통-슬픔-수심, 분노-화-짜증, 공포-두려움-불안, 증오-혐오-지루함) 이모티콘 지원도구 프레임워크를 토대로 개발되었다.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통하여 디지털교과서 등의 새로운 디지털 학습매체를 설계·개발 시, 인지적 측면뿐만 아니라 정서적 측면에서 학습자 및 교수자의 감성적 반응 및 경험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CMC) Tools such as discussion room, instant message messenger, and bulletin board support a variety of communicative activities of sharing information, mutually exchanging opinions, and negotiating meaning between a student and a teacher or among students in teaching-learning environments using Digital Textbook. However, since these CMC tools are based on text-based messages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expressing affective and emotional responses or reactions. Therefore, this research developed a prototype for Emoticon Supporting Tool for emotional affordances in Digital Textbook mediated communication environments. Its prototype of a two-dimensional circular spectrum was generated by a framework taking the form of a emoticon classified table on the basis of 6x3 emotion matrix (ecstacy-joy-serenity, amazement-surprise- distraction, grief-sadness-pensiveness, rage-anger-annoyance, terror-fear-apprehension, loathing-disgust-boredom) containing two axes of the kinds and the intensity of fundamental emotions. This Emoticon Supporting Tool is expected to drive active, dynamic, and diverse students` interactions through perceiving and monitoring their own and others` emotions, and expressing and regulating their own emotions.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how instructional designers evaluate and apply students` and instructors` emotional experiences and reactions in designing and developing new media in education like Digital Textbook.

      • KCI등재

        Laboratory Safety Management System of Korean Universities

        박태정(Park, Taejung),강승희(Kang, SeungHee),주동범(Ju, Dong-Beom),이의주(Lee, Eui Ju) 한국비교교육학회 2021 比較敎育硏究 Vol.31 No.5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한국 대학들의 연구실 안전관리 시스템을 비교·분석하고 향후 연구실 안전환경 구축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본 연구에서는 한국 대학들의 연구실 안전관리의 구조와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2021 타임스 고등교육(Times Higher Education, THE)이 평가하는 THE 아시아 대학 평가 결과 국내 상위 20개 대학으로 선정된 대학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해당 대학 연구실 안전관리를 담당하는 부서, 이러한 부서에서 운영하는 안전관리 활동 주요 내용, 대학들이 운영하는 안전교육 프로그램 형태 및 내용 등이다. 〔연구결과〕20개 대학 모두 연구실 안전관리를 전담하는 부서가 존재하고 9개 대학에서 안전관리를 독립부서로 관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의 대부분 연구실 안전법에서 제시하는 안전, 환경교육, 연구실 안전관리, 화학물질안전, 안전점검, 소방안전 관리, 생물안전 등의 안전관리 활동을 운영하고 있었고, 연구실 안전법을 토대로 연구실 안전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안전교육을 비교과 교육과정의 형태로 운영하고 있었는데 학수번호를 부여하여 안전교육이라는 과목을 정규 교육과정으로 운영하고 있는 학교도 있다. 〔결론〕전공불문하고 모든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안전의식, 안전습관, 안전행동을 제대로 형성시켜 줄 수 있는 실제적인 대학 안전환경 교육을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지금의 일방향 강의식 수업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메타버스 시뮬레이션이나 가상 게임 등의 체험형 콘텐츠를 활용한다면, 각종 장비를 직접 사용해보며 안전조치 행동을 숙지하는데 효과적이며 안전 불감증을 해소하고 교육 참여 동기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laboratory safety management systems of Korean universities and explore effective ways to secure laboratory s safe environment in the future. Methods: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and roles of the laboratory safety management of Korean universities, the universities selected as the top 20 universities in Korea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2021 THE Asian University evaluation. The targets of analysis are the departments in charge of the laboratory safety management, the main contents of the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perated by these departments, and the form and contents of the safety education program. Results: All 20 universities had a department dedicated to laboratory safety management, and 9 universities managed safety management as an independent department. Almost all of them were operating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such as safety, environmental education, laboratory safety management, chemical safety, safety inspection, fire safety management, and biosafety specified by the Laboratory Safety Act. Also, safety education is provided in accordance with its provisions. Most of them implemented safety education in the form of extra-curricular programs, but there was only one university that operated the safety education subject as a regular curriculum by assigning a course identification number.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and continuously conduct practical university safety environment education that can properly form safety awareness, safety habits, and safety behaviors for all college students, regardless of major. In order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the current one-way lecture class, if metaverse simulations or virtual games gives students hands-on experience in using dangerous equipment and objects, more effective safety education can be conducted to help them understand the behavior-based safety action by resolving the insensitivity to safety and increase their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raining programs.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는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가?

