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종삼(牟宗三)의 철학체계(哲學體系)에 있어서‘지적 직각(智的 直覺)’의 문제(問題)

        박승현 ( Seung Hyun Park ) 퇴계학연구원 2012 退溪學報 Vol.132 No.-

        ‘지적 직각’은 모종삼 철학체계 내에서 대단히 중요한 작용을 한다. 어떤 의미에서 모종삼 철학의 전제와 근본적인 문제의식이 소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지적 직각의 개념은 원래 칸트에서 온 것이 다 모종삼은 이 개념을 차용하여,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였다. 모종삼은 만약 인간이 지적 직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승인하지 않는다면 모든 중국철학은 불가능하고, 헛수고에 지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반면 칸트는 인간은 지적 직각을 가질 수 없고, 하나님만이 비로소 지적 직각을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칸트는 실천이성을 논하였지만 지적 직각의 문제를 논할 때는 칸트는 인식론의 범주 내에서 ,이 문제를 생각하였다. 또한 모종삼은 ``지적직각``과 ``물자체``는 모두 가치적 의미를 갖는다고 주장한다. 우리가 가치적 의미로 그것을 볼 때, 비로소 ``지적직각``의 진정한 의미를 획득할 수 있다. 왜 인간이 지적 직각의 소유 여부의 문제가 그렇게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인가? 그것은 바로 인간 의 이상성 실현의 원동력과 깊은 연관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도덕은 실천되어 실현되어질 때 그 진실한 의미를 가지게 되는데, 인간에게 지적 직각이 확보되지 않는다면, 도덕 실천력과 인간의 이상성 실현의 원동력을 확보하기 어렵고, 그래서 우리의 삶의 현실 속에서 구체적인 진실한 의미를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일 것이다. ``智的直覺``這一槪念在牟宗三的哲學體系裏具有非常重要的作用, 一定意味上他構成了牟宗三哲學的前提和根基. 智的直覺本是康德提出的一個槪念, 但牟宗三借用了這個槪念, 幷賦與了他以新的意義. 在牟宗三看來, 如果不承認人可有智的直覺, 則全部中國哲學都是不可能的. 在康德哲學中, 人是不能有智的直覺的, 只有上帝才有智的直覺. 康德雖然也談實踐理性, 但是在討論智的直覺這個問題時, 康德是站在認識論的範疇內來思考問題的. 又我們應該注意, 牟宗三所說的``智的直覺``和``物自體``都是具有價値的意義的槪念, 只有用價値的視野來看待他時, ``智的直覺``才獲得了其獨立而眞實的意義. 人是否具有智的直覺的問題, 爲什마有那마重要的意義니? 因爲那就是和道德實踐力的問題有關係.

      • KCI등재후보

        여성감독과 범죄영화: <블루 스틸>과 남성적 응시

        박승현 ( Seung Hyun Park ),김대식 ( Dae Sik Kim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06 언론과학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블루 스틸(Blue Steel)이란 할리우드 영화의 분석을 통해 여성 정체성의 표상화가 영화 내에서 어떻게 이루어지는 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화는 캐슬린 비글로우(Kathryn Bigelow)라는 여성 감독이 1990년에 만든 범죄영화(Crime Movie)로서 가부장적 질서에 도전적 욕망을 가진 여자 주인공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꾸려가고 있다. 비글로우 감독이 할리우드 내 범죄영화 장르에서 활동하는 유일한 여성 연출가임을 주목하면서 본 연구는 여성이 만든 영화에서, 가부장적 억압에 거부의 태도를 명확히 보이는 주인공을 중심인물로 설정한 서술구조에서 여성 정체성의 표상화가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 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영화의 분석 방법은 그레마스가 제시한 행위자 모델과 기호학적 사각형 모델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서술구조에 내재된 의미들을 파악하고자 한다. This paper tries to examine the representation of female identity by analyzing a Hollywood movie, Blue Steel (1990).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gure out how this film constitutes female identities by employing the insubordinate desire to overcome the given female identity in a patriarchal society. Situating a female cop named Megan Turner (Jamie Lee Curtis) at the center of the narrative, Blue Steel illustrates how she finally becomes a victim in the patriarchal social system. The film depicts contradictory perceptions regarding female identity in a relation with the male gaze. On the one hand, Blue Steel seems to challenge the totalizing male gaze by representing a female cop as the person who attempts to overcome female identity constructed by the patriarchal system. On the other hand, it seems to legitimate this male gaze by providing an exotic pleasure that violent visuality and sexual objectification generate. Because of these two contradictory images, Blue Steel may be considered no more than a movie that places a woman at the center of the crime story. It may be especially significant to examine the representation of female identity in this movie, because this movie was directed by a woman, Kathlyn Bigelow, who has been evaluated as one of the most striking crime and action cinema directors and may be the only female filmmaker working in that genre today.

