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명윤리와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조사

        박인옥,박지영,조은희,소경희,김희백,Park Inok,Park Jeeyoung,Cho Eun Hee,So Kyung-Hee,Kim Heui-Baik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05 초등과학교육 Vol.24 No.5

        This study aims to examine primary school teachers'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bioethical issues, and to analyze their perception of bioethics teaching in the primary school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s were construct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553 primary teachers in the whole country. Major findings of the studys are as follows. First, most primary school teachers showed high level of interest about bioethical issues, but they had the limited understanding about bioethical issues. Primary teachers showed the highest interest about' respect for human life' and the lowest understanding of 'awareness of current biotechnology' Second, the prior reasons why primary teachers wanted to teach specific bioethical issues in the classes were that 'they were closely related to social phenomena' and 'they were appropriate for enhancing students' awareness of the value of life'. Third, the lack of the teachers' knowledge about bioethics and limited supply of teaching materials were found to be barriers, which prevent them from teaching bioethical issue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for the improvement of bioethics teaching in primary school education.

      • KCI등재

        일반논문 : 현장체험학습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안전대책 방안 연구

        박인옥 ( Inock Par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체험학습이 교육목적에 부합하면서도 학생들의 안전이 담보된 활동이 이루어지기 위한 안전대책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있다. 이에 현장체험학습의 이론적 고찰과 교육부 및 강원도교육청의 「수학여행ㆍ수련활동 등 현장체험학습 운영 매뉴얼(수정)」(``14.8.) 내용 분석을 통해 그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내용 분석 결과, 운영 매뉴얼은 학교와 교사들이 지켜야 할 원칙과 이를 위해 해야 할 업무들을 상당부분 제시하고 있는 지침서의 기능하고 있으며, 현실적으로 실행하기 어려운 과도한 운영 지침과 준수 사항을 많이 담고 있어서 이로 인해 학교의 현장체험학습 운영 업무를 가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개선 방안으로 현장체험학습의 효율성과 안전을 모두 담보하기 위한 새로운 운영 시스템의 도입과 현장체험학습 운영을 지원해 줄 교육지원센터 구축과 전문 인력의 배치, 소규모ㆍ테마형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 그리고 범국민적인 안전교육의 강화 등을 제안하였다. 현장체험학습의 교육적 유의미성을 인정한다면, 앞으로 교육부와 시도교육청 차원에서 보다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지원과 안전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search for safety measures to help students to enjoy their learning during their participation in field trip activities which not only guarantee safety but also correspond to educational objective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the study investigated theories in relation to field trip learning activities and 「Manual on How to Operate Field Trip Activities such as School Excursion, Retreats and Others (Revised))」(August of 2014)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Gangwon-do Office of Education and analyzed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on the contents of the theories and the manual as well, the operation manual works as a guideline that talks about countless responsibilities and principles which schools and teachers should fulfill and observe. However, the study also confirmed that many of what have been presented in the manual are still considered impossible to be actually performed in reality, and that is what has been aggravating the schools` works in connection with how to operate the field trip activities. In terms of measures to improve all those aggravated burdens of the schools related to the field trip activities, the study argues not only for an introduction of a new operation system that would secure both the effectiveness and the safety of the field trip activities but also for an establishment of an educational support center to help the schools with how to do with the field trip activities. In addition, the study made several suggestions on placement of professional personnel and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small-scale and theme programs including nation-wide reinforcement of safety education and others. I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other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want to prove how they accept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value of the field trip activities, both of them should first offer even more confident and efficient supports and safety measures to enhance the quality and the contents of the field trip activities.

      • KCI등재

        인천의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의 초기 형성과 분화과정에 관한 연구

        박인옥(Park In-OK),이영애(Lee Young-Ae)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20 인천학연구 Vol.32 No.-

