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조선 후기 청도 『鰲山志』의 편찬과 효자, 열녀

        박주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4 No.-

        This paper was analyzed about publication of Osanji and the examples of filial sons, filial daughter, filial daughter-in-law and virtuous women in Chungdo province(淸道). Also the inflow of the morality of Confucianism into the Chungdo area and the regional aspect have been investigated. Osanji(鰲山志) is eupji of Chungdo. The chronicle of Osan was compiled by Lee Joong Kyung(李重慶) in 1673. The chronicle is characterized by containing various facts in detail about Chungdo's history, culture after Imjinwaeran and focus on people. When the cases of filial sons have been classified, they turned out to be various. Among the classified cases, while their parents were alive, cases of cutting off one's finger and after their parents passed away, cases of living in a small- roofed hut near the grave of his parents from three to six years was noticeable. The family background and social status of filial sons were distinct. Looking at the social status of filial sons, the most was Yangban. The reward was given in the form of Chung-mun or Chung-rye, Jeung-jik. Bok-ho etc. The typical examples of virtuous women was suicide by hung oneself when one's husband died. The social status on the most of the virtuous women was literati's wives. The reward was given in the form of Chung-mun or Chung-rye. It is worthy to note that the number of the case for the filial sons and virtuous women in Chungdo area was less than the number of those cases in other areas. The case of filial daughters were not shown at all and a few cases of filial daughter-in-law were shown. 본 연구는 조선 후기 경상도 청도 지역의 사찬읍지인 『오산지』의 편찬과 내용 그리고 『오산지』에 나와있는 효자, 효녀, 효부, 열녀들의 사례를 실증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청도지역의 유교윤리의 보급과 재지사족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오산지』는 청도군의 사찬읍지이다. 이 읍지는 처사 이중경(李重慶)에 의해 1673년(현종 14)에 편찬되었다. 『오산지』의 편찬이 40여년 전(1627년)에 군수 유진(유성룡의 아들)에 의해 시작되었으나 파직되어 떠나게 되어 중단되었다가, 1673년 이중경의 나이 75세 때 청덕루(淸德樓)의 제영(題詠)을 지은 군수 권일(權佾)의 부탁으로 예전의 기록들을 다시 모아 편찬하게 되었던 것이다. 『오산지』는 임란이후 사라져가는 청도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정리할 필요성 뿐아니라 수령의 지방 통치에 필요한 자료, 교화의 수단 등으로 이용하기 위해 편찬하였던 것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오산지』의 경우 다른 지리지에 비해 역사, 문화부분에서 내용이 가장 풍부하고 상세하며, 인물중심의 읍지였음을 알 수 있다. 청도와 관련된 인물 즉 절효(節孝) 김극일(金克一),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 삼족당(三足堂) 김대유(金大有), 소요당(逍遙堂) 박하담(朴河淡) 등에 관련된 행적과 아울러 봉안문, 축문, 제문, 비명, 묘갈명, 기문 등의 상세한 내용을 통해 당시 재지사족의 영향력을 엿볼 수 있다. 한편 조선시대 청도지역의 효자들의 사례유형을 보면, 부모가 병이 들었을 때 단지, 상분, 연종, 시약 등을 한 경우, 부모 사후 여묘를 3년 내지 6년한 경우, 묘소 곁에서 호랑이를 가축처럼 기른 경우, 지극한 효성에 하늘이 감응하여 이루어진 것이 무릇 여섯가지나 된 경우, 어머니가 호환의 위기에 처했을 때 생명의 위험을 무릅쓰고 시체를 빼앗아 돌아온 경우, 상을 마친 뒤에도 50년을 하루같이 성묘한 경우 등이 있다. 효자들의 가계배경과 신분이 상세하였다. 효자들의 신분을 살펴보면 지평 1명, 수군의 아들 1명, 무열공의 후손 1명, 충경공의 후손 1명, 선전관 1명, 참봉 1명, 문양공의 후손 1명이 보여 주목된다. 효부의 신분을 보면 참봉의 딸 1명, 都事(종5품)의 딸 1명이 보인다. 포상내용으로 정려, 정려와 복호, 동몽교관 증직, 상물(賞物) 등이 보인다. 효녀사례는 전혀 보이지 않고 효부사례만 3건이 보인다. 한편 청도지역의 열녀 행적을 유형별로 나누어보면 임란 때 절개를 지킨 경우, 남편이 죽자 스스로 목을 매어 자결한 경우, 남편이 죽자 따라 죽고자했으나 어린 자식이 있어 40여 년을 수절한 경우, 남편이 병으로 위중해지자 자신의 몸이 대신하기를 원했으나 남편이 결국 죽자 장례를 마치는 즉시 자결한 경우 등이 있다. 신분이 밝혀진 열녀의 신분으로는 향리의 처 1명, 유학의 처 1명, 군수의 증손녀 1명, 선비의 처 1명이 보여 주목된다. 포상내용으로는 정려만이 보인다. 요컨대 청도지역은 조선 중기 이후 김해 김씨와 밀양 박씨들이 청도의 재지사족으로서 확고한 지위를 가졌으며, 청도의 효자, 열녀는 타지역에 비해 많이 배출되지 않았음이 주목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시대 경북지역의 효자⋅효녀⋅효부 사례분석 ― 『慶尙道邑誌』를 중심으로

