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숲의 유니버설디자인 평가 연구

        박용기(Park, Yong Ki),유양(Liu, Yang),김신원(Kim, Shin Wo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35m²의 도시지역권 근린공원인 ‘서울숲’을 ‘누구나 사용 가능한’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 평가도구를 작성하여 현장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우선,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 ‘도시공원’ 평가를 위한 분석 틀을 작성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선행 연구와 현장조사를 통해서 도시공원의 평가대상 요소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유니버설디자인과 관련된 국내 법규 및 서울시·경기도 가이드라인 매뉴얼 등을 종합하여 각 평가 대상의 세부항목을 작성하였고, 유니버설디자인 연구자들의 고유한 프로세스 및 방법 등을 통합하여 최종 분석 틀을 구성하였다. 또한 작성된 평가도구의 정확성 여부 파악을 위해서 먼저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도시공원에 맞도록 분석틀을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서울숲에 가장 시급하게 도입되어야 할 부분은 첫째,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점자블록이었다. 점자블록은 시각장애인들에게 정보를 주는 정보성의 항목이지만 경사로에 설치될 경우 안전하게 이용 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성에도 포함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보행로에 점자블록을 도입하는 통합적인 동선 관리가 필요하다. 둘째, 경사로의 경사각이 대부분 커서 이용자들이 불편함을 겪고 있었다. 곳곳에 급격한 경사도를 나타내는 표지판이 존재하였지만 우회로를 나타내는 세심한 안내판이 없었다. 따라서 안내판에 우회로를 지시해줌으로써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사회적 약자를 위한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는 최근 국제적으로 활발하게 적용하고 있는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과 서울시 및 경기도의 유니버설디자인 방안을 토대로 연구를 위한 분석틀을 만들어 국내 최초로 서울숲의 유니버설디자인을 평가한 내용이다. 또한 그 결과를 바탕으로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누구나 사용가능한 바람직한 도시공원의 조성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has initiated on-site research evaluation on ‘Seoul Forest’, a neighborhood city park sized 350,000m² square located in Seoul, by designing evaluation tools in terms of universal design. For the research, an analysis tool was built to evaluate the city park in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design. Factors for evaluation were carefully selected via advance and on-site researches. Detailed items for each evaluation were set through domestic code-of-conduct and manuals from Seoul & Gyeonggi-do cities which all are relevant to universal design, then the ultimate analysis tool was set by combining unique process and methodologies that are widely used by many universal design researchers. According to the research, it was the raised block for the blind that needs to be adopted for Seoul Forest. Raised block has been regarded as information item as it is offering information to the blind though it can also be classified as the safety item if the block is built on a slope way for safety purpose. Thus, an inclusive route management is needed by introducing raised blocks on sidewalks. Steep inclines are the most common issues adding discomforts on people in need. Although a few road signs indicating steep slopes were found in several places, thoughtful signs suggesting alternative routes were hard to be seen. Thus, careful considerations for vulnerable members are necessary in places like steep slopes and stairs by installing detour signs. This research made an initial approach in evaluating Seoul Forest with using analysis tools based on the universal design, a n approach widely spotlighted recently, and lessons learned from Seoul & Gyeonggi-do cases.