        본 연구는 1987년 6월 항쟁 후 다양한 분파의 사회세력들이 형성되며 대안운동으로 주목한 생협운동의 초기 형성과 분화과정을 분석하였다. 생협은 역사적으로 국가 및 지역 차원에서 일관된 하나의 형태 또는 통일된 의사결정의 형태로 존재하지 않는다. 특히 생협운동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지역스케일의 생협은 정치적 · 사회적으로 사회세력의 이해와 요구가 복잡하게 얽혀 갈등 · 조정 · 배제 · 경합 등 다양한 행위를 반영하며 설립 · 해산 · 통합 · 연대 등의 형태로 성장, 발전한다. 이 같은 관점에서 볼 때 기존의 연구는 생협 조직 형태 또는 참여자의 행위를 이미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 행위자를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거나 소홀히 하는 측면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협을 이미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사회세력들의 행위가 반영된 산물임을 전제로 1990년대 초 동시다발적으로 설립된 생협을 사례로 분석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생협 설립은 1980년대 사회세력간 이해와 요구가 복잡하게 얽혀 나타난 ‘차이의 운동들’을 반영한다. 인천의 성장 역사를 고려할 때 ‘차이의 운동들’은 산업화 과정의 부작용과 제도권 진출 실패의 대안이라는 두 가지 요인이 상호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생협 설립을 추동하였다. 둘째, 초기 생협운동은 다양한 분파들이 자신들의 이념과 가치를 기반으로 갈등 · 조정 · 경합 등의 행위를 반영하며 해산 · 통합 · 연대 등을 전략적으로 선택하여 생협의 경영을 안정화하고, 조직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셋째, 생협의 설립이 ‘차이의 운동들’로 분화되어 나타났음에도 지역 차원의 친화경농산물 직거래라는 운영 전략을 뛰어넘어 전국 차원의 정치적 연대/연합 등 형태로 공통의 이슈를 형성하고자 하였다. 즉 생협운동이 지역 스케일에서 형성된 네트워크로 ‘차이의 운동들’을 뛰어넘어 우리밀살리기운동, 우리농살리기운동, UR 협상 반대 등 해당 이슈를 정치화하고, 연대공간을 확장하여 지역에 고정화되는 것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넷째, 초기 생협운동이 주안과 부평 등 공단이 입지해 있는 지역에서 전개된 것은 공업도시로 성장한 인천의 역사와 정체성과 관련이 있다. 이같은 특성은 당시 생협 구성원들이 공업화 단계의 핵심 지구인 공업단지와 배후지를 주요 소비지로 접근함으로써 생협운동의 확산 가능성을 인식하였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sumer co-operative movement which is identified as an alternative way through various social forces formed after the June Democracy Movement in 1987. First, this study found that social forces divided into various positions are the driving force of the early consumer co-operative movement and the reasons of the conflict between social change forces. Second, those conflicts cause as acts of deviation, unity and solidarity, and dissolution from each unit of co-operatives. Thus, the differentiation of the co-operative movement has been forthcoming to be influenced by the complicated movements of the differences, rather than the understanding and demands of specific forces independently. In other words, the consumer co-operative movement is the result of various drastic change throughout the differentiation process. In order to analyze this study, take the case of several consumer co-operatives established simultaneously in the early 1990s.

      • 제동전자제어장치의 수명연장에 대한 연구

        박인옥(In-ok Park),심재규(Jae-gyu Shim) 한국철도학회 2014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5

        최근까지 사용내구연한에 대한 규정으로 전동차의 정기적인 교체가 진행되었지만, 이제부터는 25년으로 정해졌던 사용내구연한에 대한 규정이 국내도시철도법에서 개정되어 병행 삭제되었기 때문에 전동차의 제동장치, 보조전원 및 추진제어장치 등의 주요장치의 주기적 및 통합적인 교체는 불가능하다. 이런 현실에서 주요장치의 수명연장이 필요하다. 문제가 발생했을 때 차량의 안전에 필수적인 제동제어장치의 수명연장이 타 장치들보다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동제어장치의 수명연장을 위하여 제동장치의 전원 및 미세제어시스템의 안정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이를 통해 차량시스템의 안전성을 향상하고 유지보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하고자 한다. The old Electric Rolling Stocks were replaced with new ones regularly until recently, because the rule of the Endurance Use Period was applied to manage it. But, it is not possible to change them, because that rule was deleted from the Urban Railroad Act of Korea. Thus, the main system to operate the Electric Rolling Stocks is necessary to extend the life. The main systems are consist of many parts: braking, auxiliary power supply, propulsion control device and so on. First of all, the life of the brake system has to be extended in advance to ensure safety. This study attempts to improve the safety and maintenance of the Electric Rolling Stocks by suggesting a stabilizing method of the Power supply and Micro control system for extending the life of the brake electronic control unit.

