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시각장애인을 위한 웹기반 교육

        박선주 ( Sunjoo Park ),배한나 ( Hanna Bae ),이병국 ( Byunggook Lee ),이선미 ( Sunmee Lee ),주문원 ( Moonwon Cho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2 No.2

        시각장애인의 웹 접근성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 요인을 근거로 시각장애인을 위한 웹 서비스 환경을 실제적으로 향상시키고자 한다. 특히 시각장애인들의 웹 기반 학습환경의 핵심적 요소인 사전검색서비스를 위한 시스템모델을 제안하고 그 구현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보령 학성리 갯벌 조간대 대형저서동물 군집구조 분석

        양동우,이정호,김하련,배한나,박진순,김혜선,YANG, DONGWOO,LEE, JUNG-HO,KIM, HARYUN,BAE, HANNA,PARK, JINSOON,KIM, HYE SEON 한국해양학회 2021 바다 Vol.26 No.3

        본 연구는 충남 보령 학성리 갯벌 조간대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시·공간적 분포 및 군집구조를 파악하고, 환경요인에 따른 군집구조 변동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현장조사는 2016년-2017년에 계절별로 9개 정점에서 캔코어(13 cm × 22 cm × 30 cm)를 이용하여 각 정점마다 3회 반복 채취 수행하였다. 퇴적환경은 전반적으로 니질 함량이 60% 이상이었으며, 유기물 함량은 평균 2.3%이었다. 대형 저서동물은 총 79종이 출현하였고, 평균서식밀도는 611 ind./m<sup>2</sup>, 평균생물량은 64.1 gWWt/m<sup>2</sup>이었다. 상위 우점종은 니질 갯벌에 서식하는 고리버들갯지렁이(Heteromastus filiformis), 칠게(Macrophthalmus japonicus)와 쏙(Upogebia major)이며, 서식밀도는 각각 297 ind./m<sup>2</sup>(48.6%), 62 ind./m<sup>2</sup>(10.1%), 42 ind./m<sup>2</sup>(6.9%)으로 나타났다. 집괴분석으로 분류된 3개의 정점군은 물리·화학적인 환경요인 보다는 생물상호 작용과 우점종 출현비율 등으로 구분되었으며, nMDS 분석으로 살펴본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계절적 변동양상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macrobenthic community and elucidat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change of community structure in an intertidal flat, Hakseong-ri, Boryeong, Korea. Field surveys were seasonally conducted to collect samples of sediment and macrobenthos using can core in triplicate at nine stations in 2016 and 2017. Our results showed that sediment had high mud content (above 60%) in most samples and mean content of loss on ignition was 2.3% in 2016. A total of 79 species was collected in the study site during the study period. Mean density and biomass were 611 ind./m<sup>2</sup> and 64.1 gWWt/m<sup>2</sup>, respectively. Heteromastus filiformis was the dominant species (48.6%, 297 ind./m<sup>2</sup>) followed by Macrophthalmus japonicus (10.1%, 62 ind./m<sup>2</sup>) and Upogebia major (6.9%, 42 ind./m<sup>2</sup>). Three assembly groups resulted from cluster analysis were more distinguished by interaction between organisms and frequency of dominant species than by physical and chemic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In addition, macrobenthic community in the Hakseong intertidal flat showed seasonal changes based on non 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using species abundance.

      • KCI등재

        한부모 가정 아동⋅청소년의 사회자본과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역량의 매개효과: 양부모 가정 아동⋅청소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유은경(Eunkyoung Yoo),최혜경(HaeKyung Choi),배한나(Hanna Bae),이연주(Yeonju Lee)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7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55 No.-

        본 연구는 한부모 가정과 양부모 가정 아동⋅청소년의 사회자본, 사회적 역량, 행복감의 수준을 비교하고, 이들이 지각한 사회자본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과 양자의 관계에서 사회적 역량의 매개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활용한 분석 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NYPI)과 한국교육개발원(KEDI)의 협동연구과제로 수행된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Ⅱ: IEA ICCS 2016’(2015) 횡단조사 자료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 17개 시⋅도에 거주하는 초등학생(4-6학년), 중학생(1-3학년), 고등학생(1-3학년)이며, 최종분석에 활용한 사례 수는 한부모 가정 760명, 양부모 가정 9,008명으로, 총 9,768명이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 가정 아동⋅청소년들은 양부모 가정 아동⋅ 청소년들에 비해 사회자본, 사회적 역량, 행복감의 수준이 낮았다. 둘째, 사회자본은 사회적 역량과 행복감에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역량은 행복감에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역량은 사회자본과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아동⋅청소년들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사회자본과 사회적 역량의 증진을 위한 함의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1) to compare social capital, social competence, and happiness for the two groups: adolescents of one-parent family and adolescents of two-parent family, and 2)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s of social compet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happiness. We found several significant results. First, in the mean values of the total of social capital, social competence and happiness, adolescents of one-parent family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adolescents of two-parent family. Second, social capital had positive effects on social competence and happiness. Moreover, social competence in the relationship social capital and happiness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conclusion, above all, the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to develop special programs for the enhancement of social capital and social competence. Especially, special programs should be provided children and adolescents in one-parent families.

