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절제 불가능한 우측 결장암 환자에서 선행 항암화학요법 후 근치적 절제를 시행한 1예

        박순도 ( Soon Do Park ),이길연 ( Kil Yeon Lee ),선진 ( Sun Jin Park ),이상목 ( Sang Mok Lee ),홍성화 ( Sung Wha Hong ) 대한임상종양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5 No.1

        국소적으로 진행된 대장암이란 대장암이 원격전이가 아닌 직접 주변장기로 침범된 경우를 말하는데 대장암의 병기 분류상(AJCC TNM stage, 2002) T4에 해당한다. 이의 치료로 주 병변과 주위 장기를 한꺼번에 절제(multivisceral, en bloc resection)하는 것을 권하고 있다. 진행된 대장암의 치료는 보통 근치적 절제술과 수술 전후의 항암화학요법이 시행되지만 다른 장기로의 전이가 있을 때에는 항암화학요법과 고식적 수술만이 가능한 경우가 있다. 저자들은, 1차 수술 시 인접장기로의 암의 직접 침윤과 암 주위부로의 심한 유착으로 절제가 불가능하여 고식적 장우회술을 시행한 후 2번의 추가적인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후 재차 시행한 수술로 근치적 절제가 가능했던 체험 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Locally advanced colon cancer means T4 stage cancer directly invading adjacent organ regardless of distant metastasis. When the cancer is resectable, multivisceral en bloc resection is recommended. Overall survival can be prolonged by multivisceral en bloc resection in right colon cancer invading pancreas head or duodenum. We report a case of curative resection after neoadjuvant chemotherapy in locally advanced, unresectable right colon cancer. 52-year-old female was diagnosed as cancer in hepatic flexure of colon, which was involving pancreas head and 2nd portion of duodenum. Right hemicolectomy and pylorus preserving pancreaticoduodectomy (PPPD) were planned at the 1st operation, but palliative ileocolostomy was constructed because of massive peritumoral invasion and adhesion. After 5 cycles of XELOX chemotherapy regimen, patient`s CEA level decreased to normal and CT scans showed smaller colonic tumor, and disappeared pancreatic and duodenal metastasis. So we could do right hemicolectomy and lymph node dissection. 5 months later after adjuvant chemotherapy (12 cycles of FOLFIRI), recurrent cancer was found in 2nd portion of duodenum, so we had to do PPPD. The patient still alives without cancer recurrence for 19 months after the last operation. This case highlights the possibility of curative resection after neoadjuvant chemotherapy in initially unresectable locally advanced right colon cancer.

      • KCI등재

        한국의 누정에 관한 한문학 유산의 DB 구축 방안 연구

        박순(Park, Soo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9 한국민족문화 Vol.71 No.-

        본고에서는 남녀노소 누구나 인터넷 DB를 통해서 한국 누정에 대한 한문학 유산의 내용을 재미있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자는 목표를 가지고 그에 따른 DB 구축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일반인뿐만 아니라 전문 연구자들에게도 충분히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설계안을 구성하였다. 기존의 누정 관련 DB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이트와 연구자를 대상으로 하는 사이트가 별도로 존재한다고 할 수 있는데, 본고에서 일반인과 연구자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는 DB가 가능하다는 점을 보이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고에서는 먼저 강릉 경포대 관련 누정기를 표본 자료로 분석하였는데, 이는 한문학 유산 전반에 대한 원론적인 서술을 지양하고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보이고자 한 것이었다. 그리고, 다음 장에서는 앞 장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문학 유산을 생산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DB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DB 구축의 가장 주요한 원칙은 한문학 자료 전체를 그대로 제공하는 방식이 아니라, 주제별로 분류하고 해당되는 내용만 발췌하여 일반인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인용문만으로 이해가 어렵다면 설명글도 첨가하여 이해를 돕도록 하며, 발췌한 인용문에 흥미가 생겨 전체 내용을 보고 싶다면 클릭 한 번으로 전문(全文)을 볼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또한, 각각의 누정과 관련된 한문학 유산들을 총정리 해두어 전문 연구자들에게도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외에 다양한 시각 자료와 참고 자료도 포함시켜 누정에 관한 최대한의 지식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In this paper, I proposed a DB construction method with the goal of allowing the young and old to have fun the contents of classical Chinese literary heritage about Korean traditional pavilion through Internet DB. In addition, the method was designed to help not only the general public but also professional researchers. Existing DBs can be said to exist separately, which is a site for general people and a site for researchers. This paper is intended to show that a DB that satisfies both the general public and researchers is possible. Under this goal, firstly, the writings about Korean traditional pavilion((樓亭記) of Gyeongpodae pavilion are analyzed as sample data. This was not intended to be a theoretical description of the entire heritage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but to show specific examples. In the next chapter, I proposed a DB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utilize classical Chinese literary heritage productivel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previous chapter. The most important principle of DB construction is not to just provide the entire Chinese literary materials, but to classify them according to the themes and extract only the corresponding contents so that the public can easily access them. If users do not understand the citation alone, we can add a descriptive text to help they understand it, and if they want to see the full text with an excerpt from the quotation, I suggest a system that allows them to view the text with one click. In addition, the classical Chinese literary related to each pavilion was organized with all list to help professional researchers. And, various visual and reference materials were included to provide maximum knowledge information about the pavilion.

