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朴勝夏 건국대학교 1976 學術誌 Vol.20 No.1
학술지에는 학술논문을 게재하여야하고 학술논문은 고증할 수 있는 객관적 사실에 의거하여 체계적인 논리의 서술이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 글은 그러 하지를 못하다. 필자의 주관적 이념을 중심으로 하여 이에 관련된 역사적 사실을 되는 대로 열거 기술한 데 불과하다. 학술지의 권위를 손상시키는 것만 같아서 송구스럽기만 하다. 그러나 개교 30주년을 기념하는 의미에서 장차 이러한 문제를 연구하는 사람에게 일종의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짐작하고 학교 설립 때부터 要路에 참여하여 정년 퇴임시까지 근 30년간 줄곧 학장 처장직에 있으며 듣고 보고 생각한 바를 기억이 나는 대로 솔직히 기록해 보고자 한다.
成長에 따른 頭蓋顔面骨 變化에 대한 頭部 放射線 計測學的 硏究分析
朴承河,丁銓殷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1991 고려대 의대 잡지 Vol.28 No.1
There is a change of the growth pattern and the growth rate of human crarniofacial bone with aging. The three dimensional growth of the each bone is different by the effect of the growth center. By the same token, the gross morphology can change as the bony skeleton changes.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cephalometric films of normal male Koreans, age range from 7 to 16 years. And then, the data were compared to those from the adult group.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 1. We are presenting the data of the height, depth, width, and cephalometric angles of the craniofacial skeleton of studied group. 2. The facial bony growth is slower than that of the cranial bone in each direction. The growth rate of the facial bone by depth, width and height is faster than that of cranial bone with the aging. 3. The horizontal growth of the mandible is slower than that of the maxilla and the cranium. 4. The proportional ratio of upper face to that of lower one is constant regardless of the age. The ratio was 43 : 57. 5. SNA and SNB angles are slightly increase with the growing age, but ANB angle is reduced with the aging. 6. As SN-MP and Pal-MP angle are reduced with the aging, so as the opening of the mandibular plane to the cranial bone. Although there is a increment of posterior mandibular height,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symphysis is constant regardless of the age.
운동숙련 연구에 대한 고찰 : 지각 기술 훈련을 중심으로
박승하 서울대학교 체육연구소 2000 서울大學校 體育硏究所論集 Vol.21 No.2
This review is focused on the research findings concerned with training of perceptual skill in motor expertise as well as the introduction and theoretical approaches of motor expertise. Although there exist some historical precedents to the morden study of motor expertise, a concerted research focused upon motor experts, especially sport applications, is a relatively recent phenomena. Also, the multidisciplinary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motor expertise result from the growing interest in expertise in the motor learning and control field. The majority of published research on motor expertise in motor learning and control field, has been concerned with the more theoretical issues of describing the experts' charateristics and developmental precess of motor expertise, including perception, making-decision, and motor execution. Skilled perception, in particular,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sports expertise. Thus, perceptual skills, such as processing of contextual information, visual search strategy, and expectation, and training methods of perceptual skills is thought hot topics in motor expertise.
박승하 이화여자대학교 동작과학연구소 2004 이화체육논집 Vol.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visual cues using to predict the offensive strategies as a function of expertise. A total of twenty-four subjects, who were experts (n = 8), and novices (n = 8),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All subjects were asked to verbalize the perceived visual cues immediately after anticipating the final position of opposing offense and the direction of spike in the film. These films simulated twenty-four offensive patterns of opposing team edited from serve to setter's set moment, and twelve spike situations edited from setter's set moment to spike moment. Experts attended mainly to only single area, ball or receiver area, in the serve-receive period, but had tendency to focus simultaneously on two or three areas, including the attackers area, in the both receive-set period and set moment. In the set-spike period, experts had attention to only single area, such as setter's upper body or spiker's arm. Contrast to experts, novices had tendency to attend to only single area in all of the serve-set period and the set-spike period. Experts also used the attacker area, not the ball, to predict the final position of opposing offense in the receive-set period, and the setter's upper body to predict the direction of spike. However, novices distracted attention to the ball in the both receive-set period and set-spike period. We suggested that the perceptual patterns on relevant visual cues should be understood to one of the team's tactics in volleyball.
박승하,김선진,박근상 대한인간공학회 2002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No.-
본 연구는 외적-조절의 특성을 가진 배구 종목을 대상으로 하여 상대팀 세터의 세트 방향을 예측하는 데에 필요한 사전시각단서를 획득하기 위한 시각탐색 전략의 숙련도에 따른 차이를 밝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시각탐색 전략의 결과는 평균시선고정시간과 시선고정위치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기술 숙련도가 높을수록 높은 탐색율, 즉 시선의 고정시간이 적고 이동 수가 많은 시각탐색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터 조건에서는 숙련자는 세터의 머리 영역에 초보자는 세터의 상체 영역에 시선을 고정하는 시간의 비율이 높았으며, 단순 및 복잡 공격 조건에서는 숙련자가 다른 두 집단에 비하여 공격자 영역에 대한 시선고정시간의 비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숙련도와 상황 조건에 따라서 주로 활용하는 사전시각단서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포스터 발표 : 정상체중 남자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위험인자로서 인슐린 저항성과 C-Reactive Protein
박승하,김병익,윤중원,김정욱,박동일,조용균,성인경,박창영,손정일,전우규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3(S)
배경/목적: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위험인자로서 최근 비만 및 제2형 당뇨병등과 같은 인슐린 저항성이 중요시되고 있으나 이외의 다른인자나 고위험군에 대한 국내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저자들은 다른 기저 질환이 배제되고 정상체중을 가진 비알콜성 지방간 남자환자에서 위험인자로 작용될수 있는 여러 임상지표와 인슐린 저항성, 염증 반응의 표지자인 C-Reactive Protein (CRP)을 조사하여 이러한 지표가 갖는 의의를 알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비알코올성 지방간 남자 환자군 120명(42.8±0.88세)과 남자 건강대조군 240명(42.5±0.52세)을 대상으로 여러 혈액학적 임상지표, 인슐린 저항성을 나타내는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HOMA-IR) 및 CRP의 측정치를 비교하고 정상체중의 남자환자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측인자로 가치가 있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비만(체질량지수 25이상), 알코올 남용(40g/week 이상), 만성 B 형 및 C 형 간염을 포함하는 다른원인에 의한 간질환, 당뇨병 및 고혈압이 있는 경우는 제외하였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복부 초음파에서 간의 에코증가, 심부에코의 저하, 간내혈관의 선명도가 떨어지는 경우로 혈청검사에서 ALT 수치가 40IU/L이상 상승한 소견을 보일 때로 정의하였다, 결과: 요산, 공복 혈당, 중성지방, 아포지단백 A-I 및 B, 공복 인슐린 농도, HOMA-IR 값이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고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은 감소되어 있었다. 나이, 체질량지수, 혈청 철, transferrin 포화도, 총 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CRP는 양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단변랑 분석에서 요산, 공복 혈당,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아포지단백 A-I 및 B, CRP, HOMA-IR이 비알코올성 지방간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나이와 체질량지수를 보정하여 다변량 분석을 시행한 결과, CRP (OR=1.37; 95% CI:1.06 to 1.77) per 1 SD (1.48 mg/L)와 HOMA-IR (OR=2.28; 95% CI:1.67 to 3.11) per 1 SD (0.63)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독립적인 위험 인자였다. 결론: 인슐린 저항성과 염증 반응의 표시자로 쓰이는 CRP는 정상체중 남자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위험요소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