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류발전용 1.2MW 권선형유도발전기 제어를 위한 전력변환장치 개발

        박정우(Park, Jungwoo),이기욱(Lee, Kiwook),김동욱(Kim, Dongwook),염기대(Yum, Kidai),이광수(Lee, Kwangsoo),박진순(Park, Jinsoo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5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5 No.06

        국내에서 대체에너지 공급 비율을 보면 청정에너지로 분류할 수 있는 태양열에너지, 태양 광 에너지, 풍력에너지를 모두 합하여 대체에너지의 10%이하이며, 대체에너지 비율의 90% 이상을 폐기물로부터 얻은 에너지가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신재생에너지원에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해양에너지원에 대해 대상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부존량을 살펴보면 진도 주변의 해역에서 조류발전 부존량이 약 362만 kW가 되며, 시화호와 새만금 등지에서의 조력발전 부존량이 650만 kW, 동해안 후포 연안을 비롯한 파력발전 부존량이 20만kW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해양에너지를 실용화하기 위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권선형유도발전기를 갖는 조류발전 시스템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로 권선형유도발전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력변환장치 개발과 관련한 내용이다. 신재생에너지원이 발전 단가 측면에서 경제성을 갖기 위해서 발전기 용량은 5MW 급까지 대용량화되어 있는 단계이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MW급 이상이 되는 권선형 유도발전기와 권선형 유도발전기를 제어하는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연구 실적이 없는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1MW급의 권선형유도발전기에 대한 개발 사례를 소개하면서 유효전력제어, 역률제어, 계통연계방법, 그리고 운전 속도에 따라 변동되는 회전자측에서의 피상전력 특성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분산전원용 1㎿급 권선형유도발전기 제어

        박정우(Jungwoo Park),이기욱(Kiwook Lee),김동욱(Dongwook Kim),염기대(Kidai Yum),이광수(Kwangsoo Lee),박진순(Jinsoon Park) 전력전자학회 2005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국내에서 대체에너지 공급 비율을 보면 청정에너지로 분류할 수 있는 태양열에너지, 태양광 에너지, 풍력에너지를 모두 합하여 대체에너지의 10% 이하이며, 대체에너지 비율의 90% 이상을 폐기물로부터 얻은 에너지가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신재생에너지원에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해양에너지원에 대해 대상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부존량을 살펴보면 진도 주변의 해역에서 조류발전 부존량이 약 362만 ㎾가 되며, 시화호와 새만금 등지에서의 조력발전 부존량이 650만 ㎾, 동해안 후포 연안을 비롯한 파력발전 부존량이 20만 ㎾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해양에너지를 실용화하기 위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권선형유도발전기를 갖는 조류발전 시스템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로 권선형유도발전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력변환장치 개발과 관련한 내용이다. 신재생에너지원이 발전 단가 측면에서 경제성을 갖기 위해서 발전기 용량은 5㎿ 급까지 대용량화 되어 있는 단계이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MW급 이상이 되는 권선형 유도발전기와 권선형유도발전기를 제어하는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연구 실적이 없는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1㎿급의 권선형유도발전기에 대한 개발 사례를 소개하면서 유효전력제어, 역률제어 특성과 운전 속도에 따라 변동되는 회전자 측에서의 피상 전력 제어 특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 KCI등재

        돌말류 분석 자료 정도 관리의 현황 및 전망

        김혜숙,김종성,박진순,KIM, HYESUK,KHIM, JONGSEONG,PARK, JINSOON 한국해양학회 2021 바다 Vol.26 No.3

        Diatoms are a type of microalgae which inhabits a wide variety of environments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imary producers of freshwater and marine ecosystems. They have been widely used as bioindicators which represent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us proper quality control of diatom data is very important to ensure for the researches from many scientists from various different regions to have scientific unity and objectivity. At present, diatom data analysis is primarily based both on morphological features and DNA sequences of given species. Challenge for the morphology-based analysis of diatoms is the consistent species identification among different taxonomists who interpret diatom community, while challenge for the molecular analysis of diatoms to secure reliable reference data.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data quality control of diatom analysis in Korea as well as the world. Finally, suggestions for the better data quality control for Korean marine diatoms have been also made. 돌말류는 미세조류의 일종으로서 담수 및 해양의 여러 다양한 환경의 수생태계에서 가장 중요한 1차 생산자 중 하나이다. 환경을 대표할 수 있는 생물 지표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여러 지역에서 서로 다른 과학자들에 의한 연구 결과들이 과학적 통일성과 객관성을 갖추도록 하기 위해서는 돌말류 분석 자료의 정도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현재 돌말류 분석은 형태적인 특징으로 분류하는 형태 기반의 분석과 DNA 서열로 종을 식별하는 DNA 바코드 분석이 사용되고 있다. 형태학 기반의 돌말류 분류는 분석 자료를 해석하는 분류학자들 간의 일관된 종 식별이 요구되는 한편 분자 분류 기반의 돌말류 분류는 신뢰성 있는 참조데이터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돌말류 분석 자료 정도관리의 국내외 현황을 우선 살펴보았으며, 그에 기반하여 국내 돌말류 분석 자료의 정도 관리에 대한 의견을 또한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 미기록종 Navicula spartinetensis (Bacillariophyceae)의 분류 및 분포

        김혜숙,김종성,박진순,KIM, HYESUK,KHIM, JONG SEONG,PARK, JINSOON 한국해양학회 2020 바다 Vol.25 No.4