      •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dynamic cluster 기반의 에너지 효율적인 클러스터링 기법

        정임(Jung Im Park),강정훈(Jung Hun Kang),명순(Myong-soon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0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1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영역을 탐지하는데 있어 이동성을 가진 target objects의 첫 boundary information을 탐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탐지 후 변화하는 boundary information을 지속적으로 반영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boundary information의 지속적인 반영방법에 대해, Event의 발생빈도수에 따른 clustering update 모델링과 특정 상황에 따른 cluster를 재구성해야 하는 방안을 비교 분석한 후 이에 대한 클러스터링의 에너지 효율적인 방법에 대해서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李長發의 殉國과 遺命詩에 대한 檢討

        박순교(Park soon kyo) 동아인문학회 2022 동아인문학 Vol.58 No.-

        이장발(1574~1592)은 대월에서 고려로 이거한 이용상의 2子 계열 末裔로서, 임란이 일어나자 의병에 참전, 생후 74일된 외아들, 노모, 젊은 부인을 남겨두고 1592년 6월 10일 문경에서 전사했다고 하는 비운의 인물이다. 그의 행적은 의병장 김해의 행적으로 오인되어 왔다. 이장발의 행적을 둘러싼 착종은 주로 김해 의병 부대 예하 인원의 잦은 출입과 편제 변동, 불완전한 속성, 김해 의병 부대 활동을 담은 《향병일기》 서술의 미비에 기인한다. 이장발이 남긴 유일한 시문(유명시) 역시 의병장 김해의 문집에 등재되어, 김해의 저작인 양 전승되어 왔다. 그 결과 이장발의 유명시는 뚜렷한 비정 절차가 생략된 채, 김해의 저작으로 둔갑되어 현존 건축물에 각인되기도 했다. 또한 연구자들에 의해 꾸준히 김해의 저작으로 인식, 인용되어 왔다. 하지만 동시대인들의 인식, 서술 맥락, 기록한 사람의 생몰 연대 등을 종합 고려할 때, 그간의 전승, 제반 연구에는 재검토와 전면 수정이 요망된다. Lee Jang-bal is a tragic figure who is said to have participated in the voluntary military after the War(1592~1598) outbreak and died in Munkyeong on June 10, 1592. Lee Jang-bal"s whereabouts have not been traced so far. Even his deeds were mistakenly judged as those of sergeant major Kim Hae. The incident surrounding Lee Jang-bal"s actions is linked with incomplete attributes such as frequent entry and exit of Kim Hae Volunteer Corps subordinates and changes in organization. This is also due to the incomplete description of 《Hyangbyeong Diary》, which contains the activities of the military unit in Kim Hae. According to the edition, omission of contents, unknown subject, and limitation of the narrative date are confirmed in 《Hyangbyeong Diary》, and it has an incomplete character. The famous poem left by Lee Jang-bal was also listed in the collections of medical service general Kim Hae and passed down as if they were the works of Kim Hae. When considering the perceptions of contemporaries and the context of the narrative, the research accumulated so far lacks objectivity and factuality, so it must be thoroughly reconsidered.

