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음악과 교육과정과 연계한 초등 "방과 후 학교" 국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박주만 ( Joo Man Park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2 예술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과 교육과정과 연계된 초등 ‘방과 후 학교’ 국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 이다 연구의 방법과 내용으로는 먼저 방과 후 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문헌과 현재 초등학교에 적용되고 있는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국악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후 선행 연구를 통해 최근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보고, 본 프로그램의 시사점을 도출한 후 음악과 교육과정과 초등 음악수업 내용을 연계한 통합적 성격의 방과 후 국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제시된 프로그램의 예시는 총 세 가지이며 횟수는 16차시이다. 첫 번째는 전래동요 부르기와 놀이를 통한 활동 중심의 방과 후 프로그램이고, 두 번째는 국악의 기초 개념을 이해하고 용동을 통해 창작의 즐거움을 알게 하는 이해 중심의 방과 후 프로그램이며, 세 번째는 창작 국악동요와 감상곡을 통한 국악의 생활화를 강조한 방과 후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한편 본 프로그램으로 기대되는 교육적 효과로는 정규 음악과 교육과정을 보충, 심화하여 국악 교수-학습 개선에 도움을 줄 것이고. 학생들의 창의성과 잠재된 예술성 신장 및 음악을 통한 바른 인성 함양에 도용을 줄 것이다. 또한 음악학습과 보육에 대한 사교육비의 부담이 완화시켜 계층간 지역 간 교육 격차가 줄어들어 실질적인 교육 복자를 구현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 to develop ``after-school`` gukak(Korean traditional music) teaching programs connected with the music curriculum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s and contents for it, first of all, this paper conducted literature review for after-school educational programs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gukak in ``2007 revised music curriculum``. Also, based on advanced research, this study drew the implications of this program by analyzing the status of operating after-school programs so far and developed an after-school gukak teaching program with integrated characteristics in which the curriculum and elementary music class are connected. The example of the after-school gukak program suggested as the research result includes total three activities. The concrete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it is an after-school gukak teaching program is for ``understanding``, The name of the program is ``Singing and Playing``. It is an experience-centered Gukak program which has singing traditional nursery rhymes as its main activity and emphasizes traditional plays. Second, the after-school gukak teaching program is for ``understanding``. The name of the program is ``I am a Gukak Composer``. Regarding the program`s main goal and characteristics, the chief goal is to let students understand the basic concept of gukak and know the pleasure of creation through gukak. Third, it is an after-school gukak teaching program to ``make gukak a way of life``, The name of the program is ``Gukak is My Friend``, In terms of the program`s main goal and characteristics, it includes music activities emphasizing how to make gukak a way of life through creative gukak nursery rhymes and songs for appreciation