      • 한국 갯벌 퇴적물 내 저서미세조류와 세포외고분자물질(EPS)의 시공간적 변동

        김범기(Beomgi Kim),이종민(Jongmin Lee),노준성(Junsung Noh),배한나(Hanna Bae),이창근(Changkeun Lee),하헌준(Hun Jun Ha),황규원(Kyuwon Hwang),김동우(Dong-U Kim),권봉오(Bong-Oh Kwon),하호경(Ho Kyung Ha),김종성(Jong Seong Khim)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갯벌 환경에서 저서미세조류(MPB)가 생산하는 세포외고분자물질(EPS)의 물리적 기능은 잘 알려져 있지만, 일부 생태학적 측면은 아직 연구가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에 위치한 두 가지 대조적인 조석 환경(거대조차 및 대조차)에서 MPB 생물량(Chl-a), EPS, 규조류 군집, 퇴적물 침식도를 조사하였다. MPB가 대증식하였을 때 두꺼운 생물막이 형성되었으며 Chl-a 및 EPS도 크게 증가하였다. 규조류 속 중 Navicula는 두 지역 모두에서 연중 가장 우점하였다(평균 41%). 대증식 시기에는 생물막이 두꺼워짐에 따라 다른 시기에 비하여 침식도가 54–73% 감소하였다. 이는 대형 Navicula 종(>40 μm)의 풍부도가 증가함에 따라 EPS 생산율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으로 예상된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시공간적 퇴적물 안정도 차이가 MPB의 생태적 변화와 유의한 연관이 있음을 설명하고 서해의 전형적인 갯벌에서 “퇴적물 안정제” 역할을 하는 주요 규조류 속을 확인하였다. The physical functions of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s (EPS) produced by microphytobenthos (MPB) in tidal flat system are well documented, but some ecological aspects remain unknown. We investigated MPB biomass (Chl-a), EPS, diatom assemblages, and erodibility in two contrasting tidal environments (megatidal and macrotidal flats) in the Yellow Sea. Thick biofilms were observed when MPB bloomed, with high Chl-a and increased EPS concentrations. Among diatom genera, Navicula was the most dominant over the year (mean 41%) in both tidal regimes. Compared with non-bloom periods, erodibility decreased by 54–73% as biofilm thickened during blooms. It was attributed to the elevated abundance of large-sized (>40 μm) Navicula species, which was expected to secrete large amounts of EPS. Overall, we demonstrated spatiotemporal differences of sediment stabilization that significantly related to ecological variations of MPB, and identified the key diatom genus as a “sediment stabilizer” in the typical tidal flats of the Yellow Sea.

      • KCI등재

        한국산 자리돔과 (Pomacentridae) 어류 1미기록종, Abudefduf septemfasciatus

        권혁준 ( Hyuck Joon Kwun ),박진순 ( Jinsoon Park ),김혜선 ( Hye Seon Kim ),배한나 ( Hanna Bae ) 한국어류학회 2016 韓國魚類學會誌 Vol.28 No.1

        2015년 8월, 우리나라 제주도 남부 및 북부 연안 조수웅덩이에서 Abudefduf septemfasciatus 3개체가 처음 채집되었다. 본 종은 가슴지느러미 기점 위, 꼬리자루 위 및 2번째와 4번째 등지느러미 극조 사이에 검은 반점이 있고 등지느러미 전방 비늘은 눈의 중앙을 지나며, 등지느러미 및 뒷지느러미 연조는 12~13개, 측선비늘은 20개이다. 본 종은 줄자돔과 등지느러미 및 뒷지느러미 연조수, 꼬리자루 반점 위치 및 등지느러미 반점 위치에서 차이를 보인다. 본 종의 새로운 국명으로 ``일곱줄자돔``을 제안한다. Three specimens of Abudefduf septemfasciatus were collected firstly from tidal pools on the southern and northern coasts of Jeju Island, Korea in August 2015.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by black blotches on the upper origin of the pectoral fin, upper caudal peduncle and a dorsal fin between the second and fourth spines, predorsal scales beyond to above the middle of the eye, 12~13 soft dorsal and anal fin rays, and 20 lateral-line scales. This species is distinguishable from Abudefduf sordidus by soft dorsal and anal fin rays, location of caudal peduncle blotch, and location of the dorsal fin blotch. The newly proposed Korean name is "Il-gop-jul-ja-dom".

      • KCI등재

        꼬리지느러미가 없는 긴꼬리벵에돔 [Girella leonina (농어목, 황줄깜정이과)]의 출현

        권혁준 ( Hyuck Joon Kwun ),박진순 ( Jinsoon Park ),김혜선 ( Hye Seon Kim ),김주희 ( Ju-hee Kim ),배한나 ( Hanna Bae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2016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9 No.5

        We report the first occurrence of a tailless Girella leonina, collected from Jeju Island, Korea, in July 2016. This specimen has 10 scales below the median spinous portion of the dorsal fin, a black posterior margin of the operculum, and no pale vertical band on the body, and is therefore similar to the normal species, except that it has no caudal peduncle or caudal fin. The posterior parts of the dorsal and anal fins are gathered vertically at the posterior end of the body. A radiograph indicates that this abnormal specimen is lacking the vertebrae after vertebra 2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