      • KCI등재

        日本語の「気」に関することば

        박순애(朴舜愛)(Park, Soon-Ae) 일본어문학회 2011 일본어문학 Vol.55 No.-

        日本語には「気」に関することばがたくさんある。天気、空気、気分のような漢字語もあれば、気持ち、気使い、気心のような語句、「気がある」「気になる」「気をつける」「気が強い」のような慣用句もある。このように日本語の中に「気」に関することばはその存在感が大きい。しかし、いろいろな書物, 研究論文などを見る限り、「気」という事項に関しては中国の「気功」を通じてしか説明されないようである。ことばと文化という関係から考えると日本語の中に「気」に関することばがたくさんあるということは日本文化の中にそれが存在したことだろうと思う。本稿では、日本語の中の「気」に関することばにはどのようなものがあるのかを調べ、「太極呼吸」の「気」の認識からそれらがどんな意味で使われているかについて考えてみた。漢字語では「元気、空気、病気」、複合語では「気持ち、気使い、気配り」、慣用句では「気がする、気がつく、気になる」などが多く使われ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また、「気」は場合により「原義」「転義」「推象化」「多義化」されたことといえる。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손 소독제에 따른 소독효과 및 MRSA 분리

        선남(Park Sun-Nam),옥순(Park Ok-Soon),류경화(Rhyu Kyung-Hwa),정정임(Jeong Jeong-Im) 기본간호학회 2006 기본간호학회지 Vol.13 No.3

        Purpose: This study was a within subject repeated pretest-posttest design done to compare the effect of disinfection and the degree of MRSA(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ion from hand disinfectant in ICU nurses. Method: Out of the total internal medicine/surgery ICU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29 female nurses who were participating in direct patient care wer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fter collection of sam pies, Staphylococcus aureus and MRSA were isolated from the palms, nails and nasal cavities of the nurses according to disinfectants (soap and beta-scrub). Results: The effect of disinfection was greater in the beta-scrub group than in the soap group, and the effect of disinfection on palms was higher in the beta-scrub group than in the soap group. As for the degree of MRSA isolation, there was more isolation in palms in the soap group than in the beta-scrub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egree of MRSA isolation from the hand disinfectant in nails and nasal cavities. Conclusion: Beta-scrub showed a superior prolonged effect against transient bacteria compared with soap. Further, to reduce MRSA infection, we recommend interventions focused on these aspects.

      • SCOPUSKCI등재

        후숙조건에 따른 단호박 ‘보짱’의 품질특성

        도수(Do-Su Park),시멜레스(Shimeles Tilahun),현재영(Jae-Young Hyun),권혜순(Hye-Soon Kwon),정천순(Cheon-Soon Jeong) 한국식품과학회 2016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8 No.2

        본 연구는 단호박 유통을 위한 최적 후숙 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가용성고형물 함량은 수확 직후 6.0oBx에서 후숙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후숙 온도가 높을수록 가용성 고형물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과피 및 과육의 색차변화는 Hunter ‘b’값을 측정한 결과 과피는 수확 직후 2.42에서 후숙기간 동안 증가하여 후숙 18일 25℃ 조건은 6.91, 30℃ 조건은 7.56으로 나타났다. 35℃의 경우 후숙 9일 7.79로 과피 황화현상이 발생하여 외관품질이 저하되었다. 녹말함량은 후숙 온도가 높을수록 낮은 함량을 보였다. 자당 함량은 후숙 기간이 길어질수록 모든 온도 조건에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25℃ 조건에서는 18-21일, 30℃는 12-15일간 후숙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Ripening conditions of the winter squash ‘Bochang’ were evaluated. Soluble solids contents increased as the ripening duration was prolonged and with higher temperature. After harvest, the Hunter ‘b’ value of the skin was 2.42. At 25 and 30℃, the Hunter ‘b’ values were recorded at approximately 6.91 and 7.56, respectively. At 35℃, the Hunter ‘b’ value was increased to about 7.79 on day 9. Furthermore, at 35oC, the appearance quality was reduced with a yellowing phenomenon of the pericarp observed after 9 days. The starch contents also decreased with higher temperature, and sucrose contents increased in all ripening conditions with a longer period and higher temperature. Overal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ipening conditions of 25℃ for 18-21 days and at 30℃ for 12-15 days are suitable for the optimum ripening of winter squash.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