      • KCI등재

        다문화가족의 주거문화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강원도 지역의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실태를 중심으로 -

        박인옥 ( Park Inock ),김민규 ( Kim Mingyu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2 언어와 문화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measures to support a residential-culture education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upon a premise of its importance. By analysing the supporting programs of Gangwon provinc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the residential-culture education status was examined an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with five immigrant women who resides in the city of Chumcheon, their living experience, recognition of living environment and the difference of residential-culture between Korea and their home country were researched. As a result, there are almost no residential-culture education programs by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only eight among those fourteen centers have a few introductory classes mentioning food-culture as multicultural families integration education, therefore immigrant women experiences psychological distress not only by the overall immigrant living discomfort but the cultural conflict between family members caused by the different living style. Consequently, residential-culture education program to be conducted not only for immigrants but also for every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also ‘Education program to understand residential-culture’ and ‘Education program to support adaptation for residential-culture transition’ to be proposed in the early stage of immigration. These programs shall help them to adapt to the different living style and minimize the cultural conflict of family members by understanding different residential-culture of each other.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다문화 초등학생 멘토링의 슈퍼비전에 관한 사례 연구

        박인옥 ( Park Inoc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보다 효율적이고 성과 있는 다문화학생 멘토링을 위한 전략으로 슈퍼비전의 요소를 투입하여 그 과정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에 2013년 3월부터 2014년 2월에 K대학의 다문화 멘토링에서 슈퍼비전을 실시하고, 슈퍼바이저 1명, 다문화 멘토 2명과 초등학생 멘티 2명을 연구참여 대상으로 면담조사와 관찰을 통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다문화 멘토링에서의 슈퍼비전 목적은 멘토링의 중도 포기를 방지하고, 멘토의 성장과 전문성을 촉진시킴으로써 멘토링의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있다. 이에 멘토링에서 필요한 슈퍼비전의 요소는 멘토의 역량 강화와 행정적·정서적 지원의 두 범주로 구분하고, 멘토링 단계별로 슈퍼비전의 주요 내용을 설정하였다. 이에 시작 단계에서는 래포 형성, 사전교육 강화, 행정적 문제해결을 투입하였고, 중간 단계에서는 상담, 학습방법 및 자료 제공, 중간점검을 위한 평가회를 투입하였고, 종결 단계에서는 정리활동으로 멘토링 소감 발표 등의 요소를 투입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 다문화 멘토링은 중도에 포기 없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었으며, 멘토와 멘티의참여도와 만족도를 높이고, 학교 및 학부모의 적극적인 협조를 이끌어내어 멘토링의 효과를 고양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 멘토링 사업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 반드시 슈퍼비전을 제공하기 위한 지원 시스템의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supervision elements as a strategy for efficient and effective mentoring for multicultural students and investigate the relevant process. For the study, supervision was provided in multicultural mentoring by K University in 2013, and a cas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interview between and observation of a supervisor and two multiculture mentors and two elementary student mentees. Supervision in multicultural mentoring prevents abandonment and promotes growth and professionalism of mentors, maximizing the effect of mentoring as a result. Therefore, supervision elements, in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 empowerment of mentors and administrative and emotional support. And then, different stages of mentoring supervision were established and empowerment of the supervisor provided. As a result, the multicultural elementary student mentoring was carried out continuously without anyone abandoning the program in the middle, and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of both mentors and mentees was improved, enhancing active cooperation of the school and parents and improving the effects of mentoring. The result suggests, for successful operation of multicultural mentoring projec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upport system for supervision.

      • KCI등재

        한국 노인의 우울요인

        박인옥(In Ok Park),김진세(Jin Se Kim),이강준(Kang Joon Lee),정인과(In Kwa Jung) 대한노인정신의학회 1998 노인정신의학 Vol.2 No.1