        박주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49 No.-

        In this study an analysis of filial sons, daughters, and daughters-in-law at forty-one towns in the Kyongsangbuk-Do province during the Chosun Dynasty was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Kyongsang-Do-Eup-Ji』 was conducted. Also the inflow of the morality of Confucianism into the Kyongsangbuk-Do area and the regional aspects have been investigated. When the cases of filial sons have been classified, they turned out to be various. Among the classified cases, while their parents were alive, cutting off one's finger or flesh were predominant. After their parents passed away, cases of living in a small-roofed hut near the grave of his parents for three to six years was noticeable. On the other hand, toward the latter part of the Chosun Dynasty, the number of filial sons increased. Frequently, within a family of filial sons, there were many more. The family background and social status of filial sons were distinct. Looking at the social status of filial sons, 65% were Yangban, on the other hand approximately 22% came from common people(including soldiers) and slave servants. Regarding the types of rewards awarded, 49% were Chung-ryo or Chung-mun which were most frequent, and the next frequent was "Jeung-jik". Notably, among the government positions given by Jeung-jik the most frequent is "Ji-peong" and in the case of government positions "Chambong" was given frequently. On the other hand, cases of filial daughters and daughters-in-law were limited to only 9% of all the filial persons. At the Chosun Dynasty, for women it was emphasized that ”the virtous deed (烈)” for her husband is emphasized more than "filial piety(孝)“ toward their parents which is a Confucianismic view of feminity. In terms of regional distribution, the Andong area(安東) had the most filial sons and then the Sangju area(尙州). Here, it can be noted that within the Kyungsangbuk-Do area many filial sons can be found in an area where it is more populated and were the affects of the Yangban were stronger. 본 연구는 『慶尙道邑誌』에 실려 있는 조선시대 경북지역 41읍의 효자, 효녀, 효부의 사례들을 상세히 분석함으로써 경북지역의 유교윤리의 보급과 지역적 특성을 실증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먼저 효자들의 사례를 유형별로 크게 나누어 보면, 부모가 병이 들었을 때는 斷指 또는 割股, 嘗糞, 吮腫, 施藥, 得魚, 得肉 등을 한 경우, 부모가 호환, 수화재, 도적 등의 위기에 처했을 때 생명의 위험을 무릅쓰고 부모를 구하거나 함께 죽은 경우, 임진왜란 때 왜적으로부터 부모의 살해나 被虜를 막고자하여 생명을 걸고 부모를 구하거나 함께 해를 당한 경우, 지극한 효성에 하늘이 감응한 경우, 형제간에 우애가 지극한 경우, 부모 사후 여묘를 3년 내지 6년, 9년 한 경우, 부모 사후 『주자가례』에 따라 상제를 행하거나 가묘를 설치한 경우, 부모상에 추복한 경우, 국상을 당하여 心喪 3년 한 경우, 短喪을 거부하고 3년상을 한 경우, 스승을 위하여 여묘 3년 또는 심상 3년 한 경우, 충효를 행한 경우 등으로 매우 다양하였다. 이들 사례유형 가운데 부모 생시에는 斷指 효행한 사례가 가장 많고, 부모 사후에는 여묘를 3년 내지 6년 한 사례가 가장 많았다. 한편 시기적으로 볼 때 조선 후기로 갈수록 효자의 수가 증가하였다. 특히 임란 때 발생한 효자의 비중이 높았으며 순조대에 가장 많이 포상되었다. 그리고 경북지역에 있어서 포상된 효자수가 모두 319건인데 비하여 열녀수는 233건이었다. 따라서 열녀에 비해 효자의 비율이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여기에서 조선왕조는 삼강윤리 가운데 효를 가장 중요시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효자 가문에서 효자가 계속 나오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그리고 효자들의 가계배경과 신분이 분명하였다. 효자들의 신분을 보면, 士族이 65%를 차지하고 있는 반면에 평민(군인 포함)과 천민은 모두 약 22%를 차지하여 사족이 3배 이상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함을 알 수 있다. 포상유형으로는 旌閭 또는 旌門이 49%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그 다음으로 贈職이 많았다. 증직된 관직으로는 持平(정5품)이 가장 많고 제수된 관직으로는 參奉(종9품)이 가장 많아 주목된다. 한편 효녀와 효부 사례는 전체 효행자 가운데 약 9%에 불과하다. 여기에서 당시 조선왕조 여성에게는 부모에 대한 孝보다는 남편에 대한 烈을 더 강조함으로써 유교적 여성관을 엿볼 수 있다. 지역별 분포를 보면 안동 지역이 효자수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상주지역이었다. 여기에서 경북지역 내에서도 비교적 인구가 많고 재지사족의 영향력이 강한 지역에서 효자가 많이 배출되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18세기 후반 경상도 거창군 효자 3형제의 여묘생활— 金謹樞의 『廬墓日記』를 중심으로 —