        박태정(Tae Jeong Park),박형원(Hyung Won Park),이희연(Hee Youn Lee) 한국아동복지학회 2010 한국아동복지학 Vol.- No.33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는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가?"라는 연구문제를 바탕으로 지역아동센터의 운영현실에 대해 보다 구체적이고 실체적인 이해를 얻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 지역아동센터의 시설장 9명을 대상으로 비구조화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지역아동센터의 운영경험들이 말해주는 함의를 찾고자, 끊임없이 생각하고 반추하는 내용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아동센터가 운영되고 있는 모습은 "지역을 향한 소박한 첫걸음 내딛기", "기댈 곳 없는 아동과 가족을 깊이 알아감", "지역 안에 뿌리내려가기", "가정과 아동의 힘기르기", "운영의 현실적 어려움과 맞닥뜨림", "운영경험을 통해 인식한 센터의 발전과제" 등 총 6개의 범주로서 분석되었다. 지역아동센터의 시설장들은 센터를 시작할 때 기댈 곳 없는 빈곤아동에 대한 사랑과 관심으로서 작고 소박하게 출발하였으며, 설립과 운영의 전 과정에서 아동중심 및 지역기반 서비스를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더 나아가 척박한 운영 현실 속에서도 지역밀착형 공공전달체계로서 뿌리내리기 위해 고군분투해왔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통해 제언할 수 있는 것으로서 먼저 정부지원이 현실화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두 번째, 지역아동센터를 위한 교육·연계·업무조정·협의·대변 등 다양하고 통합적인 기능을 할 수 있는 허브기관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역밀착형 아동복지시설로서의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 질을 보장하는 서비스 표준화와 지역적 욕구에 따른 서비스 특성화가 필요하며, 그 두 가지 측면에서의 균형점을 찾는 작업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specific understanding about how community child center is practically managed. Our main research question is as follows: "How does the community child center work?" Nine directors who have worked in community child center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We conducted un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to collect the data, and used content analysis, which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o analyze the data. Analytic results show that there are 6 categories that describe the operation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s. The categories include: "Starting with a cautious approach", "Understanding humble families with no one to rely on", "Rooting within the community", "Empowering parents and children", "Operating under the barren circumstances", "Building center`s innovative capabilities". Moreover, we found out that community child centers took on important roles as child-centered public welfare systems. In conclusion, several implications have emerged from our research. First, there are needs for a realistic government subsidy that allows provision of adequate services to children and parents in desperate need. Second, the government should consider establishing a "Hub-institute" that can provide various integrative functions including education, consultation, and advocacy to community child centers. Lastly, standardization of services and specialization of services based on community needs is necessary in order to secure service quality. Especially, balanced perspectives between standardization and specialization is crucial.

      • CIGS 태양전지 광흡수층에 미치는 나트륨의 영향

        박태정(Park, Tae-Jung),안병태(Ahn, Byung-Tae)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06

        CIGS 박막태양전지는 박막태양전지 중 최고 효율(20%)을 보이는 태양전지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고효율 태양전지는 Soda-lime glass 를 기판으로 사용한 경우로 기판과 CIGS층의 열팽창계수가 비슷하고 또 나트륨이 CIGS 성장시 확산하여 광흡수층에 유익한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본 실험에서는 나트륨이 함유된 소다라임유리와 거의 포함하고 있지 않은 코닝유리를 기판으로 사용하여 CIGS 광흡수층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SIMS, SEM분석결과 소다라임유리의 CIGS Mo 부근과 표면부위에 Na 농도가 높으며, grain 크기가 코닝에 비해 작음을 알 수 있었다. 전기적 특성은 소다라임유리기판의 경우 p-type 농도가 코닝유리기판에 비해 약 10<sup>5</sup>{sim}10<sup>6</sup>천배가량 높음을 확인하였다. 셀특성또한 코닝 11%, SLG는 16%로 효율차이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나트륨으로 p-type 전도도가 향상되어 효율이 개선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게임 현지화 작업에서의 언어유희 표현 번역 사례