      • KCI등재

        공적개발원조(ODA)와 지역사회개발에서 사회적 자본과의 관계 : 배태성과 자율성개념을 중심으로

        박용순(Park, Yongsoon),고동완(Ko, Dongwan) 대한관광경영학회 2021 觀光硏究 Vol.36 No.2

        Social capital is the main keyword that best describes the change in the ODA paradigm. Since the UN s SDGs were presented, the ODA project is looking at an endogenous development strategy that emphasizes the subjective role of the recipient country, out of effectiveness in the economic aspect of the donor country. This study applies Woolcock s concept of embeddedness and autonomy, which is examining social capital, and explores the construction of social capital from a micro, macro and an integrated perspective on the development of communities in ODA recipient countries. As a result, in the microscopic aspect, it is necessary to expand social capital through integration and connection among community members, In the macroscopic aspec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that can systematically support communitie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relations and provision of laws and systems. In addition,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the integration of community members from the bottom and support from the administration (central, local) from the top can promote sustainable endogenous development of the local community. The main contribution in this study is to share the doner country s development experience with the recipient country through a horizontal relationship as mutual partnership rather than the master-slave relationship between donation and recipient of ODA projects. Through this, social capital is being dealt with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ODA project. In conclusion, in order for the ODA recipient country s local community development to achieve endogenous development, it will be possible to achieve results when the micro and macro aspects of social capital are complementary. 사회적 자본은 ODA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장 잘 설명하는 주요한 키워드이다. UN의 SDGs가 제시된 이후 ODA사업은 공여국의 경제적 측면에서 효과성을 벗어나 수원국의 주체적인 역할을 강조하는 내생적 발전전략을 중요하게 바라보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에 대해서 고찰하고 있는 Woolcock의 배태성과 자율성 개념을 적용하여 ODA 수원국의 지역사회개발에 대해서 미시적 관점과 거시적 관점, 그리고 통합적인 관점으로 사회적 자본의 확충에 대해서 탐구하고 있다. 논의결과, 미시적 측면에서는 공동체 구성원 간의 통합과 연계라는 과정과 결과로서 사회적 자본의 확충이 필요하다면, 거시적 측면에서는 협력적 관계구축과 법ㆍ제도의 마련을 통해 지역사회를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의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통합적 관점에서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을 확충하기 위해서는 밑으로부터는 지역사회 구성원의 통합과 위로부터는 행정(중앙, 지방)의 지원이 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내생적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의 주요한 기여는 ODA사업의 공여와 수원이라는 주종관계가 아니라 상호 파트너십으로서의 수평적 관계를 통해 공여국의 개발경험을 수원국과 공유하고, 이를 통해 ODA사업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 사회적 자본을 다루고 있다는 것이다. 결국, ODA 수원국의 지역사회개발이 내생적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사회적 자본의 미시적 측면과 거시적 측면이 상호 보완적으로 이루질 때 성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온도 상승이 개량형 핵연료 피복관과 지지격자 사이의 프레팅 마멸에 미치는 영향

        박용창(Yong-Chang Park),정성훈(Sung-Hoon Jeong),김진선(Jin-Seon Kim),김용환(Yong-Hwan Kim),이영제(Young-Ze Lee) 한국트라이볼로지학회 2006 한국윤활학회지(윤활학회지) Vol.22 No.3

        The experimental investigation was performed to find the associated changes in characteristics of fretting wear with various water temperatures. The fretting wear tests were carried out using the zirconium alloy tubes and the grids with increasing the water temperature. The tube materials in water of 20℃, 50℃ and 80℃ were tested with the applied load of 20 N and the relative amplitude of 200 ㎛. The worn surfaces were observed by SEM, EDX analysis and 2D surface profiler. As the water temperature increased, the wear volume was decreased, but oxide layer was increased on the worn surface. The abrasive wear mechanism was observed at water temperature of 20℃ and adhesive wear mechanism occurred at water temperature of 50℃, 80℃. As the water temperature increased, surface micro-hardness was decreased, but wear depth and wear width were decreased due to increasing stick phenomenon. Stick regime occurred due to the formation of oxide layer on the worn surface with increasing water temperatures.

      • KCI등재
      • KCI등재

        근적외선 업컨버전 나노입자를 이용한 광촉매 성능 향상

        박용일 ( Yong Il Park ) 한국공업화학회 2021 공업화학 Vol.32 No.2

        일반적인 반도체 기반의 광촉매는 물질 고유의 밴드갭 때문에 자외선이나 가시광선에 의해서만 활성화될 수 있고, 태양광 에너지의 약 50%를 차지하는 근적외선 영역의 에너지는 활용할 수 없다. 따라서 기존의 반도체 광촉매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외선에서 근적외선에 이르는 넓은 영역에서 더 많은 태양광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태양광의 근적외선 영역을 활용하기 위해 기존 반도체 광촉매를 업컨버전 나노입자와 결합하는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업컨버전 나노입자는 근적외선 광자를 여러 개 흡수하여 자외선이나 가시광선으로 변환하여 광촉매를 활성화할 수 있다. 그리고 반도체 광촉매와 업컨버전 나노입자에 플라즈모닉 금속 나노입자를 함께 결합시키면 태양광에 의한 광촉매 활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총설은 업컨버전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근적외선 영역의 태양광에너지가 광촉매의 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최근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서술하였다. Semiconductor-based photocatalysts can only be activated with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due to their intrinsic bandgap, and they cannot use the energy in the near-infrared region, which accounts for about 50% of solar energy.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semiconductor photocatalyst, it is necessary to utilize more solar energy in a broad band ranging from ultraviolet to near-infrared. Combining upconversion nanoparticles with semiconductor photocatalysts for near-infrared absorption have thus been reported. Upconversion nanoparticles can sequentially absorb multiple near-infrared photons and convert them into ultraviolet or visible to activate photocatalysts. In addition, by coupling the semiconductor photocatalyst and the upconversion nanoparticles with the plasmonic metal nanoparticles, the photocatalytic activity can be further improved. This review summarizes the recent studies on improving the photocatalytic performance with near-infrared absorption by using upconversion nanopartic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