      • KCI등재

        할리우드 애니메이션의 포트폴리오 분석

        박승현(Park, Seung-Hyun),송현주(Song Hyun-Joo)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5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0

        이 연구는 2010-2014년 할리우드 극장용 애니메이션 영화의 제작비를 통해 포트폴리오 구성전략이 어떻게 운용되는 지를 분석하는 걸 목적으로 한다. 분석 결과 극장용 애니메이션 영화는 대규모 제작비를 투입하면서 수익을 극대화하는 방식을 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0-2014년 극장용 애니메이션은 57편 개봉되었고, 평균 제작비는 1억 달러를 상회하였다. 1억 달러 이상의 평균 제작비를 투자하는 블록버스터 전략을 통해 극장용 애니메이션 영화는 실적 또한 기획한 방향과 부합하게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기간 동안 평균 흥행실적은 3억 8천 달러로서 애니메이션 전체를 고려하면 모두 수익구간에 들어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애니메이션 영화 제작에 사용된 총 비용 중 72.2&는 1억 달러 이상의 제작비가 투자된 영화에 사용되었다. 이는 할리우드의 극장용 애니메이션 영화의 중심 영역이 1억 달러 이상의 구간에 집중되어 있으며, 해당 구간을 중심으로 흥행실적을 확보하려는 의지가 엿보이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portfolio of production budget related to Hollywood animation movies released during the five years between 2010 and 2014, in order to investigate how blockbuster strategy made the box office performance. The analysis shows that this animation genre invested more than one thousand million dollars as the average budget for each film. It increased threefold in the box office result. In the production of Hollywood animation genre, 72.2% of its whole production money was found to use for movies investing more than one thousand million dollars. It is to show how the production of animation aimed for profit-making via blockbuster strategy recognized as the most successful portfolio strategy in the recent Hollywood film industry.

      • KCI등재

        화학물질 노출정보 제공을 위한 GC-MS 분석자동화 프로그램 개발

        박승현 ( Seung-hyun Park ),박해동 ( Hae Dong Park ),장미연 ( Miyeon Jang ),노지원 ( Jiwon Ro ),조현민 ( Hyounmin Cho ) 한국산업보건학회 (구 한국산업위생학회) 2021 한국산업보건학회지 Vol.31 No.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occupational diseas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an automatic analysis program for evaluating workers’ exposure to hazardous chemical substances. Methods: The authors selected chemical substances that caused occupational disease in Korea and chemical substances that are frequently used in industrial sites as target substances for a GC-MS automatic analysis program. The target substances are organic compounds which can be measured by a passive sampler. The automatic analysis program was studied using various raw data obtained from GC-MS analysis for the target substances. Results: A total of 48 organic compounds that can be measured with a passive sampler were selected as target substances for the GC-MS automatic analysis program. The selected compounds included substances that caused occupational disease, substances related to C1 and D1 in special health examinations, and substances for which work environment measurements have been frequently conducted. The GC-MS automatic analysis program was developed by combining information mainly on retention time and mass spectrum. The GC-MS automatic analysis program is designed to analyze unknown samples by comparing the mass spectrum and retention time of the samples to those of reference materials.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the program, samples at about the 30-50% level of OELs were prepared and analyzed with the GC-MS automatic analysis program, resulting in stable results for all 48 organic compounds. Conclusion: An automatic analysis program for a total of 48 organic compounds was developed using a GC-MS system that can analyze organic compounds. Unknown samples that contain the 48 organic compounds can be automatically analyzed by the developed program. It is anticipated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occupational diseases through an GC-MS automatic analysis program that can quickly provide workers with information on exposure to chemical substances.

      • KCI등재

        유해인자 노출감시를 통한 산업보건서비스 강화

        박승현 ( Seung-hyun Park ),배계완 ( Gyewan Bae ),김준범 ( Joonbeom Kim ),김세동 ( Se-dong Kim ) 한국산업보건학회 (구 한국산업위생학회) 2021 한국산업보건학회지 Vol.31 No.2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ays for strengthening occupational health services through monitoring exposure to health hazards. Methods: About 70,000 workplaces that have conducted the work environment measurement(WEM) over the last three years(2017∼2019)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Korean Standard Industry Classification(KSIC), and the current status of WEM by industry was analyzed. The authors considered ways to monitor exposure to health hazards in order to strengthen occupational health services and protect workers’ health. Results: Based on the KSIC, 934 of the 1,196 total sub-classified industries have conducted WEM in at least one workplace over the last three year(2017∼2019).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out of a total of 477 sub-classified industries, 474 have conducted WEM at more than one workplace. However, in some industries, WEM was not conducted or the implementation rate was low, so it wa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WEM should be expanded based on a detailed analysis of the WEM database.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form an exposure monitoring committee in which various experts from different fields can participate. The committee needs to discuss the overall matters necessary for selecting industries that require detailed investigation or research, review the results, and prepare a final recommendation. Conclusion: In conclusion, the government needs to come up with a plan to strengthen occupational health services through surveys and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of WEM and work environment management models by industry.