        The genus Navicula, with its notably high species divers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genera of the diatom assemblages of the tidal flats. In the present study, Navicula spartinetensis was firstly observed from Yellow Sea including both of Korean and Chinese tidal flats. Morphological description was also made based on the LM and SEM observation. Samples were collected from four locations in Korea, two in October 2006, one in July 2007, and one in July 2018, and seven location in China from June to July 2018. N. spartinetensis was firstly described by Sullvian & Reimer in 1975; Cells are lanceolate with narrow valve faces, 20-30 ㎛ long, 5-6 ㎛ wide, and the density of striae is 12-13 in 10 ㎛, and the terminal raphe ending curved in the same direction. N. spartinetensis has been previously reported from Europe and South America, and the present study has expanded its distribution to the Northeast Asia. In conclusion, the diversity of Korean marine benthic diatoms is still underestimated thus extensive further study of diatom taxonomy is needed.

      • KCI등재

        보령 학성리 갯벌 조간대 대형저서동물 군집구조 분석

        양동우,이정호,김하련,배한나,박진순,김혜선,YANG, DONGWOO,LEE, JUNG-HO,KIM, HARYUN,BAE, HANNA,PARK, JINSOON,KIM, HYE SEON 한국해양학회 2021 바다 Vol.26 No.3

        본 연구는 충남 보령 학성리 갯벌 조간대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시·공간적 분포 및 군집구조를 파악하고, 환경요인에 따른 군집구조 변동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현장조사는 2016년-2017년에 계절별로 9개 정점에서 캔코어(13 cm × 22 cm × 30 cm)를 이용하여 각 정점마다 3회 반복 채취 수행하였다. 퇴적환경은 전반적으로 니질 함량이 60% 이상이었으며, 유기물 함량은 평균 2.3%이었다. 대형 저서동물은 총 79종이 출현하였고, 평균서식밀도는 611 ind./m<sup>2</sup>, 평균생물량은 64.1 gWWt/m<sup>2</sup>이었다. 상위 우점종은 니질 갯벌에 서식하는 고리버들갯지렁이(Heteromastus filiformis), 칠게(Macrophthalmus japonicus)와 쏙(Upogebia major)이며, 서식밀도는 각각 297 ind./m<sup>2</sup>(48.6%), 62 ind./m<sup>2</sup>(10.1%), 42 ind./m<sup>2</sup>(6.9%)으로 나타났다. 집괴분석으로 분류된 3개의 정점군은 물리·화학적인 환경요인 보다는 생물상호 작용과 우점종 출현비율 등으로 구분되었으며, nMDS 분석으로 살펴본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계절적 변동양상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macrobenthic community and elucidat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change of community structure in an intertidal flat, Hakseong-ri, Boryeong, Korea. Field surveys were seasonally conducted to collect samples of sediment and macrobenthos using can core in triplicate at nine stations in 2016 and 2017. Our results showed that sediment had high mud content (above 60%) in most samples and mean content of loss on ignition was 2.3% in 2016. A total of 79 species was collected in the study site during the study period. Mean density and biomass were 611 ind./m<sup>2</sup> and 64.1 gWWt/m<sup>2</sup>, respectively. Heteromastus filiformis was the dominant species (48.6%, 297 ind./m<sup>2</sup>) followed by Macrophthalmus japonicus (10.1%, 62 ind./m<sup>2</sup>) and Upogebia major (6.9%, 42 ind./m<sup>2</sup>). Three assembly groups resulted from cluster analysis were more distinguished by interaction between organisms and frequency of dominant species than by physical and chemic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In addition, macrobenthic community in the Hakseong intertidal flat showed seasonal changes based on non 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using species abundance.

      • KCI등재

        한국산 자리돔과 (Pomacentridae) 어류 1미기록종, Abudefduf septemfasciatus

        권혁준 ( Hyuck Joon Kwun ),박진순 ( Jinsoon Park ),김혜선 ( Hye Seon Kim ),배한나 ( Hanna Bae ) 한국어류학회 2016 韓國魚類學會誌 Vol.28 No.1

        2015년 8월, 우리나라 제주도 남부 및 북부 연안 조수웅덩이에서 Abudefduf septemfasciatus 3개체가 처음 채집되었다. 본 종은 가슴지느러미 기점 위, 꼬리자루 위 및 2번째와 4번째 등지느러미 극조 사이에 검은 반점이 있고 등지느러미 전방 비늘은 눈의 중앙을 지나며, 등지느러미 및 뒷지느러미 연조는 12~13개, 측선비늘은 20개이다. 본 종은 줄자돔과 등지느러미 및 뒷지느러미 연조수, 꼬리자루 반점 위치 및 등지느러미 반점 위치에서 차이를 보인다. 본 종의 새로운 국명으로 ``일곱줄자돔``을 제안한다. Three specimens of Abudefduf septemfasciatus were collected firstly from tidal pools on the southern and northern coasts of Jeju Island, Korea in August 2015.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by black blotches on the upper origin of the pectoral fin, upper caudal peduncle and a dorsal fin between the second and fourth spines, predorsal scales beyond to above the middle of the eye, 12~13 soft dorsal and anal fin rays, and 20 lateral-line scales. This species is distinguishable from Abudefduf sordidus by soft dorsal and anal fin rays, location of caudal peduncle blotch, and location of the dorsal fin blotch. The newly proposed Korean name is "Il-gop-jul-ja-d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