        박태정(Taejung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1

        해외에서 개발된 게임을 국내에 도입할 경우 국내 상황에 맞게 여러 요소들을 변경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이 과정에는 번역도 포함되며 전체적으로는 현지화(localization, l10n)이라고 한다. 이 현지화 작업은 게임이 제작된 언어 및 문화권의 독특한 요소들을 게임을 도입하려는 환경에 맞게 변환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 현지화 작업에서 특히 어려운 언어유희 번역 문제를 실제 어드벤처 게임 현지화 사례를 통해 제시하고 현장의 전문 번역사들이 일반적으로 시도하는 몇 가지 번역 유형을 살펴본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서 다른 매체와는 다른 게임 환경에서 적합한 언어유희 현지화 방식을 고찰한다. It is a necessity to localize various elements when one tries to introduce any games developed from foreign cultures and languages. This whole process is called “localization (l10n)” which inevitably includes translation tasks. In this process, one should convert multiple unique elements into the required cultural and linguistic environments. This paper provides actual localization cases of “puns” appear in an adventure game, which is especially difficult; also it presents several typical types of translations for the puns that professional translators try. By this observation, this paper discusses some characteristics of game, as a medium, which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raditional media and proper approaches to translate “puns.”

      • KCI등재

        한국 대학생의 K-MOOC 학습 경험에 대한 내용 분석

        박태정(Tae-Jung Park),나일주(Ilju Rah)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2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이 K-MOOC을 활용하여 학습함에 있어 강좌 선정의 동기, 학습활동 및 기술과 관련한 학습경험 및 그에 따른 교육적 효과를 이해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K-MOOC 강좌를 수강하여 학습한 94명의 한국 대학생이 작성한 개인별, 그룹별 성찰일지를 귀납적 내용분석 방법에 따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의 특정 K-MOOC 선정 및 수강의 주된 동기는 해당 주제에 대한 평소 관심과 흥미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적호기심, 전공공부 및 진로탐색, 오프라인 강좌와의 비교, 인기도 등이 그 뒤를 따랐다. K-MOOC 학습활동과 관련하여 학생들의 긍정적 경험과 부정적 경험은 주로 동영상 시청과 퀴즈 및 시험에서 야기된 것으로 드러났다. K-MOOC 기술에 대한 학생들의 경험은 대부분 긍정적이었으나 일부 학생들은 기술적 단순오류뿐 아니라 고급 학습분석 플랫폼 기술의 부재로 부정적 경험을 보고하였다. K-MOOC 학습경험을 통한 학습효과에 있어서는 지식(기억, 이해), 태도(감수), 기술 순이었다. 본 연구는 새로운 대중 온라인 학습환경인 K-MOOC 수업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학습경험을 비정형화된 자유 서술식 형태의 성찰일지를 통해 실제 학습자의 인식에 근거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추후 학습경험과 학습효과의 직접적인 관계에 대해 실증적인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the various aspects of learning experience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on K-MOOC. Analyses on the major motivation of the enrollment in a certain MOOC class, the actual learning experiences in the class and the perception of the achievement of the class were the three main foci of the current study. The study employed inductive content analysis as a major analysis tool. Reflective journals from 94 students who enrolled in K-MOOC clas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t the end of the semester.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most of students selected the specific K-MOOC classes based on their general interests on the topics the class offered. Other factors such as intellectual curiosity, practical reasons for their study or work and popularity were also influential on the selection of MOOC classes. Watching videos, taking quizzes and taking tests were the three major sources of the students’ satisfaction. Most students felt that K-MOOC is technically satisfactory. However, some students reported on simple errors and absence of advanced functions in the platform. Students perceived positively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s of obtaining knowledge(remembering and understanding), attitudes (receiving), and skills through K-MOOC. This study ultimately showed a new awareness of learning experiences around K-MOOC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udents.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and the students’ performance in MOOC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