      • KCI등재

        조선시대 경북지역의 효자⋅효녀⋅효부 사례분석 ― 『慶尙道邑誌』를 중심으로

        박주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49 No.-

        In this study an analysis of filial sons, daughters, and daughters-in-law at forty-one towns in the Kyongsangbuk-Do province during the Chosun Dynasty was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Kyongsang-Do-Eup-Ji』 was conducted. Also the inflow of the morality of Confucianism into the Kyongsangbuk-Do area and the regional aspects have been investigated. When the cases of filial sons have been classified, they turned out to be various. Among the classified cases, while their parents were alive, cutting off one's finger or flesh were predominant. After their parents passed away, cases of living in a small-roofed hut near the grave of his parents for three to six years was noticeable. On the other hand, toward the latter part of the Chosun Dynasty, the number of filial sons increased. Frequently, within a family of filial sons, there were many more. The family background and social status of filial sons were distinct. Looking at the social status of filial sons, 65% were Yangban, on the other hand approximately 22% came from common people(including soldiers) and slave servants. Regarding the types of rewards awarded, 49% were Chung-ryo or Chung-mun which were most frequent, and the next frequent was "Jeung-jik". Notably, among the government positions given by Jeung-jik the most frequent is "Ji-peong" and in the case of government positions "Chambong" was given frequently. On the other hand, cases of filial daughters and daughters-in-law were limited to only 9% of all the filial persons. At the Chosun Dynasty, for women it was emphasized that ”the virtous deed (烈)” for her husband is emphasized more than "filial piety(孝)“ toward their parents which is a Confucianismic view of feminity. In terms of regional distribution, the Andong area(安東) had the most filial sons and then the Sangju area(尙州). Here, it can be noted that within the Kyungsangbuk-Do area many filial sons can be found in an area where it is more populated and were the affects of the Yangban were stronger. 본 연구는 『慶尙道邑誌』에 실려 있는 조선시대 경북지역 41읍의 효자, 효녀, 효부의 사례들을 상세히 분석함으로써 경북지역의 유교윤리의 보급과 지역적 특성을 실증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먼저 효자들의 사례를 유형별로 크게 나누어 보면, 부모가 병이 들었을 때는 斷指 또는 割股, 嘗糞, 吮腫, 施藥, 得魚, 得肉 등을 한 경우, 부모가 호환, 수화재, 도적 등의 위기에 처했을 때 생명의 위험을 무릅쓰고 부모를 구하거나 함께 죽은 경우, 임진왜란 때 왜적으로부터 부모의 살해나 被虜를 막고자하여 생명을 걸고 부모를 구하거나 함께 해를 당한 경우, 지극한 효성에 하늘이 감응한 경우, 형제간에 우애가 지극한 경우, 부모 사후 여묘를 3년 내지 6년, 9년 한 경우, 부모 사후 『주자가례』에 따라 상제를 행하거나 가묘를 설치한 경우, 부모상에 추복한 경우, 국상을 당하여 心喪 3년 한 경우, 短喪을 거부하고 3년상을 한 경우, 스승을 위하여 여묘 3년 또는 심상 3년 한 경우, 충효를 행한 경우 등으로 매우 다양하였다. 이들 사례유형 가운데 부모 생시에는 斷指 효행한 사례가 가장 많고, 부모 사후에는 여묘를 3년 내지 6년 한 사례가 가장 많았다. 한편 시기적으로 볼 때 조선 후기로 갈수록 효자의 수가 증가하였다. 특히 임란 때 발생한 효자의 비중이 높았으며 순조대에 가장 많이 포상되었다. 그리고 경북지역에 있어서 포상된 효자수가 모두 319건인데 비하여 열녀수는 233건이었다. 따라서 열녀에 비해 효자의 비율이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여기에서 조선왕조는 삼강윤리 가운데 효를 가장 중요시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효자 가문에서 효자가 계속 나오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그리고 효자들의 가계배경과 신분이 분명하였다. 효자들의 신분을 보면, 士族이 65%를 차지하고 있는 반면에 평민(군인 포함)과 천민은 모두 약 22%를 차지하여 사족이 3배 이상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함을 알 수 있다. 포상유형으로는 旌閭 또는 旌門이 49%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그 다음으로 贈職이 많았다. 증직된 관직으로는 持平(정5품)이 가장 많고 제수된 관직으로는 參奉(종9품)이 가장 많아 주목된다. 한편 효녀와 효부 사례는 전체 효행자 가운데 약 9%에 불과하다. 여기에서 당시 조선왕조 여성에게는 부모에 대한 孝보다는 남편에 대한 烈을 더 강조함으로써 유교적 여성관을 엿볼 수 있다. 지역별 분포를 보면 안동 지역이 효자수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상주지역이었다. 여기에서 경북지역 내에서도 비교적 인구가 많고 재지사족의 영향력이 강한 지역에서 효자가 많이 배출되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조선시대 昌寧지역의 효자, 효녀, 열녀

        박주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7 No.-

        This paper was analyzed about the examples of filial sons, daughters and virtuous women in Changneong(昌寧) province. Also the inflow of the morality of Confucianism into the Changneong area and the regional aspects have been investigated. Toward the latter part of the Chosun Dynasty, the number of filial sons and virtuous women increased. When the cases of filial sons have been classified, they turned out to be various. Among the classified cases, the most example of filial sons was filial sons during Im-jin- wae - ran(壬辰倭亂). The family background and social status of filial sons were distinct. Regarding the types of rewards awarded, Chung-ryo(旌閭) or Chung-mun(旌門) which were most frequent, and the next frequent was gup-bok(給復),bok-ho(復戶), Jeung-jik(贈職). On the other hand, the most example of virtuous women is the case of killed oneself to protect one's chastity from being violated by Japanese pirates during Im-jin- wae - ran. The social status on the most of the virtuous women was literati's wives(幼學의 妻). The reward was given in the form of Chung-ryo(旌閭) or Chung-mun(旌門). 본 연구는 조선시대 창녕지역에서 배출된 인물들과 효자, 효녀, 열녀의 사례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창녕지역의 유교윤리 보급과 그 지역적 특성을 고찰한 것이다. 경상도 창녕은 본래 비자화군(比自火郡)(비사벌, 比斯伐)이었으나 고려 태조 때 지금의 이름인 창녕(昌寧)이 되었다. 조선시대 이 지역 인물로는 성석린(成石璘, 성여완의 아들), 성석용(成石瑢, 성석린의 아우), 성석인(成石因, 성석용의 아우), 성사재(成思齊, 성유득의 아들), 성엄(成揜, 성석인의 아들), 성억(成抑, 성엄의 아우), 성개(成槪, 성석용의 아들), 성염조(成念祖, 성엄의 아들), 성봉조(成奉祖, 성염조의 아우), 조석문(曺錫文), 성임(成任, 성염조의 아들), 성간(成侃, 성임의 아우), 조효문(曺孝門, 조석문의 당숙), 성건(成健, 성엄의 손자), 성준(成俊, 성엄의 손자), 성현(成俔, 성간의 아우), 성희안(成希顔, 성찬의 아들), 성담년(成聃年, 성개의 손자), 성몽정(成夢井, 성담년의 아들), 성운(成雲, 성개의 증손자), 성세정(成世貞), 성세순(成世純, 성세정의 아우), 장계이(張繼弛), 성세창(成世昌, 성현의 아들), 성수침(成守琛, 성세순의 아들), 성혼(成渾, 성수침의 아들), 성윤(成倫, 성세정의 아들), 이장곤(李長坤), 성안의(成安義), 성수경(成守慶), 손인갑(孫仁甲) 등이 수록되어있다. 따라서 인물들 거의 대부분이 창녕성씨 인물들로 수록되어 있어 매우 주목된다. 마치 창녕성씨 가계도를 보는 것 같으며, 이들 창녕성씨 대부분은 중앙과 지방에서 높은 벼슬을 함으로써 창녕성씨 가문이 명족(名族)으로 성장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창녕 지역의 효자, 효녀 사례들을 정리해보면, 임란 때의 효행 사례가 적지 않음으로써 임란 때의 창녕지역의 인명 피해를 엿볼 수 있다. 그리고 3대에 걸쳐 효자가 나온 장씨(張氏) 집안이 주목된다. 장시행(張是行)과 그의 아들 장익정(張翼楨) 그리고 손자 장만(張滿) 형제는 부모가 병에 걸렸을 때 모두 한결같이 단지효행(斷指孝行)을 하였고, 부모 사후에는 여묘살이를 했다. 효녀는 1명에 불과하며 효녀 백이랑(白二郞)은 만호(萬戶, 종4품 무관)의 딸이다. 포상내용으로는 정문(旌門) 또는 정려(旌閭)가 대부분이고 그 외에 증직(贈職), 복호(復戶), 급복(給復) 등이 보인다. 창녕지역 열녀들의 사례를 정리해 보면, 도적으로부터 남편을 구하고 정조를 지키기 위하여 자결한 경우, 남편이 병사하자 합장되고자 목을 매어 따라죽은 경우, 남편이 물에 빠져죽자 남편의 시체를 껴안고 함께 죽은 경우, 남편이 죽은 후 재가하지 않고 수절한 경우, 임진왜란 때 절개를 지키려다 피살되거나 물에 빠져 자결한 경우 등이 있다. 여기에서 임진왜란 때의 열녀 사례가 가장 많이 보여 창녕지역 여성의 피해를 엿볼 수 있다. 신분이 밝혀진 열녀의 신분으로 유학(幼學)의 처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포상내용을 보면 열녀 모두가 정문, 정려의 포상을 받았음이 주목된다.