        Depression is one of most frequent psychiatric disorders in the elderly. Major depression has higher prevalence in the elderly compared with younger subjects. Depression in the elderly is a major health concern that can be life threatening, if not recognized and not treated. An untreated depression may result in needless suffering, institutionalization, and suicide. Inadequated treatment may occur because the signs and symptoms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are different from those in the young, and because the depressive symptoms may be viewed by the physician as a normal part of ag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depressive factors in the Korean elderly. Four hundred and sixty eight Koreans were evaluated for depressive factors in 60 years old or more. The author performed a clinical evaluation guide, an intensive questionnaire, and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Korean version (MMSE-K). Stastically ANOVA, Scheffe, Duncan and Chi-square methods were used to find out depressive factors in the Korean elderly. Depression, dissatisfaction, suicidal idea and distress factors were evaluated in the Korean elderly depressed persons. Depressive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physical health problems, family problems, psychiatric health problems, loneliness, economic problems, interpersonal conflicts, and occupational problems. Among these depressive factors, physical health problems were most frequently dominant in the elderly. Physical health problems are closely related to depression in the elderly. Depressive syndromes in the elderly are frequently combined with somatic complaints. And depression may be masked by multiple somatic complaints or by pain, for which no organic cause can be found. However, the etiology and mechanism of the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illness and depression are unkown. Such factors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ortant in reducing the high prevalence of depression in elderly people. 한국노인의 우울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정신과에 내원한 주요우울증 환자노인군과 무료복지병원, 복지회관, 파고다 공원 및 경로당의 일반노인군 등 468명을 대상으로 훈련받은 면접원이 1:1 면접 방식으로 인구통계학적 자료와 순위별 요인 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일반노인군보다 환자노인군에서 여자, 동거자녀가 없는 경우, 건강상태가 좋지 않다고 생각하는 경우, 용돈이 없는 경우, 용돈을 약값 및 병원비로 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학력, 결혼상태, 경제상태, 용돈액수에는 두 군간의 차이가 없었다. 둘째, 일반노인군과 환자노인군 모두에서 신체적 건 강 문제, 특히 주관적으로 느끼는 건강문제가 있을 때 가장 우울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째, 일반노인군과 환자노인군 모두에서 신체적 건강문제, 특히 현재 앓고 있는 질병이나 사고에 대한 걱정이 있을 때 가장 불만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 일반노인군에서는 경제적 어려움이 있을 때, 환자노인군에서는 정신적 건강 문제가 있을 때 불만이 있었다고 하였다. 네째, 전체적으로 39.3%의 노인들이 자살사고가 있었으며, 환자노인군은 56.1%로 32.2%인 일반노인군 보다 높은 자살사고를 보였다. 또한 환자노인군과 일반노인군 모두에서 신체적 건강 문제, 특히 현재 앓고 있는 질병이나 사고에 대한 걱정으로 죽고 싶다고 하였으며, 환자노인군에서는 불안, 초조 등의 정신적 건강문제로 죽고 싶다는 경우도 15.6%에서 나타났다. 다섯째, 살아오면서 가장 괴로웠던 사건이나 일은 일반노인군에서는 자녀 걱정이었으나, 환자노인군에서는 배우자와의 갈등이었다. 한국 노인의 우울 요인으로 신체적 건강 문제, 자녀와의 문제, 경제적 어려움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영속적 상황에서는 배우자와의 갈등이 가장 중요한 우울요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향후 노인 우울증 환자의 진단 및 평가에 있어서는 이러한 우울요인들이 비중있게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의 제한점이라고 할 수 있는 연령 및 남녀비율의 편중을 고려하여, 더 광범위하게 지역 및 경제적 분포가 고른 대상을 표집하여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사회과 예비교사의 리더쉽 향상을 위한 "Action Learning"적용 연구