      • KCI등재
      • KCI등재

        자서전적 글쓰기의 문화

        박승현(Park, Seung Hyun),최인순(Choi, In soo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9 No.-

        본 연구는 종래의 자전문학이 중시하는 사실성과 객관성을 거부하는 최근 자전 문학의 흐름에 몇 발짝 앞서 발표한 나보코프의 자서전 『말하라, 기억이여』(1966)와 전기 형태의 소설 『세바스천 기사의 참 인생』(1938)을 선정하여 작가 나보코프의 독특한 형태의 자서전 및 전기 소설의 의의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둔다. 우선적으로 종래의 사실 위주의 자서전과는 다른 구성 방식을 채택한 나보코프의 자서전과 전기 소설을 각각 살펴보고, 현대 자전 문학과의 형태 및 구성에서의 유사점을 비교 검토할 것이다. 나아가 종래 자전 문학의 리얼리즘 관행에 대한 거부와 상상력에 대한 찬양, 그에 따른 예술적 결과물인 두 작품의 특징과 주제적 의의를 파악할 것이다. 자서전적 사실에 작가의 예술적 상상력을 가미하여 집필한 『말하라, 기억이여』는 허구적인 요소로 인하여 자서전으로서의 지위를 의심받지만, 이는 자서전에 대한 저자의 관념이 객관적 사실의 집합보다 주관적 지각의 방식에 초점을 두기 때문이다. 예술이 부여하는 상상력과 ‘미학적 축복’에 의의를 둔 나보코프는 작품을 구성하는 과정에 치중하였기에 연대기적 시간을 따르기보다 인위적이고 무작위적인 구성 방식으로 사건을 정렬하고 있다. 따라서 나보코프 식의 자서전은 소위 ‘주관적’ 자서전이라 지칭할 수 있다. 전기 형식을 바탕으로 구성한 『세바스천 기사의 참 인생』에서도 작가의 창의적 상상력에 기반을 둔 주관적 특징을 살펴 볼 수 있다. 화자 브이는 과거와 현재를 넘나들어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우연에 의한 추적과 상상력을 기반으로 세바스천의 인생을 재구성한다. 그러므로 나보코프의 독자는 일반적인 전통 자전문학의 연대기적 사건 구성에서 의미를 찾기 보다는 작가의 주관적 구성 방식에 의한 시공이 겹쳐지는 패턴속에서 의미를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실체’ 라는 것이 사실적인 이야기의 구성으로 존재한다기보다 개인의 지각의 방식에 따르는 지극히 주관적인 것임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일반적이고 습관적인 형식으로부터 인식을 분리하여 나보코프가 추구하는 창조적 리얼리티의 핵심으로 접근함으로써, 나보코프 특유의 현대적 자전 문학의 의미를 탐색하고자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rasp the uniqueness of Nabokov"s autobiography and the meaning of his biographical novel by focusing on Speak, Memory (1966) and The Real Life of Sebastian Knight (1938) , which were released decades ahead before the current trend of the biographical literature denying realism and objectivity. First of all, I will examine the two works of Nabokov, in which he applied the composition method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fact-centered autobiographies, and find the similarities with the modern autobiographies in terms of form and construction. Further, I will try to understand the thematic meanings and the characteristics of Nabokov"s two works, which are the artistic outcomes of rejection of practicing realism and admiration of imagination. The status as an autobiography of Speak, Memory, written by adding the creative imagination to the autobiographical facts, has been under doubt because of its many fictional elements. But we need to focus on the method of the subjective perception than on the collection of the objective facts. Because the artistic imagination and the aesthetic bliss are the most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process of composition, Nabokov did not follow the chronological time and instead arranged the episodes in the artificial and random order. Therefore, we may call Nabokov"s autobiography the so-called subjective autobiography. In The Real Life of Sebastian Knight we may also find the subjectiv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writer"s creative imagination. The narrator V, not constrained by time and space, reorganizes Sebastian"s real life on the basis of accidental tracing and imagination. Therefore, Nabokov"s readers should try to grasp the meaning within the pattern overlapped in time and space, not in the chronological order as in the traditional autobiographical texts. As a result, we may recognize that "the real life", instead of consisting of factual stories, depends on the individual"s perceptive method and is, therefore, very subjective. This study explores the modern meaning of Nabokov"s autobiographical literature by separating perception from general and customary formalities and by getting close to the core of the creative reality the writer has pursued in his works.