      • 유연체 모션시스템의 진동억제를 위한 명령성형필터의 시간지연 값 학습

        박주한(J.-H .Park),임성수(S.S.Rhin),이순걸(S.-G.Lee) 한국정밀공학회 2006 한국정밀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06 No.5월

        The performance of the direct adaptive time-delay filter depends on the select time-delay. In this paper, the authors introduce a new scheme to adapt the time-delay which is to be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direct adaptive command shaping for the improved vibration suppression in flexible motion system. In order to formulate the time-delay adaptation scheme, the authors have analyzed the effect of the time-delay value on the performance of the direct adaptive command shaping filter. By modifying the direct adaptation formula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e authors have established a set of equations to adapt the time-delay toward the optimal value. Simulation results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time-delay adaptation approach for the improved vibration suppression.

      • KCI등재

        선체보강판의 모델링범위에 따른 최종강도거동에 관한 연구

        박주,고재용,박성현,Park, Joo-Shin,Ko, Jae-Yong,Park, Sung-Hyeon 해양환경안전학회 2004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0 No.2

        선체구조는 기본적으로 판부재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판부재는 하중분담 능력에 따라서 전체적인 구조의 강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각 구조적인 판부재는 개별적으로 거동하는 것이 아니라 종합적인 구조로서 작용하게 된다. 선박구조물은 강구조물과 해양구조물에서와는 달리 고정도의 부정정 구조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조물의 거동을 정확하게 규명하기 위해서는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는 선체판넬 구조를 단순화시켜서 해석에 적용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체판넬구조의 모델링영역에 따른 최종강도 거동의 차이를 분석하여, 합리적인 모델링영역을 규명하고자 한다. 사용된 해석모델은 실제 상선의 이중저구조에서 사용되는 판넬에서 채택하였으며, 유한요소해석 모델링 시 3가지 서로 다른 해석영역을 지정하여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축압축하중이 작용하는 보강판넬구조에서 서로 다른 모델링영역을 갖는 보강판에서의 최종강도 거동을 분석하여 최적의 해석모델링 영역을 찾는 것이다. Ship structures are basically an assembly of plate elements and the load-carrying capacity or the ultimate strengt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riteria for safety assessment and economic design. Also, Structural elements making up ship plated structures do not work separately, resulting in high degree of redundancy and complexity, in contrast to those of steel framed structures. To enable the behavior of such structures to be analyzed simplifications or idealizations must essentially be made considering the accuracy needed and the degree of complexity of the analysis to be used On this study, to investigate effect of modeling range, the finite element method are used and their results are compared varying the analysis ranges. The model has been selected from bottom panels of merchant ship structures. For FHA, three types of structural modeling are adopted in terms of the extent of the analysi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numerically calculate the characteristics of ultimate strength behavior according to the analysis ranges of stiffened panels subject to uniaxial compressive loa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