        박인옥 ( In Ock Par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교육문화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사회과 예비교사교육의 일환으로, 사회과 교사의 자질 중에 하나인 리더쉽을 보다 효과적으로 함양시킬 수 있는 교수법 및 교수 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회과 교사로서 필요한 리더쉽의 관점 및 유형으로 슈퍼리더와 민주형 리더쉽을 탐색하고, 필요한 리더쉽 기능으로 의사소통 기능, 의사결정 기능, 인간관계 기능, 문제해결 기능, 자기개발 기능, 집단활동 기능, 기획기능의 7가지 요소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리더쉽을 향상시켜주기 위한 교수법 및 교수 전략으로서 ‘Action Learning’을 선정하여, 실제 담당 강의에서 적용해 봄으로써 그 효과 및 활용 가능성을 가늠해 보았다. 이에 사회교육과 3학년 16명을 대상으로 2010년 2학기 ‘미래사회와 시민교육’ 강좌를 통해 ‘Action Learning’을 실시하였다. 수업전략은 첫째, 사회과교육 관련 분야의 비구조적인 문제들을 해결하는 활동과 둘째, 교수의 역할은 축소하고, 학생들의 역할은 확대하며, 셋째, 자기주도 학습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넷째, 조별 활동을 통한 협동학습 환경을 강조하며, 다섯째, 평가에 있어서도 학습자중심이 되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수업 절차는 자기 소개 → 팀별 조 편성→ 기본 지식 습득→학습 과제 및 문제 구성→ 팀별 프로젝트 수행→ 학습 평가 순으로 이루어졌으며, 효과 분석은 수업관찰과 설문조사를 통해 ‘Action Learning’의 전과 후를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통계분석 결과, 리더쉽 7개 중 5개의 기능이 신뢰도 9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특히 의사결정기능이 가장 효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업관찰 분석결과, 학생들의 명확하고 자신감 있는 발표, 능동적인 학습 태도, 적극적인 수업참여, 다양한 질문 등의 활동을 통해 이전 수업에 비해 의사소통 기능, 의사결정 기능, 문제해결 기능, 집단활동 기능 등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회과 예비교사의 리더쉽 교육에 있어서 ‘Action Learning’의 효과 가능성을 나타내며, 이를 기초로 앞으로 사회과 교사의 리더쉽을 위한 다양한 교수법 및교수 전략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is research is a basic study of the teaching methods and strategies to effectively improve leadership, which is one of the qualities required for social studies teachers, as part of trainee social studies teachers education. To achieve the goal, super leader and democratic leader models were studied as leadership required for social studies teachers, and for required skills, seven factors - communication, decision-making, relationship, problem-solving, self-development, group activity, and planning skills - were suggested. Also, as a teaching method and strategy to improve such leadership, Action Learning was selected to apply to actual lecture and estimate the effect and possibility for application. With 16 third year students in college, Action Learning was executed through ``Future Society and Civil Education`` clas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0. The strategies were: first, to solve unstructured problems in social studies education field; second, to reduce the role of professor and increase that of students; third, self-directed learning was encouraged; fourth, to focus on cooperative learning environment through group activities, and fifth, learner-centered approach was most important in evaluation. This teaching procedure began from self-introduction, followed by group organization, basic knowledge learning, study assignment and problems, team project, and learning evaluation, and the effect was analyzed by survey on before and after Action Learning. The analysis resul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95 percent of reliability in 5 leadership skills, and decision-making skill had the highest effect. Also, after analyzing classroom observation, clear and confident presentation, active learning attitude, positive participation, and various questions improved communication, decision making, problem solving, and group activity skills. The results show that Action Learning can be effective in leadership education for trainee social studies teachers and I expect there will be systematic study on teaching method and strategies based on it.

      • KCI등재후보

        사회과 교사의 교과서 활용 방식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박인옥 ( In Ock Park ) 한국교육인류학회 2005 교육인류학연구 Vol.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제 7차 고등학교『사회』수업을 중심으로 사회과 교사의 교과서 활용 방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교과서 활용 방식은 수업 조직 단계에 따른 주요 상호작용과 이에 따른 교과서의 기능을 통해 추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등학교의 한 사회과 교사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질적 자료는 수업에의 참여 관찰과 반구 조화된 심층 면담을 통해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과서 활용은 수업 조직의 단계에 따라 다양하게 기능을 하며 효율적인 수업 전략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관찰된 교과서 활용과 관련된 교사의 수업 행동은 학습가능성을 고려하는 ``인식적 조정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며, 인식적 조정과정은 수업의 일상적 목표, 수업의 환경 그리고 교과서에 대한 교사 자신의 관점이 함께 조율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교실 수업에서 교사의 ``인식적 조정 과정``을 거쳐 형성된 것을 교사의 ``일상 실천적 지식``이라고 명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회과 교과서 활용을 통한 일상적 최적화 수업 행동을 보다 정련화할 수 있으며, 사회과 교사의 교과서 활용과 관련된 ``인식적 조정 과정``과 ``일상 실천적 지식``에 관한 연구는 앞으로 사회과교육 연구에 있어서, 다른 교과와는 차별화되는 교수(teaching)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을 연구하는데 기초가 될 수 있으며, 사회과 교수에 대한 기본적 지식의 요소와 전문적인 기준을 개발하는데 토대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social studies teachers utilize the textbooks of the 7th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classroom instruction. In order to study the purpose, I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of a social studies teacher in a local high school. Qualitative data were gathered mainly by participant observation and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by naturalistic methods. The concluding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observed curricular and instructional activities can be explained partly by the hypothesis of instructional optimization, called the "cognitive regulation process". The cognitive regulation process means a pedagogical adjustment, based on the criterion of "possibility of learning," that the teacher make in considering lesson targets, instructional environment, and his subject matter viewpoint. This study maintains that such cognitive regulation process results in the teacher` "practical knowledge in everyday life". A result of this study refined the teacher`s optimization behavior in teaching activity through utility of social studies textbook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ies the significance of the interplay among the textbook materials, th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and instructional environments, in understanding teaching and the desirable of teacher knowledge.