      • KCI등재

        반도체 조립공정의 화학물질 노출특성 및 작업환경관리

        박승현 ( Seung Hyun Park ),박해동 ( Hae Dong Park ),신인재 ( In Jae Shin ) 한국산업보건학회 2014 한국산업보건학회지 Vol.24 No.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worker exposure to hazardous chemical substances and propose the direction of work environment management for protecting worker`s health in the semiconductor assembly process. Methods: Four assembly lines at two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i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types of chemicals that were used and generated during the assembly process, and evaluated the workers` exposure levels to hazardous chemicals such as benzene and formaldehyde and the current work environment management in the semiconductor assembly process. Results: Most of the chemicals used at the assembly process are complex mixtures with high molecular weight such as adhesives and epoxy molding compounds(EMCs). These complex mixtures are stable when they are used at room temperature. However workers can be exposed to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such as benzene and formaldehyde when they are used at high temperature over 100℃. The concentration levels of benzene and formaldehyde in chip molding process were higher than other processes. The reason was that by-products were generated during the mold process due to thermal decomposition of EMC and machine cleaner at the process temperature(180℃). Conclusions: Most of the employees working at semiconductor assembly process are exposed directly or indirectly to various chemicals. Although the concentration levels are very lower than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workers can be exposed to carcinogens such as benzene and formaldehyde. Therefore, workers employed in the semiconductor assembly process should be informed of these exposure characteristics.

      • KCI등재후보

        영화의 흥행성과와 제작비 규모와의 관계

        박승현(Seung Hyun Park),송현주(Hyun Ju Song)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2 사회과학연구 Vol.51 No.1

        본 연구는 2011년 한 해 동안 개봉된 146편의 한국 영화를 대상으로 어떤 요인들이 흥행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회귀분석 모델을 통해서 분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분석 대상의 영화를 제작비 규모에 따라 상·중·하 세 개의 그룹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규모 그룹에서 어떤 요인들이 흥행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분석결과를 보면, 전국관객 기준으로 영화의 흥행성과에 영향을 미친 것은 네티즌의 온라인 평가의 빈도와 평점, 제작비, 그리고 코미디 장르이다. 제작비 상위그룹에서는 온라인 빈도, 청소년 관람불가, 제작비 및 메이저배급 등이, 저예산 그룹에서는 온라인 빈도와 평가, 스타 배우, 개봉스크린, 그리고 메이저 배급 등이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나타났다. 중간예산의 그룹에서는 온라인 빈도와 평점, 전문가 평점, 배우 파워, 감독 파워, 청소년 관람불가, 코미디 장르, 그리고 메이저배급 등 여덟 개의 요인에서 흥행성과에 대한 영향력이 나타났다. 제작비는 그 규모에 따라 상호 이질적인 생산물로 간주될 만큼 영화 제작에서 중요한 변수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 고찰된 제작비 규모에 따른 흥행성과 분석은 규모에 따라서 흥행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뚜렷하게 달라짐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네티즌의 온라인 평가를 평점과 참여자 빈도를 통해서 고찰하고 있다. 온라인 평가는 전체 영화를 대상으로 한 분석뿐만 아니라 세 개의 제작비 규모 그룹에서도 대체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여주는 유일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examines the box office production performance of Korean movies released in 2011. A dependent variable is the number of audiences in the whole country. Independent variables are employed with three categories: production factors, distribution factors, and reviews. Such variables as the volume of online reviews, the valence of online reviews, production budget, and comedy genre show significant relations with the number of audiences. Dividing three groups (high, medium, and low) according to the scale of production budget, this paper also analyzes the box office performance of Korean movies, in order to recognize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box office results between three budget groups. In high production budget, significant factors are the volume of online reviews, R rating, distribution power, and production budget. In the production of medium budget films, factors such as two aspects of online reviews, staractors and directors, distribution power, R rating, and comedy show a significant influence on box office revenues. In low production budget, online reviews, star actors, distribution power, and the number of screens turn to be factors which exert influence on the box office performance. These findings reveal that box office performance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budget groups. Among many factors, the volume of online reviews becomes a crucial factor, which reveal significant relations with the box office of all three groups divided by production budg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