        박주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3 No.-

        This paper is a case study on the Yeomyo(廬墓) life of three brothers, who had lived at Geochang(居昌), Kyungsang province in the late 18th century. Kim-keunchu(金謹樞), the third son of six brothers and sisters, built a small grass-roof hut near his fathers grave and took care of it, while staying. He wrote a 23-months of Yeomyo Diary from October 2 of 1781(the 7th year of King CheongJo) to August 16 of 1783. The group of Confucian scholars filed a petition for reward after the death of three brothers and the government rewarded a Chungrye(旌閭) at 1892, the 29th year of King KoJong. His diary described the weather in those days and farming. It included death of his family and the relatives due to drought, epidemics raging, famine and smallpox. Also pains due to colds, asthma, diarrhea, hemorrhoids and migraine were shown in the diary. Discomfort originated from weather fluctuations such as heavy snow, rainy season, showers, strong wind were appeared. In addition to that feelings of the condoler, readings of an etiquette book, giving a rice soup to victims in the year of famine were described. The diary is a worthy of notice for vivid depiction of local scholar's Yeomo life in the late 18th century 본고는 18세기 후반 경상도 거창군에 살았던 경주김씨 효자 3형제의 여묘생활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경주김씨수은공파 수은 김충한의 12대손 김근추는 1781년 7월 16일에 부친상을 당하자 산중에서 여막을 짓고 여묘살이를 하였다. 그러면서 1781년(정조 5) 10월 초2일부터 1783년(정조 7) 8월 16일까지 1년 11개월의 여묘일기를 남겼다. 김근추1(747년, 영조 23~1814년, 순조 14)는 아이 때부터 어버이를 맛난 고기로 정성껏 봉양하였다. 성장해서는 아버지가 병에 걸리자 주야로 마음을 졸이며 의대(衣帶)를 풀지않고 아버지 곁을 떠나지 않았다. 또한 상분(嘗糞)하여 병의 경중을 살폈다. 그리고 목욕하고 하늘에 빌어 제몸이 대신하기를 청하였다. 아버지가 붕어를 먹고 싶어하자 냇가에 가서 소리쳐 울어 구하여 드려 효험을 얻었다. 병이 위독해지자 3형제가 일시에 손가락을 끊어 피를 드리니 보름을 수명연장시켰다. 그러나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자 날마다 묘에서 곡하고 여묘살이를 하였다. 3형제가 죽은 후 사림(士林)이 일제히 현부(縣府)에 호소하여 1892년(고종 29)에는 정려(旌閭)되었다. 김근추의 여묘일기에는 기후, 농사, 가뭄, 전염병의 유행, 기근, 천연두 유행으로 잇달은 가족친지들의 죽음, 감기, 천식, 설사, 치질, 편두통 등의 병으로 인한 고통, 폭설, 눈, 비, 소나기, 큰바람 등의 날씨변동과 할충벌레로 인한 여막생활의 크나큰 불편, 조문하러 온 사람들과 그들이 가져온 물건, 예서와 주역에 관한 독서, 흉년에 굶주린자들에게 죽을 끓여 도운 일 등이 매우 생생하게 서술되어있다. 본 자료는 18세기 후반 경상도 거창군에 살았던 한 선비 효자의 여묘생활을 자세하게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소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 牧隱 李穡과 그의 政治思想에 關한 硏究

        朴珠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1982 연구논문집 Vol.25 No.1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Lee-Saek who was an outstanding scholar from the end of Koryo Dynasty till the biginning of Cho-Sun Dynasty(麗末鮮初), and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was tried to grasp the general outline including his family background, character, and learning through his friendship during his 70-year lifetime. The second part consisted of understanding of his political thought in view of political idea. Buddhism, the theory of the land reform and the theory of national defense. Mok-Eun as a politician apprehended the social antinomy and the chaotic international situation in the end of Koryo through his 40 years of government service and suggested various reform programs, but all of these were not successfully carried out. The most improtant works made by him were as follows; a. Rebuilt of Seong Kyun Kwan(成均館), which was ruined by invasion of Hong Kun Jeok(紅巾賊), and reestablishment of educational system. b. Restoration of Confucianism by means of educationg the elite Confuncianists-Lee-Sungin, Jeong-Dojun, Jeong-Mongju, Kwon-Geun, Park-Sangchung, Yun-Sojong and so on - who played the important role to change the national overwhelmed ideology from buddhism to Confuci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