      • KCI등재

        중학교「사회 1」교과서 삽화의 기능 분석

        박인옥 ( In Ock Park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0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개정 교과서인 중학교「사회 1」교과서 삽화 자료의 기능과 기능적 속성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교과서 삽화의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무작위로 3곳 출판사의 교과서를 선택하여 사회문화 영역인 VII-VIII단원의 338개의 삽화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기능의 분석 기준은 장식, 동기, 표현, 설명, 조직, 파지 기능의 6가지로, 기능적 속성의 기준은 교과내용과의 관련성, 캡션과 지시, 배치 및 크기의 3가지로 선정하였으며, 이를 분류하여 p<.05 수준에서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및 시사점은 첫째, 사회과 교과서 삽화는 주로``표현 기능``과``설명 기능``을 하며, 기능에 따라 삽화유형의 비중이 달라진다. 즉, 동기 기능은 그림, 표현 기능은 사진, 설명 기능은 사진과 그림, 조직 기능은 도표, 파지 기능은 그림이 주로 사용되며, 둘째, 학습 내용과의 관련성은 92.3%로 높은 편이나, 학습 내용과의 관련성을 전제로 교과서에 사용된다는 점에서``보통``으로 분류된 26개의 삽화 모두 학습 내용과 관련성이 높은 내용으로 수정·보완이 필요하며, 셋째, 삽화의 71.3%만이 캡션과 지시가 제시되어, 보다 삽화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며, 넷째, 삽화의 93.0%가 적절하게 배치되었으나, 학습 내용과 삽화, 삽화와 캡션 등의 제시 순서가 바뀌어 학습의 효과가 감소되는 경우나 여러 개의 삽화를 겹쳐서 제시함으로써 학습 내용을 파악하기 어렵게 하는 경우가 있어 이에 대한 적절한 배치가 필요하며, 삽화의 크기 또한 80.9%가 적절하였으나, 19.1%는 크기나 모양이 적절하지 않아 이에 대한 수정이 필요하다. 교과서가 학교 교육에서 교재로서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이러한 문제의 삽화는 교과서에서 최소한이 아니라 반드시"zero"가 되어야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unctional attributes as well as the functions of illustration in the Textbook of 「Society I」in the Middle School. To do so, textbooks from 3 random publishers were selected and a total of 338 illustrations in chapters VII-VIII were analyzed. Now, to summarize the research results and the implications. First of all, illustrations mainly focus on the functions representation, and explication. Depending on the function, the type of the illustration diverts; to be more specific, motivation is shown by drawings, representation by pictures and drawings, organization by diagrams, and retention by drawings. Second, the relevance between the in-book illustrations and the learning contents are 92.3%, which is quite high, however, as the illustrations are us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y are related with the learning material, the 26 illustrations that are marked as average need to be modified·supplemented with content that have higher relevance with the material. Third, as only 71.3% of the illustrations have caption/label, the efficiency of illustrations may deteriorate. In future creation of in-book illustrations, captions and provision of basic information through directions are necessary. Fourth, although 93.0% of the illustrations were placed appropriately, there were cases where the efficiency of learning was reduced due to the abnormal order sequence between the learning material, illustration, and captions. We need to modify the placement of illustrations to clear these problems. Adding on, 80.9% of the illustrations had adequate size, however, the remaining 19.1% had improper size or shape which also needs modification. These results show that the textbooks were improved compared to the 7th Social-Studies textbook, however, as textbooks are required, not optional, as teaching material in school education, illustrations that have these problems shouldnt be left as minimized, but rather reduced to zero in order to strengthen the functionalities of illustrations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